KR20230165117A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117A
KR20230165117A KR1020230052552A KR20230052552A KR20230165117A KR 20230165117 A KR20230165117 A KR 20230165117A KR 1020230052552 A KR1020230052552 A KR 1020230052552A KR 20230052552 A KR20230052552 A KR 20230052552A KR 20230165117 A KR20230165117 A KR 2023016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on secondary
material layer
lithium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마 미마
Original Assignee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을 제작하는 정극판 제작 공정과, 정극판과 부극판을 갖는 전극체를 제작하는 전극체 제작 공정과, 전극체를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공정과, 전극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주액 완료 전지를 제작하는 주액 공정과, 주액 완료 전지에 초기 충전을 행하는 초기 충전 공정을 구비한다. 주액 공정은,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인 전극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PRODUCING METHOD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본 개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과, 부극판과, LiPF6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60689호 공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과, 부극판과, LiPF6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급속 충전 등의 부하가 큰 통전을 행했을 때, 정극 집전박의 국소에 있어서 고전위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 고전위가 된 국소가 부식됨으로써 당해 국소의 표면으로부터 Al(알루미늄)이 용출하고, 이것이 부극 표면에 퇴적함으로써, 내부 단락할 우려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초기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고내식성을 갖는 AlF3의 피막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부식에 의해 Al의 용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있어서 AlF3의 피막 형성을 촉진시키는 첨가제로서, 비수 전해액 중에, LiBF4와 LiFOB를 첨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첨가제는 비용이 높고, 또한, 사용 초기 단계에서는, AlF3의 피막 형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급속 충전 등의 고부하 통전을 행한 경우에는, 부식에 의해 Al 용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는, 이러한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저감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과, 부극판과, LiPF6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과, 이들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극 집전박의 상기 표면에 상기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상기 정극판을 제작하는 정극판 제작 공정과, 상기 정극판과 상기 부극판을 갖는 전극체를 제작하는 전극체 제작 공정과, 상기 전극체를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수용 공정과,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주액 완료 전지를 제작하는 주액 공정과, 상기 주액 완료 전지에 대하여 초기 충전을 행하는 초기 충전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주액 공정은,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인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다.
상술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주액 공정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수분 함유율)이 100ppm 이상인 전극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 내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한다.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으로 한 상태에서 주액 공정을 행함으로써, 전지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부터 전지를 출하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고내식성을 갖는 AlF3의 피막이 적절하게 형성된다. 특히, 초기 충전 공정에 있어서, AlF3의 피막 생성 반응이 촉진되어, 정극 집전박의 표면 내식성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수분이 가능한 한 적어지도록 제조하고 있고,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은 100ppm보다도 훨씬 적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하여, 완성하여 출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된 시점에 있어서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 내식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하여,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으로부터의 Al 용출」이 저감된다.
또한, 이하의 (a) 내지 (b)의 일련의 반응에 의해, 정극 집전박(알루미늄박)의 표면에 고내식성을 갖는 AlF3의 피막이 형성된다. 또한, 정극판 제작 공정에 제공되는 정극 집전박(알루미늄박)의 표면은, 산화 피막인 Al2O3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주액 공정에 제공되는 전극체에 포함되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도, Al2O3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a) 주액 공정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전지 케이스 내의 정극판에 포함되는 H2O가 전해액 중의 LiPF6과 반응하여, HF가 생성된다.
LiPF6+H2O→LiF+POF3+2HF (식 1)
(b) 생성된 HF가 정극 집전박의 표면의 Al2O3 피막과 반응하여,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AlF3의 피막이 생성된다.
Al2O3+6HF→2AlF3+3H2O (식 2)
(2) 또한, 상기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주액 공정은,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 하면 된다.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많게 할수록,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있어서 AlF3의 피막이 형성되기 쉬워지고, 정극 집전박의 표면 내식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너무 많게 하면, 당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이 저하된다. 구체적으로는,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500ppm 이상으로 하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의 저하가 커진다. 따라서,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은,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상술한 제조 방법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전극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함으로써, 「당해 전지의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전지의 초기 용량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2)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정극판 제작 공정과 상기 주액 공정 사이에,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하는 수분량 조정 공정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정극판 제작 공정과 주액 공정 사이에 마련한 수분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한다. 이에 의해, 주액 공정을 개시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수분 함유율)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 즉, 상술한 제조 방법은, 정극판 제작 공정과 주액 공정 사이에, 주액 공정을 개시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수분량 조정 공정을 구비한다. 그 후, 주액 공정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전극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한다.
또한, 수분량 조정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정극판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된 정극판을, 일정한 환경 하(예를 들어, 25℃에서 50% RH의 환경 하)에서 일정 시간 방치함으로써, 정극 활물질층에 수분을 흡수시킨 후, 주액 공정의 직전에, 이 정극판을 갖는 전극체를, 소정 시간 가열 건조하여, 당해 전극체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액 공정의 직전에 전극체를 가열 건조시키는 경우, 전극체는,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서 주액 공정에 제공되는 상태로 해 두면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극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동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이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전지 케이스(30)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50)와, 정극 단자 부재(41)와, 부극 단자 부재(45)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전지 케이스(3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케이스이고, 직육면체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전지 케이스(30)는, 각형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케이스 본체(21)와, 케이스 본체(21)의 개구를 폐색하는 직사각형 평판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덮개(11)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덮개(11)에는, 2개의 직사각형 통 형상의 관통 구멍(제1 관통 구멍과 제2 관통 구멍, 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에는 정극 단자 부재(41)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제2 관통 구멍에는 부극 단자 부재(45)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덮개(11)의 제1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정극 단자 부재(41)의 외주면 사이 및 덮개(11)의 제2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부극 단자 부재(45)의 외주면 사이에는, 통 형상의 절연 부재(도시 생략)가 개재하고 있다.
전극체(50)는, 정극판(60)과, 부극판(70)과, 정극판(60)과 부극판(70)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80)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체(50)는, 띠상의 정극판(60)과 띠상의 부극판(70)과 띠상의 세퍼레이터(80)응 구비하고, 정극판(60)과 부극판(70)이 세퍼레이터(80)를 사이에 개재시키는 양태에서 권회된 권회 전극체이다(도 8 참조). 또한, 전극체(50)의 내부에는, 비수 전해액(90)이 포함되어 있다(도 2 참조).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의 저면측에도, 비수 전해액(90)이 수용되어 있다. 전극체(50) 중 정극판(60)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있어서, 정극 단자 부재(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극판(70)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있어서, 부극 단자 부재(45)에 접속되어 있다.
정극판(60)은,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61)과, 정극 집전박(61)의 표면(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적층된 정극 활물질층(63)을 갖는다(도 6 참조). 정극 활물질층(63)은, 정극 활물질 입자(64)와 바인더(65)와 도전재(66)를 함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활물질 입자(64)로서, 리튬 전이 금속 복합 산화물 입자, 구체적으로는 Li(Ni1/3Mn1/3Co1/3)O2의 입자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65)로서, PVDF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전재(66)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사용하고 있다.
부극판(70)은,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부극 집전박(71)과, 부극 집전박(71)의 표면(제1 표면(71b) 및 제2 표면(71c))에 적층된 부극 활물질층(73)을 갖는다(도 7 참조). 부극 활물질층(73)은, 부극 활물질 입자(74)와 바인더(75)를 함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활물질 입자(74)로서, 흑연 입자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75)로서,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을 사용하고 있다.
세퍼레이터(80)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수지 시트와, 이 다공질 수지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내열성 입자로 이루어지는 내열층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공질 수지 시트로서, 2개의 다공질 폴리프로필렌층 사이에 다공질 폴리에틸렌층이 개재하는 3층 구조의 다공질 수지 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수 전해액(90)은, 유기 용매(구체적으로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르보네이트)와, LiPF6을 갖는다.
이어서,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 S1(정극 페이스트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정극 페이스트(63P)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정극 활물질 입자(64)와 바인더(65)와 도전재(66)와 용매(69)를 혼합하여, 정극 페이스트(63P)를 제작한다(도 4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활물질 입자(64)로서, 리튬 전이 금속 복합 산화물 입자, 구체적으로는, Li(Ni1/3Mn1/3Co1/3)O2의 입자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65)로서, PVDF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전재(66)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사용하고 있다.
이어서, 스텝 S2(정극판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정극 집전박(61)의 표면(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정극 활물질층(63)을 갖는 정극판(60)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정극 페이스트(63P)를, 띠상의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에 도포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에, 정극 페이스트(63P)로 이루어지는 정극 페이스트층이 형성된다. 이어서,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에 도포한 정극 페이스트(63P)(구체적으로는, 정극 페이스트(63P)로 이루어지는 정극 페이스트층)를 건조시킨다. 이에 의해, 정극 페이스트(63P)로 이루어지는 정극 페이스트층으로부터 용매(69)가 증발하여,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에 정극 활물질층(6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 정극 집전박(61)의 제2 표면(61c)에도 정극 활물질층(63)을 형성하여, 띠상의 정극판(60)을 제작한다(도 6 참조). 또한, 스텝 S2(정극판 제작 공정)에 제공되는 정극 집전박(61)(알루미늄박)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은, 산화 피막인 Al2O3 피막에 의해 덮여 있다.
이어서, 스텝 S3(흡습 공정)에 있어서, 정극판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된 정극판(60)을, 25℃에서 50% RH의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25℃ 또한 습도 50% RH로 유지된 항온 항습조 내에, 정극판(60)을 24시간 수용해 둔다. 이에 의해, 정극판(60)의 정극 활물질층(63)에 수분을 흡수시킨다.
그 후, 스텝 S4(전극체 제작 공정)에 있어서, 흡습 공정을 행한 띠상의 정극판(60)과, 띠상의 부극판(70)과, 정극판(60)과 부극판(70) 사이에 개재하는 띠상의 세퍼레이터(80)를 갖는 전극체(50)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정극판(60)과 부극판(70) 사이에 세퍼레이터(80)를 개재시키는 양태에서, 정극판(60)과 부극판(70)과 세퍼레이터(80)를 권회하여, 권회 전극체인 전극체(50)를 제작한다(도 8 참조).
이어서, 스텝 S5(수용 공정)에 있어서, 전극체(50)를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덮개(11)를 준비하고, 이 덮개(11)에, 정극 단자 부재(41)와 부극 단자 부재(45)를 조립한다. 그 후, 덮개(11)에 조립된 정극 단자 부재(41)와 전극체(50)에 포함되는 정극판(60)을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정극 단자 부재(41)와 전극체(50)에 포함되는 정극판(60)을 용접한다. 또한, 덮개(11)에 조립된 부극 단자 부재(45)와 전극체(50)에 포함되는 부극판(70)을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부극 단자 부재(45)와 전극체(50)에 포함되는 부극판(70)을 용접한다. 이에 의해, 덮개(11)와 전극체(50)가, 정극 단자 부재(41) 및 부극 단자 부재(45)를 통해 일체가 된다.
이어서, 덮개(11)와 일체로 된 전극체(50)를,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덮개(11)에 의해 케이스 본체(21)의 개구를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 덮개(11)와 케이스 본체(21)를 전주용접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 본체(21)와 덮개(11)가 접합되어서, 전지 케이스(30)가 됨과 함께, 조립 완료 전지(1A)가 제작된다(도 9 참조). 조립 완료 전지(1A)는, 전지 케이스(30)와 전극체(50)와 정극 단자 부재(41)와 부극 단자 부재(45)가 조립된 구조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 완료 전지(1A)는, 전지 케이스(30)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50)와, 전극체(50)에 접속된 정극 단자 부재(41) 및 부극 단자 부재(45)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이어서,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소정 시간 가열 건조한다. 이에 의해, 조립 완료 전지(1A)의 전극체(50)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층(63)을 건조시켜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조립 완료 전지(1A)를, 10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2ppm으로 한다.
이어서, 스텝 S7(주액 공정)에 있어서,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하고, 주액 완료 전지(1B)를 제작한다(도 10 참조). 구체적으로는, 조립 완료 전지(1A)를 구성하는 전지 케이스(30)의 덮개(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주액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액 구멍을 통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구성하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한다(도 10 참조). 이에 의해, 전극체(5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함침시킴과 함께, 전지 케이스(30)의 내부 저면측에 비수 전해액(90)을 수용시킨다. 그 후, 주액 구멍을 밀봉함으로써, 주액 완료 전지(1B)가 제작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7(주액 공정)의 직전의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수분 함유율)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이 주입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8(초기 충전 공정)에 있어서, 주액 완료 전지(1B)에 대하여 초기 충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주액 완료 전지(1B)가 활성화되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초기 충전 공정에서는, 0.2C의 일정 전류값으로, 주액 완료 전지(1B)의 전지 전압값이 4.1V가 될 때까지(즉, SOC 90%가 될 때까지), 주액 완료 전지(1B)에 대하여 CC 충전을 행하고 있다. 그 후, 초기 충전을 종료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에 대하여 검사를 행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완성되어 출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스텝 S3(흡습 공정)과 스텝 S6(건조 공정)이 수분량 조정 공정에 상당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텝 S3(흡습 공정)과 스텝 S6(건조 공정)에 의해 수분량 조정 공정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2(정극판 제작 공정) 후의 스텝 S3(흡습 공정)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규정의 수분량(규정값)에 대하여 과잉이 되는 수분을 정극 활물질층(63)에 흡수시켜 둔다. 그 후, 스텝 S7(주액 공정)의 직전의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과잉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규정값으로 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을 개시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과, 부극판과, LiPF6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급속 충전 등의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 정극 집전박의 국소에 있어서 고전위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 고전위가 된 국소가 부식함으로써 당해 국소의 표면으로부터 Al(알루미늄)이 용출하고, 이것이 부극 표면에 퇴적함으로써, 내부 단락할 우려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초기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고내식성을 갖는 AlF3의 피막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부식에 의해 Al의 용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액 공정(스텝 S7)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수분 함유율)이 100ppm 이상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 내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한다.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으로 한 상태에서 주액 공정을 행함으로써, 당해 전지(1)의 그 후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고내식성을 갖는 AlF3의 피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정극판(60) 등을 수용한 전지 케이스(30) 내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한 후부터, 당해 전지(1)를 출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하기의 일련의 반응 (a) 내지 (b)가 일어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있어서, AlF3의 피막의 형성이 촉진된다. 특히, 초기 충전 공정에 있어서, 하기의 일련의 반응 (a) 내지 (b)가 촉진됨으로써, AlF3의 피막 형성이 촉진되고,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의 내식성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수분이 가능한 한 적어지도록 제조하고 있고,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은 100ppm보다도 훨씬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정극판 제작 공정(스텝 S2)에 제공되는 정극 집전박(61)(알루미늄박)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는, 산화 피막인 Al2O3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액 공정(스텝 S7)에 제공되는 전극체(50)에 포함되는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도, Al2O3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a) 주액 공정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30) 내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한 후, 전지 케이스(30) 내의 정극판(60)(상세에는, 정극 활물질층(63))에 포함되는 H2O가 비수 전해액(90) 중의 LiPF6과 반응하여, HF가 생성된다.
LiPF6+H2O→LiF+POF3+2HF (식 1)
(b) 생성된 HF가,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 상의 Al2O3 피막과 반응하여,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AlF3의 피막이 생성된다.
Al2O3+6HF→2AlF3+3H2O (식 2)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하여, 완성하여 출하할 수 있는 상태로 된 시점에 있어서의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의 내식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에서는,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하여,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이 저감된다.
그런데,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많게 할수록,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있어서 AlF3의 피막이 형성되기 쉬워지고,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의 내식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너무 많게 하면, 당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초기 용량이 저하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500ppm 이상으로 하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초기 용량의 저하가 커진다. 따라서,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은,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를 제조함으로써, 「당해 전지(1)의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전지(1)의 초기 용량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조립 완료 전지(1A)의 건조 온도를 다르게 하여,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다르게 하였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에 제공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조립 완료 전지(1A)에 대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다르도록 하였다. 그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를 제작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은, 공지의 컬피셔 수분계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10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시켜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2pp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에 제공하는 조립 완료 전지(1A)에 대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2ppm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102ppm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하게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시켜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58pp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에 제공하는 조립 완료 전지(1A)에 대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58ppm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158ppm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하게 된다.
실시예 3에서는,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3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시켜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500pp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에 제공하는 조립 완료 전지(1A)에 대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500ppm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500ppm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하게 된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스텝 S6(건조 공정)에 있어서, 조립 완료 전지(1A)를 11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시켜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68ppm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스텝 S7(주액 공정)에 제공하는 조립 완료 전지(1A)에 대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68ppm으로 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1의 주액 공정에서는,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이 68ppm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하게 된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고부하 통전 시험>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고부하 통전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본 시험에 제공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모두, 완성하여 출하할 수 있는 상태로 된 시점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고, 미사용품(즉, 신품)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 제공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모두, 본 시험에 의한 고부하 통전이, 사용 초기에 있어서의 고부하 통전이 된다.
본 시험에서는,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25℃의 온도 환경 하에서, 하기의 충방전 사이클을 1사이클로 하여, 20사이클의 충방전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충방전 사이클은, 이하와 같다. 먼저, 1C의 전류값으로, SOC 80%(즉, 전지 전압값이 4.0V)가 될 때까지 충전한다. 그 후, 0.2C의 전류값으로, SOC 15%(즉, 전지 전압값이 3.5V)가 될 때까지 방전한다. 그 후, 8시간 휴지한다. 이 충방전 사이클을 1사이클로 하고, 20사이클의 충방전을 행하였다.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상술한 충방전 사이클을 20사이클 행한 후,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충방전 사이클을 20사이클 행한 후,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해체하여 정극판을 취출한다. 그리고, 취출한 정극판을,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중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그 후 건조시켜서, 정극판에 부착되어 있는 비수 전해액(90)의 성분을 제거한다. 그 후, 이 정극판의 정극 집전박(61)으로부터 정극 활물질층을 박리하여,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하여, 공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공식은,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식의 유무에 의해, Al 용출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는, 「Al 공식」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공식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에서는,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에,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을 방지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에,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이 발생하기 어려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에 공식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에, 정극 집전박(61)의 제1 표면(61b) 및 제2 표면(61c)으로부터의 Al 용출이 발생하기 쉬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액 공정(스텝 S7)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수분 함유율)이 100ppm 이상인 전극체(50)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30) 내에, 비수 전해액(90)을 주입함으로써,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저감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사용 초기에 있어서 고부하 통전을 행했을 때의 정극 집전박의 표면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저감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용량 측정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초기 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본 시험에 제공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모두, 완성하여 출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된 시점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고, 미사용품(즉, 신품)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0.2C의 전류값으로, 전지 전압값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한다. 그 후, 전지 전압값을 4.2V로 유지하면서 충전을 행하고, SOC 100%로 한다. 그 후, 0.2C의 전류값으로, 전지 전압값이 3.0V가 될 때까지 방전한다. 그 후, 전지 전압값을 3.0V로 유지하면서 방전을 행하여, SOC 0%로 한다. 이때, SOC 100%로부터 SOC 0%가 될 때까지의 방전 전기량을,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충분한 초기 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용량은, 비교예 1이 가장 크고, 실시예 1이 2번째로 크고, 실시예 2가 3번째로 컸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 2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은,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보다도 작아졌지만, 그 저하량은 근소하였다.
한편, 실시예 3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표 1에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보다도 작아지고, 그 저하량은, 실시예 1, 2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교하여 커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많게 할수록,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이 작아지고, 그 수분량을 500ppm 이상으로 하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의 저하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고부하 통전 시험의 결과와 초기 용량 측정 시험의 결과로부터,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은,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부하 통전 시험의 결과로부터,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정극 집전박(61)으로부터의 Al 용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단, 초기 용량 측정 시험의 결과로부터,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500ppm 이상으로 하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의 저하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액 공정을 행할 때의 정극 활물질층(63)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이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개시를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
1A: 조립 완료 전지
1B: 주액 완료 전지
30: 전지 케이스
50: 전극체
60: 정극판
61: 정극 집전박
63: 정극 활물질층
63P: 정극 페이스트
64: 정극 활물질 입자
65: 바인더
66: 도전재
69: 용매
70: 부극판
90: 비수 전해액

Claims (3)

  1.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정극판과, 부극판과, LiPF6을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과, 이들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극 집전박의 상기 표면에 상기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 상기 정극판을 제작하는 정극판 제작 공정과,
    상기 정극판과 상기 부극판을 갖는 전극체를 제작하는 전극체 제작 공정과,
    상기 전극체를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수용 공정과,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주액 완료 전지를 제작하는 주액 공정과,
    상기 주액 완료 전지에 대하여 초기 충전을 행하는 초기 충전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주액 공정은,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인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액 공정은,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이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인 상기 전극체를 수용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판 제작 공정과 상기 주액 공정 사이에, 상기 정극 활물질층의 수분량을 100ppm 이상 500ppm 미만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정하는 수분량 조정 공정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230052552A 2022-05-26 2023-04-2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230165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85951 2022-05-26
JP2022085951A JP2023173595A (ja) 2022-05-26 2022-05-26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17A true KR20230165117A (ko) 2023-12-05

Family

ID=8605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552A KR20230165117A (ko) 2022-05-26 2023-04-2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11673A1 (ko)
EP (1) EP4283725A1 (ko)
JP (1) JP2023173595A (ko)
KR (1) KR20230165117A (ko)
CN (1) CN1171339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0689A (ja) 2016-10-05 2018-04-12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07B1 (ko) * 2004-01-19 2011-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캐소드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US7479348B2 (en) * 2005-04-08 2009-01-20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KR101457974B1 (ko) * 2008-05-22 2014-11-20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리튬 2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리튬 2차 전지
JP6403285B2 (ja) * 2015-10-30 2018-10-10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565910B1 (ko) * 2019-01-21 2023-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0689A (ja) 2016-10-05 2018-04-12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1673A1 (en) 2023-12-21
EP4283725A1 (en) 2023-11-29
CN117133994A (zh) 2023-11-28
JP2023173595A (ja)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3049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253106B2 (ja) 二次電池用正極電極、二次電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74289B1 (ko)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5929551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20856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320892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15230761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905816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011390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保管方法
JP7071698B2 (ja) 非水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180241027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vehicle
JP200532759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21044171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65117A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2016126953A (ja) 二次電池の充電ムラ低減方法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230165116A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7096008B2 (ja) 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の容量劣化率推定方法および容量劣化率推定装置、システム
US20240204202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414016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20113484A (ja) 負極
JP7161679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751398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377827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24087483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25163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