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179A -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 Google Patents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179A
KR20230164179A KR1020237038054A KR20237038054A KR20230164179A KR 20230164179 A KR20230164179 A KR 20230164179A KR 1020237038054 A KR1020237038054 A KR 1020237038054A KR 20237038054 A KR20237038054 A KR 20237038054A KR 20230164179 A KR20230164179 A KR 2023016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terial
seat
concave deformation
concav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야나기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corrugated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의 표피재에 있어서, 오목한 변형부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 동시에,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마찰되더라도,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표층과 이층의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표리 2층의 편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사를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서, 상기 입체 편물은 표층측에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또한,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로 산출되는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본 발명은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리 2층의 편지(編地)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連結絲)로 구성된 입체 편물은,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쿠션성을 갖고, 또한, 표리면의 편지를 메쉬 구조로 하여 높은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청량하고 땀참 방지성이 높은 쿠션재로서, 좌석 시트나 침구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입체 편물을 좌석 시트 등의 표피재에 이용하는 경우,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상기 쿠션재의 표면측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의장성은 발현하지만, 좌석 시트에 요구되는 표면의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이나 쿠션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쿠션재의 오목부로부터 비오목부까지에 걸쳐 오목부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변화하는 점변부(漸變部)를 가짐으로써, 오목부로부터 비오목부에 걸친 그라데이션을 갖고 의장성이 우수한 시트재가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9-10421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마모에 의해 보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표면 상태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돌기물로 마찰되는 것에 의한 보풀 발생 억제 성능이나,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쿠션성은 불충분한 것이었다.
이상의 종래 기술의 수준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의 표피재에 있어서, 오목한 변형부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 동시에,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마찰되더라도,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로 이루어진 좌석 시트용 표피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면측에 오목한 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체 편물의 코스 밀도, 변형부(오목부)의 두께, 및 원단 두께로부터 산출되는 파라미터 A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예상밖에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표층과 이층의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표리 2층의 편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사를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서, 상기 입체 편물은 적어도 한쪽의 층에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또한,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
로 산출되는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2]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연속한 5 웨일 이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3]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60 코스 이하에 걸쳐 동일 웨일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4] 상기 입체 편물이 복수의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간격이 10 mm 이상 300 mm 미만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5]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간격이 15 mm 이상 300 mm 미만인, 상기 [4]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6]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7]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8]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자수 또는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9]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3000 이하인, 상기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10]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코 치밀도가 13000 이상 23000 이하인, 상기 [9]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
[11] 상기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포함하는 좌석 시트.
본 발명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오목한 변형부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 동시에,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마찰되더라도,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쿠션성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2, 3, 6, 9, 10, 11, 15 및 비교예 1, 2의 오목형 변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4, 7, 12의 오목형 변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5, 13의 오목형 변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8, 14의 오목형 변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표층과 이층의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표리 2층의 편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사를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서, 상기 입체 편물은 적어도 한쪽의 층에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또한,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
로 산출되는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 편물은, 더블 라셀 경편기나 더블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고, 편기(編機)의 게이지는 18∼28 게이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적어도 한쪽의 층에 오목한 변형부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오목형 변형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짐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입체적인 우수한 의장을 발현한다. 오목형 변형부란, 상기 입체 편지 표면 상의, 열이나 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고,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된 두께가 작은 개소나, 자수 또는 봉제에 의해 형성된 두께가 작은 개소를 말하며, 이들에 추종함으로써 두께가 작아진 개소는 오목형 변형부에 포함되지 않는다.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된 오목형 변형부는, 전형적으로는 열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자수 또는 봉제에 의해 형성된 오목형 변형부는, 임의의 실과 수법을 이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도안이나 스티치의 형상에 따라서 자수 재봉틀, 록스티치 재봉틀, 지그재그 재봉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오목형 변형부는, 돌기물에 의한 보풀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쿠션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자수 또는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
로 산출되는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파라미터 A가 6 미만이면, 표층의 코가 엉성하고, 또한, 비변형부로부터 변형부로의 두께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압축시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압력이 집중함으로써,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이 표층의 코의 단섬유에 걸리기 쉬워지고, 단섬유가 절단되어 보풀이 생기기 쉬워진다. 반대로, 파라미터 A가 36을 넘으면, 표층의 코의 단섬유에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이 걸리기 어려워지지만, 표층이 평활해지므로 착좌자의 둔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고, 또한 표리 2층의 편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사와 원단 두께 방향에서 형성되는 각도가 작아지고, 또한 오목형 변형부에 있어서 연결사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없어, 쿠션성이 악화된다.
돌기물에 의한 보풀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파라미터 A의 바람직한 범위는 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착좌자의 둔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지하는 관점과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쿠션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파라미터 A의 바람직한 범위는 3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다.
파라미터 A를 6 이상 36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입체 편물을 편성할 때에는,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 편기의 게이지, 기상(機上) 코스, 편조직, 히트 세트 등의 마무리 가공에서의 폭 감소율, 폭 내기율, 오버피드율, 언더피드율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체 편물의 표면측에 오목한 변형부를 형성할 때에는, 열에 의한 변형을 이용하는 경우는 가열 시간, 받침대 온도, 프레스형 형상, 프레스형 온도, 프레스 압력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융점사나 열융착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것 이외의 변형 형성 수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자수에 의한 오목부의 형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는 재봉사의 종류, 섬도, 자수 패턴, 재봉틀 바늘, 바느질폭, 바느질땀 피치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은, 입체 편물의 압축시에, 표층의 편지가 이층의 편지에 대하여 편지의 날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에 있어서는, 오목형 변형부가, 연속한 5 웨일 이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웨일 이상에 걸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 웨일 이상에 걸쳐 있으면, 오목형 변형부에 의해 표층 편지의 편지 날실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쉬워져,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에 있어서는, 오목형 변형부가 60 코스 이하에 걸쳐 동일 웨일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코스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오목형 변형부가 60 코스 이하에 걸쳐 동일 웨일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오목형 변형부에 의해 생기는 국소적인 압축 특성의 변화에 의한 착좌시의 쿠션성의 저하는 생기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이 복수의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있는 경우는,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편지 날실 방향 간격이 10 mm 이상 300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mm 이상 25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오목형 변형부 사이의 편지 날실 방향 간격이 10 mm 이상이면, 오목형 변형부 사이의 쿠션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쉬워지고, 또한, 오목형 변형부 사이의 볼록부의 곡률이 커지기 때문에 돌기물에 의한 보풀 발생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한편, 오목형 변형부 사이의 편지 날실 방향 간격이 300 mm 미만이면, 특히 오목형 변형부 사이에서의 표층 편지의 편지 날실 방향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좌석 시트용 표피재의 착좌면측이 되는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 용어 「코 치밀도」란, 하기 식:
코 치밀도 M=N×√D
{식 중, N은, 가로 세로 2.54 ㎝당의 표층의 편지의 코수(개)이고, D는,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데시텍스)이다.}로 표시되는 표층의 편지의 코의 치밀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한편,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란, 삽입 뜨기 등의 코를 형성하지 않은 섬유를 제외한, 코를 형성하는 섬유만의 총 섬도를 가리킨다.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이면,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이 표층의 코의 단섬유에 걸리기 어려워져, 단섬유가 절단되지 않고 보풀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돌기물에 의한 보풀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코 치밀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3000 이상 230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0 이상 23000 이하이다.
코 치밀도를 11500 이상 2300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의 편지에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 편기의 게이지, 기상 코스, 편조직, 히트 세트 등의 마무리 가공에서의 폭 감소율, 폭 내기율, 오버피드율, 언더피드율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의 소재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 소재여도, 복수의 소재가 혼섬, 합연(合撚), 혼방, 교편(交編) 등에 의해 복합화되어 있어도 좋지만, 원사 강도, 내광성의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장섬유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단섬유의 인발 저항을 크게 하여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에 의해 편지 표면으로부터 단섬유가 인출되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가연 가공사, 인터레이스 가공사, 또는, 연사(撚絲)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의 섬도는, 코 치밀도를 적정화하는 데 있어서, 100 데시텍스 이상 350 데시텍스 이하의 섬도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코의 총 섬도는 150 데시텍스 이상 8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가 멀티필라멘트인 경우, 그 단사 섬도는 1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단사의 강력이 보다 높아지는 3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사에 이용하는 섬유는 모노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 섬도는, 편지 표면으로의 모노필라멘트의 돌출을 억제하고, 또한 양호한 쿠션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30 데시텍스 이상 3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데시텍스 이상 250 데시텍스 이하이다.
입체 편물의 편지 표면으로 모노필라멘트가 돌출되면,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에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가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즉, 좌석 시트용 표피재의 착좌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의 코가 모노필라멘트의 코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코의 총 섬도 D1(데시텍스)에 대해, 모노필라멘트의 섬도 D2(데시텍스)는 이하의 관계식:
D1/D2≥3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편물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임의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종 섬유 소재가 복합되어 있어도 좋지만, 표층의 편지, 연결사, 이층의 편지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00%인 것이 머티리얼 리사이클이나 케미컬 리사이클 등, 리사이클의 용이함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는 미염색이어도 좋지만, 염색 가공시의 입체 편물의 성량 변동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원착사(原着絲) 또는 선염사(先染絲)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염색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안료 등을 이겨 넣은 원착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표피재로서의 봉제성이나 취급성, 쿠션성의 면에서, 3 mm 이상12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8 mm 이하이다. 또한, 입체 편물의 단위중량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400∼10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900 g/㎡이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의 마무리 가공 방법은, 선염사나 원착사를 사용한 입체 편물의 경우, 생기(生機; gray fabric)를 정련,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해 마무리할 수 있지만, 공정 간략화의 면에서 히트 세트만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사 또는 표리 2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 중 어느 하나가 미착색인 입체 편물의 경우, 생기를 프리세트, 정련, 염색,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해 마무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좌석 시트에 이용되고, 종래의 좌석 시트 표피재와 같이, 착좌면의 이면에 우레탄을 라미네이트할 수 있지만, 라미네이트하지 않고 사용하는 편이 리사이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입체 편물 단독으로 구성되어도 좋지만, 디자인성이나 기능성의 면에서, 다른 소재와 봉제 등에 의해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등에 있어서 이용한 입체 편물의 각종 물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은 것이었다.
(a) 파라미터 A
입체 편물의 코스 밀도(코스수/2.54 cm)를 육안으로 측정한다. 또한, 오목형 변형부에서의 두께(mm), 비변형부에서의 두께(mm)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입체 편물이, 두께가 상이한 오목형 변형부를 복수 갖는 경우, 및, 오목형 변형부의 위치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경우는, 두께가 최소가 되는 개소를 오목부 두께로 한다. 또한, 원단 두께에 대해서는, 오목형 변형부에 의한 원단 두께에 미치는 영향이 가능한 한 작은 개소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환언하면, 입체 편물의 두께가 최대가 되는 개소를 원단 두께로 한다. 두께는,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0.7 kPa 압력하에 측정을 행한다. 또한, 오목형 변형부에서의 두께는 상기 압력을 오목형 변형부에만 가압했을 때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코스 밀도, 오목형 변형부에서의 두께, 원단 두께를 이용하여,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
에 의해 파라미터 A를 산출한다.
(b)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로부터 실을 뽑아내어,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 D(데시텍스)를 측정한다. 이때, 연결사는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입체 편물의 코스수/2.54 cm와 웨일수/2.54 cm의 곱 N을 측정하여,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를 하기 식:
코 치밀도 M=N×√D
에 의해 산출한다.
(c) 오목형 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웨일수
입체 편물을 40 cm×40 cm의 사이즈로 컷트하고, 오목형 변형부를 무작위로 하나 추출하여, 육안으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웨일수를 센다. 이때, 오목형 변형부가 복수의 코스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동일 코스 상의 웨일수만을 세는 것이 아니라, 복수 코스에 걸친 전체의 웨일수를 센다.
또한, 오목형 변형부가 컷트한 입체 편지의 전폭에 걸쳐 있는 경우는, 상기 입체 뜨기시의 전체 폭의 웨일수를,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하는 웨일수로 한다.
(d) 오목형 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일 웨일 상의 코스수
입체 편물을 40 cm×40 cm의 사이즈로 컷트하고, 오목형 변형부를 무작위로 하나 추출하여, 육안으로 상기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일 웨일 상의 코스수를 센다.
(e)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편지 날실 방향 간격
입체 편물을 40 cm×40 cm의 사이즈로 컷트하고,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를 추출하여, 상기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편지 날실 방향 간격을, 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한다.
(f) 면패스너에 의한 보풀 발생성(급)
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평면 마모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편 사이즈 폭 8 ㎝, 길이 31 ㎝의 입체 편물을, 표층의 편지를 상측으로 하여 평면 마모 시험기의 평면 마모대에 놓고 양단을 클램프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구라레 파스닝사 제조의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 A8693Y.71(길이 5 ㎝)을, 훅측을 외측으로 하여 마찰자에 부착한다. 마찰자를 포함하여 압박 하중을 9.8 N, 스트로크를 14 ㎝, 속도를 60±10 왕복/min으로 하고, 마찰자를 시험편 위에 얹어, 왕복 5회의 마모 시험을 행한다. 시험편은 입체 편물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부터 채취하여 측정하고, 시험 후에 시험편의 표면의 마모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보풀 발생이 보이지 않는다
4급: 보풀 발생이 약간 보인다
3급: 보풀 발생이 분명히 보이지만, 실 끊김은 눈에 띄지 않는다
2급: 보풀 발생이 약간 현저하고, 실 끊김이나 실의 「인출」이 있다
1급: 보풀 발생이 현저하고, 외관 이상이 심하다
(g) 쿠션성
표피재를, 자동차용 좌석 시트의 좌부, 등부의 우레탄 패드 상에 덮어, 좌석 시트의 인체에 접하는 전면이 입체 편물로 이루어진 표피재로 형성된 좌석 시트를 제작했다.
본 좌석 시트에 착석한 모니터가 쿠션성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를,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판정하여 쿠션성의 평가로 했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확실하게 쿠션성이 있고 쾌적하다
4급: 쿠션성이 있고 약간 쾌적하다
3급: 약간 쿠션성이 있지만 쾌적하지 않다
2급: 아주 약간 쿠션성이 있지만 약간 불쾌하다
1급: 쿠션성이 없고 불쾌하다
(h) 미끄러짐성
상기 좌석 시트에 착석한 모니터가 둔부의 미끄러짐성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를,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판정하여 쿠션성의 평가로 했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전혀 미끄러지지 않고 그립성을 확실하게 느낀다
4급: 거의 미끄러지지 않고 그립성을 느낀다
3급: 약간 미끄러지기 어렵다
2급: 약간 미끄러지기 쉽고 그다지 그립성을 느끼지 않는다
1급: 꽤 미끄러지기 쉽고 전혀 그립성을 느끼지 않는다
(i) 쓰러짐성
1변의 길이 40 cm의 정방형으로 컷트한 표피재를, 표층을 위로 하여 수평한 책상 위에 놓고, 위로부터 손으로 눌렀을 때의 가로 쓰러짐성에 대해,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판정하여 쓰러짐성의 평가로 했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전혀 옆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4급: 약간 옆으로 쓰러진다
3급: 옆으로 쓰러진다
2급: 꽤 옆으로 쓰러진다
1급: 매우 옆으로 쓰러지기 쉽고 압축 후에 회복되지 않는다
[실시예 1∼7]
6장 바디(reed)를 장비한 22 게이지, 가마 간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1인 1아웃(L1)과 1아웃 1인(L2)의 배열로 공급하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3)로부터 110 데시텍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1아웃 1인(L3)의 배열로 공급하며, 또한, 이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5, L6)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인의 배열로 공급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33 코스/2.54 cm로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했다. 얻어진 생기를 1% 폭 내기하고, 오버피드율 0%, 175℃×1분으로 건열 히트 세트한 후, 이하에 나타내는 디자인이 실시된 프레스형을 이용하여, 200℃의 프레스형 온도에서 표층측으로부터 6초간 히트 프레스를 행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들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편조직)
L1: 1011/2322/(1인 1아웃)
L2: 2322/1011/(1아웃 1인)
L3: 3410/4367/(1아웃 1인)
L4: -(급사를 행하지 않는다.)
L5: 0001/1110/(올인)
L6: 2234/2210/(올인)
(프레스형 디자인)
실시예 1: 도 1 참조(W1: 1 mm, W2: 12 mm)
실시예 2: 도 1 참조(W1: 2 mm, W2: 16 mm)
실시예 3: 도 1 참조(W1: 7 mm, W2: 38 mm)
실시예 4: 도 2 참조(W3: 5 mm, W4: 5 mm, W5: 5 mm, W6: 5 mm)
실시예 5: 도 3 참조(W7: 35 mm, W8: 35 mm, W9: 70 mm, W10: 60 mm, W11: 60 mm)
실시예 6: 도 1 참조(W1: 50 mm, W2: 60 mm)
실시예 7: 도 2 참조(W3: 8 mm, W4: 8 mm, W5: 12 mm, W6: 12 mm)
실시예 8: 도 4 참조(W12: 1 mm, W13: 12 mm)
도 1∼4 중의 흰색 도포부는 프레스형 상에서의 오목부이며, 흑색 도포부는 볼록부이다. 즉, 도면 중 흑색 도포부와 동일한 형상의 오목형 변형부가, 입체 편지 상에 형성된다. 또한, 도 1∼4는 프레스형의 반복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오목형 변형부의 갯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되는 오목형 변형부가 편지 날실 방향 및 편지 씨실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상하 방향이 입체 편지의 날실 방향과 일치하도록 프레스를 행했다.
[실시예 9]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222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급사하고, 기상 코스를 24 코스/2.54 cm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0]
기상 코스를 38 코스/2.54 cm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1]
히트 세트 후에 히트 프레스 가공을 하지 않고, 도 1 중의 흑색 도포부를 자수함으로써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2]
히트 세트 후에 히트 프레스 가공을 하지 않고, 도 2 중의 흑색 도포부를 자수함으로써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3]
히트 세트 후에 히트 프레스 가공을 하지 않고, 도 3 중의 흑색 도포부를 자수함으로써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4]
히트 세트 후에 히트 프레스 가공을 하지 않고, 도 4 중의 흑색 도포부를 자수함으로써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실시예 15]
히트 세트 후에 히트 프레스 가공을 하지 않고, 도 1 중의 흑색 도포부를 자수함으로써 오목형 변형부를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비교예 1]
프레스형 온도를 220℃로 하고, 프레스 시간을 10초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비교예 2]
프레스형 온도를 120℃로 하고, 프레스 시간을 3초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얻어, 이것을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 했다.
표 1, 2와 같이,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실시예 1∼15의 오목형 변형부를 갖는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에서는, 면패스너(훅측)에 의한 보풀 발생성, 압축시에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나 착좌부의 미끄러짐성이 억제되어 있고, 쿠션성은 양호한 것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파라미터 A가 6 미만인 비교예 1에서는, 쿠션성은 양호하고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나 미끄러짐성은 억제되어 있지만, 면패스너에 의한 보풀 발생성이 현저하게 낮은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파라미터 A가 39로 지나치게 높아, 면패스너에 의한 보풀 발생성은 억제되어 있지만,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나 미끄러짐성이 억제되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의 좌석 시트용 표피재는,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에 있어서, 우레탄 패드 등의 쿠션 부재의 위에 배치하여 좌석 시트를 형성하거나, 시트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경량, 박형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이며, 높은 쿠션성을 갖는 동시에,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마찰되더라도,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착좌시의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11)

  1. 표층과 이층의 표리 2층의 편지와, 상기 표리 2층의 편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사를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서, 상기 입체 편물은 표층측에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또한, 다음 식:
    파라미터 A=코스 밀도(코스/2.54 cm)×오목부 두께(mm)/원단 두께(mm)
    로 산출되는 파라미터 A가 6 이상 3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연속한 5 웨일 이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60 코스 이하에 걸쳐 동일 웨일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이 복수의 오목형 변형부를 갖고,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간격이 10 mm 이상 300 mm 미만인 좌석 시트용 표피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일 웨일 상에서 가장 근접하는 오목형 변형부끼리의 간격이 15 mm 이상 300 mm 미만인 좌석 시트용 표피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섬유끼리 융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변형부가 자수 또는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3000 이하인 좌석 시트용 표피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코 치밀도가 13000 이상 23000 이하인 좌석 시트용 표피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좌석 시트용 표피재를 포함하는 좌석.
KR1020237038054A 2021-06-01 2022-05-30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KR20230164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2305 2021-06-01
JPJP-P-2021-092305 2021-06-01
PCT/JP2022/021966 WO2022255311A1 (ja) 2021-06-01 2022-05-30 座席シート用表皮材及びそれを含む座席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179A true KR20230164179A (ko) 2023-12-01

Family

ID=8432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054A KR20230164179A (ko) 2021-06-01 2022-05-30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0061A4 (ko)
JP (1) JPWO2022255311A1 (ko)
KR (1) KR20230164179A (ko)
CN (1) CN117062947A (ko)
WO (1) WO20222553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4217A (ja) 2017-12-14 2019-06-27 Tbカワシマ株式会社 傾斜シート材、及び、傾斜シート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345B2 (ja) * 2001-05-16 2011-10-12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三次元立体編物
JP2004115939A (ja) * 2002-09-24 2004-04-15 Asahi Technos:Kk 縫製シート体
JP6345833B2 (ja) * 2016-05-27 2018-06-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表皮材及び構造体並びに表皮材の製造方法
JP2019072867A (ja) * 2017-10-12 2019-05-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表皮材及び構造体並びに表皮材の製造方法
DE102019110908B4 (de) * 2019-04-26 2020-12-24 Müller Textil GmbH Verbundanordn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4217A (ja) 2017-12-14 2019-06-27 Tbカワシマ株式会社 傾斜シート材、及び、傾斜シート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55311A1 (ko) 2022-12-08
WO2022255311A1 (ja) 2022-12-08
EP4350061A1 (en) 2024-04-10
EP4350061A4 (en) 2024-06-05
CN117062947A (zh)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750B2 (en) Warp knit fabric with steric structure
EP0627516B1 (en) Upholstery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103783A1 (en) Non-seamed sheeting fabric having a cool portion and a warm portion
JP6282480B2 (ja) 非衣料用途の丸編構造体
US7696110B2 (en) Sheet material for seat
US11814783B2 (en) Synthetic leather
JP2002138352A (ja) 三次元立体編物
CN112352073B (zh) 圆型针织物
KR20230164179A (ko) 좌석 시트용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시트
JP4665250B2 (ja) 弾性織物
JP6360532B2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KR102637390B1 (ko) 표피재
JP7132325B2 (ja) 高性能ウールブレンドファブリック
JP2013011034A (ja) 形状追従性経編地
WO2022255319A1 (ja) 表皮材
JP7357514B2 (ja) 着衣用編地
JP7237260B1 (ja) ダブルラッセル編地及びそれを含む表皮材
WO2019058449A1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WO2023058578A1 (ja) 立体編物を含む表皮材
JP2023054536A (ja) 複合糸を含む表皮材
JP4251923B2 (ja) 三次元立体構造編物
JP4340447B2 (ja) 座席および車両
JP5513329B2 (ja) ほつれ防止布バネ材
JPH1043011A (ja) 柔軟な風合いと嵩高性とを備えたシートカバ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