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394A - 먼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394A
KR20230158394A KR1020230040093A KR20230040093A KR20230158394A KR 20230158394 A KR20230158394 A KR 20230158394A KR 1020230040093 A KR1020230040093 A KR 1020230040093A KR 20230040093 A KR20230040093 A KR 20230040093A KR 20230158394 A KR20230158394 A KR 2023015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block
holes
injec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고도
카즈키 모모세
카츠요시 코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Publication of KR2023015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6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aspi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과제) 경량인 쓰레기와 중량이 있는 쓰레기의 양방을 제거할 수 있는 먼지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진동식 반송 장치에 탑재되는 먼지 제거 장치는, 상면이 진동식 반송 장치의 반송면이 되는 블록을 가지고, 블록은 상하에 적층된 적어도 상층 부재와 하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층 부재는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하층 부재는 복수의 구멍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오목부와 분사공이 형성되고, 블록 중에는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낙하한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어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블록의 상부로 불어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제1 흡기 수단은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불어 올려진 쓰레기를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흡기 수단은 쓰레기를 내부 공간으로부터 블록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먼지 제거 장치{DUST REMOVER}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부품을 반송하는 진동식 반송 장치, 이른바 파츠 피더에 탑재하는 데에 적합한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송 장치의 반송로 상의 티끌이나 먼지 등의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반송로의 상면 상에 제진통이나 클리너를 배치하여, 쓰레기를 반송로로부터 상측으로 빨아 올려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먼지 제거 장치가 고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1∼2에 기재되어 있다.
또, 진동식 반송 장치의 반송로나 파츠 피더의 볼 바닥부를 철망상이나 펀칭 메탈상으로 형성하고, 쓰레기를 반송로나 볼 바닥부로부터 하측으로 낙하시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먼지 제거 장치가 고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3∼5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014719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5-1174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0297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138681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3-053770호
그러나 특허문헌1∼2에 기재된 먼지 제거 장치는, 쓰레기를 반송로로부터 상측으로 빨아 올려 흡인 배출하므로, 중량이 있는 쓰레기를 빨아 올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3∼5에 기재된 먼지 제거 장치는, 쓰레기를 반송로나 볼 바닥부의 구멍이나 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시켜 흡인 배출하므로, 경량인 쓰레기나, 반송물 위에 있는 쓰레기나, 구멍이나 홈의 개구보다 큰 치수의 쓰레기 등을 구멍이나 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과제는, 경량인 쓰레기와 중량이 있는 쓰레기의 양방을 제거할 수 있는 먼지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진동식 반송 장치에 탑재되는 먼지 제거 장치로서, 진동식 반송 장치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이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과, 상기 블록의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흡기 가능한 제1 흡기 수단과, 상기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흡기 수단을 가지고, 상기 블록은 상층 부재와 하층 부재를 상하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 부재는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층 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멍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오목부와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중에는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낙하한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분사시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블록의 상부로 불어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흡기 수단은 상기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불어 올려진 쓰레기를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흡기 수단은 쓰레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식 반송 장치에 탑재되는 먼지 제거 장치는, 진동식 반송 장치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이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과, 상기 블록의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흡기 가능한 제1 흡기 수단과, 상기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흡기 수단을 가지고, 상기 블록은 상층 부재와 하층 부재를 상하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 부재는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층 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멍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오목부와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중에는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낙하한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분사시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블록의 상부로 불어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흡기 수단은 상기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불어 올려진 쓰레기를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흡기 수단은 쓰레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블록 상의 경량인 쓰레기를 상기 공기 공급 수단의 압축 공기에 의해 불어 올리고 나서 상기 제1 흡기 수단에 의해 흡인 배출시킴과 함께, 상기 블록 상의 중량이 있는 쓰레기를 상기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에 낙하시키고 나서 상기 제2 흡기 수단에 의해 상기 블록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시키므로, 경량인 쓰레기와 중량이 있는 쓰레기의 양방을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상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를 상하에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 상기 블록 중에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되므로,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재) 중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층 부재의 상기 복수의 구멍은 개구경이 상기 상층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부재의 상기 복수의 구멍은 개구경이 상기 상층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측의 개구가 상면측의 개구보다 커지므로, 상기 상층 부재의 상면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멍 중에 들어간 쓰레기를 상기 복수의 구멍 중에 막히게 하지 않고,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측으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는 상기 분사공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과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복수의 구멍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차 연통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사공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는 상기 분사공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과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복수의 구멍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차 연통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에 분사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사공과 상기 복수의 구멍이 직접 연통하는 경우에 비하여, 압축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 중에서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 공기를 보다 많은 상기 복수의 구멍에 통과시킬 수 있어, 상기 블록 상의 보다 넓은 범위에 있는 쓰레기를 불어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사공은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사공이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블록 상의 보다 넓은 범위의 쓰레기를 불어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상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 사이에 중층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중층 부재는 상기 하층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블록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중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내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블록에는 상기 상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 사이에 중층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중층 부재는 상기 하층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블록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중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내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상기 블록이 상기 상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블록의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중층 부재의 상하 방향의 두께분만큼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블록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블록 상의 경량인 쓰레기를 불어 올리고 나서 제1 흡기 수단에 의해 흡인 배출함과 함께, 블록 상의 중량이 있는 쓰레기를 블록 중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키고 나서 제2 흡기 수단에 의해 흡인 배출하므로, 경량인 쓰레기와 중량이 있는 쓰레기의 양방을 제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를 탑재한 진동식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진동식 반송 장치의 호퍼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진동식 반송 장치에 탑재된 먼지 제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의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블록을 도 4의 가상 평면(S)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층 부재의 평면도(a)와 B-B단면도(b)와 일점쇄선(C)으로 둘러싸는 범위 내를 나타내는 확대도(c)이다.
도 8은, 반송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상층 부재의 평면도(a)와 B'-B'단면도(b)와 일점쇄선(C')으로 둘러싸는 범위 내를 나타내는 확대도(c)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를 탑재한 진동식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식 반송 장치(10)는 순환식 반송 장치이고, 제1 리니어 피더(linear feeder)(20)와 제2 리니어 피더(30)와 호퍼(hopper)(40)를 가진다. 제1 리니어 피더(20)는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반송체(21)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반송체(21)는 평행하게 신장되는 직선상의 2개의 반송로(22, 23)를 가진다. 제2 리니어 피더(30)는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반송체(31)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반송체(31)는 직선상의 1개의 반송로(32)를 가진다. 제1 리니어 피더(20)와 제2 리니어 피더(30)는 서로의 반송 방향(F, R)이 반대가 되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다. 제1 리니어 피더(20)에 있어서의 일방의 반송로(22)는 그 하류단(22a)으로부터 정규 자세의 반송물을 다른 장치에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방의 반송로(23)는 일방의 반송로(22)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일방의 반송로(22)로부터 자세 불량에 의해 배제된 반송물을 일방의 반송로(22)와 동일한 반송 방향(F)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제1 리니어 피더(20)의 타방의 반송로(23)의 하류단과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로(32)의 상류단은 반송물을 주고 받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로(32)의 하류단과 제1 리니어 피더(20)의 일방의 반송로(22)의 상류단은 반송물을 주고 받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물은 제1 리니어 피더(20)와 제2 리니어 피더(30)를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퍼(40)는 반송물을 저장하고,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로(32)로 조금씩 반송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도 2는 진동식 반송 장치의 호퍼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50)는 진동식 반송 장치(10)의 일점쇄선(A)으로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지 제거 장치(50)는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로(3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먼지 제거 장치(50)는 제2 리니어 피더(30)로부터 제1 리니어 피더(20)로 반송물을 주고 받기 전의 위치에 배치되고, 이 제1 리니어 피더(20)에는 공기 분사 장치에 의해 반송물의 자세를 변경하는 도시하지 않은 정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렬 장치의 공기 분사 장치에 의해 쓰레기를 반송물과 함께 감아올리기 전에 먼지 제거 장치(50)에 의해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은 진동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먼지 제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지 제거 장치(50)는 블록(51)과 공기 공급 수단(52)과 제1 흡기 수단(53)과 제2 흡기 수단(54)을 가진다. 블록(51)은 대략 직방체이고,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체(3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의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블록을 도 4의 가상 평면(S)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51)은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를 가진다.
여기서, 도 3∼도 7과 도 9 중에서, 화살표(Up)로 나타내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고(도 3∼도 6과 도 7(b)∼(c)와 도 9(b)∼(c)에서는 지면의 상측이고, 도 7(a)와 도 9(a)에서는 지면의 정면측이다.), 화살표(Dw)로 나타내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고(도 3∼도 6과 도 7(b)∼(c)와 도 9(b)∼(c)에서는 지면의 하측이고, 도 7(a)와 도 9(a)에서는 지면의 배면측이다.), 화살표(Up)와 화살표(Dw)로 나타내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화살표(In)로 나타내는 방향을 안측으로 하고(도 3과 도 7(b)∼(c)와 도 9(b)∼(c)에서는 지면의 배면측이고, 도 4∼도 6에서는 지면의 좌상측이고, 도 7(a)와 도 9(a)에서는 지면의 상측이다.), 화살표(Ot)로 나타내는 방향을 앞측으로 하고(도 3과 도 7(b)∼(c)와 도 9(b)∼(c)에서는 지면의 정면측이고, 도 4∼도 6에서는 지면의 우하측이고, 도 7(a)와 도 9(a)에서는 지면의 하측이다.), 화살표(In)와 화살표(Ot)로 나타내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화살표(Us)로 나타내는 방향을 상류측으로 하고(도 3과 도 7과 도 9에서는 지면의 우측이고, 도 4∼도 6에서는 지면의 우하측이다.), 화살표(Ds)로 나타내는 방향을 하류측으로 하고(도 3과 도 7과 도 9에서는 지면의 좌측이고, 도 4∼도 6에서는 지면의 좌하측이다.). 화살표(Us)와 화살표(Ds)로 나타내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이들 방향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 중력 방향에 대한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층 부재의 평면도(a)와 B-B단면도(b)와 일점쇄선(C)으로 둘러싸는 범위 내를 나타내는 확대도(c)이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부재(511)는 사각형상의 판상이고, 화살표(Us)와 화살표(Ds)로 나타내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511a)과 체결공(511p)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구멍(511a)은 원형이고, 상층 부재(511)의 화살표(Up)로 나타내는 상측의 상면(511A)으로부터 화살표(Dw)로 나타내는 하측의 바닥면(511B)까지 화살표(Up)와 화살표(Dw)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7(a)와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511a)은 상층 부재(511)의 화살표(Ot)로 나타내는 앞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구멍(511a)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는 형성 영역(SA)은, 상층 부재(511)의 화살표(In)와 화살표(Ot)로 나타내는 폭 방향에 있어서, 앞측의 단 가장자리(511o)로부터 화살표(In)로 나타내는 안측의 단 가장자리(511i)를 향하여 상층 부재(511)의 폭 길이(W)의 약 2/3의 위치까지의 사이와, 상층 부재(5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살표(Us)로 나타내는 상류측의 단 가장자리(511u)로부터 화살표(Ds)로 나타내는 하류측의 단 가장자리(511d)까지의 사이로 둘러싸이는 범위이다. 복수의 구멍(511a)은 이 형성 영역(SA) 중에 분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복수의 구멍(511a)은 합계 224개 있다. 즉, 상층 부재(511)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나의 열 중에 복수의 구멍(511a)이 7개 있고, 이 열이 길이 방향으로 32열 있다(7개×32열=224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복수의 구멍(511a)은 개구경이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으로부터 바닥면(511B)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고, 바닥면(511B)의 개구가 상면(511A)의 개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구멍(511a)은, 상면(511A)의 개구경(r1)이 바닥면(511B)의 개구경(r2)보다 작은 것과 함께(r1<r2), 바닥면(511B)의 개구경(r2)이 상면(511A)의 개구경(r1)보다 크다(r2>r1). 이 복수의 구멍(511a)은 내면(511f)이 원추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쓰레기가 복수의 구멍(511a) 중으로 상측(상면(511A)의 측)으로부터 들어가면, 복수의 구멍(511a) 중에 막혀버리지 않고, 복수의 구멍(511a)을 통과하여 하측(바닥면(511B)의 측)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은 반송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N)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직방체이고, 길이 방향의 길이(l)와 폭(w)과 두께(t)가 순차 작아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l>w>t). 즉, 반송물(CN)의 변 중, 길이 방향의 길이(l)가 가장 큰 최대변이 되고, 폭(w)이 중간의 크기인 중간변이 되고, 두께(t)가 가장 작은 최소변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반송물(CN)의 길이 방향 양단의 단면(Sc, Sc)이 반송물(CN)의 6면 중의 가장 작은 면인 최소면이 된다. 이 단면(Sc, Sc)의 대각선의 길이(d)는 반송물(CN)의 최소면의 대각선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반송물(CN)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반송물(CN)은 상기 저항, 적층 세라믹 콘덴서, 인덕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전자 부품이고,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물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604(l=0.6mm×w=0.4mm)여도 되고, 0402(l=0.4mm×w=0.2mm)여도 되고, 0201(l=0.25mm×w=0.125)여도 된다.
도 7(c)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511a)은 가능한 한 큰 쓰레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구멍(511a)에 있어서의 상면(511A)의 개구경(r1)은, 반송물(CN)의 단면(Sc, Sc)의 대각선의 길이(d)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r1<d). 즉, 복수의 구멍(511a)의 개구경(r1)은 반송물(CN)의 최소면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는, 복수의 구멍(511a)에 있어서의 상면(511A)의 개구경(r1)은, 반송물(CN)의 두께(t)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r1≒t). 즉, 복수의 구멍(511a)의 개구경(r1)은 반송물(CN)의 최소변의 길이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511a)은 반송물(CN)이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비교적 큰 쓰레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은 원형이고,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층 부재(511)의 안측에 배치되어,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으로부터 바닥면(511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체결공(511p)은 4개 있고, 상층 부재(511)의 길이 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9는 다른 상층 부재의 평면도(a)와 B'-B'단면도(b)와 일점쇄선(C')으로 둘러싸는 범위 내를 나타내는 확대도(c)이다. 도 9(a)내지 도 9(c)까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의 상층 부재(511')는 복수의 구멍(511a')이 도 7의 상층 부재(511)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멍(511a)과 상이하고, 그 밖의 부분은 상층 부재(511)와 동일하다. 상층 부재(511)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상층 부재(511')의 복수의 구멍(511a')은 상층 부재(511)의 복수의 구멍(511a)보다 개구경이 작은 것과 함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는 형성 영역(SA) 중에 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다(도 9(a) 참조). 도시예에서는, 복수의 구멍(511a')은 378개 있다. 즉, 상층 부재(511')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나의 열 중에 복수의 구멍(511a')이 9개 있고, 이 열이 길이 방향에 42열 있다(9개×42열=378개). 이에 의해, 이 상층 부재(511')는 상층 부재(511)보다 작은 치수의 반송물(CN)을 반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복수의 구멍(511a')은 도 7의 복수의 구멍(511a)과 마찬가지로,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으로부터 바닥면(511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개구경이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으로부터 바닥면(511B')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고, 바닥면(511B')의 개구가 상면(511A')의 개구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구멍(511a')은, 상면(511A')의 개구경(r3)이 바닥면(511B')의 개구경(r4)보다 작은 것과 함께(r3<r4), 바닥면(511B')의 개구경(r4)이 상면(511A')의 개구경(r3)보다 크다(r4>r3). 이 복수의 구멍(511a')은 내면(511f')이 원추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쓰레기가 복수의 구멍(511a') 중으로 상측(상면(511A')의 측)으로부터 들어가면, 복수의 구멍(511a') 중에 막혀버리지 않고, 하측(바닥면(511B')의 측)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동일하다.
도 6으로 되돌아와서, 중층 부재(512)는 상층 부재(511)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사각형상의 판상이고, 개구(512a)와 체결홈(512p)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512a)는 대략 사각형상이고,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고, 중층 부재(512)의 상면(512A)으로부터 바닥면(512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개구(512a)는 폭 방향의 폭 길이가 형성 영역(SA)의 폭 길이(Ws)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작음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개구(512a)는 2개 있고, 길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구(512a)로서 큰 개구가 1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중층 부재(51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층 부재(512)의 체결홈(512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중층 부재(512)의 상면(512A)으로부터 바닥면(512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체결홈(512p)은 원호부(512p1)와 사각형부(512p2)를 가진다. 원호부(512p1)는 원형이고,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사각형부(512p2)는 대략 구형이고, 원호부(512p1)로부터 중층 부재(512)의 안측의 단 가장자리(512i)까지 신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호부(512p1)와 사각형부(512p2)는 연통되어 있고, 체결홈(512p)은 중층 부재(512)의 안측에 개구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체결홈(512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4개 있고, 중층 부재(512)의 길이 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열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층 부재(513)는 상층 부재(511)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사각형상의 판상이고, 오목부(513a)와 체결공(513p)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13a)는 대략 사각형상이고,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하층 부재(513)의 상면(513A)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파여 있다. 오목부(513a)는 폭 방향의 폭 길이가 형성 영역(SA)의 폭 길이(Ws)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작은 것과 함께, 하층 부재(513)의 하류측의 단 가장자리(513d)로부터 상류측의 단 가장자리(513u)의 가까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오목부(513a)는 1개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513a)에는 분기공(513s)과 흡기공(513r)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기공(513s)과 흡기공(513r)은 원형이고, 오목부(513a)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13a)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층 부재(513)의 바닥면(513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분기공(513s)은 오목부(513a)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흡기공(513r)은 오목부(513a)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분기공(513s)은 10개 있고, 길이 방향에 5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열이 폭 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어 있다. 흡기공(513r)은 1개 있다.
하층 부재(513)의 체결공(513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하층 부재(513)의 상면(513A)으로부터 바닥면(513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체결공(513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4개 있고, 하층 부재(513)의 길이 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 최하층 부재(514)는 상층 부재(511)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사각형상의 판상이고, 오목홈(514a)과 흡기공(514r)과 체결공(514p)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514a)은 최하층 부재(514)의 상류측에 가까운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홈(514a)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최하층 부재(514)의 상면(514A)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파여 있다. 오목홈(514a)의 상류측 부분은 하층 부재(513)의 분기공(513s)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홈(514a)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도입공(514s)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공(514s)은 원형이고, 오목홈(514a)의 바닥면으로부터 최하층 부재(514)의 바닥면(514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오목홈(514a)과 도입공(514s)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최하층 부재(514)의 흡기공(514r)은 원형이고, 하층 부재(513)의 흡기공(513r)에 대응하는 위치, 즉, 최하층 부재(514)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흡기공(514r)은 최하층 부재(514)의 상면(514A)으로부터 바닥면(514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흡기공(514r)은 1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최하층 부재(514)의 오목홈(514a)과 흡기공(514r)은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최하층 부재(514)의 체결공(514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최하층 부재(514)의 상면(514A)으로부터 바닥면(514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체결공(514p)은 하측 부분의 개구경이 상측 부분의 개구경보다 확경되어 있는, 이른바 카운터보어(Counterbore)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체결공(514p)의 하측 부분에는 체결구(Bt)의 머리부를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도시예에서는, 체결공(514p)은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과 마찬가지로 4개 있고, 길이 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3과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층 부재(514)와 하층 부재(513)와 중층 부재(512)와 상층 부재(511)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순차 적층되어 블록(51)이 형성된다. 즉, 블록(51)은 상하 방향으로 4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최하층 부재(514)의 체결공(514p)과 하층 부재(513)의 체결공(513p)과 중층 부재(512)의 체결홈(512p)과 상층 부재(511)의 체결공(511p)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고,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Bt)가 블록(51)의 하측으로부터 체결공(514p)과 체결공(513p)과 체결홈(512p)과 체결공(511p)에 순차 삽입 통과되어 단단히 조여진다. 이때, 체결구(Bt)의 머리부는 최하층 부재(514)의 체결공(514p)의 카운터보어 가공 부분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가 체결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51)의 상측의 3층 부분에 있어서, 즉,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 상층 부재(511)의 바닥면(511B)과 중층 부재(512)에 있어서의 개구(512a)의 내면과 하층 부재(513)에 있어서의 오목부(513a)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51i)이 구성된다. 이 내부 공간(51i)은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다. 즉, 내부 공간(51i)은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의 하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구멍(511a)과 내부 공간(51i)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부 공간(51i)은 블록(51) 중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51i)의 상측은 복수의 구멍(511a)에 의해 개구되어 있다.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은 블록(51)의 상면(51A)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블록(51)의 위로부터 비교적 중량이 있는 쓰레기를 복수의 구멍(511a)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51i) 중에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블록(51)의 하측의 2층 부분에 있어서, 즉,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 하층 부재(513)의 바닥면(513B)과 최하층 부재(514)에 있어서의 오목홈(514a)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는 기류로(51r)가 구성된다. 이 기류로(51r)는 오목홈(514a)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기류로(51r)의 상류측 부분은 하층 부재(513)의 분기공(513s)과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기류로(51r)의 하류측의 단부는 도입공(514s)과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와 분사공(513s)이 순차 연통된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를 도입공(514s)에 투입하면 기류로(51r)를 통과하여 분기공(513s)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블록(51)의 상류측 부분에 있어서, 분기공(513s)이 내부 공간(51i)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고, 분사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이 하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상하 방향으로 순차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사공(513s)은 압축 공기를 내부 공간(51i) 중으로 분사하게 되어 있다. 이때, 내부 공간(51i)의 내부는 분사공(513s)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분사공(513s)으로부터 분사된 압축 공기는, 내부 공간(51i) 중에서 확산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사공(513s)과 복수의 구멍(511a)이 직접 연통하는 경우에 비하여, 분사공(513s)으로부터 분출된 압축 공기를 보다 많은 복수의 구멍(511a)에 통과시킬 수 있어, 보다 넓은 범위에 있는 쓰레기를 불어 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블록(51)의 내부에서는,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와 분사공(413s)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이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록(5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까지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와 분사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이 순차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를 블록(51)의 바닥부에 있는 도입공(513s)에 투입하면, 압축 공기가 도입공(513s)과 기류로(51r)와 분사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을 순차 통과하여 블록(51)의 상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불어 올려지게 되어 있다.
또, 블록(51)의 하류측 부분에 있어서, 내부 공간(51i)과 하층 부재(513)의 흡기공(513r)과 최하층 부재(514)의 흡기공(514r)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부 공간(51i)의 하류측의 바닥부는 흡기공(513r)과 흡기공(514r)에 의해 블록(51)의 바닥면(51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최하층 부재(514)의 바닥면(514B)은 블록(51)의 바닥면(51B)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51i) 중의 쓰레기를 흡기공(513r)과 흡기공(514r)을 통과하여 블록(51)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와서, 이렇게 구성된 블록(51)은 체결구(Bt)에 의해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체(31)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체(31)에는 블록(51)을 끼워 넣기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 중에 블록(51)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블록(51)의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가 위치 결정되고, 이 상태에서, 블록(51)이 반송체(31)와 일체화된다. 이때, 블록(51)의 상면(51A), 즉,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이 반송로(32)의 반송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부재(511)의 상면(511A) 중,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이 반송로(32)의 반송면의 일부가 된다. 이 때문에, 반송물(CN)이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로(32) 상을 반송 방향(R)으로 이송되면, 반송물(CN)은 블록(51)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멍(511a)의 형성 영역(SA) 위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블록(51)의 도입공(514s)에는 도입관(521)이 접속되고, 이 도입관(521)에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와 공기 공급 장치가 순차 접속된다. 이들 블록(51)의 도입공(514s)과 도입관(521)과 호스와 공기 공급 장치는 연통되어 있다. 블록(51)의 내부에서는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와 분사공(513s)이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 공급 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호스와 도입관(521)을 순차 통과하여 도입공(514s)으로부터 블록(51) 중에 투입되고,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를 순차 통과하여 분사공(513s)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수단(52)은 공기 공급 장치와 호스와 도입관(521)과 블록(51)의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를 포함한 개념에 상당한다.
블록(51)의 상류측 부분에는,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중공의 제1 중공 부재(5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중공 부재(531)에는 중공의 제2 중공 부재(53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중공 부재(532)에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와 컴프레서 등의 제1 흡기 장치가 순차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1 중공 부재(531)와 제2 중공 부재(532)와 호스와 제1 흡기 장치는 순차 연통되어 있다. 이 제1 흡기 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블록(51) 위의 쓰레기가 흡인 또는 진공화되어, 제1 중공 부재(531)와 제2 중공 부재(532)와 호스를 순차 통과하여 제1 흡기 장치에 흡인 배출되게 되어 있다. 이때, 쓰레기를 걸러내기 위해서 제1 중공 부재(531)와 제2 중공 부재(532)와 호스와 제1 흡기 장치 중 어느 것 사이에 필터(53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제1 흡기 수단(53)은 제1 중공 부재(531)와 제2 중공 부재(532)와 호스와 제1 흡기 장치와 필터(533)를 포함한 개념에 상당한다.
여기서, 제1 중공 부재(531)는 하측이 개구된 중공부(53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공부(531a)는 원추면상(끝이 퍼지는 형상)의 중공 부분이고, 하측을 향해 열려 있다. 제1 중공 부재(531)의 중공부(531a)는 블록(51)의 상류측 부분과 대향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중공 부재(531)의 중공부(531a)는 블록(51)의 분사공(513s)과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중공 부재(531)의 중공부(531a)는 분사공(513s)으로부터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해 불어 올려진 쓰레기를 수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51)의 바닥부에 있는 흡기공(514r)에는 배출관(541)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출관(541)에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와 컴프레서 등의 제2 흡기 장치가 순차 접속되어 있다. 이들 흡기공(514r)과 배출관(541)과 호스와 제2 흡기 장치는 순차 연통되어 있다. 또, 블록(51)의 흡기공(514r)과 흡기공(513r)과 내부 공간(51i)은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흡기 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내부 공간(51i) 중의 쓰레기를 내부 공간(51i)으로부터 흡기공(513r)과 흡기공(514r)과 배출관(541)과 호스를 순차 통과하여 제2 흡기 장치에 흡인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쓰레기를 걸러내기 위해서 배출관(541)과 호스와 제2 흡기 장치 중 어느 것 사이에 필터(54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제2 흡기 수단(54)은 흡기공(513r)과 흡기공(514r)과 배출관(541)과 호스와 제2 흡인 장치와 필터(543)를 포함한 개념에 상당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먼지 제거 장치(50)는, 공기 공급 장치의 압축 공기가 호스와 도입관(521)과 블록(51)의 도입공(514s)과 기류로(51r)와 분기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을 순차 통과하여 블록(51)의 상측으로 분출되어 블록(51) 위의 쓰레기를 불어 올리고, 이 불어 올려진 쓰레기가 제1 중공 부재(531)와 제2 중공 부재(532)와 호스를 순차 통과하여 제1 흡기 장치에 흡인 배출됨과 함께, 블록(51) 상의 쓰레기가 복수의 구멍(511a)으로부터 내부 공간(51i)으로 낙하하고, 이 내부 공간(51i)으로부터 흡기공(513r)과 흡기공(514r)을 순차 통과하여 블록(51)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되고 나서, 배출관(541)과 호스를 순차 통과하여 제2 흡기 장치에 흡인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기 공급 수단(52)과 압축 공기가 블록(51)의 분기공(513s)에 공급되어 블록(51)의 상측으로 분출된 후, 블록(51)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흡기 수단(53)이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블록(51)의 상면(51A)이 반송 장치의 반송면을 구성하고 있고, 블록(51)의 상부에는 복수의 구멍(511a)이 형성되고, 블록(51) 중에는 복수의 구멍(511a)의 하측에 내부 공간(51i)이 배치되고, 제2 흡기 수단(54)에 의해 내부 공간(51i)으로부터 블록(51)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반송면 상의 경량인 쓰레기가 공기 공급 수단(52)에 의해 블록(51)의 상측으로 불어 올려지고 나서 제1 흡기 수단(53)에 의해 흡인 배출됨과 함께, 반송면 상의 중량이 있는 쓰레기가 복수의 구멍(511a)으로부터 내부 공간(51i) 중에 낙하하고 나서 제2 흡기 수단(54)에 의해 흡인 배출되므로, 반송면 상의 경량인 쓰레기와 중량이 있는 쓰레기의 양방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물(CN)로서 미소한 전자 부품을 사용하여 실험해 보면, 경량인 쓰레기로서 진동식 반송 장치(10)의 가까이에 배치된 테이핑기로부터 나오는 테이핑의 지분(紙粉)이 많이 집진되어, 중량이 있는 쓰레기로서 전자 부품의 전극 쓰레기가 많이 집진되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블록(51)이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를 쌓아 올려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이고, 블록(51)의 내부 공간(51i)이 상층 부재(511)의 바닥면(511B)과 중층 부재(512)에 있어서의 개구(512a)의 내면과 하층 부재(513)에 있어서의 오목부(513a)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재) 중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블록(51) 중에 내부 공간(51i)을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블록(51)에 있어서, 분기공(513s)이 오목부(513a)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고, 분기공(513s)과 내부 공간(51i)과 복수의 구멍(511a)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51i)의 내부가 분기공(513s)의 내경보다 큰 것에 의해, 분기공(513s)으로부터 분사된 압축 공기가 내부 공간(51i) 중에서 확산되므로, 분기공(513s)과 복수의 구멍(511a)이 직접 연통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압축 공기를 보다 많은 복수의 구멍(511a)에 통과시킬 수 있어, 반송로 상의 보다 넓은 범위의 쓰레기를 불어 올릴 수 있다.
또한, 상층 부재(511, 511')의 복수의 구멍(511a, 511a')은 개구경이 상면(511A, 511A')으로부터 바닥면(511B, 511B')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고, 바닥면(511B, 511B')의 개구경(r2, r4)이 상면(511A, 511A')의 개구경(r1, r3)보다 크게 되어 있고(r2>r1, r4>r3), 복수의 구멍(511a, 511a')의 내면(511f, 511f')이 원추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상면(511A, 511A')의 측)으로부터 복수의 구멍(511a, 511a') 중에 들어가는 쓰레기를 복수의 구멍(511a, 511a') 중에 막혀버리게 하지 않고, 하측(바닥면(511B, 511B')의 측)으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구멍(511a)은 상면(511A)의 개구경(r1)이 반송물(CN)의 최소면의 대각선의 길이(d)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거나(r1<d), 상면(511A)의 개구경(r1)이 반송물(CN)의 최소변의 길이(두께 (t))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거나(r1≒t) 하므로, 반송물(CN)이 복수의 구멍(511a) 중에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비교적 큰 쓰레기를 복수의 구멍(511a)으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50)는, 상기 서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블록(51)은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2)와 하층 부재(513)와 최하층 부재(514)를 상하 방향으로 쌓아 올린 4층 구조이지만, 상층 부재(511)와 중층 부재(513)와 하층 부재(514)를 쌓아 올린 3층 구조여도 되고, 상층 부재(511)와 하층 부재(513)를 쌓아 올린 2층 구조여도 되고, 다른 부재를 더한 5층 이상의 구조여도 된다. 블록(51)이 상층 부재(511)와 하층 부재(513)를 쌓아 올린 2층 구조인 경우에는, 내부 공간(51i)은 상층 부재(511)의 바닥면(511B)과 하층 부재(513)에 있어서의 오목부(513a)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인다.
또, 본 실시형태의 분기공(513s)은 하층 부재(513)에 있어서의 오목부(513a)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분기공이 오목부(513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분사공은 하층 부재(513)의 상면(513A)으로부터 바닥면(513B)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분기공과 복수의 구멍(511a)이 직접 연통한다. 또한, 분기공(513s)은 10개 설치되어 있지만, 분기공(513s)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2∼9개 중 몇 개여도 되고, 11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상층 부재(511, 511')의 복수의 구멍(511a, 511a')은 원형이지만, 복수의 구멍(511a, 511a')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구멍(511a, 511a')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이나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이어도 되고,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홈상(슬롯상)이어도 된다.
또, 중층 부재(512)의 개구(512a)는 2개 있지만, 개구(512a)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구(512a)는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체결공(511p, 513p, 514p)과 체결홈(512p)은 각각 4개 있지만, 체결공(511p, 513p, 514p)과 체결홈(512p)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체결공(511p, 513p, 514p)과 체결홈(512p)은 각각 1개여도 되고, 2개여도 되고, 3개여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먼지 제거 장치(50)는, 순환식 반송 장치(10)의 제2 리니어 피더(30)의 반송체(31)에 탑재되어 있지만, 제1 리니어 피더(20)의 반송체(21)에 탑재되어 있어도 되고, 순환식 반송 장치(10)가 아니라,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를 가지는 진동식 반송 장치의 리니어 피더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리니어 피더만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식 반송 장치의 리니어 피더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 반송 장치
20 : 제1 리니어 피더
21, 31 : 반송체
22a : 하류단
22, 23, 32 : 반송로
30 : 제2 리니어 피더
40 : 호퍼
50 : 먼지 제거 장치
51 : 블록
51A, 511A, 511A', 512A, 513A, 514A : 상면
51B, 511B, 511B', 512B, 513B, 514B : 바닥면
51i : 내부 공간
51r : 기류로
52 : 공기 공급 수단
53 : 제1 흡기 수단
54 : 제2 흡기 수단
511, 511' : 상층 부재
511a, 511a' : 복수의 구멍
511d, 511i, 511o, 511u, 512i, 513d, 513u : 단 가장자리
511f, 511f' : 내면
511p, 513p, 514p : 체결공
512 : 중층 부재
512a : 개구
512p : 체결홈
512p1 : 원호부
512p2 : 사각형부
513 : 하층 부재
513a : 오목부
513r, 514r : 흡기공
513s : 분기공
514 : 최하층 부재
514a : 오목홈
514s : 도입공
521 : 도입관
531 : 제1 중공 부재
531a : 중공부
532 : 제2 중공 부재
533, 543 : 필터
541 : 배출관
A, C, C' : 일점쇄선
Bt : 체결구
CN : 반송물
d, l : 길이
t : 두께
w : 폭
r1, r2, r3, r4 : 개구경
S : 가상 평면
SA : 형성 영역
Sc : 단면
W, Ws : 폭 길이
F, R : 반송 방향
Ds, Dw, In, Ot, Up, Us : 화살표

Claims (7)

  1. 진동식 반송 장치에 탑재되는 먼지 제거 장치로서, 진동식 반송 장치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이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과,
    상기 블록의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흡기 가능한 제1 흡기 수단과,
    상기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흡기 수단을 가지고,
    상기 블록은 상층 부재와 하층 부재를 상하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 부재는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층 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멍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오목부와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중에는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낙하한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블록의 상부로 불어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흡기 수단은 상기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불어 올려진 쓰레기를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흡기 수단은 쓰레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외측으로 흡인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부재의 상기 복수의 구멍은 개구경이 상기 상층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순차 확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는 상기 분사공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과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복수의 구멍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차 연통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에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상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 사이에 중층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중층 부재는 상기 하층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블록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층 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중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내면과 상기 하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는 상기 분사공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과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복수의 구멍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차 연통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에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장치.
KR1020230040093A 2022-05-11 2023-03-27 먼지 제거 장치 KR20230158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77993 2022-05-11
JP2022077993A JP2023167091A (ja) 2022-05-11 2022-05-11 塵埃除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394A true KR20230158394A (ko) 2023-11-20

Family

ID=8866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093A KR20230158394A (ko) 2022-05-11 2023-03-27 먼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67091A (ko)
KR (1) KR20230158394A (ko)
CN (1) CN117049212A (ko)
TW (1) TW2023444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681A (ja) 1991-11-18 1993-06-08 Fujitsu Miyagi Electron:Kk 振動式パーツフイーダ及び樹脂成形装置
JPH1029719A (ja) 1996-07-15 1998-02-03 Sony Corp 樹脂ペレット整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681A (ja) 1991-11-18 1993-06-08 Fujitsu Miyagi Electron:Kk 振動式パーツフイーダ及び樹脂成形装置
JPH1029719A (ja) 1996-07-15 1998-02-03 Sony Corp 樹脂ペレット整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9212A (zh) 2023-11-14
JP2023167091A (ja) 2023-11-24
TW202344457A (zh)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571B2 (en) Bulk component feeder
TWI382883B (zh) Dust removal device
JPWO2019202810A1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テープ切屑回収装置
JP5344659B2 (ja) シガレット束の供給装置
KR20230158394A (ko) 먼지 제거 장치
JP2003504291A (ja) 容器の移送に用いる抗汚染装置、及びこの装置を装着した空気コンベヤー
CN103202146A (zh) 脱粒装置
JP2003326219A (ja) 区分装置
JP2010131519A (ja) ネジの仕分け装置
JP3117650B2 (ja) 移送品の除塵装置
JP3929284B2 (ja) 部品整列供給装置
JP3982962B2 (ja) 振動式部品整列装置
JP2702310B2 (ja) 多列分岐整列装置
JP7255557B2 (ja) 搬送設備
JP3982931B2 (ja) 微小部品整列供給装置
JP4656955B2 (ja) 超音波霧化分溜装置
JP2019093350A (ja) 洗浄装置
CN217654242U (zh) 一种清洗设备的柔水槽风切机构
JPH0370755U (ko)
JPS629781Y2 (ko)
JPH07305240A (ja) 精紡機のクリ−ナ−におけるフィルタ−の風綿詰り防止装置
JP2023115474A (ja) 異物除去装置
JP5397087B2 (ja) パチンコ島台
KR20230158395A (ko) 자세 변경 장치
JP2021195239A (ja) 物品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