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173A -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173A
KR20230137173A KR1020220034997A KR20220034997A KR20230137173A KR 20230137173 A KR20230137173 A KR 20230137173A KR 1020220034997 A KR1020220034997 A KR 1020220034997A KR 20220034997 A KR20220034997 A KR 20220034997A KR 20230137173 A KR20230137173 A KR 2023013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closure
locking
locking member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102022003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173A/ko
Publication of KR2023013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함체; 상기 제1함체와 대향되며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제1함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외측에서 작업자에 의해 도어 개방 작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는 제2함체; 상기 제1함체에 내입되어 상기 제2함체의 손잡이부재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부재에 의해 도어 록킹 상태가 해제 또는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부재; 작업용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의 록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함체 상단부측으로 상기 록킹부재와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록킹해제회동부재; 를 포함하여,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이나 생산 현장, 농업용 차량 등 중장비 차량의 도어를 외부 또는 내부에서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인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되,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행동 등에 의해 도어가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도어의 갑작스런 개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트랙터나 포크레인 등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이 비교적 좁은 중장비 내부에서 운전자가 무의식 중에 도어를 건드렸을 때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차량에는 굴착기와 로더, 롤러 등이 있고 생산 현장 등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차랴에는 무거운 물품의 이동 또는 적재 등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이 있다.
아울러 농업용 차량에는 벼농사의 모내기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이양기와 무거운 짐을 나르거나, 농기계를 끄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트랙터 등이 있다.
이러한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이나 생산 현장, 농업용 차량 등 중장비 차량 등에는 도어가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시 도어가 개방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858호(2017.11.13 공개)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개실용신안의 경우, 차량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브라킷과, 상기 제1브라킷에 구비되어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에 걸림 및 이탈되는 록킹부재, 및 이를 해제하는 록킹해제부재를 포함하는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의 내외부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선행문헌에서는 차량의 도어를 외부에서 개방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재를 당기게 되면 해제부가 연동래크와 분리되면서 걸림쇠가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외측에서 손잡이를 당기는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내측손잡이를 누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걸림봉이 이동하여 도어를 내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는 차량의 내외부에서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앞서 전술한 차량들 즉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이나 생산 현장, 농업용 차량 등 중장비 차량은 내부가 상당히 좁은 특성들이 있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상기한 차량들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신체 일부가 자신도 모르게 도어 내부의 내측손잡이를 누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선행기술은 도어 외부에서 핸들부를 잡아 당겨서 열고, 실내안에서는 상기한 내측손잡이를 밀어서 도어를 오픈하는 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실수로 상기 내측손잡이를 건드리며 밀게 되면 의도치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의사와는 상관없이 도어가 개방되어,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7-0003858 (2017.11.1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술한 각종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이나 생산 현장, 농업용 차량 등 중장비 차량의 도어를 외부 및 내부에서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되,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내부손잡이를 밀더라도 도어가 운전자 의사와 무관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함체;
상기 제1함체와 대향되며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제1함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외측에서 작업자에 의해 도어 개방 작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는 제2함체;
상기 제1함체에 내입되어 상기 제2함체의 손잡이부재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부재에 의해 도어 록킹 상태가 해제 또는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부재;
작업용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의 록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함체 상단부측으로 상기 록킹부재와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록킹해제회동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이나 생산 현장, 농업용 차량 등 중장비 차량의 도어를 외부 또는 내부에서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인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되,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행동 등에 의해 도어가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도어의 갑작스런 개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1함체와 제2함체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제1함체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제2함체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제1함체, 제2함체 및 록킹부재를 각각 분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킹부재만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킹해제회동부재의 저면 등각투상 도면
도 8은 도 7의 록킹해제회동부재의 작동관계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함체(100)와 제2함체(200) 및 록킹부재(300) 및 록킹해제회동부재(400)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보듯이 작업용 차량 등의 도어(1)를 기준으로 실내측에는 제1함체(100)가 구비되고, 도어(1)의 외측에는 제2함체(200)가 구비되어, 제1함체(100) 및 제2함체(200)는 서로 도어(1)를 기준으로 대향되며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에서는 도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결합에 대한 구조 및 구성 등은 공지의 결합수단등을 이용하여 결합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보듯이 제2함체(200)와 도어(1) 외표면간 긴밀한 접촉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함체(100)에서 록킹부재(300)와 결합되며 도어(1) 내표면간 긴밀한 접촉과 록킹부재(300)를 지지하기 위한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먼저 제1함체(1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함체(100)는 작업용 차량 도어(1)의 내측에 구비되어 록킹부재(300)가 내입된 상태에서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110)와 결합되어 도어(1) 내측면과 접하여 도어(1)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함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함체(100)에는 내부가 중공의 형태를 이루며 록킹부재(300)가 내입되고, 상방측으로 록킹부재(3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회동부재(400)가 연동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0)으로는 회동부재회동축(410)이 관통되며 록킹해제회동부재(4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함체(200)는 도어(1)의 외부측에 구성되어 전술한 제1함체(100)와 대향되며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2함체(200)는 도어(1) 외측면에 구성되며 손잡이부(220)에 의해 도어(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부재(210)가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20)는 제2함체(200) 하단의 힌지부(230)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2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부재(240)를 손잡이부(220) 상단부측으로부터 수평상 연장하여 구성한다.
상기 걸림부재(240)의 하단면에는 걸림홈(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300)는 상기 제1함체(100)에 내입되어 상기 제2함체(200)의 손잡이부(220)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부재(240)에 의해 도어 록킹 상태가 해제되거나 또는 록킹되도록 작동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록킹부재(300)는 도 6에서 보듯이, 도어(1)의 록킹걸쇠가 끼워지기 위한 록킹가이드(331)가 일측에 개구되는 지지브라켓(330), 상기 록킹가이드(331) 상단측에 위치되는 록킹축(311) 외주면으로 록킹스프링(313)이 탄지되고 상기 록킹축(31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되 하단부측에 상기 록킹가이드(331)측으로 진입되는 록킹걸쇠와 결합되기 위한 록킹홈(312)이 구비되고 상단 외주면에 걸림홈(241)이 구비되는 록킹구(310), 상기 지지브라켓(330)의 상기 록킹구(310)의 상방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회동축(321) 외주면으로 회동스프링(322)이 탄지되고 상기 회동축(3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되 상방으로는 길게 연장되고 하단부측 외주면으로 돌부(323)가 형성되는 회동레버(320)로 구성된다.
한편 록킹부재(300)와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11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지지브라켓(330) 및 록킹해제회동부재(400)의 가이드플레이트(450)와 각각 연결 결합되고, 상기 제1함체(1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3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340)와 결합되며 도어(1) 내표면간 긴밀한 접촉과 록킹부재(300)를 지지하기 위해 전술한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40)와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110)의 상단측으로는 각각 걸림부재관통공(120,341)이 천공되어 전술한 제2함체(20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40)가 관통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240)의 단부측 하단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홈(241)은 록킹부재(300)의 회동레버(320)측에 구비되는 걸림봉(324)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회동부재(400)는 작업용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1)의 록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함체(100) 상단부측으로 상기 록킹부재(300)와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록킹해제회동부재(400)는 도 6내지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함체(100)의 내부 상단부측에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450)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50)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부재회동축(410) 상방으로 연결되어 제1함체(100) 상단측으로 노출되는 회동손잡이부(420), 상기 회동부재회동축(410) 하방으로 연결되는 캠부(430), 상기 캠부(430)의 외주면과 접하며 회동되며 상기 캠부(430)의 외주면과 접하며 연동 회동되며 록킹부재(300)의 회동레버(320) 상단부와 접하는 연동레버(44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0)를 잡아당겼을 때 캠부(430)의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캠부(430)의 외주면과 접하고 있는 연동레버(440)가 연동레버축(4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연동레버(440)의 단부측과 접하고 있는 회동레버(320)가 회동축(32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원운동에 따라 회동레버(320) 단부측은 가이드플레이트(450)의 가이드홈(451) 내부에서 전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1)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도어(1) 외측에 구비되는 제2함체(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아 당기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있는 걸림부재(240)도 손잡이부(220)의 잡아당김 작동에 의해 연동하여 도어(1) 외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걸림부재(240)의 걸림홈(241)에 걸려 있는 걸림봉(324)도 함께 당겨지면서 회동레버(320)가 회동축(32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돌부(323)와 결속되어 있는 록킹구(310)의 걸림홈(314)과 결속이 해제되며 록킹스프링(313)의 탄발력에 의해 록킹구(310)가 회동되어져 록킹홈(312)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도어(1)측의 록킹걸쇠(11)의 결속력이 해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제2함체(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아당겨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설명에서 도어(1)의 키홈(도면부호 미부여)을 이용하여 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성 및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키를 이용하여 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성 등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도어(1)의 외측에 구성되는 제2함체(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아당겨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한 구성과, 작업자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소한 차량 실내에서 우발적 또는 실수에 의해 차량의 도어(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1)의 잠금상태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성 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행문헌 등에 나타나 있는 푸싱 구조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는 작업용 차량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고 있는 도어 내부의 내측손잡이를 누르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업 도중에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수에 의해 내측손잡이(본 발명에서는 내측손잡이 구성이 없으며 록킹해제회동부재(400)의 회동손잡이부(420)의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를 누르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에 탑승하여 작업중인 작업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도어(1)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차량 내부에 탑승한 작업자가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1) 내측에 구비되는 제1함체(100) 상단부측에 돌출되어 있는 록킹해제회동부재(400)의 회동손잡이부(420)를 잡아당기게 된다.
즉 기존 기술의 경우 내측손잡이라는 구성을 미는 푸싱타입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회동손잡이부(420)라는 구성을 이용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회동손잡이부(420)는 회동부재회동축(41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캠부(4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부(430)의 회전에 따라 이와 접하고 있는 연동레버(440)가 회전하여 상기 연동레버(440)의 타측과 접하고 있는 회동레버(3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레버(320)를 회동시킨 후의 작동은 작업자가 차량 외부에서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해 제2함체(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아당겼을 때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다.
즉 이를 다시 기재하면, 상기 연동레버(440)의 회전에 따라 그 타측과 접하고 있는 회동레버(320)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레버(320)가 회동축(32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돌부(323)와 결속되어 있는 록킹구(310)의 걸림홈(314)과 결속이 해제되며 록킹스프링(313)의 탄발력에 의해 록킹구(310)가 회동되어져 록킹홈(312)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도어(1)측의 록킹걸쇠(11)의 결속력이 해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1)를 밀어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도어 100; 제1함체
110; 록킹부재지지플레이트 120, 341; 걸림부재관통공
200; 제2함체 210; 패킹부재
220; 손잡이부 230; 힌지부
240; 걸림부재 241; 걸림홈
300; 록킹부재 310; 록킹구
311; 록킹축 312; 록킹홈
313; 록킹스프링 314; 걸림홈
320; 회동레버 321; 회동축
322; 회동스프링 323; 돌부
324; 걸림봉 330; 지지브라켓
331; 록킹가이드 340; 결합플레이트
400; 록킹해제회동부재 410; 회동부재회동축
420; 회동손잡이부 430; 캠부
440; 연동레버 441; 연동레버축
450; 가이드플레이트 451; 가이드홈

Claims (4)

  1. 작업용 차량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함체;
    상기 제1함체와 대향되며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제1함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외측에서 작업자에 의해 도어 개방 작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는 제2함체;
    상기 제1함체에 내입되어 상기 제2함체의 손잡이부재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부재에 의해 도어 록킹 상태가 해제 또는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부재;
    작업용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의 록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함체 상단부측으로 상기 록킹부재와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록킹해제회동부재;
    를 포함하는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측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되는 록킹가이드가 형성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록킹가이드 상단측에 위치되는 록킹축 외주면으로 록킹스프링이 탄지되고 상기 록킹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되 하단부측에 록킹홈이 구비되고 상단 외주면에 걸림홈이 구비되는 록킹구;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기 록킹구 상방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회동축 외주면으로 회동스프링이 탄지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되 상방으로는 길게 연장되고 하단부측 외주면으로 돌부가 형성되는 회동레버;
    를 포함하는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회동부재는,
    상기 제1함체의 내부 상단부측에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부재회동축;
    상기 회동부재회동축 상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함체 상단측으로 노출되는 회동손잡이부;
    상기 회동부재회동축 하방으로 연결되는 캠부;
    상기 캠부의 외주면과 접하며 회동되는 연동레버;
    를 포함하는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록킹부재의 회동레버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KR1020220034997A 2022-03-21 2022-03-21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KR20230137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97A KR20230137173A (ko) 2022-03-21 2022-03-21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97A KR20230137173A (ko) 2022-03-21 2022-03-21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173A true KR20230137173A (ko) 2023-10-04

Family

ID=8829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997A KR20230137173A (ko) 2022-03-21 2022-03-21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1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58U (ko) 2016-05-03 2017-11-13 김동호 도어 록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58U (ko) 2016-05-03 2017-11-13 김동호 도어 록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8523B1 (en) Locking mechanism
CN104956018B (zh) 紧急锁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20130066736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CA2888142C (en) Hoo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zero tail type construction machinery
DE112006001841T5 (de) Türsperrvorrichtung mit Sicherheitsschalter
CN109113449A (zh) 门锁插芯
WO2015024557A1 (de) Kraftfahrzeugtürverschluss
KR20230137173A (ko) 중장비 도어 록킹장치
JP4463602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US9151091B2 (en) Actuator mechanism for door latch
JP4583205B2 (ja) 鎖錠装置用のハンドル装置
JP6151607B2 (ja) 開閉体用ロック装置
JP7047654B2 (ja) 建設機械の乗降口開閉装置
JPS61186680A (ja) キ−シリンダのリンク機構
JP2008055047A5 (ko)
KR102457519B1 (ko) 중장비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2534533Y2 (ja) 荷箱の天蓋開閉装置
CN202703207U (zh) 驾驶室天窗、驾驶室及工程机械
KR940003915Y1 (ko) 대형 금고문의 메인도아 잠금장치
KR200482994Y1 (ko) 중장비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KR102706237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1198668B1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KR20230143791A (ko) 도어 잠금장치
JP6301688B2 (ja) 建設機械の前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