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736A -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736A
KR20130066736A KR1020110133342A KR20110133342A KR20130066736A KR 20130066736 A KR20130066736 A KR 20130066736A KR 1020110133342 A KR1020110133342 A KR 1020110133342A KR 20110133342 A KR20110133342 A KR 20110133342A KR 20130066736 A KR20130066736 A KR 2013006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t
vehicle
do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565B1 (ko
Inventor
이상현
안기륜
정래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65B1/ko
Priority to DE201210110189 priority patent/DE102012110189A1/de
Priority to US13/661,760 priority patent/US9109381B2/en
Priority to CN201210457024.0A priority patent/CN103161361B/zh
Publication of KR2013006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78Clos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릴리즈하는 오픈레버; 하방으로 수직의 제1슬릿이 형성된 릴리즈레버;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하며 가압돌기가 릴리즈레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레버; 릴리즈레버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오프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릴리즈하고, 중단부에 제2슬릿이 형성된 작동레버; 및 제2슬릿을 관통하는 관통돌기가 형성되어 차량의 측방충돌시 관성에 의해 역회전되어 관통돌기가 작동레버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의 걸림돌기가 오픈레버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도록 하는 관성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APPARATUS FOR LATCHING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측면 충돌의 동안에는 도어가 오픈될 수 없고, 충돌이 종료된 후에는 도어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이다.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회전될 수 있도록 릴리즈레버(20)가 설치되고, 릴리즈레버(20)는 하방으로 걸림부(24)가 연장되며, 걸림부(24)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레버(30)가 설치된다. 그러한 회전레버(30)에는 하단부(31)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탑승자의 도어핸들 작동시 와이어가 당겨지며 회전레버(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한 회전레버(30)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레버(30)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32)가 릴리즈레버(20)의 걸림부(24)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릴리즈레버(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오픈레버(40)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오픈레버(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릴리즈레버(20)에는 복원스프링(22)이 마련되어 도어핸들로부터 와이어로 작용되는 당김력이 해제되면 본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의 로킹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도어래치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은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로서, 도 3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되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차량의 측방충돌시 즉, 도 1 및 2 기준으로 좌측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만약 탑승자가 도어핸들을 작동시키면 그대로 와이어가 당겨져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차량 측방충돌시에도 얼마든지 도어의 랫칭과 릴리즈가 가능하였던 것이고, 그만큼 사고시 도어가 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여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구조였던 것이다.
한편 안전성을 생각한다면, 차량의 측방충돌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다시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바, 이러한 사고시 안전성이 반영된 도어래치장치가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측방 충돌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충돌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베이스에 힌지핀으로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릴리즈하는 오픈레버; 상기 오픈레버의 힌지핀에 함께 설치되며 하방으로 수직의 제1슬릿이 형성된 릴리즈레버; 베이스에 힌지축으로 설치되며 일단부에 도어핸들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릴리즈레버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하며 가압돌기가 릴리즈레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레버; 베이스에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에 제1슬릿을 관통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릴리즈레버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오프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릴리즈하고, 중단부에 제2슬릿이 형성된 작동레버; 및 베이스에 회전축으로 설치되며 단부에 제2슬릿을 관통하는 관통돌기가 형성되어 차량의 측방충돌시 관성에 의해 역회전되어 관통돌기가 작동레버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의 걸림돌기가 오픈레버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도록 하는 관성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레버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제1슬릿은 연장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오픈레버는 하단부가 제1슬릿과 함께 걸림돌기에 접촉하되 제1슬릿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레버와 오픈레버는 힌지핀에 스프링이 걸리도록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부에는 피봇돌기가 형성되며, 베이스에는 피봇돌기가 삽입되는 제3슬릿이 형성된 보조브라켓이 마련되어, 작동레버의 피봇돌기가 제3슬릿을 통해 상하운동하고 동시에 회전운동될 수 있다.
상기 보조브라켓은 스프링을 통해 베이스에 설치되어 관성레버의 역회전에 의한 작동레버의 하강후 관성이 해제될 때 복원되어 작동레버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상단부에 피봇돌기가 형성되고 중단부에 제2슬릿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성레버는 중단부가 회전축으로 베이스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성레버는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중단부가 회전축으로 베이스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따르면, 웨이트(Weight)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충돌시에는 충돌중 차량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하더라도 도어가 열릴 수 없게 된다. 반면,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내부에서 도어핸들의 작동시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고 충돌 후에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충돌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1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2상태도.
도 6은 도 5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3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1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2상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베이스(100)에 힌지핀(220)으로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릴리즈하는 오픈레버(400); 상기 오픈레버(400)의 힌지핀(220)에 함께 설치되며 하방으로 수직의 제1슬릿(262)이 형성된 릴리즈레버(200); 베이스(100)에 힌지축(520)으로 설치되며 일단부(560)에 도어핸들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에 접촉하는 가압돌기(540)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하며 가압돌기(540)가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레버(500); 베이스(100)에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640)에 제1슬릿(262)을 관통하는 걸림돌기(642)가 형성되어 릴리즈레버(200)의 회전시 걸림돌기(642)가 오프레버(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릴리즈하고, 중단부(660)에 제2슬릿(662)이 형성된 작동레버(600); 및 베이스(100)에 회전축(820)으로 설치되며 단부에 제2슬릿(662)을 관통하는 관통돌기(860)가 형성되어 차량의 측방충돌시 관성에 의해 역회전되어 관통돌기(860)가 작동레버(600)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600)의 걸림돌기(642)가 오픈레버(4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도록 하는 관성레버(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연동레버(500)가 힌지축(520)으로 설치되며, 연동레버(500)의 일단부(560)에는 도어핸들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에 접촉하는 가압돌기(540)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하며 가압돌기(540)가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도록 한다.
차량의 실내에는 도어핸들이 마련되며, 그 도어핸들은 와이어를 통하여 연동레버와 연결되고, 도어의 릴리즈작동시 도어핸들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져 도시된 연동레버(5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연동레버(50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연동레버(500)의 가압돌기(540)가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를 가압하여 릴리즈레버(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에 따라 릴리즈레버(200) 후방의 오픈레버(400) 역시 걸림돌기(642)에 의해 가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도어를 릴리즈하게 되는 것이다.
오픈레버(400)는 베이스(100)에 힌지핀(220)으로 릴리즈레버(200)와 함께 설치되고, 회전에 따라 도어의 로킹장치를 록 또는 릴리즈하는 구성으로서, 이는 종래의 구성에 해당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오픈레버(400)의 위치는 도 7 및 8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한편, 작동레버(600)는 베이스(100)에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릴리즈레버(200)의 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릴리즈레버(200)의 제1슬릿(262)에 걸림돌기(642)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리즈레버(200)에 의해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동레버(600)에는 피봇돌기(682)가 형성되어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근본적으로 피봇돌기(682)는 베이스(100)에 슬릿을 통해 상하운동을 하고 동시에 슬릿의 내부에 다소의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회전운동 역시 일정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제2상태도로서, 이 경우는 차량의 측방충돌이 일어나 관성레버에 관성이 작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차량의 측방충돌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레버(800)에 충돌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여 관성레버(800)가 충돌방향으로 역회전 즉, 시계방향의 회전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위해, 릴리즈레버(200)는 오픈레버(400)의 힌지핀(220)에 함께 설치되며 하방으로 수직의 제1슬릿(262)이 형성되고, 연동레버(500)는 베이스(100)에 힌지축(520)으로 설치되며 일단부(560)에 도어핸들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에 접촉하는 가압돌기(540)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하며 가압돌기(540)가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작동레버(600)는 베이스(100)에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640)에 제1슬릿(262)을 관통하는 걸림돌기(642)가 형성되어 릴리즈레버(200)의 회전시 걸림돌기(642)가 오프레버(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릴리즈하고, 중단부(660)에 제2슬릿(662)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성레버(800)는 베이스(100)에 회전축(820)으로 설치되며 단부에 제2슬릿(662)을 관통하는 관통돌기(860)가 형성되어 차량의 측방충돌시 관성에 의해 역회전되어 관통돌기(860)가 작동레버(600)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600)의 걸림돌기(642)가 오픈레버(4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도록 한다.
따라서, 관성레버(800)의 충돌관성에 의한 시계방향으로의 역회전시 관성레버(800)의 관통돌기(860)는 작동레버(600)를 가압하여 작동레버(600)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600)의 걸림돌기(642)는 하강하여 오픈레버(4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탑승자가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시키거나 와이어가 기타 구성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걸림돌기(642)는 릴리즈레버(2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뿐, 오픈레버(400)를 가압하지는 못하고, 따라서 오픈레버(400)는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릴리즈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 8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그리고, 충돌이 종료된 후에는 즉, 관성이 해제된 경우에는 관성레버(800)가 다시 원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642)는 다시 오픈레버(4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상승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도어가 릴리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성레버(800)의 복원을 위해 스프링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데, 이는 작동레버(600)가 설치되는 보조브라켓(700)에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토록 한다.
이러한 관성레버(800)의 작동에 의해 충돌상황에서는 도어의 개방이 불가하고, 충돌이 종료된 상황에서는 도어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여 탑승객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릴리즈레버(200)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60)가 형성되고 제1슬릿(262)은 연장부(260)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오픈레버(400)는 하단부가 제1슬릿(262)과 함께 걸림돌기(540)에 접촉하되 제1슬릿(26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작동레버의 걸림돌기가 평소에는 오픈레버를 가압하나, 하강시에는 오픈레버를 가압하지 못하고 릴리즈레버만을 가압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요부 사시도로서, 해당 도면에는 이러한 관계가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레버(200)와 오픈레버(400)는 힌지핀(220)에 스프링이 걸리도록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재차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600)의 일단부(680)에는 피봇돌기(682)가 형성되며, 베이스(100)에는 피봇돌기(682)가 삽입되는 제3슬릿(720)이 형성된 보조브라켓(700)이 마련되어, 작동레버(600)의 피봇돌기(682)가 제3슬릿(720)을 통해 상하운동과 회전운동하도록 한다. 보조브라켓은 도 6에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보조브라켓(700)은 스프링을 통해 베이스(100)에 설치되어 관성레버(800)의 역회전에 의한 작동레버(600)의 하강후 관성이 해제될 때 복원되어 작동레버(600)를 다시 상승시키도록 한다. 작동레버(600)의 피봇돌기(682)는 보조브라켓(700)의 제3슬릿(720)에 설치되되 다소 길게 형성됨으로써 작동레버(600)의 승하강시 보조브라켓(700)을 회전시키고, 작동레버(600)의 시계/반시계방향 회전시 유격이 있어 어느 정도의 각도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600)는 상단부(680)에 피봇돌기(682)가 형성되고 중단부(660)에 제2슬릿(662)이 형성되며 하단부(640)에 걸림돌기(642)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성레버(800)는 중단부가 회전축(8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860)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840)가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관성레버(800)는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중단부가 회전축(8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860)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840)가 형성되어 있어, 관성레버가 관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따르면, 웨이트(Weight)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충돌시에는 충돌중 차량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하더라도 도어가 열릴 수 없게 된다. 반면,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내부에서 도어핸들의 작동시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고 충돌 후에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충돌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릴리즈레버
400 : 오픈레버 500 : 연동레버
600 : 작동레버 700 : 보조브라켓
800 : 관성레버

Claims (8)

  1. 베이스(100)에 힌지핀(220)으로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릴리즈하는 오픈레버(400);
    상기 오픈레버(400)의 힌지핀(220)에 함께 설치되며 하방으로 수직의 제1슬릿(262)이 형성된 릴리즈레버(200);
    베이스(100)에 힌지축(520)으로 설치되며 일단부(560)에 도어핸들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릴리즈레버(200)의 하단부(260)에 접촉하는 가압돌기(540)가 형성되어, 회전시 릴리즈레버(200)를 회전시키는 연동레버(500);
    베이스(100)에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640)에 제1슬릿(262)을 관통하는 걸림돌기(642)가 형성되어 릴리즈레버(200)의 회전시 걸림돌기(642)가 오프레버(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릴리즈하고, 중단부(660)에 제2슬릿(662)이 형성된 작동레버(600); 및
    베이스(100)에 회전축(820)으로 설치되며 단부에 제2슬릿(662)을 관통하는 관통돌기(860)가 형성되고, 차량의 측방충돌시 관성에 의해 역회전되어 관통돌기(860)가 작동레버(600)를 하강시켜 걸림돌기(642)가 오픈레버(4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도록 하는 관성레버(800);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200)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60)가 형성되고 제1슬릿(262)은 연장부(260)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오픈레버(400)는 하단부가 제1슬릿(262)과 함께 걸림돌기(540)에 접촉하되 제1슬릿(26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200)와 오픈레버(400)는 힌지핀(220)에 스프링이 걸리도록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00)의 일단부(680)에는 피봇돌기(682)가 형성되며, 베이스(100)에는 피봇돌기(682)가 삽입되는 제3슬릿(720)이 형성된 보조브라켓(700)이 마련되어, 작동레버(600)의 피봇돌기(682)가 제3슬릿(720)을 통해 상하운동과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700)은 스프링을 통해 베이스(100)에 설치되어 관성레버(800)의 역회전에 의한 작동레버(600)의 하강후 관성이 해제될 때 복원되어 작동레버(600)를 다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00)는 상단부(680)에 피봇돌기(682)가 형성되고 중단부(660)에 제2슬릿(662)이 형성되며 하단부(640)에 걸림돌기(6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성레버(800)는 중단부가 회전축(8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860)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8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성레버(800)는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중단부가 회전축(8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관통돌기(860)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밸런스웨이트(8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20110133342A 2011-12-13 2011-12-13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180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342A KR10180656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DE201210110189 DE102012110189A1 (de) 2011-12-13 2012-10-25 Türklinkenvorrichtung eines Fahrzeuges
US13/661,760 US9109381B2 (en) 2011-12-13 2012-10-26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CN201210457024.0A CN103161361B (zh) 2011-12-13 2012-11-14 用于车辆的门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342A KR10180656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736A true KR20130066736A (ko) 2013-06-21
KR101806565B1 KR101806565B1 (ko) 2017-12-08

Family

ID=4846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342A KR10180656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9381B2 (ko)
KR (1) KR101806565B1 (ko)
CN (1) CN103161361B (ko)
DE (1) DE102012110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2477B2 (en) * 2012-11-28 2015-06-23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US9376842B2 (en) 2013-03-25 2016-06-28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20140284942A1 (en) * 2013-03-25 2014-09-2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366063B2 (en) * 2013-03-25 2016-06-14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732544B2 (en) 2013-03-25 2017-08-1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874046B2 (en) 2013-03-25 2018-01-23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CN203846892U (zh) * 2013-04-23 2014-09-24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KR101575424B1 (ko) * 2013-12-17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E102014004552A1 (de) 2014-03-31 2015-10-01 Kiekert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4004550A1 (de) * 2014-03-31 2015-10-01 Kiekert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001906A1 (de) * 2015-02-18 2016-08-18 Kiekert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FR3038643A1 (ko) * 2015-07-06 2017-01-13 Inteva Products Llc
DE102015118860A1 (de) * 2015-11-04 2017-05-04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KR101916048B1 (ko) * 2015-12-11 2018-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래치 장치
DE102017113880A1 (de) 2017-06-22 2018-12-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974A (en) * 1981-09-24 1984-03-27 Keiper U.S.A., Inc. Guide profile for inertia latch
DE19624640C1 (de) * 1996-06-20 1998-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WO1998033998A1 (en) * 1997-02-04 1998-08-06 Atoma International Corp. Vehicle door locking system with separate power operated inner door and outer door locking mechanisms
GB0214817D0 (en) * 2002-06-27 2002-08-0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Door latch mechanism
CA2401397A1 (en) * 2002-07-26 2004-01-26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Inertia catch for a vehicle latch
US8967682B2 (en) * 2007-08-14 2015-03-03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motion restriction device prohibiting rapid movement of opening lever
KR100899008B1 (ko) * 2007-08-24 2009-05-21 평화정공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DE102008028256A1 (de) * 2008-06-13 2009-12-24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mit zwei Sperrklinken und motorisch angetriebenen Stellantrieb
KR100957103B1 (ko)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8353542B2 (en) 2009-05-05 2013-01-15 Magna Closures S.P.A. Closure latch with inertia member
JP5285524B2 (ja) 2009-07-22 2013-09-11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144044B1 (ko) 2009-08-20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CN103031996B (zh) * 2009-09-04 2015-07-29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与门闩锁设备一起使用的内侧把手组件
JP5027857B2 (ja) * 2009-10-08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ロック機構
GB2474846A (en) * 2009-10-27 2011-05-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system comprising key barrel operably coupled to latch via a clutch mechanism
US8322077B2 (en) * 2009-11-23 2012-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with inertia lock mechanism
US8387311B2 (en) * 2010-04-21 2013-03-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assembly for preventing opening of the door during outer handle intrusion event
KR20110133342A (ko) 2010-06-04 2011-12-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1361A (zh) 2013-06-19
US20130147211A1 (en) 2013-06-13
US9109381B2 (en) 2015-08-18
CN103161361B (zh) 2016-09-28
DE102012110189A1 (de) 2013-06-13
KR101806565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6736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20130066351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JP6236678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RU136987U1 (ru) Узел дверной ручки и наружный узел дверной ручки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50096789A (ko) 차량 도어 래치
KR20150109381A (ko) 차량용 록
JPS6055672B2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KR20160049686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JP2006528293A (ja) ドアー錠におけるラッチ・ボルトの錠掛けのガイド構造
KR102301511B1 (ko)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KR101102095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JP2015528866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KR20200107082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100957101B1 (ko)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KR100811714B1 (ko)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사이드핸들 구조
KR20150070585A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JP6777033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解錠装置
KR20130067765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JP7047654B2 (ja) 建設機械の乗降口開閉装置
KR101929575B1 (ko)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KR100882676B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과 도어래치의 연결구조
KR20210012631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