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351A -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351A
KR20130066351A KR20110133138A KR20110133138A KR20130066351A KR 20130066351 A KR20130066351 A KR 20130066351A KR 20110133138 A KR20110133138 A KR 20110133138A KR 20110133138 A KR20110133138 A KR 20110133138A KR 20130066351 A KR20130066351 A KR 2013006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ehicle
door
latch device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3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564B1 (ko
Inventor
이상현
안기륜
정래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64B1/ko
Priority to US13/532,493 priority patent/US8870240B2/en
Priority to DE201210106393 priority patent/DE102012106393A1/de
Priority to CN201210252149.XA priority patent/CN103161360B/zh
Publication of KR2013006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63Sliding and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베이스에 힌지핀으로 설치되고 걸림부가 형성된 릴리즈레버; 릴리즈레버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도어를 록/언록하는 오픈레버;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며,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레버; 및 릴리즈레버의 걸림부와 회전레버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회전레버의 회전시 걸림돌기의 가압으로 걸림부가 회전되어 도어를 언록하되, 측방충돌시에는 관성에 의한 역회전으로 걸림돌기가 릴리즈레버의 걸림부와 회전레버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APPARATUS FOR LATCHING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측면 충돌의 동안에는 도어가 오픈될 수 없고, 충돌이 종료된 후에는 도어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이다.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회전될 수 있도록 릴리즈레버(20)가 설치되고, 릴리즈레버(20)는 하방으로 걸림부(24)가 연장되며, 걸림부(24)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레버(30)가 설치된다. 그러한 회전레버(30)에는 하단부(31)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탑승자의 도어핸들 작동시 와이어가 당겨지며 회전레버(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한 회전레버(30)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당김시 회전레버(30)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32)가 릴리즈레버(20)의 걸림부(24)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릴리즈레버(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오픈레버(40)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오픈레버(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릴리즈레버(20)에는 복원스프링(22)이 마련되어 도어핸들로부터 와이어로 작용되는 당김력이 해제되면 본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의 로킹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도어래치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은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로서, 도 3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되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차량의 측방충돌시 즉, 도 1 및 2 기준으로 좌측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만약 탑승자가 도어핸들을 작동시키면 그대로 와이어가 당겨져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래치장치는 차량 측방충돌시에도 얼마든지 도어의 랫칭과 릴리즈가 가능하였던 것이고, 그만큼 사고시 도어가 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여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구조였던 것이다.
한편 안전성을 생각한다면, 차량의 측방충돌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다시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바, 이러한 사고시 안전성이 반영된 도어래치장치가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측방 충돌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충돌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베이스에 힌지핀으로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형성된 릴리즈레버; 상기 힌지핀에 릴리즈레버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도어를 록/언록하는 오픈레버; 상기 베이스의 릴리즈레버 하방에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며, 단부가 도어핸들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베이스에 일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릴리즈레버의 걸림부와 회전레버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회전레버의 회전시 걸림돌기의 가압으로 걸림부가 회전되어 도어를 언록하되, 측방충돌시에는 관성에 의한 역회전으로 걸림돌기가 릴리즈레버의 걸림부와 회전레버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레버는 베이스의 힌지핀에 스프링과 함께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는 일단부가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걸림돌기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는 하단부가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걸림돌기와 접촉되며 중단부가 회전축을 매개로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상기 회전레버의 상단부는 차량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동레버의 관성에 의한 역회전시 걸림돌기의 이탈이 제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상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베이스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중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중량부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중단부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차량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상단부는 힌지핀으로 베이스에 설치되고 중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중량부가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따르면, 웨이트(Weight)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충돌시에는 충돌중 차량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하더라도 도어가 열릴 수 없게 된다. 반면,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내부에서 도어핸들의 작동시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고 충돌 후에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충돌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언록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사시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충돌시 작동을 시간순서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언록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베이스(100)에 힌지핀(220)으로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260)가 형성된 릴리즈레버(200); 상기 힌지핀(220)에 릴리즈레버(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도어를 록/언록하는 오픈레버(400); 상기 베이스(100)의 릴리즈레버(200) 하방에 회전축(520)을 매개로 설치되며, 단부가 도어핸들과 와이어(W)로 연결되어 와이어(W)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레버(500); 및 상기 베이스(100)에 일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릴리즈레버(200)의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680)가 형성되어 회전레버(500)의 회전시 걸림돌기(680)의 가압으로 걸림부(260)가 회전되어 도어를 언록하되, 측방충돌시에는 관성에 의한 역회전으로 걸림돌기(680)가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 사이에서 이탈되는 작동레버(600);를 포함한다.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구성들로 이루어지며, 차량 실내에서 탑승자의 도어핸들의 당김시 그에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고, 와이어(W)의 당겨짐에 따라 회전레버(500)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레버(5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레버(500)의 상단부(560)는 걸림돌기(680)를 가압하고 걸림돌기(680)는 다시 릴리즈레버(200)의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260)를 가압하여 걸림부(2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다.
그에 따라 도 5와 같이, 릴리즈레버(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연동된 오픈레버(400) 역시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로킹기구를 언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의 언록 후에는 와이어(W)의 원위치에 따라 걸림돌기(680)의 가압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릴리즈레버(200)는 스프링(240)의 복원력으로 다시 원위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따르면, 도어핸들-와이어(W)-회전레버(500)-걸림돌기(680)-릴리즈레버(200)-오픈레버(400)의 순으로 작동력이 전달되어 도어의 언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릴리즈레버(200)는 베이스(100)의 힌지핀(220)에 스프링(240)과 함께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500)는 일단부(540)가 와이어(W)와 연결되고 타단부(560)가 걸림돌기(680)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레버(500)는 하단부(540)가 와이어(W)와 연결되고 상단부(560)가 걸림돌기(680)와 접촉되며 중단부가 회전축(520)을 매개로 베이스(100)에 설치됨으로써, 와이어의 당김력에 따라 회전운동으로 걸림돌기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500)의 상단부(560)는 차량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동레버(600)의 관성에 의한 역회전시 걸림돌기(680)의 이탈이 제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성력이 작용될 만한 측방충돌시에는 완전히 걸림돌기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600)는 상단부(620)가 힌지핀(220)에 의해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레버(600)는 중단부에 걸림돌기(680)가 형성되고 하단부(660)에 중량부(662)가 설정된다.
즉, 상기 작동레버(600)는 중단부를 기준으로 상단부(620)와 하단부(660)가 차량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상단부(620)는 힌지핀(2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중단부에 걸림돌기(680)가 형성되며 하단부(660)에 중량부(662)가 설정됨으로써 작동레버(6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중량부(662)에 의해 충분히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하되, 걸림돌기(680)는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의 사이에 유효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구성을 통해 충돌의 완료시 중량부(662)에 작용되는 중력을 유효하게 받아 걸림돌기(680)가 빠르게 원위치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동레버(600)의 상단부(620)와 하단부(660)가 차량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대적으로 중단부의 걸림돌기(680)가 차량 외측으로 치우친 구조는 이러한 작동레버(600)의 관성에 의한 움직임, 그리고 중력에 의한 원복을 좀 더 빠르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의 측방충돌시 작동을 시간순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고하여 충돌시 움직임을 살펴본다.
먼저 측방충돌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래치장치는 도 7과 같이 평상시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충돌이 진행되면서 차량에 충돌의 반대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할 경우 중량부(662)가 설정된 작동레버(600)는 관성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 힘을 받는다. 이러한 힘에 의해 작동레버(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2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에 따라 작동레버(600)의 걸림돌기(680)는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의 사이에서 이탈하게 되고, 그러한 충돌이 진행되는 시점에서 탑승자 또는 기타 사물에 의하여 도어핸들이 작동되거나 와이어(W)가 당겨지더라도 걸림돌기(680)가 없기 때문에 회전레버(500)는 릴리즈레버(200)를 가압하지 못하고(도 9 참조), 결국 릴리즈레버(200)와 오픈레버(400)는 제자리를 유지하여 도어가 록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릴리즈레버는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관성이 작용하더라도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 상태에서 충돌이 종료될 경우에는 관성 역시 해제되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600)는 중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어 도 7과 같이 걸림돌기(680)가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도어를 언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래치장치에 따르면, 웨이트(Weight)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충돌시에는 충돌중 차량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하더라도 도어가 열릴 수 없게 된다. 반면, 충돌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내부에서 도어핸들의 작동시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고 충돌 후에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충돌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릴리즈레버
400 : 오픈레버 500 : 회전레버
600 : 작동레버 680 : 걸림돌기

Claims (8)

  1. 베이스(100)에 힌지핀(220)으로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260)가 형성된 릴리즈레버(200);
    상기 힌지핀(220)에 릴리즈레버(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도어를 록/언록하는 오픈레버(400);
    상기 베이스(100)의 릴리즈레버(200) 하방에 회전축(520)을 매개로 설치되며, 단부가 도어핸들과 와이어(W)로 연결되어 와이어(W)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레버(500); 및
    상기 베이스(100)에 일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릴리즈레버(200)의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680)가 형성되어 회전레버(500)의 회전시 걸림돌기(680)의 가압으로 걸림부(260)가 회전되어 도어를 언록하되, 측방충돌시에는 관성에 의한 역회전으로 걸림돌기(680)가 걸림부(260)와 회전레버(500) 사이에서 이탈되는 작동레버(600);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200)는 베이스(100)의 힌지핀(220)에 스프링(240)과 함께 설치되어 회전 후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500)는 일단부(540)가 와이어(W)와 연결되고 타단부(560)가 걸림돌기(680)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500)는 하단부(540)가 와이어(W)와 연결되고 상단부(560)가 걸림돌기(680)와 접촉되며 중단부가 회전축(520)을 매개로 베이스(10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500)의 상단부(560)는 차량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동레버(600)의 관성에 의한 역회전시 걸림돌기(680)의 이탈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00)는 상단부(620)가 힌지핀(220)에 의해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00)는 중단부에 걸림돌기(680)가 형성되고 하단부(660)에 중량부(662)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00)는 중단부를 기준으로 상단부(620)와 하단부(660)가 차량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상단부(620)는 힌지핀(220)으로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중단부에 걸림돌기(680)가 형성되며 하단부(660)에 중량부(662)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20110133138A 2011-12-12 2011-12-12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180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38A KR101806564B1 (ko) 2011-12-12 2011-12-12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US13/532,493 US8870240B2 (en) 2011-12-12 2012-06-25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DE201210106393 DE102012106393A1 (de) 2011-12-12 2012-07-16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210252149.XA CN103161360B (zh) 2011-12-12 2012-07-20 用于车辆的门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38A KR101806564B1 (ko) 2011-12-12 2011-12-12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351A true KR20130066351A (ko) 2013-06-20
KR101806564B1 KR101806564B1 (ko) 2017-12-08

Family

ID=4846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138A KR101806564B1 (ko) 2011-12-12 2011-12-12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70240B2 (ko)
KR (1) KR101806564B1 (ko)
CN (1) CN103161360B (ko)
DE (1) DE102012106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6063B2 (en) * 2013-03-25 2016-06-14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732544B2 (en) 2013-03-25 2017-08-1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874046B2 (en) 2013-03-25 2018-01-23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US9376842B2 (en) 2013-03-25 2016-06-28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20140284942A1 (en) * 2013-03-25 2014-09-2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CN203846892U (zh) * 2013-04-23 2014-09-24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CN103573027B (zh) * 2013-12-02 2015-12-30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防止在侧碰时打开车门锁的车辆门把手装置以及车辆
DE102014109110A1 (de) * 2014-06-30 2015-12-31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KR101573627B1 (ko) * 2014-09-03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손잡이용 레버장치
KR20160054990A (ko) * 2014-11-07 201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CN106401323B (zh) * 2016-10-28 2019-01-01 昆山麦格纳汽车系统有限公司 汽车门锁的安全保护机构
DE102017113880A1 (de) 2017-06-22 2018-12-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11306516B2 (en) * 2018-12-13 2022-04-19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7948B2 (ko) * 1972-02-21 1980-07-24
JPS5811275A (ja) * 1981-07-08 1983-01-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緊急ドアロツク解錠装置
DE19624640C1 (de) * 1996-06-20 1998-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US8056944B2 (en) * 2002-06-13 2011-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door
JP4321062B2 (ja) * 2002-12-24 2009-08-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ッチ機構
KR100792931B1 (ko) * 2006-12-12 2008-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측면충돌시 도어열림 방지장치
KR100957102B1 (ko) * 2008-06-25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KR100957103B1 (ko) *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8353542B2 (en) * 2009-05-05 2013-01-15 Magna Closures S.P.A. Closure latch with inertia member
CN103031996B (zh) * 2009-09-04 2015-07-29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与门闩锁设备一起使用的内侧把手组件
CN201531171U (zh) * 2009-10-16 2010-07-21 镇江美驰轻型车系统(第二)有限公司 汽车碰撞时门锁的应急锁止装置
KR101129588B1 (ko) 2010-06-04 2012-03-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력을 조정 가능한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1360A (zh) 2013-06-19
DE102012106393A1 (de) 2013-06-13
CN103161360B (zh) 2016-08-24
US20130147209A1 (en) 2013-06-13
KR101806564B1 (ko) 2017-12-08
US8870240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6351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1806565B1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US9920555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CN205206529U (zh) 车门和用于车门的闩锁组件
KR100957103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10174528B2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KR101535699B1 (ko)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JP2016504509A (ja) 自動車ドアラッチ
EP2994587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JP2010511817A (ja) 安全装置を備えた車両ハンドル
JP6618861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957101B1 (ko)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712724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575424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JP618276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20200101073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JP5395730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US11668121B2 (en)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KR20130067765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2098342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090007943A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JP4966222B2 (ja) 煽り止め装置
JP2019027076A (ja) 車両のドア開閉操作装置
KR2019006578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