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581A -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2581A KR20230132581A KR1020237028648A KR20237028648A KR20230132581A KR 20230132581 A KR20230132581 A KR 20230132581A KR 1020237028648 A KR1020237028648 A KR 1020237028648A KR 20237028648 A KR20237028648 A KR 20237028648A KR 20230132581 A KR20230132581 A KR 202301325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or
- working machine
- unit
- controller
- star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은, 작업 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를 기동하는 기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21-06147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작업 기계의 분야에 있어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에 의해 무선신호로 오퍼레이터의 존재를 판단하고, 도어를 개방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작업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에 탑승 한 후에 이그니션 키 조작 등에 의해 기동하므로, 작업 기계를 조작 가능해질 때까지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작업 기계를 조기에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태양(態樣)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은, 작업 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와,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를 기동하는 기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은, 작업 기계를 조기에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운전실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에 의한 오퍼레이터 단말기와의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어 스위치가 눌러졌을 때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인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운전실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에 의한 오퍼레이터 단말기와의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어 스위치가 눌러졌을 때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인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 기계(100)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작업 기계(100)는, 시공 현장에서 가동하고, 토사 등의 시공 대상을 시공한다.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다. 작업 기계(100)는 주행체(110), 선회체(旋回體)(120), 작업기(130) 및 운전실(140)을 구비한다.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는 등록상표)에 의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100)와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등 BLE 이외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해도 된다.
주행체(110)는 작업 기계(10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주행체(110)는, 좌우에 설치된 2개의 무한궤도(111)과, 각 무한궤도(111)을 구동시키기 위한 2개의 주행 모터(112)를 구비한다.
선회체(120)는, 주행체(110)에 선회 중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업기(130)는 유압에 의해 구동한다. 작업기(130)는, 선회체(120)의 전부(前部)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운전실(140)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고, 작업 기계(100)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다. 운전실(140)은 선회체(120)의 좌측 전부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선회체(120) 중 작업기(13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전부라고 한다. 또한, 선회체(120)에 대하여, 전부를 기준으로, 반대측의 부분을 후부, 좌측의 부분을 좌부, 우측의 부분을 우부라고 한다.
《선회체(120)의 구성》
선회체(120)는 엔진(121), 유압 펌프(122), 컨트롤 밸브(123), 선회 모터(124), 연료 분사 장치(125)를 구비한다.
엔진(121)은 유압 펌프(122)를 구동하는 원동기다. 엔진(121)은 동력원의 일례이다. 엔진(121)에는 셀 모터(1211)가 설치된다. 엔진(121)은 셀 모터(1211)의 회전에 의해 기동한다.
유압 펌프(122)는 엔진(121)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 펌프이다. 유압 펌프(122)는, 컨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각 액추에이터(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및 선회 모터(124))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컨트롤 밸브(123)는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선회 모터(124)는 컨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고, 선회체(120)를 선회시킨다.
연료 분사 장치(125)는 연료를 엔진(121)에 분사한다.
《작업기(130)의 구성》
작업기(130)는 붐(131), 암(132), 버킷(133),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및 버킷 실린더(133C)를 구비한다.
붐(131)의 기단부는 선회체(120)에 붐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암(132)은 붐(131)과 버킷(133)을 연결한다. 암(132)의 기단부는, 붐(131)의 선단부에 암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버킷(133)은, 토사 등을 굴삭하기 위한 날과 굴삭한 토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다. 버킷(133)의 기단부는 암(132)의 선단부에 버킷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는 붐(13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붐 실린더(131C)의 기단부는 선회체(120)에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의 선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는 암(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암 실린더(132C)의 기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의 선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는 버킷(133)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버킷 실린더(133C)의 기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의 선단부는 버킷(133)에 접속되는 링크 부재에 장착된다.
《운전실(140)의 구성》
운전실(140)의 좌측면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도어(141)가 설치된다. 도어(141)에는, 도어(141)를 잠그기 위한 록 액추에이터(lock actuator)(1411)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1412)가 설치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운전실(140)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운전실(140) 내에는, 운전석(142), 조작 장치(143), 로터리 스위치(144) 및 터치패널(145D)이 설치된다. 로터리 스위치(144)는 회전됨으로써 OFF, ACC(악세서리), IG(이그니션), ST(스타트)의 4개의 포지션을 취하는 스위치다. 그리고, 로터리 스위치(144)를 ST 포지션에서 손가락을 떼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기구(機構)에 의해, 자동적으로 IG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조작 장치(143)는,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에 의해 주행체(110), 선회체(120) 및 작업기(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조작 장치(143)는, 좌측 조작 레버(143LO), 우측 조작 레버(143RO), 좌측 풋 페달(143LF), 우측 풋 페달(143RF), 좌측 주행 레버(143LT),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구비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는 운전석(142)의 좌측에 설치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운전석(142)의 우측에 설치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는 선회체(120)의 선회 동작, 및 암(132)의 굴삭/덤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전방으로 밀면, 암(132)이 덤프 동작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후방으로 밀면, 암(132)이 굴삭 동작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우방향으로 밀면, 선회체(120)가 우선회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좌방향으로 밀면, 선회체(120)가 좌선회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전후 방향으로 밀었을 경우에 선회체(120)가 우선회 또는 좌선회하고,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좌우 방향으로 밀었을 경우에 암(132)이 굴삭 동작 또는 덤프 동작해도 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버킷(133)의 굴삭/덤프 동작, 및 붐(131)의 인상/하강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전방으로 밀면, 붐(131)의 하강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후방으로 밀면, 붐(131)의 상승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우방향으로 밀면, 버킷(133)의 덤프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좌방향으로 밀면, 버킷(133)의 굴삭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전후 방향으로 밀었을 경우에, 버킷(133)이 덤프 동작 또는 굴삭 동작하고,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좌우 방향으로 밀었을 경우에 붐(131)이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해도 된다.
좌측 풋 페달(143LF)은 운전석(142) 전방의 바닥면의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 풋 페달(143RF)은 운전석(142) 전방의 바닥면의 우측에 배치된다.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좌측 풋 페달(143LF)에 축지지되고, 좌측 주행 레버(143LT)의 경사와 좌측 풋 페달(143LF)의 압하(押下)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우측 풋 페달(143RF)에 축지지되고, 우측 주행 레버(143RT)의 경사와 우측 풋 페달(143RF)의 압하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풋 페달(143LF) 및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주행체(110)의 좌측 크롤러 벨트(crawler belt)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전방으로 밀면, 좌측 크롤러 벨트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후방으로 밀면, 좌측 크롤러 벨트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풋 페달(143RF) 및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주행체(110)의 우측 크롤러 벨트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전방으로 밀면, 우측 크롤러 벨트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후방으로 밀면, 우측 크롤러 벨트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 시스템(145)의 구성》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실선은 전력선을 표시하고, 파선은 신호선을 표시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무선통신을 나타낸다.
제어 시스템(145)은 전원부(201),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를 구비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는, 서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나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다.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는, 작업 기계(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한다.
전원부(201)는,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각 기기(機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도어 스위치(1412), 로터리 스위치(144),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및 모니터 컨트롤러(204)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록 액추에이터(1411) 또는 셀 모터(1211)에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신호가 입력된 컨트롤러는, 전원부(201)가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기동하고, 동작한다. 그리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다른 컨트롤러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도, 항상 전원부(201)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있다. 한편,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작업 기계(100)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후술하는 BLE 통신부(221)만이 기동 상태로 되고, 다른 구성이 중지 상태에 있어도 되고, 간헐적으로 기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등의 컨트롤러끼리의 통신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통신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의 일례이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터치패널(145D)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터치패널(145D)의 터치 조작의 발생을 통지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이 아니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지 않는 모니터 및 물리 버튼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모니터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물리 버튼의 압하를 통지한다.
제어 컨트롤러(205)는, 작업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기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조작 장치(143)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컨트롤러(205)는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선회 모터(124)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 컨트롤러(205)는, 동력원이 공급하는 동력에 의해 작업 기계(100)의 차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의 일례이다.
엔진 컨트롤러(206)는, 엔진(121)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연료 분사 장치(125)에 연료 분사량을 지시함으로써, 엔진(121)을 제어한다.
각 컨트롤러의 기동 시간에는 차가 있다. 각 컨트롤러 중,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 등의 다른 컨트롤러보다 기동 시간이 긴 경우가 있다.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의 조작에 의해,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인증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45)은 인증 처리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인증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시스템(145)은, 모니터 컨트롤러(204)를 통하여 터치패널(145D)에 오퍼레이터 ID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한다.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고 있는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라고 인증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를 인증하는 인증부의 일례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BLE 통신부(221), 네트워크 통신부(222), 신호 입력부(223), 오퍼레이터 기억부(224), 근접 검출부(225), 기동부(226), 상태 기억부(227)를 구비한다.
BLE 통신부(221)는 BLE의 센트럴로서 동작하고,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행한다. BLE 통신부(221)는 통신 가능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탐색하고, 발견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한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에는, 오퍼레이터를 식별하는 오퍼레이터 ID 및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를 나타내는 기계 ID가 포함된다. 오퍼레이터 ID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의 Bluetooth(등록상표) 디바이스 어드레스이면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222)는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행한다.
신호 입력부(223)는 도어 스위치(1412) 및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오퍼레이터 기억부(224)는 오퍼레이터마다, 오퍼레이터 ID와, 표시명과,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권한 플래그를 기억한다. 권한 플래그의 값이 ON인 것은,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고, 권한 플래그의 값이 OFF인 것은,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권한 플래그의 값이 ON인 오퍼레이터, 즉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를 특정 오퍼레이터라고도 한다.
근접 검출부(225)는, BLE 통신부(221)가 수신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과 오퍼레이터 기억부(224)가 기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100)의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근접 검출부(225)는,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한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검출부(225)는, BLE 통신부(221)가 수신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 ID를 특정하고, 오퍼레이터 기억부(224)에 있어서 특정한 오퍼레이터 ID와 관련된 권한 플래그가 ON인 경우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근접 검출부(225)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로서, 근접하고 있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오퍼레이터 ID를 상태 기억부(227)에 기록한다.
기동부(226)는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록 액추에이터(1411) 또는 셀 모터(1211)에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미리 인스톨된 작업 기계(100)의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BLE의 주변 장치로서 기능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 기계(100)의 일람을 표시시켜, 오퍼레이터로부터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하면, 오퍼레이터 ID와 선택된 작업 기계(100)의 기계 ID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송신을 시작한다.
《제어 시스템(145)의 동작》
여기에서,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탑승할 때의 작업 기계(100)의 기동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145)은 작업 기계(100)의 기동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145)에 의한 작업 기계(100)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조작하고,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 기계(100)의 일람을 표시시켜, 오퍼레이터로부터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1).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하면, 오퍼레이터 ID와 선택된 작업 기계(100)의 기계 ID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다(스텝 S2).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특정 오퍼레이터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3). 이로써,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기동을 개시한다(스텝 S4). 그 후,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기동을 완료한다(스텝 S5). 그리고,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처음으로 작업 기계(100)에 도달할 때,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작업 기계(100)는 BLE의 통신 가능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보다,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에 요하는 시간이 짧으면,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도달할 때까지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을 완료시켜 놓을 수 있다(스텝 S5).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에 도달하면 도어(141)를 열기 위해 도어 스위치(1412)를 누른다. 이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도어 스위치(1412)로부터 ON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6).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 후, 록 액추에이터(1411)를 구동시키고, 도어(141)의 잠금을 해제한다(스텝 S7).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40)에 올라타, 로터리 스위치(144)를 ACC 포지션에 넣으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ACC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8).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 후, 모니터 컨트롤러(204)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9). 이로써,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기동한다(스텝 S10).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145D)에 출력한다(스텝 S11). 이로써, 터치패널(145D)에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1개의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12).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특정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제어 컨트롤러(205)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3). 이로써, 제어 컨트롤러(205)가 기동한다(스텝 S14).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에 넣으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IG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5).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 컨트롤러(206)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6). 이로써, 엔진 컨트롤러(206)가 기동한다(스텝 S17).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ST 포지션에 넣으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ST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8).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셀 모터(1211)를 구동시킨다(스텝 S19). 이로써, 엔진(121)이 시동하여, 작업 기계(100)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근접했을 때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시키고, 그 후, 특정 오퍼레이터의 인증이 된 후에 제어 컨트롤러(205)를 기동한다.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40) 내에 올라탈 필요가 있으므로,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은, 제어 컨트롤러(205)의 기동 전에 행해진다. 이로써,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근접한 시점에서는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와 같은 작업 기계(100)의 차체 제어를 행하지 않는 기기를 기동시킴으로써, 작업 기계(100)의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다른 기기와 비교하여 기동에 시간이 걸리므로,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을 조건으로 기동함으로써, 작업 기계(100)의 조작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에 의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의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BLE 통신부(221)는, 소정의 스캔 타이밍마다 스캔을 행하고,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스텝 S101: NO),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근접 데이터를 공백에 고쳐쓰고(스텝 S102), 다음 스캔 타이밍까지 대기한다.
한편,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 경우(스텝 S101: YES), BLE 통신부(221)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으로부터 기기 ID 및 오퍼레이터 ID를 읽어낸다. 근접 검출부(225)는, 기기 ID가 해당 작업 기계(100)를 나타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기기 ID가 해당 작업 기계(100)를 나타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103: NO),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근접 데이터를 공백에 고쳐쓰기(스텝 S102), 다음 스캔 타이밍까지 대기한다.
기기 ID가 해당 작업 기계(100)를 나타내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03: YES), 근접 검출부(225)는, 오퍼레이터 기억부(224)에 있어서 해당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오퍼레이터 ID와 관련된 권한 플래그가 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오퍼레이터 ID와 관련된 권한 플래그가 OFF인 경우(스텝 S104: NO),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근접 데이터를 공백에 고쳐쓰고(스텝 S102), 다음 스캔 타이밍까지 대기한다.
오퍼레이터 ID와 관련된 권한 플래그가 ON인 경우(스텝 S104: YES),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근접 데이터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 ID에 갱신한다(스텝 S105).
다음으로, 기동부(226)는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06). 이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탑승하기 전에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부(226)는 작업 기계(100)의 도시하지 않은 조명을 점등시킨다(스텝 S107). 이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에 탑승해야 할 작업 기계(100)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의 일부가 실시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스텝 S102, S103, S105, 스텝 S107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어 스위치(1412)가 눌러졌을 때의 제어 시스템(145)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어 스위치(1412)가 눌러지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신호 입력부(223)는 도어 스위치(1412)로부터 ON을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121). 근접 검출부(225)는 상태 기억부(227)의 근접 데이터를 참조하고, 적어도 1개의 특정 오퍼레이터의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2). 근접 데이터에 특정 오퍼레이터의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되는 경우(스텝 S122: YES),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기동부(226)는 록 액추에이터(1411)를 구동시키고, 도어(141)의 잠금을 해제한다(스텝 S123). 이 때, 기동부(22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잠금이 해제된 것을 나타내는 버저를 울려도 된다.
한편, 근접 데이터에 특정 오퍼레이터의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스텝 S122: NO), 근접 검출부(225)는 근방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기동부(226)는 록 액추에이터(1411)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경우에 도어(141)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의 근방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잠금을 해제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도 7의 플로차트에 따르지 않고 물리 키에 의한 잠금 해제를 행해도 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에 의한 작업 기계(100)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인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작업 기계(100)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ACC 포지션까지 돌리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신호 입력부(223)는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ACC를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141). ACC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기동부(226)는 모니터 컨트롤러(204)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42).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145D)에 출력한다(스텝 S143).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이 기억해도 되고,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가 기억해도 되고,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기억해도 되고, 기타 컨트롤러가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작업 기계(100)의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오퍼레이터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145D)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처리에 의해,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가 미리 기동되므로,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기동하자마자, 즉시 다른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해진다. 따라서,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컨트롤러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도,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기동하자마자 즉시 해당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에는, 스텝 S143에서 읽어낸 복수의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된다. 이로써, 터치패널(145D)은 복수의 오퍼레이터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접수한다.
터치패널(145D)의 조작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1개의 오퍼레이터 ID를 선택하면,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를 취득한다(스텝 S144).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근접 데이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45).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근접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145: YES),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특정 오퍼레이터라고 인증한다. 기동부(226)는 제어 컨트롤러(205)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46).
한편,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근접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스텝 S145: NO), 제어 시스템(145)은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때, 기동부(226)는 제어 컨트롤러(205)에 기동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에 의해,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가 기동하고, 또한 도어(141)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어도,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특정 오퍼레이터라고 인증되지 않는 한, 동력으로 작업 기계(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컨트롤러(205)가 기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제어 시스템(145)은, 조작 권한을 가지지 않는 부외자에 의해 작업 기계(100)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45)은, 복수의 오퍼레이터 ID 중에서 1개의 오퍼레이터 ID를 선택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행한다.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소지하는 특정 오퍼레이터라면, 해당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으로부터 자신의 오퍼레이터 ID를 찾아서 누를 수 있다. 한편, 조작 권한을 가지지 않는 부외자에게는, 어느 오퍼레이터 ID가 근방에 존재하는 특정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145)은 부정한 로그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시스템(145)은 비밀번호 등을 더 요구함으로써, 보다 시큐리티를 높여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치패널(145D)이 아니라, 바이오메트릭스 인증 장치나 안면 인식 장치 등을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제어 시스템(145)에 접속함으로써,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로부터 오퍼레이터 ID를 취득하여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해도 된다.
전술한 스텝 S144∼스텝 S145의 처리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이 행해도 되고,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가 행해도 되고,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행해도 되고, 기타 컨트롤러가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증을 행하는 컨트롤러는, 선택된 오퍼레이터 ID와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근접 데이터를 취득하고,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상태 기억부(227)가 기억하는 근접 데이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후,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까지 돌려지면, 기동부(226)는 엔진 컨트롤러(206)에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로터리 스위치(144)가 ST 포지션까지 돌려지면, 기동부(226)는 셀 모터(1211)를 구동시키고, 엔진(121)을 구동시킨다. 다만, 엔진(121)이 구동해도, 오퍼레이터의 인증이 이루어져 제어 컨트롤러(205)가 기동하지 않으면, 엔진(121)의 동력으로 작업 기계(100)를 구동시킬 수 없다. 또한, 셀 모터(1211)가 스타터 컷 릴레이를 가지는 경우, 기동부(226)는, 오퍼레이터의 인증이 되었을 때 스타터 컷 출력을 ON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엔진(121)을 구동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제어 컨트롤러(205)보다 앞에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한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검출에 의해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함으로써, 작업 기계(100)를 조기에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45)은, 제어 컨트롤러(205)의 기동을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보다 나중에 함으로써,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제어 컨트롤러(205)가 기동하지 않음으로써, 제어 컨트롤러(205)가 크래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 시간은 제어 컨트롤러(205)의 기동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먼저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시킴으로써,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의 기동을 대기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오퍼레이터 단말기(300)가 발하는 무선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한 것을 검출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소지한 채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는 것만으로, 작업 기계(100)의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가 발하는 무선신호에는,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를 나타내는 기계 ID가 포함되고, 근접 검출부(225)는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기계 ID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로써, 제어 시스템(145)은, 기동 대상이 아닌 작업 기계(100)가 무용하게 기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한 것을 검출한 후에, 작업 기계(100)의 운전실(140)에 설치되는 터치패널(145D)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한다. 이로써, 제어 시스템(145)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단지 작업 기계(100)의 근방에 존재할 뿐 아니라, 작업 기계(10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특정 오퍼레이터인 것을 확인한 후, 제어 컨트롤러(205)를 기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처리의 순서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일부의 처리가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단독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도 되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구성을 복수의 컴퓨터에 나누어 배치하고, 복수의 컴퓨터가 서로 협동함으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 중, 기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과,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하는 기능은 별개의 컴퓨터에 실장되어도 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을 구성하는 일부의 컴퓨터가 작업 기계(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다른 컴퓨터가 작업 기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다른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단말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미리 정해진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출력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키팝(key fob)이라도 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 단말기(300)가 키팝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할 수 없다. 이 경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 작업 기계(100) 중,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 ID가 특정 오퍼레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모두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복수의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되는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의 표시를 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근접 검출부(225)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 특정 오퍼레이터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터 ID만을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 특정 오퍼레이터가 1명이면,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 1명의 오퍼레이터를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에 표시하고,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 특정 오퍼레이터가 2명 이상이면, 근접하고 있다고 판정한 2명 이상의 오퍼레이터를 오퍼레이터 일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에 의해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기동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제어 컨트롤러(205)가 아닌 다른 컨트롤러(모니터 컨트롤러(204),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컨트롤러 등)를 기동시켜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는, 작업 기계(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의 일부에 의해 작업 기계(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가 또 다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유압 셔블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작업 기계라도 된다. 작업 기계(100)의 예로서는, 불도저, 덤프 트럭, 포크리프트, 휠 로더, 모터 그레이더 등을 들 수 있다.
<컴퓨터 구성>
도 9는,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전술한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각 기기(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등)는 컴퓨터(50)에 실장된다. 컴퓨터(50)는 프로세서(51), 메인 메모리(52), 스토리지(53), 인터페이스(54)를 구비한다. 전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스토리지(53)에 기억되어 있다. 프로세서(51)는 프로그램을 스토리지(53)로부터 읽어내어 메인 메모리(52)에 전개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51)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메인 메모리(52)에 확보한다. 프로세서(51)의 예로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50)에 발휘시키는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스토리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 또는 다른 장치에 실장된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컴퓨터(50)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또는 상기 구성 대신에 PLD(Progra㎜able Logic Device) 등의 커스텀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을 구비해도 된다. PLD의 예로서는, PAL(Progra㎜able Array Logic), GAL(Generic Array Logic), CPLD(Complex Progra㎜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able Gate Array)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집적 회로도 프로세서의 일례에 포함된다.
스토리지(53)의 예로서는,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스토리지(53)는 컴퓨터(50)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라도 되고, 인터페이스(54)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50)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라도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50)에 배신(配信)되는 경우, 배신을 받은 컴퓨터(50)가 상기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52)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토리지(53)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의 기억 매체이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스토리지(5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라도 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은, 작업 기계를 조기에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00: 작업 기계, 110: 주행체, 120: 선회체, 121: 엔진, 1211: 셀 모터, 130: 작업기, 140: 운전실, 1411: 록 액추에이터, 1412: 도어 스위치, 142: 운전석, 143: 조작 장치, 144: 로터리 스위치, 145: 제어 시스템, 145D: 터치패널, 201: 전원부, 202: 스타터 신호 유닛, 203: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 204: 모니터 컨트롤러, 205: 제어 컨트롤러, 206: 엔진 컨트롤러, 221: BLE 통신부, 222: 네트워크 통신부, 223: 신호 입력부, 224: 오퍼레이터 기억부, 225: 근접 검출부, 226: 기동부, 227: 상태 기억부, 300: 오퍼레이터 단말기
Claims (8)
- 작업 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 및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를 기동하는 기동부;
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력원이 공급하는 동력에 의해 차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기끼리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부는,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부를 기동하고, 상기 제2 제어부의 기동 개시보다 나중에, 상기 제1 제어부를 기동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의 기동 시간은 상기 제2 제어부의 기동 시간보다 짧은,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실에 존재하는 오퍼레이터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부는,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인 것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 제어부를 기동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단말기가 발하는 무선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발하는 무선신호에는,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 오퍼레이터 ID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오퍼레이터 ID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하는 인물이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발하는 무선신호에는,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를 나타내는 기계 ID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기계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제어부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 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 기계에 근접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작업 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를 기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061479 | 2021-03-31 | ||
JP2021061479A JP2022157326A (ja) | 2021-03-31 | 2021-03-31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
PCT/JP2022/014185 WO2022210309A1 (ja) | 2021-03-31 | 2022-03-24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2581A true KR20230132581A (ko) | 2023-09-15 |
Family
ID=8345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8648A KR20230132581A (ko) | 2021-03-31 | 2022-03-24 |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25090A1 (ko) |
JP (1) | JP2022157326A (ko) |
KR (1) | KR20230132581A (ko) |
CN (1) | CN117083431A (ko) |
DE (1) | DE112022000484T5 (ko) |
WO (1) | WO202221030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8922A (ko) * | 2021-08-06 | 2024-03-26 | 두산 밥캣 노스 아메리카, 인크. | 동력기계 기능에 대한 접근 제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05469A (ja) | 2013-04-16 | 2014-10-3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の車載機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25814B2 (ja) * | 2013-12-26 | 2018-05-16 | 株式会社安藤・間 |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
JP6411935B2 (ja) * | 2015-04-03 | 2018-10-24 |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 建設機械 |
JP6317411B2 (ja) * | 2016-10-05 | 2018-04-25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
JP6622840B2 (ja) * | 2018-03-29 | 2019-12-18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
KR20200109182A (ko) * | 2019-03-12 | 2020-09-22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
JP7215264B2 (ja) * | 2019-03-19 | 2023-01-31 |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JP7233275B2 (ja) * | 2019-03-25 | 2023-03-06 | 住友建機株式会社 | 作業機械 |
JP7536433B2 (ja) | 2019-10-03 | 2024-08-20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情報処理装置の初期設定方法、情報処理装置、サインイン方法、端末装置および設定情報提供方法 |
-
2021
- 2021-03-31 JP JP2021061479A patent/JP2022157326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3-24 WO PCT/JP2022/014185 patent/WO202221030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3-24 CN CN202280020149.9A patent/CN117083431A/zh active Pending
- 2022-03-24 DE DE112022000484.3T patent/DE112022000484T5/de active Pending
- 2022-03-24 KR KR1020237028648A patent/KR20230132581A/ko unknown
- 2022-03-24 US US18/278,249 patent/US2024012509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05469A (ja) | 2013-04-16 | 2014-10-3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の車載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125090A1 (en) | 2024-04-18 |
CN117083431A (zh) | 2023-11-17 |
DE112022000484T5 (de) | 2023-11-16 |
WO2022210309A1 (ja) | 2022-10-06 |
JP2022157326A (ja) | 2022-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31968B1 (en) | Construction machine with authentication device | |
EP3202984A1 (en) | Construction machinery | |
KR20230132581A (ko) |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 |
WO2022209873A1 (ja)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 |
JP5117448B2 (ja) |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 | |
JP2020158997A (ja) | 作業機械 | |
JP5595031B2 (ja) | 建設機械の稼動モード制御装置 | |
JP6418081B2 (ja) | 建設機械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グラム書き換えシステム | |
WO2022209897A1 (ja) |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 |
WO2023054427A1 (ja)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 |
WO2023054245A1 (ja) |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 |
WO2023054432A1 (ja)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 |
WO2023054470A1 (ja) |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 |
WO2023054171A1 (ja) | 作業機械のエンジンの停止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エンジンの停止方法 | |
CN117098898A (zh) | 挖土机 | |
JP6907033B2 (ja) | 作業機の制御装置及び作業機の制御システム | |
KR20210149410A (ko) |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 |
JP2009012616A (ja) |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 |
JP2002061233A (ja) |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