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389A -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 Google Patents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389A
KR20230120389A KR1020220016899A KR20220016899A KR20230120389A KR 20230120389 A KR20230120389 A KR 20230120389A KR 1020220016899 A KR1020220016899 A KR 1020220016899A KR 20220016899 A KR20220016899 A KR 20220016899A KR 20230120389 A KR20230120389 A KR 2023012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duplex
living space
build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영
Original Assignee
최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영 filed Critical 최병영
Priority to KR102022001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389A/ko
Publication of KR2023012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유공간으로, 복도 양측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실내로 출입 가능하게 한 중복도(10a)를 채용한 중복도형 건물에 있어서,
상기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하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1출입문(21)을 두고 상부층을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상향식복층형세대(2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타측으로, 상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2출입문(31)을 두고 하부층을 제2실내계단(3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하향식 복층형 세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복도를 3개층에 1개소를 설치할 수 있어 공유면적을 더욱더 줄일 수 있고,
각 세대별로 전, 후면측이 모두 외기에 접할 수 있음에 따라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임에도 환기에 유리하며,
아울러, 각 세대(실)별로 옥상형 외부공간(60a,60b)이 형성되어 서비스 공간을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 구조의 건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A building with a middle corridor-type structure with bottom-up and top-down duplex households face each other}
본 발명은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유공간으로, 복도 양측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실내로 출입 가능하게 한 중복도(10a)를 채용한 중복도형 건물에 있어서,
상기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하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1출입문(21)을 두고 상부층을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상향식복층형세대(2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타측으로, 상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2출입문(31)을 두고 하부층을 제2실내계단(3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하향식복층형세대(30)를 형성하고,
상기 중복도(10), 일측으로 출입하는 상향식복층세대(20), 타측으로 출입하는 하향식복층세대(30)를 하나의 모듈(100)로 결합하여 상부층에도 상기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중복도(10a)를 3개층에 1개소를 설치할 수 있고,
각 세대별로 전, 후측면이 모두 외기에 접하며,
아울러,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60a,60b)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 구조의 건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물을 공급함에 있어 높은 분양가에 대응하여,
실제 거주공간인 전용면적을 늘이고 공유면적을 줄이는,
즉, 전용율['전용면적/(전용면적+공유면적)'의 비율]을 높이는 추세이다.
이에 전용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방법 중에는,
첫째, 중복도형의 건물을 적용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건물은 공유공간인 복도의 유형에 따라 도1과 같이 복도(10b)에서 일측으로만 세대(실)(50b)가 배치되어 출입이 가능한 편복도형 건물과
도2와 같이 복도(10a)에서 양측으로 세대(실)(50a)가 배치되어 출입이 가능한 중복도형 건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여기서, 중복도형 건물은 편복도형 건물에 비해 동일한 단위세대(실)면적 대비 공유면적 비율이 적어 전용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다만, 도3과 같이 각 세대(실)(50a)는 복도(10a)를 중심으로 대응하여 마주보며 형성되어, 각 세대(실)(50a)의 일측면이 맞은편 세대(실)(50a)에 막혀 있어 환기가 불리한 단점이 있다.
둘째, 2개층을 1개 세대로 사용하는 복층형 세대(실)를 적용하는 것인데,
도4와 같이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실)(20)가 적용된 건물은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복도(10b)를 2개층에 1개소를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모든 층에 설치하던 복도를 절반으로 줄이게 됨으로써 공유면적 비율을 줄여 전용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중복도형 건물의 환기가 불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복층형 세대(실)를 적용하되 전용율을 더욱더 높이기 위한 것으로,
즉, 중복도형 건물에도 각 세대(실)별로 전, 후면측이 모두 외기에 접하게 하여 환기에 유리하도록 하고,
복층형 세대(실)를 적용하되, 복도를 종래의 2개층에 1개소에서 3개층에 1개소로 설치하여 전용율을 더욱더 높이게 구성한,
아울러,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이 형성되어 서비스 공간을 갖게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형 구조의 건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의 공유공간으로, 복도 양측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실내로 출입 가능하게 한 중복도(10a)를 채용한 중복도형 건물에 있어서,
도5와 같이, 상기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하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1출입문(21)을 두고 상부층을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상향식복층형세대(2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6과 같이, 상기 중복도(10a)의 타측으로, 상부층에 중복도(10a)로 연결된 제2출입문(31)을 두고 하부층을 제2실내계단(33)으로 연결하여 2개층을 1개 세대(실)로 사용하는 하향식복층형세대(30)를 형성하고,
도7과 같이 상기 중복도(10a), 상향식복층세대(20), 하향식복층세대(30)를 하나의 모듈(100)로 결합하여, 도8과 같이 상부층에도 상기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중복도(10a)를 3개층에 1개소를 설치할 수 있고,
도9와 같이 각 세대별로 전, 후측면이 모두 외기에 접하며,
아울러, 도10과 같이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60a,60b)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 구조의 건물을 제공함에 따라,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중복도(10a)를 3개층에 1개소를 설치할 수 있어 건물의 공유면적 비율을 줄여서 전용율을 더욱더 높이게 되고,
각 세대별로 전, 후측면이 모두 외기에 접하여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임에도 환기에 유리하게 된다.
아울러,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이 형성되어 서비스 공간을 갖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편복도형 건물의 기준층평면도(a)와 A-A'건물 단면도(b)
도2는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기준층평면도(a)와 B-B'건물 단면도(b)
도3은 도2와 같은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B-B'단면도에 외기(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4는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20)가 적용된 건물의 세대 하부층 평면도(a), 세대 상부층 평면도(b) 및 C-C'건물 단면도(b)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상향식복층형세대(20)의 구성을 세대 하부층 평면도(a), 세대 상부층 평면도(b) 및 D-D'건물 단면도(c)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하향식복층형세대(20)의 구성을 나타낸 세대 상부층 평면도(a), 세대 하부층 평면도(b) 및 E-E'건물 단면도(c)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상부측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와 하부측으로 하향식복층세대(30)가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100)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하나의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이 각 세대별로 전, 후측면이 모두 외기에 접함에 따른 외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60a,60b)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 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은 일반적인 편복도형 건물의 기준층평면도(a)와 A-A'건물 단면도(b)로,
건물의 층을 이동할 수 있는 수직동선인 주계단(피난계단)(11)과 각 층에서 연결되어 단층형 구조의 세대(실)(50b)로 출입 가능하게 한 편복도(10b)에 있어서,
상기 편복도(10b)의 일측으로 세대(실)(50b) 출입문을 두고, 타측으로는 세대(실)가 없는 일반적인 편복도형 구조의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의 (a)는 E/V, 계단실(11), 편복도(10b), 세대(실)(50b)로 구성된 일반적인 편복도형 건물의 기준층 평면도이다.
아울러, 편복도형단층세대(실)(50b)가 없는 편복도(10b)의 타측으로는 외기와 접할 경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70)을 두어, 일측의 세대(실)(50b)에서 필요시 편복도(10b)에 면한 출입문 또는 창을 개방하여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1의 (b)는 상기 도1의 (a)의 일반적인 편복도형 건물의 기준층 평면도상 A-A'단면도이다.
도2는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기준층평면도(a)와 B-B'건물 단면도(b)로,
건물의 층을 이동할 수 있는 수직동선인 주계단(피난계단)(11)과 각 층에서 연결되어 단층형 구조의 세대(실)(50a)로 출입 가능하게 한 중복도(10a)에 있어서,
상기 중복도(10a)의 양측으로 세대(실)(50a) 출입문을 두는 일반적인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2의 (a)는 E/V, 계단실(11), 중복도(10a), 중복도형단층세대(실)(50a)로 구성된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기준층 평면도이다.
도2의 (b)는 상기 도2의 (a)의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기준층 평면도상 B-B'단면도이다.
도3은 도2와 같은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B-B'단면도에 외기의 이동 방향(60)을 나타낸 도면으로,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은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각 세대(실)(50a)가 마주보며 형성되어, 각 세대(실)(50a)의 일측면이 외부에 접해 있어 외기가 들어오더라도 타측면이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한 다른 세대(실)(50a)에 막혀 있어 외기가 나가는 곳이 없어 환기가 불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20)가 적용된 건물의 세대 하부층 평면도(a), 세대 상부층 평면도(b) 및 C-C'건물 단면도(b)로,
도4의 (a)는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20)의 하부층 구조로,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편복도(10b)의 일측으로 제1출입문(21)을 두고 제1하부층거주공간(22)으로 출입 가능하고, 적정위치에 상부층으로 이동 가능한 제1실내계단(23)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b)는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20)의 상부층 구조로, 제1하부층거주공간(22)과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된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이 형성되고,
아울러, 도4의 (a)와 같이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편복도(10b)는 형성되지 않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c)는 종래의 상향식복층세대(20)를 기준층으로 하여,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편복도(10b)를 2개층에 1개소로 설치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상향식복층세대(20)의 구성을 나타낸 세대 하부층 평면도(a), 세대 상부층 평면도(b) 및 D-D'건물 단면도(c)로,
도5의 (a)는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의 하부층 평면구조로,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제1출입문(21)을 두어 제1하부층거주공간(22)으로 출입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은 일측면이 외기에 접하며, 적정위치에 상부층으로 이동 가능한 제1실내계단(23)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중복도(10a)의 타측으로 하향식복층세대(30)로 출입 가능하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5의 (b)는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의 상부층 평면구조로, 제1하부층거주공간(22)과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된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며, 일측면으로 제1상부층거주공간(24)과 연결되고 이동이 가능한 제1옥상형외부공간(60a)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향식복층세대(20)의 상부층에는 직통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복도가 없는 구조를 채택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5의 (c)는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의 D-D'건물 단면도로, 하부층으로는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출입문(21), 제1하부층거주공간(22), 제1실내계단(23)과,
상부층으로는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과 제1실내계단(23)으로 연결된 제1상부층거주공간(24)으로 구성된 것과,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을 제1상부층거주공간(24)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에서 연결되는 제1옥상형외부공간(60a)으로 구성된 것과,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일측면과,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하향식복층세대(30)의 구성을 나타낸 세대 상부층 평면도(a), 세대 하부층 평면도(b) 및 E-E'건물 단면도(c)로,
도6의 (a)는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상부층 평면구조로, 주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중복도(10a)의 타측으로 제2출입문(31)을 두어 제2상부층거주공간(32)으로 출입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상부층거주공간(32)은 일측면이 외기에 접하며, 적정위치에 하부층으로 이동 가능한 제2실내계단(33)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로 출입 가능하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6의 (b)는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하부층 평면구조로, 제2상부층거주공간(32)과 제2실내계단(33)으로 연결된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며, 일측면으로 제2하부층거주공간(34)과 연결되고 이동이 가능한 제2옥상형외부공간(60b)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하향식복층세대(30)의 하부층에는 직통계단(피난계단)(11)과 연결된 복도가 없는 구조를 채택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6의 (c)는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E-E'건물 단면도로, 상부층으로는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2출입문(31), 제2상부층거주공간(32), 제2실내계단(33)과,
하부층으로는 상기 제2상부층거주공간(32)과 제2실내계단(33)으로 연결된 제2하부층거주공간(34)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하부층에 위치하는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을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에서 연결되는 제2옥상형외부공간(60b)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제2상부층거주공간(32)의 일측면과,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상부측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와 하부측으로 하향식복층세대(30)가 결합된 하나의 모듈(100)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7의 (a)는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제1출입문(21)을 두는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를 상부측인 ⓒ방향으로 결합하고,
타측으로 제2출입문(31)을 두는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를 하부측인 ⓓ방향으로 결합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7의 (b)는 도7의 (a)와 같이 결합된 중복도(10a), 상향식복층세대(20), 하향식복층세대(30)가 중복도(10a)를 가운데 층에 두고, 3개층으로 구성된 하나의 모듈(100)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에 하나의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된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도7과 같이 결합된 모듈(100)을 기준층으로 하여 상부층에도 상기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은 중복도(10a)가 3개층에 1개소가 만들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도8과 같이 모든 층이 상기 모듈(100)에 의해 형성된 12개층의 건물이면, 3개층에 1개씩 복도가 만들어지는, 즉 4개층에서만 복도가 만들어지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이 각 세대별로 전, 후측면이 모두 외기에 접함에 따른 외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는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일측면과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여, ⓔ와 같은 외기에 의한 환기의 흐름이 세대를 관통하여 발생함에 따라 환기에 유리한,
하향식복층세대(30)는 제2상부층거주공간(32)의 일측면과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여, ⓕ와 같은 외기에 의한 환기의 흐름이 세대를 관통하여 발생함에 따라 환기에 유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은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임에도,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와 하향식복층세대(30) 모두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여, 각 세대를 관통하는 외기(ⓔ,ⓕ)의 영향으로 환기에 유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의 각 세대별로 옥상형 외부공간(60a,60b)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을 제1상부층거주공간(24)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에서 연결되는 제1옥상형외부공간(60a)이 형성된 것과,
하향식복층세대(30)의 하부층에 위치하는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을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에서 연결되는 제2옥상형외부공간(60b)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0a 중복도 10b 편복도 11 주계단(피난계단)
20 상향식복층세대 21 제1출입문 22 제1하부층거주공간 23 제1실내계단 24 제1상부층거주공간
30 하향식복층세대 31 제2출입문 32 제2상부층거주공간 33 제2실내계단 34 제2하부층거주공간
50a 중복도형단층세대 50b 편복도형단층세대
60a 제1옥상형외부공간 60b 제2옥상형외부공간
60 일반적인 중복도형 건물의 실내에 발생하는 외기에 의한 환기의 흐름 형상
70 편복도형 건물의 편복도에 위치하는 외기에 접하는 창
100 중복도(10a)에 상부측으로 상향식복층세대(20)와 하부측으로 하향식복층세대(30)가 결합된, 중복도(10a)를 가운데 층에 두고, 3개층으로 구성된 하나의 모듈
ⓒ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제1출입문(21)을 두는, 상향식복층세대(20)를 상부측으로 결합하는 방향
ⓓ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제2출입문(31)을 두는, 하향식복층세대(30)를 하부측으로 결합하는 방향
ⓔ 상향식복층세대(20)에 있어서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일측면과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여 발생하는 세대를 관통하는 외기에 의한 환기의 흐름 형상
ⓕ 하향식복층세대(30)에 있어서 제2상부층거주공간(32)의 일측면과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의 전, 후측면이 외기에 접하여 발생하는 세대를 관통하는 외기에 의한 환기의 흐름 형상

Claims (5)

  1. 건물의 공유공간으로, 복도 양측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실내로 출입 가능하게 한 중복도(10a);
    상기 중복도(10a)의 일측으로 실내 거주공간으로 출입 가능하게 한 제1출입문(21)과,
    상기 제1출입문(21)에 연결된 실내 거주공간인 제1하부층거주공간(22)과,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적정위치에 형성되어 상부층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제1실내계단(23)과,
    상기 제1실내계단(23)과 상부층에서 연결된 제1상부층거주공간(24)으로 구성된 상향식복층세대(20);
    상기 중복도(10a)의 타측으로 실내 거주공간으로 출입 가능하게 한 제2출입문(31)과,
    상기 제2출입문(31)에 연결된 실내 거주공간인 제2상부층거주공간(32)과,
    상기 제2상부층거주공간(32)의 적정위치에 형성되어 하부층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제2실내계단(33)과,
    상기 제2실내계단(33)과 하부층에서 연결된 제2하부층거주공간(34)으로 구성된 하향식복층세대(3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복도(10a)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제1출입문(21)을 두는 상향식복층세대(20)를 상부측(ⓒ)으로 결합하고,
    타측으로 제2출입문(31)을 두는 하향식복층세대(30)를 하부측(ⓓ)으로 결합하여,
    중복도(10a)를 가운데 층에 두고, 3개층으로 구성된 하나의 모듈(100)로 형성하고,
    상부층에도 상기 모듈(100)이 수직으로 반복적으로 구성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은 전면측과 후면측이 모두 외기에 접하게 하고,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제2하부층거주공간(34)은 전면측과 후면측이 모두 외기에 접하게 하여,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임에도 각 세대별로 모두 외기에 접하게 하게 한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을 제1상부층거주공간(24)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하부층거주공간(22)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에서 연결되는 제1옥상형외부공간(60a)이 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5. 청구항1,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하부층에 위치하는 상향식복층세대(20)의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을 상기 하향식복층세대(30)의 제2하부층거주공간(34) 보다 외부측으로 더 돌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돌출된 상기 제1상부층거주공간(24)의 구조물 상부 외부공간을 상기 제2하부층거주공간(34)에서 연결되는 제2옥상형외부공간(60b)이 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KR1020220016899A 2022-02-09 2022-02-09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KR20230120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99A KR20230120389A (ko) 2022-02-09 2022-02-09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99A KR20230120389A (ko) 2022-02-09 2022-02-09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389A true KR20230120389A (ko) 2023-08-17

Family

ID=8780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899A KR20230120389A (ko) 2022-02-09 2022-02-09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0389A (ko) 상, 하향식 복층형 세대가 대응하여 형성된 중복도형 구조의 건물
JPH09256653A (ja) 多層建築物
JP5378783B2 (ja) 壁式ラーメン構造建物
JP5325570B2 (ja) 集合住宅
JP5502402B2 (ja) 建物
JP6675148B2 (ja) 集合住宅
JP2009041224A (ja) 集合住宅
JP4376945B2 (ja) 建物構造
JP2591697B2 (ja) 集合住宅用多層建物
JP4542413B2 (ja) 集合住宅
JP7518031B2 (ja) 平屋建て住宅
JPH04285268A (ja) 多層建築物
CN108952223B (zh) 带厚板式转换层的多种户型住宅建筑
JPH10131522A (ja) 住 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2871571B2 (ja) 集合住宅
JP2002089060A (ja) 集合住宅建物
JP3142164U (ja) 集合住宅
JP2005307612A (ja) 多層建物
JPH06129125A (ja) 建物の構造
JP3199662U (ja) 住宅
JP2603242B2 (ja) 建築架構
JP2555526B2 (ja) スキップ通路型中高層集合住宅の構造
JP2001295481A (ja) 開放型住宅
JP2002097804A (ja) 立体駐車場付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