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409A - 커넥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409A
KR20230117409A KR1020237022721A KR20237022721A KR20230117409A KR 20230117409 A KR20230117409 A KR 20230117409A KR 1020237022721 A KR1020237022721 A KR 1020237022721A KR 20237022721 A KR20237022721 A KR 20237022721A KR 20230117409 A KR20230117409 A KR 20230117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nection object
removal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스케 만바
요시하루 후지이
노부유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70)을 삽발 가능한 커넥터(10)로서,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부(23)를 갖는 인슐레이터(20)와,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를 구비하고, 제 1 콘택트(30)는, 접촉편(34)과,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33)를 갖고, 접촉편(34)은, 삽입부(23)에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된 삽입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하는 접촉부(35)와, 접촉부(35)보다 삽입부(23)의 삽입구(23a)측에 위치하는 제거부(36)를 갖고, 제거부(36)는, 삽입부(23)에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고 있는 반삽입 상태에서 신호선(73)과 접촉하고, 삽입 상태에서 탄성부(33)가 탄성 변화하면 접속 대상물(70)과 이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 기기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21년 1월 21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원 2021-00829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인용한다.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및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 등을 포함하는 접속 대상물과 이러한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팩토리 오토메이션(FA) 기기, 오피스 오토메이션(OA) 기기,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단말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특히, 접속 안정성이 향상되고, 또한, 저배화(低背化)를 꾀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근년, 예를 들면 산업 기기 및 차량탑재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경량화의 관점으로부터 중량이 있는 전선에 대신해서 FFC 및 FPC 등을 포함하는 접속 대상물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특허 제5203046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을 삽발(揷拔)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접촉편과,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삽입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신호선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상기 삽입부의 삽입구측에 위치하는 제거부를 갖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어 있는 반삽입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과 접촉하고, 상기 삽입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하면 상기 접속 대상물과 이간하는,
커넥터.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는,
상기의 커넥터를 구비한다.
도 1은 비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을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인슐레이터 단체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액추에이터 단체를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살표(VIII-V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화살표(IX-I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화살표(X-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화살표(XI-X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화살표(XII-X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화살표(XIII-X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화살표(XIV-XIV)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화살표(XV-XV)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5의 화살표(XVI-XV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화살표(XVII-XV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4의 화살표(XVIII-XV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5의 화살표(XIX-XI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화살표(XX-XX)의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커넥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커넥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산업 기기 및 차량탑재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는 종래의 전자 기기보다 신뢰성이 더 요구되지만, 예를 들면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 먼지, 분진 등의 이물이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었을 경우에, 신뢰성이 저하되고 만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가 접속될 때에 접속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이 접속 대상물로부터 조금이라도 제거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으로, 근년의 전자 기기에서는, 신호 전송의 고속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어,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커넥터에 있어서도 고속 전송에 대응한 설계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산업 기기 및 차량탑재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고, 신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구조 및 신호 전송 특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구조의 양립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된 것이 아니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신뢰성의 향상 및 신호 전송 특성 향상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를 목적으로서, 후술하는 회로 기판(CB)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비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70)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70)을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70)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삽입 상태에 있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70)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의 구성 및 접속 대상물(7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와, 제 1 콘택트(30)와, 제 2 콘택트(40a)와, 금구(40b)와, 액추에이터(50)와, 압압(押壓) 부재(60)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 제 2 콘택트(40a), 금구(40b), 및 압압 부재(60)는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된다. 액추에이터(5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압압 부재(60)의 선단 부분이 액추에이터(5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콘택트(4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삽입 상태」는,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대해서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커넥터(10)의 제 1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반삽입 상태」는,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대해서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로서, 제 1 콘택트(30)의 후술하는 제거부(36)만이 접속 대상물(70)과 접촉해서 제 1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삽입 상태」는,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대해서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된 상태로서, 제 1 콘택트(30)의 후술하는 접촉부(35)만이 접속 대상물(70)과 접촉하고 제 1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폐쇄 위치」는, 예를 들면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액추에이터(50)가 폐쇄되었을 때의 액추에이터(50)의 위치를 포함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 상태에 있고, 또한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음으로써,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70)을 유지한다. 「개방 위치」는, 예를 들면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액추에이터(5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개방되었을 때의 액추에이터(50)의 위치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50)는, 예를 들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삽발 방향」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삽입 방향」은, 일례로서 후방향을 의미한다.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은, 일례로서 상방향을 의미한다.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은, 일례로서 하방향을 의미한다.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서는,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제 1 콘택트(30)의 판두께 방향에 대응한다. 「발거측」은, 일례로서 전측을 의미한다. 「삽입측」은, 일례로서 후측을 의미한다. 「삽입구(23a)측」은, 일례로서 전측을 의미한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에 실장되어 있다. 회로 기판(CB)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좋고,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커넥터(10)는, 커넥터(10)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70)과 회로 기판(CB)을 제 1 콘택트(30)를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70)을 삽발 가능하고, 삽입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70)과 접속된다.
이하에서는, 접속 대상물(70)은, 커넥터(10)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CB)에 대해서 평행 방향으로 커넥터(1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접속 대상물(70)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커넥터(10)에 삽입된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대상물(70)은, 커넥터(10)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CB)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커넥터(10)에 삽입되어도 좋다. 접속 대상물(7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커넥터(10)에 삽입되어도 좋다.
접속 대상물(70)은, 일례로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대상물(70)은, 커넥터(10)를 개재해서 회로 기판(C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면, 임의의 케이블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70)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이어도 좋다. 접속 대상물(70)은, 상기 와 같은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대상물을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70)은, 리지드 기판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해도 좋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대상물(70)은, 접속 대상물(70)의 삽입측에 위치하고 또한 삽입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0)에 수용되는 선단부(71)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70)은, 선단부(71)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70)의 삽입측의 끝면을 구성하는 선단면(72)을 갖는다. 접속 대상물(70)은, 커넥터(10)에 대한 삽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 및 선단면(72)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신호선(73)을 갖는다. 접속 대상물(70)은, 접속 대상물(70)의 발거측에서 신호선(73)을 덮는 외장(74)을 갖는다. 신호선(73)은, 접속 대상물(70)의 발거측에서 외장(74)에 의해 덮여져 있는 한편, 선단부(71)에 있어서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접속 대상물(70)은, 선단부(71)에 있어서의 삽입측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부(75)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70)은, 유지부(75)와 발거측에서 인접하고, 선단부(7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베어 내어서 형성되어 있는 피록부(76)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70)은, 유지부(75)의 삽입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R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유인부(77)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인슐레이터(20)의 후방으로부터 제 1 콘택트(30)를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압입한다. 인슐레이터(20)의 전방으로부터 제 2 콘택트(40a) 및 금구(40b)를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압입한다.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액추에이터(50)를 상방으로부터 폐쇄 위치에 배치하고,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콘택트(4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액추에이터(50)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슐레이터(20)의 후방으로부터 압압 부재(60)를 인슐레이터(20)에 압입한다. 이 때, 압압 부재(60)의 선단 부분은,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콘택트(40a)에 지지되어 있는 액추에이터(5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도 6은, 도 3의 인슐레이터(20) 단체의 상면도이다. 인슐레이터(2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주로 설명한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대칭의 상자형 부재이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슐레이터(20)는,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인슐레이터(20)는, 상하좌우 방향의 4개의 외벽을 갖고, 전체로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주벽(21)을 갖는다. 외주벽(21)은, 천장벽(21a)과, 저벽(21b)과, 한 쌍의 측벽(21c)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인슐레이터(20)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뒷벽(22)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천장벽(21a), 저벽(21b), 한 쌍의 측벽(21c), 및 뒷벽(22)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삽입부(23)를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전단부에 있어서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3)의 삽입구(23a)를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측벽(21c)의 전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할 수록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고 삽입부(23)와 연속하는 제 1 경사면(23b)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삽입부(23)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할 수록 상하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23c)을 갖는다. 삽입부(23)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7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70)의 선단면(72)의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는 내면(23d)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뒷벽(22)을 관통하고, 저벽(21b)의 상하 방향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천장벽(21a) 및 저벽(21b)에서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을 갖는다.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은, 천장벽(21a)의 전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내측에 오목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단부보다 후방에서는 천장벽(21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은, 저벽(21b)의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상하 방향의 내측에 오목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의 좌우 방향의 간격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좌우 방향의 간격보다 크다.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은, 한 쌍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에 의해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측벽(21c)의 전측의 하단부에 있어서 내측에 오목 형성되어 있는 금구 부착홈(26)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천장벽(21a)의 전체 및 측벽(21c)의 일부에 걸쳐 오목 형성되어 있는 부착부(27)를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부착부(27) 내에 위치하고, 천장벽(21a)의 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27a)를 갖는다. 리브(27a)는, 천장벽(21a)의 외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슐레이터(20)는, 천장벽(21a)의 외면에 있어서 후측에서 한층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부(27)의 저면(27b)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측벽(21c)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오목 형성되어 있는 부착홈(28)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부착홈(28)의 전방부로부터 삽입부(23)의 내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8a)을 갖는다. 인슐레이터(20)는, 측벽(21c)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오목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29)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혹은 티타늄 구리를 포함하는 용수철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금형(順送金型)(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1 콘택트(30)는,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의 공정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제 1 콘택트(3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표층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콘택트(3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는, 상하전후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31)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는, 록킹부(31)의 하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실장부(32)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는, 록킹부(31)의 전측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33)를 갖는다. 탄성부(33)는, 록킹부(31)의 전측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원호상으로 굴곡하면서 연장된다. 탄성부(33)는, 록킹부(31)의 전측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의 삽입구(23a)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고, 굴곡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된다. 탄성부(33)는,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1 콘택트(30)는, 탄성부(33)와 접속되어 있는 접촉편(34)을 갖는다. 접촉편(34)은, 탄성부(33)의 전단부로부터 둔각으로 굴곡하면서 삽입부(23)의 삽입구(23a)측으로 연장된다. 접촉편(34)은, 탄성부(33)측에서 상방으로 산상(山狀)으로 돌출되는 접촉부(35)와, 접촉부(35)보다 삽입부(23)의 삽입구(23a)측에 위치하는 제거부(36)를 갖는다. 제거부(36)는, 접촉편(34)의 전단부에 있어서 상방으로 산상으로 돌출한다. 접촉부(35)와 제거부(36)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한다. 접촉편(34)은,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부(33)로부터 굴곡하면서 삽입구(23a)측으로 연장된다. 접촉편(34)은, 탄성부(33)와 마찬가지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후술의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35)는, 전측에서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35a)을 갖는다. 접촉부(35)는, 제 1 경사면(35a)과 연속해서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점부(35b)를 갖는다. 접촉부(35)는, 정점부(35b)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35c)을 갖는다. 제거부(36)는, 전측에서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36a)을 갖는다. 제거부(36)는, 제 1 경사면(36a)과 연속해서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점부(36b)를 갖는다. 제거부(36)는, 정점부(36b)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36c)을 갖는다.
제 2 콘택트(40a)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2 콘택트(40a)는,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의 공정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40a)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복수의 제 2 콘택트(40a)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2 콘택트(40a)는, 제 2 콘택트(40a)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실장부(41a)를 갖는다. 제 2 콘택트(40a)는, 실장부(41a)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U자상으로 연장되는 기부(42a)를 갖는다. 제 2 콘택트(40a)는, 기부(42a)의 선단부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지지면(43a)을 갖는다. 제 2 콘택트(40a)는, 기부(42a)의 선단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서 산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44a)를 갖는다.
금구(40b)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40b)는, L자상의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금구(40b)는,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의 공정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40b)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한 쌍의 금구(40b)는, 커넥터(1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금구(40b)는, 금구(40b)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실장부(41b)를 갖는다. 금구(40b)는, 실장부(41b)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하전후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42b)를 갖는다.
도 7은, 도 3의 액추에이터(50) 단체를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액추에이터(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주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5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대칭의 판상 부재이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추에이터(50)는,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추에이터(50)는, 좌우 방향으로 판상으로 연장되는 기부(51)와, 기부(51)의 전단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한 쌍의 록부(52)를 갖는다. 록부(52)는, 전측의 하부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2a)을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록부(52)의 바로 위에 있어서 기부(51)가 베어 내어져서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3)를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기부(51)의 좌우 양단부의 후단에 있어서 하방으로 반원상으로 돌출되는 축부(54)를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기부(51)의 전단의 중앙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55)를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기부(5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록부(52)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최하면을 구성하는 제 1 피지지부(56)를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제 1 피지지부(56)의 후방에 있어서 한층 상방에 위치하는 하면을 구성하는 제 2 피지지부(57)를 갖는다. 액추에이터(50)는, 제 1 피지지부(56) 및 제 2 피지지부(57)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58)을 갖는다.
압압 부재(60)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사용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압압 부재(60)는,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Z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 부재(60)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블랭킹 가공의 공정만을 포함해도 좋다. 한 쌍의 압압 부재(60)는, 커넥터(1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60)는,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61)를 갖는다. 압압 부재(60)는, 록킹부(61)의 후단부로부터 굴곡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실장부(62)를 갖는다. 압압 부재(60)는, 록킹부(61)의 전단부로부터 Z자상으로 연장되는 기부(63)를 갖는다. 압압 부재(60)는, 기부(63)의 선단부에 있어서 파상으로 굴곡하는 접촉부(64)를 갖는다.
커넥터(10)에서는, 제 1 콘택트(30)는,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30)는, 록킹부(31)가 인슐레이터(20)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에 록킹함으로써 뒷벽(22)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콘택트(40a)는, 기부(42a)가 인슐레이터(20)의 제 2 콘택트 부착홈(25)에 록킹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다. 금구(40b)는, 록킹부(42b)가 인슐레이터(20)의 금구 부착홈(26)에 록킹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60)는, 록킹부(61)가 인슐레이터(20)의 부착홈(28)에 록킹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10)에서는,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의 부착부(27)에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콘택트(4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50)의 축부(54)는, 인슐레이터(20)의 수용부(29)에 수용되어, 수용부(29)의 내면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50)의 제 1 피지지부(56)는,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고, 또한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의 관통 부분으로부터 부착부(27)에 노출되어 있는 제 2 콘택트(40a)의 지지면(43a)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50)의 제 2 피지지부(57)는, 인슐레이터(20)의 부착부(27)의 저면(27b)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50)의 홈(58)은, 인슐레이터(20)의 리브(27a)와 감합한다.
커넥터(10)에서는,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압압 부재(60)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려진다. 예를 들면, 압압 부재(60)의 접촉부(64)는, 액추에이터(50)의 오목부(53) 내에 위치하고, 오목부(53)의 저벽과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도 1 등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삽발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로 기판(CB)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 형성면에 실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콘택트(30)의 실장부(32)는, 회로 기판(CB)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제 2 콘택트(40a)의 실장부(41a)는, 회로 기판(CB)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금구(40b)의 실장부(41b)는, 회로 기판(CB)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압압 부재(60)의 실장부(62)는, 회로 기판(CB) 상의 패턴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적재된다. 리플로우로 등에 있어서 각 땜납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실장부(32), 실장부(41a), 실장부(41b), 및 실장부(62)는, 상기 패턴에 땜납된다. 결과로서, 커넥터(10)의 회로 기판(CB)으로의 실장이 완료된다. 회로 기판(CB)의 회로 형성면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또는 메모리 등의 커넥터(10)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이하에서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의 기능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화살표(VIII-V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화살표(IX-I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화살표(X-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 및 압압 부재(60)에 관련되는 구성의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삽입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압압 부재(60)의 접촉부(64)의 하면은, 액추에이터(50)의 오목부(53)의 저벽과 접촉한다. 이 때, 압압 부재(60)의 기부(63)는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조금 탄성 변형한다. 액추에이터(50)의 기부(51)에 있어서 록부(52)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슐레이터(20)의 천장벽(21a)의 외면에 접촉한다.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는, 인슐레이터(20)의 관통 구멍(28a)으로부터 삽입부(23)의 내부로 돌출된다.
접속 대상물(70)이 커넥터(10)의 삽입부(23)에 삽입될 때,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70)의 선단이 인슐레이터(20)의 제 1 경사면(23b) 및 제 2 경사면(23c)을 따라 삽입부(23) 내에 침입한다. 이 때, 만일 접속 대상물(70)의 삽입 위치가 삽입부(23)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접속 대상물(70)의 유인부(77)가 인슐레이터(20)의 제 1 경사면(23b) 상을 슬라이딩하고,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부(23)의 내부로 유인된다. 마찬가지로, 만일 접속 대상물(70)의 삽입 위치가 삽입부(23)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접속 대상물(70)의 선단이 인슐레이터(20)의 제 2 경사면(23c) 상을 슬라이딩하고,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부(23)의 내부로 유인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부(23)의 내측으로 더 이동하면, 접속 대상물(70)의 유지부(75)와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가 접촉한다. 이 때, 록부(52)의 발거측의 경사면(52a)을 개재한 록부(52)와 접속 대상물(70)의 접촉에 의해 액추에이터(50)의 개방 위치를 향한 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50)에 대해서 개방 위치를 향한 힘의 모멘트가 생긴다.
록부(52)와 유지부(75)가 접촉한 상태에서 삽입부(23)의 더 내측으로 접속 대상물(70)이 이동하면, 개방 위치를 향한 힘의 모멘트에 의해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한다.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하면, 압압 부재(60)의 기부(63)의 탄성 변형량이 보다 커진다. 따라서, 압압 부재(60)의 접촉부(64)에 의한 액추에이터(50)로의 폐쇄 위치측으로의 바이어싱력이 보다 커진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는, 접속 대상물(70)의 유지부(75)의 상면에 한 번 올라탄다. 접속 대상물(70)의 후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유지부(75)는, 록부(52)의 선단부분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상태에서는, 접속 대상물(70)의 유지부(75)가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를 지나서 삽입부(23)의 내부에 수용된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70)의 선단면(72)이 인슐레이터(20)의 삽입부(23)의 내면(23d)에 맞부딪친다. 이 때, 록부(52)와 유지부(75)가 상하 방향으로 비접촉 상태가 되고, 압압 부재(60)로부터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50)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록부(52)는 접속 대상물(70)의 피록부(76)와 맞물림된다. 이것에 의해, 액추에이터(50)는, 삽입부(23)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70)을 발지(拔止)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접속 대상물(70)을 억지로 발거하려고 해도, 접속 대상물(70)의 유지부(75)가 록부(52)에 접촉한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70)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지 유지된다.
이렇게, 커넥터(10)는,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 등에 의한 액추에이터(50)의 임의의 조작을 필요로 할 일 없이, 접속 대상물(70)을 삽입한다고 하는 하나의 동작만에 의해 삽입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70)을 발지 유지한다.
한편으로, 커넥터(10)로부터 접속 대상물(70)을 발거할 경우,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 등은, 액추에이터(50)의 조작부(55)를 조작하고,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액추에이터(50)의 록부(52)와 접속 대상물(70)의 피록부(76)가 서로 맞물림하지 않게 된다. 록부(52)와 피록부(76) 사이의 록이 해제된다. 결과로서, 접속 대상물(70)은, 커넥터(10)로부터 발거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1의 화살표(XI-X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화살표(XII-X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화살표(XIII-X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액추에이터(50)의 축부(54) 및 인슐레이터(20)의 수용부(29)에 관련되는 구성의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삽입 상태로부터 반삽입 상태를 개재해서 삽입 상태로 이행할 때에, 액추에이터(50)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개재해서 폐쇄 위치로 돌아간다. 이 동안, 액추에이터(50)의 축부(54)는, 인슐레이터(20)의 수용부(29)에 수용되고, 수용부(29)의 내면과 상시 접촉한다. 축부(54)와 수용부(29)의 내면의 이러한 접촉에 의해서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해진다.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50)의 기부(51)에 있어서 축부(54)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슐레이터(20)의 수용부(29)의 내면과 접촉한다.
도 14는, 도 1의 화살표(XIV-XIV)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화살표(XV-XV)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5의 화살표(XVI-XV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액추에이터(50)의 제 1 피지지부(56) 및 제 2 피지지부(57) 및 제 2 콘택트(40a)에 관련되는 구성의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삽입 상태 및 삽입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50)의 제 1 피지지부(56)는, 제 2 콘택트(40a)의 지지면(43a)과 접촉한다. 제 2 콘택트(40a)는,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된다. 제 2 콘택트(40a)의 지지면(43a)은, 제 2 콘택트 부착홈(25)의 관통 부분으로부터 부착부(27)에 노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의 제 2 피지지부(57)는, 인슐레이터(20)의 부착부(27)의 저면(27b)과 접촉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상태에서는, 제 2 콘택트(40a)의 접촉부(44a)는, 접속 대상물(70)의 외장(74)과 접촉한다. 제 1 피지지부(56) 및 지지면(43a)에 기반해서 서로 접촉하는 액추에이터(50) 및 제 2 콘택트(40a)는, 접촉부(44a)와 외장(74)의 접촉에 기반해서 접속 대상물(70)을 하방으로 누른다.
도 17은, 도 1의 화살표(XVII-XV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4의 화살표(XVIII-XVI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5의 화살표(XIX-XIX)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제 1 콘택트(30)에 관련되는 구성의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30)가 제 1 콘택트 부착홈(24)에 부착되면, 접촉편(34)의 일부가 삽입부(23)의 내부에 노출된다. 예를 들면, 비삽입 상태에서는, 접촉편(34)의 접촉부(35) 및 제거부(36)가 삽입부(23)의 내부에 노출된다. 이 때, 접촉편(34)은, 탄성부(33)로부터 대략 수평하게 연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대략 수평이 된다. 제 1 콘택트(30)는, 제 1 콘택트 부착홈(24) 내에서 탄성부(33)에 의한 하방으로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거부(36)는, 삽입부(23)에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고 있는 반삽입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제거부(36)의 정점부(36b)가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이 때, 접촉부(35)는, 접속 대상물(70)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 반삽입 상태에서는, 신호선(73)과 접촉하는 제거부(36)의 정점부(36b) 및 접촉부(35)가 삽입부(23)의 내부에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삽입 상태로부터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부(23)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접속 대상물(70)의 선단이 제거부(36)의 제 1 경사면(36a)과 접촉한다. 이 때, 제 1 경사면(36a)을 개재한 제 1 콘택트(30)와 접속 대상물(70)의 접촉에 의해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하는 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삽입부(23)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70)의 내측으로의 이동, 즉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고, 제거부(36)의 정점부(36b)가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삽입부(23)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70)이 내측으로 더 이동하면, 신호선(73)은 제거부(36)의 정점부(36b)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접촉편(34)은, 제거부(36)의 정점부(36b)가 신호선(73)과 접촉하고 나서 접속 대상물(70)의 선단이 접촉부(35)의 제 1 경사면(35a)과 접촉할 때까지의 사이, 탄성부(33)로부터 삽입구(23a)를 향해서 제 1 각도(θ1)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제 1 각도(θ1)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 때, 접촉부(35)의 정점부(35b)는,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 제거부(36)의 정점부(36b)보다 접속 대상물(70)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접촉부(35)의 정점부(35b)는, 제거부(36)의 정점부(36b)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는, 제거부(36)의 정점부(36b)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35)는, 삽입부(23)에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된 삽입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접촉부(35)의 정점부(35b)가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삽입 상태에서는, 제거부(36)는, 반삽입 상태와 비교해서 탄성부(33)가 하방으로 보다 크게 탄성 변형함으로써 접속 대상물(70)과 이간한다. 제거부(36)는, 접속 대상물(70)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 삽입 상태에서는, 신호선(73)과 접촉하는 접촉부(35)의 정점부(35b)만이 삽입부(23)의 내부에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삽입 상태로부터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부(23)의 내측으로 더 이동하면, 접속 대상물(70)의 선단이 접촉부(35)의 제 1 경사면(35a)과 접촉한다. 이 때, 제 1 경사면(35a)을 개재한 제 1 콘택트(30)와 접속 대상물(70)의 접촉에 의해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가 하방으로 더 탄성 변형하려고 하는 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삽입부(23)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70)의 내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가 하방으로 더 탄성 변형하고, 제거부(36)의 정점부(36b)가 신호선(73)으로부터 이간한다. 한편으로, 접촉부(35)의 정점부(35b)가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삽입부(23)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70)이 내측으로 더 이동해서 선단면(72)이 삽입부(23)의 내면(23d)에 맞부딪칠 때까지의 사이, 신호선(73)은 접촉부(35)의 정점부(35b)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접촉편(34)은, 접촉부(35)의 정점부(35b)가 신호선(73)과 접촉한 후, 탄성부(33)로부터 삽입구(23a)를 향해서 제 2 각도(θ2)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제 2 각도(θ2)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다. 접촉편(34)은, 접속 대상물(70)의 선단면(72)이 내면(23d)에 맞부딪쳐서 삽입 상태로 완전히 이행한 후에도 제 2 각도(θ2)를 유지한다. 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각도(θ2)는,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각도(θ1)보다 크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제거부(36)와 신호선(73)의 제 1 접점과, 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접촉부(35)와 신호선(73)의 제 2 접점 사이의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d1)은, 제 2 접점과 내면(23d) 사이의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d2)보다 크다.
도 20은, 도 1의 화살표(XX-XX)의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에서는, 제 1 콘택트(30)가 부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20)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이 상방으로부터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면,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은, 전후 방향을 따라 균일하다. 제거부(36)측의 폭(W1) 및 접촉부(35)측의 폭(W2)은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폭(W1) 및 폭(W2)은, 제 1 콘택트(3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여도 좋다.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거부(36)의 폭(w1)은 동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35)의 폭(w2)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도이다. 도 20에서는, 일례로서, 폭(w1)은 폭(w2)과 같은 정도이다.
제 1 콘택트(30)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거부(36)는,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접촉부(3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예를 들면, 접촉부(35)와 제거부(36)는, 서로를 연결하는 직선이 삽입 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동일 직선 상에 중첩된다. 접촉부(35)와 제거부(36)는,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대략 평행한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커넥터(10)에 착안해서 그 효과에 관한 설명을 행하지만, 커넥터(10)를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같은 설명이 들어맞는다.
이상과 같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 의하면, 신뢰성의 향상 및 신호 전송 특성 향상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된 이물의 제거 및 신호 전송 특성 향상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삽입부(23)에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고 있는 반삽입 상태에서 제거부(36)가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부착된 이물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은, 반삽입 상태에서 제 1 콘택트(30)의 제거부(36)에 부착되고, 삽입 상태에서 제거부(36)가 신호선(73)으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으로부터 제거된다.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이 제거부(36)의 정점부(36b)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을 따른 소정 영역에 걸쳐 이물이 제거된다.
또한, 삽입 상태에서 탄성부(33)가 탄성 변형하면 제거부(36)가 접속 대상물(70)과 이간함으로써,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은, 삽입 상태에서는,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와만 접촉한다. 제 1 콘택트(30)와 신호선(73) 사이의 이러한 1개소만으로의 접촉에 의해, 제 1 콘택트(30) 및 신호선(73)을 흐르는 전류의 루프가 억제 가능해진다. 만일, 종래 기술과 같이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에 더해서 제거부(36)도 삽입 상태에서 신호선(73)과 접촉하면, 2개소에서의 접촉에 기반해서 전류가 루프할 우려가 있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이러한 전류 루프를 억제해서 신호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 접촉부(35)의 정점부(35b)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보다 접속 대상물(70)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을 삽입부(23)의 내측으로 더 이동시켜서 삽입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이 정점부(35b)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거부(36)가 접속 대상물(70)과 이간하기 쉬워지므로, 상술한 신호 전송 특성에 관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제거부(36)는,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접촉부(3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부착된 이물이 제거부(36)에 의해 제거된 후에, 신호선(73)에 있어서 이물이 제거된 면을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에 대해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거부(36)의 폭(w1)은, 동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35)의 폭(w2)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부착된 이물이 제거부(36)에 의해 제거된 후에, 신호선(73)에 있어서 이물이 제거된 면을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에 대해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접촉편(34)이,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부(33)로부터 굴곡하면서 삽입부(23)의 삽입구(23a)측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상태에 있어서 제거부(36)가 신호선(73)으로부터 이간하고, 접촉부(35) 및 신호선(73)의 1개소에서의 접촉이 가능해진다. 제 1 콘택트(30)에 있어서 제거부(36)가 탄성부(33) 및 접촉부(35)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해 삽입구(23a)측의 선단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제거부(36)로부터 접속 대상물(70)로의 과도한 압력이 억제된다. 접촉편(34)의 선단에서 제거부(36)가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콘택트(30)는,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 최저한의 압력을 접속 대상물(70)에 대해서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을 삽입부(2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의 접속 대상물(70)의 파손이 억제된다. 제거부(36)가 R형상의 정점부(36b)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파손 억제에 관한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반대로, 제 1 콘택트(30)에 있어서 접촉부(35)가 탄성부(33)에 인접해서 위치함으로써, 삽입 상태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가 접속 대상물(70)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넥터(10)는, 제 1 콘택트(30)에 의한 이러한 하방으로부터의 압력과, 압압 부재(60), 액추에이터(50), 및 제 2 콘택트(40a)에 기반하는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부터,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산업 기기 및 차량탑재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와 같은 진동이 큰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여도, 충분한 유지력을 얻어서 접속 대상물(70)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접촉부(35)가 R형상의 정점부(35b)를 가짐으로써, 삽입 상태에 있어서도 접속 대상물(70)의 파손이 억제된다.
삽입부(23)가, 삽입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70)의 선단면(72)의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는 내면(23d)을 가짐으로써, 커넥터(10)에 대한 접속 대상물(70)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을 삽입부(23)에 대해서 삽입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d1)이 간격(d2)보다 큼으로써,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에 있어서 제거부(36)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면을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에 대해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73)에 이물이 부착된 채의 상태에서 접촉부(35)가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이온화 경향의 차이에 기반하는 부식이 억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이 제거부(36)에 부착되어서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으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신호선(73)과 접촉부(35) 사이에서의 이물의 개재가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식이 억제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고,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개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 등은, 상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 등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커넥터(10)의 조립 방법은, 상기의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으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30), 제 2 콘택트(40a), 금구(40b), 및 압압 부재(60) 중 적어도 1개는, 압입이 아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2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35)의 정점부(35b)는 R형상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점부(35b)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점부(35b)는, 엣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거부(36)의 정점부(36b)는 R형상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점부(36b)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점부(36b)는, 엣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 및 접촉편(34)은, 삽입부(23) 및 접속 대상물(70)에 대해서 하측에 배치되고, 탄성부(33)의 하방으로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접촉편(34)이 하방으로 경사진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30)의 탄성부(33) 및 접촉편(34)은, 삽입부(23) 및 접속 대상물(70)에 대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탄성부(33)의 상방으로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접촉편(34)이 상방으로 경사져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편(34)은, 탄성부(33)로부터 굴곡하면서 삽입부(23)의 삽입구(23a)측으로 연장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편(34)은, 신호선(73)과 제거부(36)의 반삽입 상태에서의 접촉, 및 삽입 상태에서의 이간, 및 신호선(73)과 접촉부(35)의 삽입 상태에서의 접촉을 실현 가능한 임의의 구조로 탄성부(33)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촉편(34)이 탄성부(33)의 전단부로부터 굴곡할 때의 각도는 둔각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촉편(34)은 탄성부(33)로부터 굴곡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접촉편(34)은, 탄성부(3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거부(36)의 폭(w1)이 접촉부(35)의 폭(w2)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도라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폭(w1)은 폭(w2)보다 작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삽입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대략 수평이 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대략 수평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35)의 정점부(35b)와 제거부(36)의 정점부(36b)를 연결하는 직선은 경사지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23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거부(36), 접촉부(35), 및 탄성부(33)가 위치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콘택트(30)는, 신호선(73)과 제거부(36)의 반삽입 상태에서의 접촉, 및 삽입 상태에서의 이간, 및 신호선(73)과 접촉부(35)의 삽입 상태에서의 접촉을 실현 가능한 임의의 구조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삽입구(23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탄성부(33), 제거부(36), 및 접촉부(35)가 위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삽입구(23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거부(36), 탄성부(33), 및 접촉부(35)가 위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23)는, 삽입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70)의 선단면(72)의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는 내면(23d)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부(23)는, 이러한 내면(23d)을 갖지 않아도 좋다. 이 때,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70)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대해서 삽입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임의의 구조가 인슐레이터(20)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d1)이 간격(d2)보다 크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d1)이 간격(d2)보다 작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70)을 삽입한다고 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액추에이터(50)를 조작 가능하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 등에 의한 액추에이터(50)의 직접적인 임의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도 좋고, 액추에이터(50)를 처음부터 갖지 않아도 좋다.
도 21은, 도 1의 커넥터(10)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거부(36)측의 폭(W1) 및 접촉부(35)측의 폭(W2)이 서로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은, 제거부(36)측에서 크고, 접촉부(35)측에서 작아도 좋다. 폭(W2)이 폭(W1)보다 작아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의 제거부(36)측에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되어 있었던 이물이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은, 제거부(36)와 접촉부(35) 사이에서 계단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이렇게, 제거부(36)와 접촉부(35) 사이에서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이 급격하게 변화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측으로의 이물의 유입 억제에 관한 상기의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은, 계단상에 한정되지 않고, 제거부(36)와 접촉부(35) 사이에서 임의의 양태로 변화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촉편(34)에 있어서 접촉부(35)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접속 대상물(70)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 부착홈(24)의 폭은, 제거부(36)와 접촉부(35) 사이에서 폭(W1)으로부터 폭(W2)까지 테이퍼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도 22는, 도 1의 커넥터(10)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편(34)은, 접촉부(35) 및 제거부(36)만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편(34)은, 제거부(36)와 접촉부(35) 사이에서 제거부(36) 및 접촉부(35)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37)를 추가로 가져도 좋다. 이러한 경우여도, 삽입 상태에서, 접촉부(35)만이 접속 대상물(70)의 신호선(73)과 접촉한다. 이상에 의해,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의 제거부(36)측에서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면서,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되어 있었던 이물이 제 1 콘택트(30)의 접촉부(35)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0)는,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레이더, 드라이브 레코더, 및 엔진 컨트롤 유닛 등의 임의의 차량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선진 운전 지원 시스템, 및 시큐리티 시스템 등의 차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차량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 기기는, 임의의 산업 기기를 포함한다.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 기기를 포함해도 좋다. 전자 기기는, 액정 텔레비전, 레코더, 카메라, 및 헤드폰 등의 임의의 음향 영상 기기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접속 대상물(70)에 부착된 이물의 제거 및 신호 전송 특성 향상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커넥터(10)의 상술된 효과에 의해, 전자 기기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10: 커넥터
20: 인슐레이터
21: 외주벽
21a: 천장벽
2lb: 저벽
21c: 측벽
22: 뒷벽
23: 삽입부
23a: 삽입구
23b: 제 1 경사면
23c: 제 2 경사면
23d: 내면
24: 제 1 콘택트 부착홈(부착홈)
25: 제 2 콘택트 부착홈
26: 금구 부착홈
27: 부착부
27a: 리브
27b: 저면
28: 부착홈
28a: 관통 구멍
29: 수용부
30: 제 1 콘택트(콘택트)
31: 록킹부
32: 실장부
33: 탄성부
34: 접촉편
35: 접촉부
35a: 제 1 경사면
35b: 정점부
35c: 제 2 경사면
36: 제거부
36a: 제 1 경사면
36b: 정점부
36c: 제 2 경사면
37: 돌기
40a: 제 2 콘택트
40b: 금구
41a: 실장부
4lb: 실장부
42a: 기부
42b: 록킹부
43a: 지지면
44a: 접촉부
50: 액추에이터
51: 기부
52: 록부
52a: 경사면
53: 오목부
54: 축부
55: 조작부
56: 제 1 피지지부
57: 제 2 피지지부
58: 홈
60: 압압 부재
61: 록킹부
62: 실장부
63: 기부
64: 접촉부
70: 접속 대상물
71: 선단부
72: 선단면
73: 신호선
74: 외장
75: 유지부
76: 피록부
77: 유인부
CB: 회로 기판
W1: 폭
W2: 폭
w1: 폭
w2: 폭
d1: 간격
d2: 간격
θ1: 제 1 각도
θ2: 제 2 각도

Claims (12)

  1. 접속 대상물을 삽발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접촉편과,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삽입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신호선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상기 삽입부의 삽입구측에 위치하는 제거부를 갖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고 있는 반삽입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과 접촉하고, 상기 삽입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하면 상기 접속 대상물과 이간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정점부는,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제거부의 정점부보다 상기 접속 대상물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거부의 폭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부의 폭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도인,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로부터 굴곡하면서 상기 삽입부의 삽입구측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록킹부로부터 상기 삽입구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고, 굴곡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탄성부의 단부로부터 둔각으로 굴곡하면서 상기 삽입부의 삽입구측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대상물의 선단면의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는 내면을 갖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거부와 상기 신호선의 제 1 접점과, 상기 삽입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신호선의 제 2 접점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은, 상기 제 2 접점과 상기 내면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간격보다 큰,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부착홈을 갖고,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 및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홈의 폭은, 상기 제거부측에서 크고, 상기 접촉부측에서 작아지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은 상기 제거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서 계단상으로 변화되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제거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제거부 및 상기 접촉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갖는,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237022721A 2021-01-21 2022-01-12 커넥터 및 전자 기기 KR20230117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8296 2021-01-21
JP2021008296A JP7123199B2 (ja) 2021-01-21 2021-01-21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CT/JP2022/000767 WO2022158355A1 (ja) 2021-01-21 2022-01-12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409A true KR20230117409A (ko) 2023-08-08

Family

ID=8254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721A KR20230117409A (ko) 2021-01-21 2022-01-12 커넥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72471A1 (ko)
EP (1) EP4283792A1 (ko)
JP (1) JP7123199B2 (ko)
KR (1) KR20230117409A (ko)
CN (1) CN116830393A (ko)
WO (1) WO20221583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046U (ko) 1975-06-24 1977-01-10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009A (ja) * 1995-11-20 1997-06-06 Fujitsu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構造
JP3121799B2 (ja) * 1998-12-28 2001-01-09 大宏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0299150A (ja) * 1999-04-15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デバイス
JP2004022248A (ja) * 2002-06-13 2004-01-22 Quasar System Inc ソケット
JP2007109499A (ja) * 2005-10-13 2007-04-26 Fujitsu Ltd コンタクト部材、コネクタ、基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5203046B2 (ja) 2008-05-30 2013-06-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US9240644B2 (en) * 2012-08-22 2016-01-19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7033382A1 (ja) * 2015-08-26 2017-03-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181798A (ja) * 2017-04-21 2018-11-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046U (ko) 1975-06-24 1977-0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2429A (ja) 2022-08-02
US20240072471A1 (en) 2024-02-29
CN116830393A (zh) 2023-09-29
JP7123199B2 (ja) 2022-08-22
WO2022158355A1 (ja) 2022-07-28
EP4283792A1 (en)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9333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98835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9208188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230117409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7263494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565933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738318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103933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132335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074053A1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WO2023074641A1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WO2023199844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23067123A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23067119A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7433195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7499714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29158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223873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