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814A -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814A
KR20230110814A KR1020237022687A KR20237022687A KR20230110814A KR 20230110814 A KR20230110814 A KR 20230110814A KR 1020237022687 A KR1020237022687 A KR 1020237022687A KR 20237022687 A KR20237022687 A KR 20237022687A KR 20230110814 A KR20230110814 A KR 2023011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l
grinding
polishing
suppor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트마르 홀
티모 홀
Original Assignee
홀 1993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 1993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홀 1993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3011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24B3/543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using hand or foot driven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6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 B24D15/08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of knives; of raz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2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sharpen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53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a special cutting edge section or blade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본체(2a) 및 절삭 날(2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1), 특히 칼에 관한 것이다. 연삭 템플릿(template) 없이도 정확하게(with precision) 절삭 공구(1)를 연삭 또는 연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삭 공구(1)가 절삭 날(2b)을 연삭 및/또는 연마할 목적으로 절삭 공구(1)가 평평한 기저 표면(U)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지지 평면(AE)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4)을 갖도록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고, 따라서 블레이드 본체(2a)는 기저 표면(U)에 대해 65°에서 80° 범위의 작동 각도(α)로 배향된다. 절삭 공구(1)를 연삭 및/또는 연마하기 위한 세트 및 상응하는 방법이 또한 마찬가지로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 공구
본 발명은 절삭 공구(cutting tool), 특히 블레이드 본체(blade body) 및 절삭 날(cutting edge)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부엌 칼(kitchen knife)과 같은, 칼에 관한 것이다.
절삭 날을 연삭(grinding) 또는 연마(polishing)하기 위해, 회전(rotating) 연삭 또는 연마 표면이 있는 연삭 또는 연마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롤링 그라인더(rolling grinders)"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연삭 또는 연마 공구는 예를 들어 DE 20 2020 001 180 U1 또는 EP 3 278 928 A로부터 알려져 있다.
연삭 또는 연마 공구에 대해 블레이드를 배치하기 위해, 소위 연삭 게이지(grinding gauge)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연삭 게이지에 의해, 블레이드는 연삭 표면에 대해 사전에 정해진(predetermined) 연삭 각도에 배치되어 연삭 게이지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연삭 각도로 절삭 날을 연삭한다.
만족스러운 작동 결과를 얻으려면, 절삭 공구, 연삭 게이지 및 연삭/연마 공구의, 세 가지 구성요소(components)가 존재하고 함께 작동해야 한다. 이는 절삭 공구의 연삭 및 연마 작동을 위한 사용자의 수송(logistic) 및 조정(coordinating) 노력을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절삭 공구, 청구항 8에 따른 세트(set), 및 청구항 10에 따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는 특히 칼 또는 부엌 칼이며, 개별적으로, 블레이드 본체 및 절삭 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절삭 공구는 절삭 날을 연삭 및/또는 연마하기 위해 절삭 공구가 평면의 기저 표면(underlying surface)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support portion)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본체(또는 이의 확장 평면)가 기저 표면에 대해 65°에서 80° 범위의 작동 각도(working angle)로 배향된다. 작동 각도는 블레이드 본체(또는 이의 확장 평면)와 지지 평면 사이의 각도를 지정한다. 지지 표면(supporting plane)이 기저 표면 상에 놓일 때, 작동 각도는 블레이드 본체(또는 이의 확장 평면)와 기저 표면 사이의 각도를 지정한다. 연삭 각도는 블레이드 본체의 확장 평면과 연삭 표면(grinding surface) 사이의 각도를 지정한다. 처음에 언급된 롤링 그라인더와 함께, 연삭 표면이 기저 표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회전한다. 연삭 각도(α, grinding angle)는 결과적으로 수학식 1에 의해 작동 각도(α)로부터 계산된다.
수학식 1 : β = 90° - α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stable)"이란 지지 평면에 대해 작동 각도를 유지하면서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도 절삭 공구가 기저 표면 상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 과정에서, 절삭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에서 유지되고 지지 평면과 함께 기저 표면 상으로 가압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절삭 공구가 자동으로, 즉 어떤 외부 힘의 작용 없이, 지지 부분과 함께 기저 표면 상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저 표면 상으로의 돌출부를 갖는 절삭 공구의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은 절삭 공구가 지지 부분과 함께 기저 표면 상에 놓일 때 (지지점(points of support) 사이의) 지지 부분의 영역에 있다.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 연삭/연마 도구에 의해 블레이드 상에 가해지는 힘에 대항력(counterforce)을 가하기(apply) 위해서, 하지만, 절삭 공구가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 사용자에 의해 쥐어지고, 지지 부분과 함께 기저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 블레이드의 절삭 날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대(support)로부터 멀어지게 향하고,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은 기저 표면을 향한다(도 4 참조). 하지만, 기본적으로 지지 부분이 절삭 공구에 배열되어 연삭 또는 연마 작동 동안 블레이드의 절삭 날이 기저 표면을 향하고, 블레이드 본체의 후면이 기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삭 공구의 제조에서 또는 선택적으로 연삭 또는 연마 작동이 시작되기 전에 지지 부분을 조정(adjust)함으로써, 작동 각도가 65°에서 80°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 절삭 날이 균일하고(uniformly) 예리하게(sharply) 날카롭게 되도록(sharpend) 작동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개발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작동 각도가 70°에서 75° 범위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15° 또는 20°의 연삭 각도는, 개별적으로, 실제로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15°의 연삭 각도는 예를 들어 육류 절삭에 사용되는 살코기용 칼(filleting knife)과 같이, 매우 날카로운 블레이드를 연삭하는 역할을 한다. 연삭 각도가 20°이면, 절삭 날이 덜 날카롭지만, 마모(wear)가 적다. 70°에서 75°의 작동 각도에 해당하는 15°에서 20°의 범위의 연삭 각도의 선택에 따라, 절삭 날의 날카로움과 마모 특성이 설정될 수 있다.
절삭 공구가 핸들 본체를 갖고, 핸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지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절삭 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핸들의 일 측 상에(예 : 핸들의 후면에) 배열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특히 연삭 또는 연마 작동 중에, 작동 위치에서 기저 표면 상의 지지 평면에 놓이는 절삭 공구를 기저 표면 상으로 누르기 위해, 접촉력(contact force)이 핸들 본체에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 공구와 기저 표면 사이의 정지 마찰(static friction)이 개선될 수 있다.
지지 부분이 일렬로(in one line) 놓이지 않는 지지 평면 내에 놓인 적어도 3개의 지지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의 팁(tip)과 반대쪽을 향하는 핸들 본체의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절삭 공구의 총 길이의 적어도 25%, 30%, 또는 40%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두 지지점 사이에 놓이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지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본체의 확장 평면으로부터 절삭 공구의 총 길이의 1%, 2% 또는 3%보다 큰 거리를 갖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배열의 안정성을 위해, 결정적인(decisive) 것은 지지 부분의 크기가 아니라, 지지 평면 내의 지지점 사이에 놓인 거리, 특히 블레이드 본체의 확장 평면에 수직인 거리이다. 절삭 날과 연삭/연마 공구 사이의 상대 이동이 보통 확장 평면에서 또는 그에 평행하게 수행되더라도, 연삭 또는 연마 작동에서는 보통 블레이드의 확장 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고 의도된 작동 위치로부터 블레이드와 절삭 공구를 옮겨놓는(displace) 힘 요소가 있다. 절삭 공구와 기저 표면 사이의 큰 접촉 표면(contact surface)은 기저 표면에 대한 절삭 공구의 정지 마찰(static friction)을 증가시키고 작동 위치에서 절삭 공구를 안정화시킨다. 지지 부분이 특히 실리콘의 코팅으로서, 탄성 설계(elastic design)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절삭 공구와 기저 표면 사이의 정지 마찰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절삭 공구가 블레이드 본체의 (연장 평면의) 다른 측면 상에 배열된 2개의 그러한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은 절삭 공구가 절삭 날을 연삭하기 위한 평면의 기저 표면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지지 평면을 정의하고, 블레이드 본체(또는 이의 연장 평면)가 기저 표면에 대해 매번 동일한 작동 각도로 배향되도록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이 증명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thereby), 절삭 날은 양 측면 상에서 특히 균일하게 날카롭게 되고 연마될 수 있다.
지지 부분이 절삭 공구에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용도(application)에 따라, 절삭 날이 개별 연삭 각도에서 연삭되거나 연마될 수 있다.
지지 부분이 작동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경우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입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분의 제1 위치에서의 작동 각도는 70°이고, 지지 부분의 제2위치에서는 75°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연삭 각도는 제1 위치에서 20°, 제2 위치에서 15°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이전 설계 중 하나에 따른 절삭 공구, 및 기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 내의,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의 굴러 떨어지는 동안,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을 갖는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를 포함하는, 세트에 관한 것이다.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가 원통형 핸들 본체를 포함하고, 그러한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은 핸들 본체의 각 축 단부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연삭/연마 공구의 이러한 설계는 매우 다용도인(versatile)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실제로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이전 설계 중 하나에 따른 절삭 공구를 연삭 및/또는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 블레이드 본체가 기저 표면에 대해 65°에서 80° 범위의 작동 각도로 배열되도록, 평면의 기저 표면 상에 지지 평면이 있는 절삭 공구를 배열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절삭 공구는 사용자에 의해 힘의 소모(expenditure)와 함께 지지 부분을 갖는 기저 표면 상으로 가압되어, 절삭 날이 기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단계 B: 기저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된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의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에 대해 절삭 날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EP 3 278 928 A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은 롤링 그라인더는, 평면의 기저 표면 상에서 롤링 그라인더의 굴러 떨어지는(rolling-off) 동안 기저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2개의 전면을 갖는 원통형 본체) 연삭 또는 연마 표면을 가진다.
-단계 C: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과 절삭 날 사이의 상대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절삭 날을 연삭 및/또는 연마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삭 공구는 여기서 연삭/연마 공구가 기저 표면 상에서 굴러 떨어지는 동안 그 종방향으로 절삭 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기저 표면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절삭 공구와 연삭/연마 공구 사이의 가벼운 접촉 압력(contact pressure)에 의해, 연삭 또는 연마 표면은 상대 이동 중에 블레이드로부터 재료(material)를 제거하고 따라서 절삭 날을 연삭 또는 연마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발전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발전은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개시된 특징의 조합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면에서:
도 1은 블레이드, 핸들 본체, 및 절삭 공구를 평면의 기저 표면 상에 배치하기 위한 지지 평면을 정의하는 핸들 본체에 배열된 지지 부분을 갖는 부엌 칼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도 1의 절삭 공구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절단면 A-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블레이드 본체 팁 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절삭 공구는 의도된 바와 같이 평면의 기저 표면 상의 지지 표면들 중 하나에 안착되어, 블레이드 본체가 지지대에 대해 미리 결정된(predetermined) 작동 각도로 배향되고, 블레이드의 절삭 날은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부엌 칼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부엌 칼(1)은 블레이드 본체(2a), 밑면의 볼록하게 만곡된(convexly curved) 절삭 날(2b), 윗면의 곧은 블레이드 후면(2c) 및 전면의 팁(2d)을 갖는 평평한 장방형(oblong) 블레이드(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2)는 평면(확장 평면(E))에서 연장되고 블레이드(2)의 연장부(extension)에서 연장되고 대략 직육면체(cuboid) 또는 선택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핸들(3)과 연결된다. 이 핸들(3)의 하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오목한(concave) 시트(seat)가 있다. 핸들(3)은 일체형 핸들 본체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의 연속적인 핸들 본체(3) 대신에, 2개의 핸들 하프 보울(handle half bowl)이 블레이드(2)의 서로 다른 측면 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블레이드(2)가 2개의 핸들 하프 보울 사이에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3)의 상 측면 또는 후면에서, 블레이드(2)의 각 측면 상에 블레이드(2)의 연장 평면(E)에 대해 각도 α로 배향되는 지지 부분(4)이 있고 절삭 날(2b)을 연삭 또는 연마하기 위해 평면의 기저 표면(U)(예를 들어, 주방 조리대) 상에 절삭 공구(1)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지지 평면(AE)을 정의한다. 이들 지지 부분(4)은 절삭 날(2b)이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과 동일한 연삭 각도()로 연삭될 수 있도록 절삭 공구(1)의 양 측 상에서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지지 부분(4)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3)의 후면에 연속적인 면으로서 형성된다. 2개의 지지 부분(4)은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 내의 핸들(3)의 후면에서 결합(join)되고 360°-2 X α의 반사각(reflex angle)을 형성한다. 각각의 지지 부분(4)이 자체적으로 연속적인 평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복수의 분리되고 이격된 지지 부분(4) 또는 지지점(4a, 4b, 4c)이 함께 지지 평면(AE)을 정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핸들(3)의 (팁(2d)을 향하는) 전면 단부 및 (팁(2d)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후면 단부에서, 2개의 이격된 돌출부가 지지 평면(AE)을 정의하는 지지 부분(4) 또는 지지점(4a, 4b, 4c)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사용되기 위해 특히 핸들의 후면에서 핸들(3)이 해부학적으로(anatomically) 형상화될 수 있는 반면,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가 핸들(3)을 잡고 있을 때 지지 부분(4)을 촉각적으로(haptically) 감지할 수 없다는 이점을 가질 것이다. 의도된 작동 위치에서 절삭 공구(1)의 안정성을 위해, 각각의 지지 부분(4)의 적어도 3개의 다른 지지점(4a, 4b, 4c)이, 특히 절삭 공구(1)의 종방향으로 및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에 수직으로, 가능한 멀리 이격되어, 블레이드 본체(2a)가 의도된 연삭/연마 작동 동안 연삭/연마 표면(5a)에 대해 일정한 작동 각도(α)로 맞물린(engage)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면 도움이 된다. 본 예에서, 부엌 칼(1)은 대략 30cm의 총 길이(L)를 갖는다. 핸들(3)의 전면 및 후면 단부에 있는 지지 부분(4)의 2개의 지지점(4a, 4b)은 여기서 이상적으로 길이(L)의 적어도 30%에 상응하는 거리(X)만큼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삭 공구(1)의 총 길이를 따라 측정되는 지지점(4a 및 4b) 사이의 거리(X)는, 도 2에 도시되며 따라서(accordingly) 적어도 9cm에 이른다(amount to).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절삭 날(2b)의 의도된 연삭/연마 작동 중에 블레이드의 후면(2d)이 기저 표면(U)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절삭 공구(1)의 무게 중심은, 지지 부분(4)에 의해 정의된 지지 평면(AE)에 수직으로 투영될 때, 정확히 지지 부분(4)의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지지점(4a, 4b, 4c)에 의해 정의된 표면 내에 있다.
또한, 지지점(4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1)의 총 길이(여기서는 개별적으로, 30cm 또는 300mm)로부터, 3mm를 의미하는 적어도 1%인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으로부터 거리(Y)를 갖는다.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으로부터 지지 평면(AE) 내의 극단적인(extreme) 지지점(4b)의 거리(Y)가 길수록, 작동 위치 내의 절삭 공구(1)의 기울어진 경사는 작아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의도된 연삭/연마 작동 중에 작동 각도(α)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더 긴 거리(Y)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도된 작동 위치 내에서 절삭 공구(1)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지만, 거리(A)는 절삭 동안 절삭 공구(1)의 핸들링(handling)이 영향을 받을 정도로 길지 않아야 한다.
도 3에 따른 표현(representation)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1)는 대칭 단면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평면(AE)과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 사이의 각도(α)는 70°이다. 절삭 공구(1)가 연장 평면(AE)과 함께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에 놓일 때, 이 각도(α)는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과 평면의 기저 표면(U) 사이의 소위 작동 각도(α)에 상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블레이드 본체(2a)는 처음에(in the beginning) 언급된 연삭/연마 공구(5)의 연삭 표면(5a)에 대해 20°의 이상적인 연삭 각도(α)에 자동으로(automatically) 배치된다. 그러한 연삭/연마 공구(5)의 연삭/연마 표면(5a)은, 공지된 바와 같이, 공구(5)가 의도된 대로 기저 표면(U) 상에서 굴러 떨어질 때 기저 표면(U)에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의도된 적용(application)을 위해, 절삭 공구(1)는 초기에 지지 평면(AE)을 갖는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으로 배치되거나 가압되어, 블레이드 본체(2a)는 기저 표면(U)에 대해 지지 부분(4)과 블레이드 본체(2a)의 연장 평면(E)사이의 각도에 상응하는 20°의 사전 결정된 작동 각도(α)로 배열된다(단계 A).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핸들(3) 상으로 압축력(compression force)을 가하여, 핸들(3) 내로 도입된 힘이 핸들(3)에 배치된 지지 부분(4)을 통해 기저 표면(U) 상으로 직접 작용하고 작동 위치에서 절삭 공구(1)를 안정화시킨다.
다음, 절삭 날(2b)은 기저 표면(U)에 수직으로 배향된 연삭 또는 연마 공구(5)의 연삭 또는 연마 표면(5b)에 대해 배치되고(단계 B) 및 그 다음 절삭 날(2b)의 종방향으로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5b)과 절삭 날(2b) 사이의 상대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연삭 또는 연마된다(단계 C).
절삭 날(2b)을 양 측 상에서 연삭하기 위해, 절삭 공구(1)가 다른 지지부(4)에 의해 정의된 지지 평면(AE)을 갖는 기저 표면(U) 상으로 배치된다. 그런 다음, 상술한 단계(A 내지 C)가 반복된다.
실질적으로 이전 예시된 실시예에 기초하고 아래에 언급된 차이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특징을 갖는 도시되지 않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부분(4)은 작동 각도(α)를 변경하도록 조정 가능하고 작동 각도가 예를 들어 70°인 제1 위치와 작동 각도가 75°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지지 부분(4)이 제1 및 제2 위치 모두에서 구속(arrest)될 수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작동 각도(α)의 변경이 방지된다.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추가 유리한 발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1)가 추가 보조 없이 연삭 표면(5)에 대해 대응하는 연삭 각도(α)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핸들(3)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분(4)을 갖는 칼날(1)은 왼쪽 및/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추가 도움 없이 대응하는 연삭 각도(α)에서 매우 쉽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핸들(3) 전체를 평평하게 날카롭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핸들(3)은 내부적으로 연삭되어 2개의 날에서만 지지대 또는 지지점을 가질 수 있다. 4점 지지를 나타내는 둥글고 돌출된 리벳(rivet)도 생각할 수 있다.
1 : 절삭 공구(칼)
2 : 블레이드
2a : 블레이드 본체
2b : 절삭 날
2c : 블레이드 후면
2d : 블레이드 팁
3 : 핸들
4 : 지지 부분
5 :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
5a :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
5b : 연삭 및/또는 연마 디스크
5c : 핸들 본체
AE : 지지 평면
E : (블레이드 본체의) 평면
S : 연삭 평면
U : 기저 표면

Claims (10)

  1. 블레이드 본체(2a) 및 절삭 날(2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1), 특히 칼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1)는 상기 절삭 날(2b)을 연삭 및/또는 연마하기 위해 상기 절삭 공구(1)가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수단으로서 지지 평면(AE)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4)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2a)는 상기 기저 표면(U)에 대해 65°에서 80° 범위의 작동 각도(α)로 배향되는, 절삭 공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각도(α)는 70°에서 7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1)는 핸들(3)을 갖고, 상기 핸들(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분(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분(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삭 날(2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핸들(3)의 일 측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4)은 일렬로 놓이지 않는 상기 지지 평면(AE) 내에 놓인 적어도 3개의 지지점(4a, 4b, 4c)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팁(2d)과 반대쪽을 향하는 핸들(3)의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절삭 공구(1)의 총 길이(L)의 적어도 25%, 30%, 또는 40%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두 지지점(4a, 4b) 사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지지점 중 적어도 하나(4b)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2a)의 확장 평면(E)으로부터 상기 절삭 공구(1)의 상기 총 길이(L)의 1%, 2% 또는 3%보다 큰 거리(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1)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2a)의 다른 측면 상에 배열된 2개의 지지 부분(4)을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절삭 공구(1)가 상기 절삭 날(2b)을 연삭하기 위한 상기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지지 평면(AE)을 정의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2a)가 상기 기저 표면(U)에 대해 매번 동일한 작동 각도(α)로 배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4)은 상기 절삭 공구(1)에 조정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4)은 상기 작동 각도(α)를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분(4)의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작동 각도(α)는 70°이고, 상기 지지 부분(4)의 제2위치에서는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삭 공구(1) 및 상기 기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S) 내의, 상기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에서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5)의 굴러 떨어지는 동안,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5b)을 갖는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5)를 포함하는,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5)는 원통형 핸들 본체(5c)를 포함하고,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5b)은 상기 핸들 본체(5c)의 각 축 단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삭 공구(1)를 연삭 및/또는 연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블레이드 본체(2a)가 상기 기저 표면(U)에 대해 65°에서 80° 범위의 작동 각도(α)로 배열되도록, 상기 평면의 기저 표면(U) 상에 지지 평면(AE)이 있는 상기 절삭 공구(1)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기저 표면(U)에 수직으로 배향된 연삭 및/또는 연마 공구(5)의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5b)에 대해 상기 절삭 날(2b)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절삭 날(2b)의 종방향으로) 상기 연삭 및/또는 연마 표면(5b)과 상기 절삭 날(2b) 사이의 상대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절삭 날(2b)을 연삭 및/또는 연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22687A 2020-12-16 2021-12-09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공구 KR20230110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3853.8A DE102020133853B3 (de) 2020-12-16 2020-12-16 Schneidwerkzeug mit Auflageabschnitt für voreingestellten Schleifwinkel
DE102020133853.8 2020-12-16
PCT/EP2021/084956 WO2022128728A1 (de) 2020-12-16 2021-12-09 Schneidwerkzeug mit auflageabschnitt für voreingestellten schleifwink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814A true KR20230110814A (ko) 2023-07-25

Family

ID=7923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687A KR20230110814A (ko) 2020-12-16 2021-12-09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40051160A1 (ko)
EP (1) EP4263156A1 (ko)
JP (1) JP2023554054A (ko)
KR (1) KR20230110814A (ko)
CN (1) CN116710245A (ko)
AU (1) AU2021402376A1 (ko)
CA (1) CA3203816A1 (ko)
DE (1) DE102020133853B3 (ko)
IL (1) IL303628A (ko)
MX (1) MX2023007110A (ko)
WO (1) WO20221287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5445A1 (en) * 2005-07-12 2007-01-18 Kathleen Harden Sharpening guidelines for blades
JP5021355B2 (ja) 2007-04-12 2012-09-05 株式会社エルゴコーポレーション 包丁研ぎ器
JP2011143485A (ja) 2010-01-13 2011-07-28 Fukuju Oshima 目立て・研磨装置
DE102016009482B4 (de) 2016-08-05 2018-06-14 Timo Horl Vorrichtung zum Schleifen und/oder Polieren eines Schneidwerkzeuges
DE202020001180U1 (de) 2020-03-25 2020-04-23 Mobiset Gmbh Rollschleifer und Rollschleifer-Set
DE202020103080U1 (de) 2020-05-28 2020-07-01 Detlef Werner Hilfswerkzeug zum Schleifen einer Schne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33853B3 (de) 2022-04-28
AU2021402376A1 (en) 2023-06-29
IL303628A (en) 2023-08-01
CN116710245A (zh) 2023-09-05
US20240051160A1 (en) 2024-02-15
WO2022128728A1 (de) 2022-06-23
MX2023007110A (es) 2023-06-27
EP4263156A1 (de) 2023-10-25
CA3203816A1 (en) 2022-06-23
JP2023554054A (ja)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4702A (ja) 狩猟用及びアジアンナイフのための精密研ぎ器
JP4583274B2 (ja) やすり
EP2626172A2 (en) Kitchen knife with sharpener
KR101777140B1 (ko) 네일 케어 니퍼용 연마장치
KR20230110814A (ko) 사전 설정된 연삭 각도를 위한 지지 부분이 있는 절삭공구
JP2820286B2 (ja) 包丁研ぎ器
JP2010260160A (ja) 刃物研ぎ具
JP2949492B1 (ja) 理髪鋏の精密刃研ぎ装置
KR102119520B1 (ko) 복합 날 연마장치
JP3205848U (ja) 刃研ぎ装置
US1817506A (en) Sharpener for shears and scissors blades
JP3991158B2 (ja) 庖丁研ぎ器
JP3176799U (ja) 刃物研ぎ用装置
JP3244377U (ja) 研ぎ台付刃物研ぎ器
JP3180923U (ja) 爪切り用操作てこ
JP3219990U (ja) 研ぎ台付刃物研ぎ器
JP4683651B2 (ja) 刃研ぎ装置
JPS62136355A (ja) 研ぎ出し用ホルダ−
TWI276502B (en) Setting apparatus for sharpening angle of blade of blade sharpening machine
JPH09193028A (ja) 刃物研ぎ器
JPS5920931Y2 (ja) 電動式刃物研磨器
KR200216654Y1 (ko) 가위 숫돌
JPH10328981A (ja) 流動性研磨材用研磨作業面、研磨法及び該研磨面を備えた作業台
JP3092950U (ja) はさみ研磨器
JP6282913B2 (ja) ソーチェーン目立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