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825A -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825A
KR20230103825A KR1020220032811A KR20220032811A KR20230103825A KR 20230103825 A KR20230103825 A KR 20230103825A KR 1020220032811 A KR1020220032811 A KR 1020220032811A KR 20220032811 A KR20220032811 A KR 20220032811A KR 20230103825 A KR20230103825 A KR 2023010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bus
lamp
layered
cu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465B1 (ko
Inventor
최학희
백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0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825A/ko
Priority to KR102023016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의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레이어드 램프부와, 각각의 램프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램프가 슬라이딩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여 출입문 외측으로 램프들을 슬라이딩시키고,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지면이나 연석의 형상에 부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고, 불안정한 발판에 의한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layered lamp of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출입문에는 거동이 불편한 승객이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발판, 즉, 램프(Ramp)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램프는 평상 시에는 출입문 하부에 내장되어 있다가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밀려나오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램프는 설계상으로 정해진 각도로만 슬라이딩되므로, 버스의 운전자는 램프를 슬라이딩시킨 이후에 버스의 높이를 낮추거나 출입문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램프와 지면 간의 단차를 해소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램프는 버스의 출입문 근처에 연석이 있는 경우 연석에 의해 램프의 각도가 틀어지면서 연석의 하부로 밀려나거나 동작이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램프의 각도가 틀어지면서 연석의 하부로 밀려나면 램프와 연석 간의 단차가 발생하므로, 거동이 불편한 승객이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탑승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램프가 연석의 상부에 안착되지 못하고 연석의 측면이나 모서리에 닿은 상태로 정지할 경우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승객이 탑승하면 램프가 흔들리면서 승객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의 출입문 주변에 연석이나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항상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경사로를 제공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레이어드 램프부; 각각의 램프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램프가 슬라이딩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출입문 외측으로 램프들을 슬라이딩시키고,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가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획득한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상기 구동부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버스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가, 램프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램프를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단계; 및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하는 경사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 형성 단계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로가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획득되는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하는 안착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판정 단계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상기 구동부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 모터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버스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레이어드 램프부의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함으로써, 지면이나 연석의 형상에 부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발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의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하고,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불안정한 발판에 의한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경사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구동부의 동작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경사로의 안착 실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경사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구동부의 동작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경사로의 안착 실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은 레이어드 램프부(110),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은 버스(10)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에 탑재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이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경사로를 제공하며, 특히, 지면이나 연석 등에 의해 버스(10)의 출입문 주변의 환경이 상이하더라도 항상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경사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드 램프부(110)는 버스(10)의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된다.
이러한, 레이어드 램프부(110)는 복수 개의 램프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램프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드 램프부(110)는 후술하는 구동부(120)의 동력에 의해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이때, 적층된 램프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된다.
이때,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레이어드 램프부(110)는 지면이나 연석으로부터 버스(10)의 출입문을 연결하는 경사로를 형성하며, 특히, 출입문 외측의 지면이나 연석의 형상에 따라 각 램프의 슬라이딩된 길이가 조절되어 지면이나 연석에 안착되는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에 연석이 존재하고, 레이어드 램프부(110)가 연석의 모서리에 접하는 경우 복수의 램프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며 연석의 모서리에 접한 특정 램프의 슬라이딩된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며, 전술한 특정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도 최소값을 갖게 된다.
또한, 레이어드 램프부(110)에서 연석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접한 램프들은 연석의 모서리에서 멀어질수록 슬라이딩된 길이가 점차 증가하면서, 연석의 형태에 맞게 각 램프의 슬라이딩된 길이가 조절되어 안정적인 형태의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에 평평한 지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레이어드 램프부(110)가 지면에 접하면서 복수의 램프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특정 램프의 슬라이딩된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그 특정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도 최소값을 갖게 된다.
또한, 레이어드 램프부(110)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특정 램프에 비해 상부에 위치할수록 각 램프의 슬라이딩된 길이가 점차 증가하여, 평평한 지면에 복수의 램프들이 모두 접하는 형태로 지지되는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레이어드 램프부(110)의 램프들이 슬라이딩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램프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120)는 버스(10)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구동 모터로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외에도, 램프를 밀어내거나 끌어당기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나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램프 동작 신호 또는 램프 해제 신호에 따라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경사로를 형성하거나 형성된 경사로를 해제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버스(10)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전동기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인 IMU(Intergrated Moving control Unit)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버스(10)의 운전석에 위치한 램프 스위치(11)로부터 램프 동작 신호 또는 램프 해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램프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출입문 외측으로 레이어드 램프부(110)의 램프들을 슬라이딩시키고,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부(120)를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30)는 구동부(120)의 동작 전류에 기초하여 각각의 램프가 지면이나 연석에 접한 상태인지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0)의 동작 전류 파형을 살펴보면, 멈춰 있던 구동부(120)가 동작하면서 순간적으로 동작 전류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인러쉬 구간, 동작 전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안정화 구간 및 동작 한계점에 도달하거나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하여 더 움직이지 못하는 램프로 인해 구동부(120)에 부하가 발생하여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즉, 제어부(130)는 구동부(120)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구동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상태로 버스(10)의 출입문으로 연결되는 경사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경사로가 형성되면, 구동부(120)로부터 획득한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참고로, 경사로의 안착에 성공하는 경우, 복수의 램프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게 되며, 램프들이 연석의 모서리에 접하여 경사로를 형성하면, 복수의 램프 중 중앙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게 된다.
그러나,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 중 상부에 위치한 일부의 램프들만 연석에 접하게 되면,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게 되는데, 이 경우, 경사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승객이나 휠체어의 하중에 의해 흔들리면서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가 모두 지면이나 연석에 접하지 못한 상태로 동작 한계점까지 연장되면, 각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갖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경사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함은 물론이고, 경사로와 연석 간의 틈이나 단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130)는 버스(10)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한다.
이때, 버스(10)의 운전자는 램프 스위치(11)를 조작하여 레이어드 램프부(110)를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수납한 후, 버스(10)를 이동시키거나 출입문 방향으로 기울인 이후에, 다시 램프 스위치(11)를 조작하여 출입문 외측에 경사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안정안 경사로에 의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먼저, 램프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S110).
S11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버스(10)의 운전석에 위치한 램프 스위치(11)로부터 램프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버스(10)의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레이어드 램프부(110)를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S120).
S12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버스(10)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여 각각의 램프와 일대일로 연결된 구동부(120)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램프를 동시에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램프들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램프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한다(S130).
S13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구동부(120)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이나 연석에 접하여 버스(10)의 출입문을 연결되는 경사로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스톨 구간은 동작 한계점에 도달하거나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하여 더 움직이지 못하는 램프로 인해 구동부(120)에 부하가 발생하여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경사로가 형성되면, 구동부(120)로부터 획득한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한다(S140).
S1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참고로,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는 경우에는 복수의 램프 중 상부에 위치한 일부의 램프들만 연석에 접한 것이어서 경사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에는 복수의 램프가 모두 지면이나 연석에 접하지 못한 상태로 동작 한계점까지 연장된 것이어서, 경사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함은 물론이고, 경사로와 연석 간의 틈이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경사로를 정상적으로 안착시킨 것으로 판정되면 경사로를 그대로 유지하며 램프 해제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고(S150),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버스(10)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한다(S160).
S15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램프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게 되면, 지면에 경사로가 안착된 것으로 판정하고, 복수의 램프 중 중앙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120)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게 되면, 연석의 모서리에 경사로가 안착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경고를 출력한 이후에, 램프 스위치(11)로부터 램프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10)의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램프들을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으로 수납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10)의 운전자는 클러스터에 출력된 경고를 확인하여, 버스(10)를 이동시키거나 출입문 방향으로 기울인 후 램프 스위치(11)를 조작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30)는 전술한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110 : 레이어드 램프부
120 : 구동부
130 : 제어부

Claims (10)

  1. 버스의 출입문 하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레이어드 램프부;
    각각의 램프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램프가 슬라이딩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출입문 외측으로 램프들을 슬라이딩시키고,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가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획득한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상기 구동부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버스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6.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가, 램프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램프를 출입문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단계; 및
    슬라이딩된 램프들이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층 구조의 경사로를 형성하는 경사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 형성 단계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전류가 증가하는 스톨 구간에 진입하면 램프가 지면 또는 연석에 접한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경사로가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획득되는 동작 전류 파형에 기초하여 경사로의 안착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하는 안착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판정 단계는,
    동작 전류 파형에서 상기 구동부의 스톨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램프에 연결된 구동 모터의 스톨 시간이 최소값을 갖거나 각 램프에 연결된 구동부의 스톨 시간이 모두 동일하면, 경사로의 안착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경사로의 안착 실패 시 버스의 클러스터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방법.
KR1020220032811A 2021-12-31 2022-03-16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5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5903A KR20230164638A (ko) 2021-12-31 2023-11-24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89 2021-12-31
KR20210194489 2021-12-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903A Division KR20230164638A (ko) 2021-12-31 2023-11-24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825A true KR20230103825A (ko) 2023-07-07
KR102652465B1 KR102652465B1 (ko) 2024-03-29

Family

ID=87153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811A KR102652465B1 (ko) 2021-12-31 2022-03-16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165903A KR20230164638A (ko) 2021-12-31 2023-11-24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903A KR20230164638A (ko) 2021-12-31 2023-11-24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24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0389A (ja) * 2013-12-20 2015-07-02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車輌用乗降ステップ装置
JP2019116112A (ja) * 2017-12-26 2019-07-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2021126957A (ja) * 2020-02-12 2021-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ロー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0389A (ja) * 2013-12-20 2015-07-02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車輌用乗降ステップ装置
JP2019116112A (ja) * 2017-12-26 2019-07-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2021126957A (ja) * 2020-02-12 2021-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ロー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638A (ko) 2023-12-04
KR102652465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251B1 (en) Methods for stair climbing in a cluster-wheel vehicle
JP4170892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CA3015168C (en) Motor coaches for the mobility impaired
CN110546099B (zh) 座椅电梯
US20170282774A1 (en) Vehicle accessibility system
KR20230103825A (ko) 버스용 레이어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326240B2 (ja) 移動体及びその最高速度の制御方法
US9340239B2 (en) Passenger service vehicle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CN107458169B (zh) 用于控制可变车桥以预防安全事故的装置和方法
JP7143830B2 (ja) 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JP4410577B2 (ja) 避難用エレベータ及びそのかご構造
JP3619519B2 (ja)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KR20100089925A (ko) 지하철 승강장용 승강 발판장치
JP3141906U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JPH09309470A (ja) 走行車輌
JP2006263104A (ja) 電動車椅子
JP6057290B2 (ja) 傾斜路昇降設備
JP3079340B2 (ja) エスカレータ
CN115291600A (zh) 一种自行走灯塔的自平衡角度补偿的方法及存储介质
KR20240069328A (ko) 차량용 밀림 방지장치
JP2001233568A (ja) 階段に組込んだ乗用リフトの構造
JP2015231285A (ja) 電動車両、外部給電装置
JP2002264799A (ja) 乗降補助装置
JP2008063028A (ja) 湾曲型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