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995A -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995A
KR20230096995A KR1020237012584A KR20237012584A KR20230096995A KR 20230096995 A KR20230096995 A KR 20230096995A KR 1020237012584 A KR1020237012584 A KR 1020237012584A KR 20237012584 A KR20237012584 A KR 20237012584A KR 20230096995 A KR20230096995 A KR 2023009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oop
hook
yarn
engag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사가라
요시카츠 후지사와
노부히로 고가
Original Assignee
구라레파스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레파스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레파스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8Mixed male and femal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44B18/0034Female or loop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57Female or loop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dhesive; fusib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00Selved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06C13/08Cutting pile loo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명세서에 있어서 정의하는 Tb 가 Ts 의 0.94 배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에서는, 그 양 단부에 존재하는 귀부 영역이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양 단부에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존재한다. 그 결과, 그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의류 등에 꿰매 붙이는 경우, 귀부 영역에 꿰매 붙인 재봉실이 사행하지 않고 일직선이어서, 외관이 우수한 봉제품이 얻어진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및/또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직물 면 파스너로서, 위사로서 열 융착성 섬유를 사용하고, 동 (同) 열 융착성 섬유를 융착시켜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면 파스너의 직물 기포 (基布) 에 고정시킨 직물계의 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직물 기포를 갖는 면 파스너로서,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 갖는, 이른바 직물계 후크 면 파스너와, 그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걸어 맞출 수 있는,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를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 갖는, 이른바 직물계 루프 면 파스너의 조합이 알려져 있다. 직물계 후크 면 파스너와 직물계 루프 면 파스너는, 걸어맞춤/박리를 반복해도, 걸어맞춤 소자의 손상이 없고, 걸어맞춤력의 저하가 적은 점에서 널리 의료품 (衣料品) 이나 일용 잡화 등의 용도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양방을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 갖는, 이른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도, 후크 면 파스너와 루프 면 파스너의 양방의 면 파스너의 기능을 1 종류의 면 파스너에서 겸비하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직물 기포에 섞어넣어 짠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걸어맞춤을 박리할 때의 인장에 의해 직물 기포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직물 기포의 이면에는 백 코트 접착제라고 칭하는 우레탄계나 아크릴계의 수지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백 코트 접착제층을 형성한 면 파스너는, 이면에 존재하는 백 코트 접착제층에 의해 직물 기포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강직해지기 쉬워, 질감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 면 파스너로서 사용 중에 접착제가 열화되기 쉬워,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고정력이 점차 저하되어,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기능이 저하된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직물 기포의 이면에 존재하는 백 코트 접착제층 때문에, 면 파스너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결점도 있다.
또한 백 코트 접착제를 직물 기포 이면에 도포한 직물 면 파스너는 백 코트 접착제층 때문에 염료액이 직물 기포를 관통할 수 없어 균일하게 또한 농색으로 염색할 수 없다. 따라서, 염색은,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는 걸어맞춤 소자용 실 등이 직물 기포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염색 처리에 의해 직물 기포를 구성하고 있는 실이 이동하여 어긋남 등을 발생시켜, 걸어맞춤 소자의 줄이 흐트러진다.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경우에는, 걸어맞춤 소자의 줄이 흐트러지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 (片脚) 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형성할 때에, 편각만을 확실하게 절단하는 것이 어려워져, 양각이 절단되는 경우나 양각 모두 절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와 같은 백 코트 접착제를 이면에 도포하는 면 파스너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면 파스너로서, 특허문헌 1 에는, 경사, 위사 및 걸어맞춤 소자용 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의 열 수축성 실을 사용하고, 또한 위사를 구성하는 실로서 열 융착성 섬유를 사용하고, 이 열 융착성 섬유의 융착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실의 열 수축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직물 기포에 고정된 면 파스너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도, 폴리에스테르계 경사 및 폴리에스테르계 위사로 형성되는 직물 기포의 편면에, 경사에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 폴리에스테르계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로 형성된 다수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기립하고, 또한 그 위사로서 사용한 열 융착성 섬유의 융착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상기 실의 열 수축에 의해 그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루트부가 직물 기포에 고정되어 있는 자기 융착 루프 면 파스너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 면 파스너의 양 단부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를 형성하고, 이 귀부를 사용하여, 의류, 장갑, 신발, 백 등의 일용 잡화에 봉제에 의해 직물 면 파스너를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귀부를 갖는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면 파스너용 기포를 짤 때에, 기포 표면측의 경사에 평행한 양 단부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도록 면 파스너 기포를 짜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 확실히, 백 코트 접착제층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종래의 백 코트 접착제층을 형성한 면 파스너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루트부를 위사의 열 융착에 의해 직물 기포에 고정시킬 때에, 열 수축이 불균일해지기 쉽고, 그 결과, 경사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쉽다. 어긋남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귀부 영역도 위사 방향으로 어긋남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 결과, 귀부 영역의 폭이 불균일해지거나, 혹은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구부러짐을 발생시키거나 한다. 귀부의 폭이 불균일해지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면, 봉제에 의해 의류 등에 장착할 때에, 귀부에 꿰매 붙인 재봉실이 사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어, 의류 등의 상품 가치가 저하된다.
특히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 광폭의 면 파스너용 기포를 짜고, 이 광폭의 면 파스너 기포를 경사 방향으로 슬릿하여, 복수의 장척 면 파스너를 동시에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 상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의 경우에는, 슬릿하는 부분에,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을 위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 열 또는 복수 열 존재시켜,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이 귀부 형성용 영역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경사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귀부 형성용 영역도 위사 방향으로 어긋난다. 특히, 귀부 형성용 영역이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귀부 형성용 영역의 중앙부를 정확하게 슬릿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을 갖는 장척의 직물 면 파스너를 얻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귀부 영역의 폭이 불균일해지면, 상기한 바와 같이, 봉제에 의해 의류 등에 꿰매 붙일 때에, 귀부 영역에 꿰매 붙인 재봉실이 사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어, 의류 등의 상품 가치가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는,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경사에 평행하게 직물 기포에 섞어넣어 짜고, 곳곳에서 직물 기포로부터 루프상으로 기립시켜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를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함으로써 제조한다. 경사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그것에 수반하여,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도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루프의 편각만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양각이 절단된 것이나, 양각이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것이나, 절단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 등이 혼재하게 되어, 면 파스너로서의 상품 가치가 저하된다.
상기 특허문헌 1 에는, 얻어진 직물 면 파스너에 주름이나 변형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만, 경사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에 관해서는 기재가 없다. 상기 특허문헌 2 에는, 처음부터 양 단부에 귀부를 갖는 폭 1 인치의 직물 면 파스너를 직조하고 있으므로, 경사 방향으로 슬릿하지 않고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정도의 작은 폭의 경우에는, 어긋남이 발생하더라도 근소하고, 따라서, 이 특허문헌 2 의 기술에서는, 귀부 영역이 위사 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귀부 폭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WO2005/122817호 WO2007/74791호
본 발명은,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귀부 영역을 양 단부에 갖고 있는 직물 면 파스너를 얻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귀부 영역이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거의 없고, 그 결과,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이 양 단부에 경사 방향을 따라 존재하고 있는 장척 직물 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직물 면 파스너의 양 단부에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는 귀부 영역의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귀부 형성용 영역) 이 존재하고, 귀부 형성용 영역을 경사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 복수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직물 면 파스너를 동시에 얻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간을 경사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 균일 폭의 귀부 영역을 갖는 복수 개의 장척 직물 면 파스너를 동시에 얻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균일하게 염색되어 있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귀부 영역이 어긋나지 않고 경사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균일 폭으로 존재하고 있는 직물 면 파스너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만이 정확하게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후크 직물 면 파스너 혹은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는 직물 기포,
그 기포의 경사에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로 형성되고, 그 기포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또는 그 쌍방으로 이루어지고,
그 경사, 그 위사 및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모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이고,
그 위사는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그 걸어맞춤 소자의 밑동이 그 열 융착성 섬유에 융착되고, 그 기포에 고정되어 있는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 이하의 요건 (1) 과 (2) 를 만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제공한다.
(1) 경사가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시키고, 그 경사가 기포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 Tb 가, 기포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 Ts 의 0.94 배 이하인 것,
(2) 기포 표면측의 경사에 평행한 양 단부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
바람직하게는 Tb 는 Ts 의 0.92 배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b 는 Ts 의 0.7 ∼ 0.88 배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기포 표면측의 경사에 평행한 양 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2 개의 귀부 영역의 사이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이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고, 그 귀부 형성용 영역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경사에 평행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귀부 형성 영역은 그 폭 방향 중앙에서 경사에 평행하게 슬릿되고, 양 단부에 존재하는 귀부 영역 중 적어도 1 개가 상기 귀부 형성 영역에서 유래하는 귀부 영역인 직물 면 파스너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기포의 이면에는, 걸어맞춤 소자를 기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는 분산 염료에 의해 염색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공정 1 ∼ 공정 3 을 이 순서로 실시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공정 1 :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는 직물 기포,
그 기포의 경사에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기포 표면의 양 단부에 존재하고,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그 기포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그 쌍방을 형성하고,
그 경사, 그 위사 및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모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이고,
그 위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하는 공정,
공정 2 :
그 면 파스너용 직물을 열처리로 내에서, 그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그 면 파스너용 직물을 구성하는 실을 열 수축시킴과 함께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시키는 열처리 공정,
공정 3 :
열처리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상기 열처리로로부터 꺼내고, 그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공정.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공정 1 ∼ 공정 3 을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공정 3 은, 기포의 표면측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지 않고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 3 의 후에 하기의 공정 4 를 실시하고, 또한 공정 1 ∼ 공정 4 까지를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한다.
공정 4 :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형성하는 공정.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공정 1 에 있어서,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을 상기 귀부 영역의 사이에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하여 형성하고, 그 귀부 형성용 영역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경사에 평행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하고, 공정 3 의 후 또는 공정 4 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정 4 의 후에, 하기의 공정 5 를 실시한다.
공정 5 :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 사이에 놓여져 있는 귀부 영역에서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그 기포를 슬릿하는 공정,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정 4 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정 4 의 종료 후, 또 공정 4 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정 3 의 종료 후, 얻어진 장척의 폴리에스테르계 면 파스너를 권취하고, 권취된 상태에서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액 중에 침지시켜 동 면 파스너를 염색시킨 후, 상기 공정 5 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정 5 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 기포를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직물 기포를 구성하고 있는 실을 열 수축시킨 후, 그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이 조작에 의해, 양 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귀부 영역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귀부 형성용 영역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그 결과, 양 단부에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장척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진다. 또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이 직선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장척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진다.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정확하게 경사 방향으로 슬릿할 수 있고, 이로써 균일 폭의 귀부 영역을 갖는 장척의 직물 면 파스너를 복수 개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함으로써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동일하게 수정되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만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후크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위사로서 사용한 열 융착성 섬유를 용융시킴과 함께 기포를 구성하고 있는 실을 열 수축시킨 후,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이 조작에 의해,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시키고 있는 경사의,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가,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동 두께의 0.94 배 이하가 된다. 이와 같은 경사의 두께 관계를 만족하고 있음으로써, 상기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는 직물 면 파스너는, 슬릿하기 전의 폭이 넓은 상태에서 권취된다. 이 폭넓게 권취된 직물 면 파스너를 염색 가마에 넣고, 염색액에 침지시켜 염료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염료액이 균일하게 면 파스너 내를 관통하여, 염반 (染斑) 없이 염색된 광폭의 직물 면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염색된 광폭의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경사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 복수의 염색된 직물 면 파스너를 한꺼번에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경사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가 상기한 관계를 만족하고,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사나 위사의 국소적 변형이 수정되고, 특히 경사와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일례 (귀부 영역을 갖지만,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다른 일례 (귀부 영역 및 귀부 형성용 영역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경사에 평행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공정 3 을 실시하지 않았던 경우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경사에 평행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열처리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는,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고 있는 후크 직물 면 파스너,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고 있는 루프 직물 면 파스너, 직물 기포의 표면에 다수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다수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양방을 갖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주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경사 및 위사로 형성된다. 한편,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상대가 되는 루프 직물 면 파스너는, 주로,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경사 및 위사로 형성된다. 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동일면에 병존하고 있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는, 주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경사 및 위사로 형성된다. 이들 직물 면 파스너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외의 실이 섞어넣어 짜여져 있어도 된다.
경사, 위사 및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열, 흡수, 흡습에 의해 너울거림 (직물 면 파스너의 기포면이 불규칙하게 오르고 내려, 수평한 면이 되지 않는 상태) 을 발생시키지 않는 점에서, 또한 열 융착에 의해 실끼리가 강고하게 접합되는 점에서, 모두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이고, 주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축합 반응 또는 테레프탈산과 부탄디올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소량이라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 이외, 또는 테레프탈산과 부탄디올 이외의 중합 단위가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에는, 그 이외의 폴리머가 소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경사와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호모폴리머로 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위사를 형성하는 심초 (core/sheath) 형 열 융착성 섬유의 초 성분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처리 온도에서는 용융되지 않는 융점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가 실을 형성하는 주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섬유가 혼면이나 혼섬, 합쳐 꼬아져 있어도 된다.
경사로는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고, 20 ∼ 60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100 ∼ 3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고, 24 ∼ 48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150 ∼ 28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경사는, 위사의 열 융착성 섬유를 융착시키는 조건에서 열 수축을 발생시키는 것이 걸어맞춤 소자의 고정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이 4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은 140 ∼ 330 ℃ 인 것이, 위사의 열 융착성 섬유의 융착 상태를 제어하는 점이나 경사의 가압 상태를 제어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메이커로부터 다양한 건열 수축률의 것이 판매되고 있으며, 그것들에서 적절한 건열 수축률을 갖는 실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시판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적당한 열처리함으로써도 원하는 건열 수축률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위사로는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고, 열 융착성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다. 위사는, 10 ∼ 72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80 ∼ 3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 56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90 ∼ 26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위사의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은 10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는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야만 한다. 열 융착성 섬유의 대표예로서, 초 성분을 열 융착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의 열 융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위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직물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의 직물 면 파스너와 같이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직물 기포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계나 아크릴계의 백 코트 접착제를 직물 면 파스너 기포 이면에 도포할 필요가 없어진다.
위사 대신에 경사에 열 융착성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기포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경사에 평행하게 기포에 박아 넣어지므로, 경사와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교차하는 지점은 위사와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교차하는 지점에 비해 훨씬 적다. 따라서 열 융착성 섬유를 경사에만 사용한 경우에는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 경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주행하는 기포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일정 품질의 직물 면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연속 생산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쉽다.
상기한 심초형의 열 융착성 섬유로는, 초 성분을 용융시켜, 동 열 융착성 섬유와 접하고 있거나, 혹은 옆에 위치하고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의 밑동을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심 성분은 열처리 조건하에서는 용융되지 않지만 초 성분은 용융되는 심초형의 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 성분으로 하고,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등으로 대표되는 공중합 성분을 다량으로 공중합, 예를 들어 20 ∼ 30 몰% 공중합시킴으로써 융점 또는 연화점을 크게 저하시킨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소프탈산, 술포이소프탈산 소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15 ∼ 30 몰% 공중합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초 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초 성분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120 ∼ 210 ℃ 이고, 또한 경사, 심 성분,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혹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의 융점보다 20 ∼ 120 ℃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심초형 열 융착성 섬유의 단면 형상은, 동심 심초여도 되고, 편심 심초여도 되고, 혹은 언뜻 보면 바이메탈풍의 첩합 형상으로 되어 있는 편심 심초여도 된다. 또한 1 심 심초여도 되고, 다심 심초여도 되며, 특히 1 심 심초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고, 10 ∼ 72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80 ∼ 3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 56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90 ∼ 26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위사의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은 10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사의 전부가 실질적으로 심초형의 열 융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 요컨대 위사가 심초형의 열 융착성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인 것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모두 강고하게 기포에 고정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위사를 구성하는 섬유가 심초 단면 형상의 복합 섬유 혹은 혼합 섬유가 아니고, 섬유 단면의 전부가 열 융착성의 폴리머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융되었다가 다시 굳어진 열 융착성 폴리머는 물러서 균열되기 쉬우므로, 봉제한 경우 등에는 재봉실 부분에서부터 기포가 찢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열 융착성 섬유는, 열 융착되지 않는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심초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심 성분과 초 성분의 중량 비율은 85 : 15 ∼ 40 : 60 의 범위, 특히 80 : 20 ∼ 60 : 4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모두 강고하게 기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열 융착성 섬유가 열 융착됨과 함께, 열 융착성 섬유가 열 수축되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밑동을 양측에서 단단히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 융착성 섬유는 열처리 조건하에서 크게 열 수축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이 8 ∼ 3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크 직물 면 파스너 또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에는, 가벼운 힘으로는 후크 형상이 신전되지 않는 강직성과, 후크 형상이 신전되더라도 힘이 제거되면 즉시 원래의 후크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이른바 후크 형상 유지성이 요구되며, 그러기 위해 굵고 단단한 합성 섬유제의 모노필라멘트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모노필라멘트사로서, 강직성과 후크 형상 유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열 융착성 섬유를 열 융착시킬 때의 온도에서는 용융되지 않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사용된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다.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의 직경은 0.12 ∼ 0.23 ㎜ 인 것이 상기한 후크 형상 유지성과 강직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 ∼ 0.21 ㎜ 이다. 걸어맞춤력을 높이기 위해, 그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형상을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대표되는 이형 단면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는, 경사와 동일하게, 열 융착성 섬유를 융착시키는 조건에서 열 수축되는 것이 걸어맞춤 소자의 고정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이 10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 직물 면 파스너 또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의 걸어맞춤을 박리할 때의 인장력에 대한 내절단성과 펼쳐진 루프 형상이 걸어맞춤에 의해 신전되더라도 힘이 제거되면 즉시 원래의 펼쳐진 루프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이른바 루프 형상 유지성의 양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과 동일하게, 상기 열 융착성 섬유를 열 융착시킬 때의 온도에서는 용융되지 않는 융점이 195 ∼ 270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다.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루프 형상 유지성과 내절단성의 점에서 5 ∼ 15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150 ∼ 5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고, 6 ∼ 12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200 ∼ 4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초기 걸어맞춤 강력이나 질감이 보다 향상되므로, 40 ∼ 180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토탈 데시텍스가 200 ∼ 600 데시텍스인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는, 경사와 동일하게, 상기 열 융착성 섬유를 융착시키는 조건에서 열 수축을 발생시키는 것이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고정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이 10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1 에서는, 이상 서술한 경사, 위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로, 먼저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한다. 직조직 (織組織) 으로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경사의 일부로 한 평직이 바람직하다. 이들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경사와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다.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도중에 직물 기포 표면으로부터 기립하고, 루프를 형성하면서 경사를 1 ∼ 3 개 뛰어넘어 경사 사이에 파고들도록 짜는 것이, 후크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효율적으로 절단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경사를 넘지 않고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가 경사에 평행하게 존재하도록 짜는 것이,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걸어 맞춰지기 쉬운 방향을 향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루프를 형성하면서 경사를 1 ∼ 3 개 뛰어넘어 경사 사이에 파고들도록 짜고,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루프를 형성하면서 경사를 1 개 뛰어넘어 경사 사이에 파고들도록 짜는 것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 측부를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또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걸어 맞춰지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경사의 직밀도 (織密度) 는, 열처리 후의 직밀도로 35 ∼ 80 개/㎝ 가, 또 위사의 직밀도는, 열처리 후의 직밀도로 12 ∼ 30 개/㎝ 가 걸어맞춤 소자의 밑동을 강고하게 기포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위사의 중량 비율은,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 혹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실, 경사 및 위사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15 ∼ 40 % 가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박아 넣는 개수는, 각각 경사 20 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포함한다) 에 대하여 2 ∼ 8 개 정도인 것이 걸어맞춤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의 합계가 경사 20 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포함한다) 에 대하여 2 ∼ 8 개인 것이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고,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의 개수의 비가 40 : 60 ∼ 60 : 40 인 것이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존재하는 걸어맞춤 소자 영역 (1) 의 양 단부에, 경사 방향 (Wa)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 (2a) 을 형성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귀부 영역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귀부 영역 (2a) 의 사이에,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 (2b) 을 경사 방향 (Wa) 에 평행하게, 1 열 혹은 복수 열 형성한다. 귀부 형성용 영역 (2b) 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귀부 형성용 영역 (2b) 의 중간부를 정확하게 경사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 양 단부에 균일 폭의 귀부를 갖는 직물 면 파스너를 복수 개 동시에 양호한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발휘된다.
즉, 2 개의 귀부 영역 (2a) 과 1 또는 복수 열의 귀부 형성용 영역 (2b) 이 위사 방향 (We) 으로 간격을 두고 기포 표면에 존재하고 있고 (도 2 에서는, 귀부 영역 2 개 및 귀부 형성용 영역 3 개가 존재하고 있다), 걸어맞춤 소자 영역 (1) 이, 귀부 형성용 영역 (2b) 에 의해, 경사 방향 (Wa) 으로 연속하고 있지만 위사 방향 (We) 으로 복수의 영역 (도 2 에서는, 4 개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으로 분할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부 영역 (2a) 의 위사 방향 (We) 의 폭 (열 수축 후) 은 0.5 ∼ 1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8 ㎜ 이며, 귀부 형성용 영역 (2b) 의 위사 방향 (We) 의 폭 (열 수축 후) 은 1 ∼ 8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6 ㎜ 이다. 걸어맞춤 소자 영역 (1) 은, 귀부 형성용 영역 (2b) 에 의해 위사 방향 (We) 으로 7 ∼ 50 ㎜ 폭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걸어맞춤 소자 영역 (1) 이 폭 15 ∼ 30 ㎜ 의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부 형성용 영역 (2b) 을 슬릿하기 전의 직물의 위사 방향 (We) 의 전체 폭으로는 80 ∼ 300 ㎜ 의 범위가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어맞춤 소자 영역 (1) 이 귀부 형성용 영역 (2b) 에 의해 2 ∼ 12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부 형성용 영역 (2b) 에는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섞어넣어 짜여져 있지 않는 것이 직물 면 파스너의 유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정 2 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 (6) 을, 바람직하게는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장척 상태인 채로 열처리로 (7) 내를 연속 주행시켜 열처리한다. 이 열처리에 의해, 위사를 구성하는 심초형 열 융착성 섬유의 초 성분만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경사,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위사를 열 수축시켜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직물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열처리로 내를 주행 중인 장척 면 파스너용 직물 (6) 에는, 충분히 수축될 수 있도록, 지나치게 장력을 가하지 않고, 또한 장척 면 파스너 직물의 상하 양면이 어느 것에도 접하지 않고 열처리로 내를 프리한 상태로 주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처리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직물 기포에 고정되므로, 종래의 직물 면 파스너에서 실시되고 있던 백 코트 접착제액의 도포 및 건조 처리가 불필요해져, 백 코트용 접착제의 사용에 의한 공정 상의 문제점 및 직물 면 파스너의 유연성, 통기성, 통액성이 저해된다는 성능 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 직물 면 파스너나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이 열처리시의 열에 의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형상이 고정되고, 이후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로 한 후에 있어서도, 후크 형상이 유지되어, 충분한 걸어맞춤 강도가 얻어진다. 또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경우에도, 루프 형상이 자연스러운 펼쳐짐을 갖는 균일한 형상이 된다.
열처리 온도는, 위사를 구성하고 있는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 또는 연화되지만 그 이외의 실은 용융되지 않는 온도이고, 또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가 루프상으로,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가 자연스러운 펼쳐짐을 갖는 루프상으로 고정되는 온도인 150 ∼ 250 ℃ 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 230 ℃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 ∼ 220 ℃ 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열처리는, 통상적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처리로 내 (7) 를, 롤러, 가이드 등의 물체에 접하지 않고, 즉 미접촉의 상태에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주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만약, 열처리로 내 (7) 에서 롤러, 가이드 등에 접촉하면, 그것에 의해 열 수축이 도중에 억제되어 부분적인 변형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면 파스너용 직물 (6) 을 0.30 ∼ 1.30 m/분의 속도로 열처리로에 20 ∼ 120 초간 체재하도록 주행시킴으로써 열처리는 완성된다. 도 5 에 있어서, L 은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를 나타낸다.
공정 3 에서는, 이와 같은 열처리를 실시한 면 파스너용 직물이 열처리로 (7) 를 나온 직후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도 5 에서는, 열처리로 (7) 를 나온 직후에, 고정된 면 (8) 에 면 파스너용 직물의 이면을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하고 있다. 이면만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기 위해서는, 직물 기포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점이, 국부적인 변형의 수정이나 경사의 어긋남을 수정하는 원인으로 생각된다.
상기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열처리로 (7) 내에서 발생한 열 수축에 의한 면 파스너용 직물의 국부적인 불균일한 변형이 수정되고, 귀부 영역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 및 귀부 형성용 영역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그 결과, 양 단부에 일정 폭의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장척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진다. 또, 귀부 형성용 영역의 중간부를 정확하게 경사 방향으로 슬릿할 수 있고, 이로써 균일 폭의 귀부 영역을 양 단부에 갖는 복수의 직물 면 파스너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열처리로에 들어가고 나서 이면이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될 때까지, 면 파스너용 직물의 표면 및 이면은, 롤러나 가이드 등의 고체물에 일절 접하지 않고, 열처리로를 나온 직후에 비로소 이면이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직물 기포 이면을 가압하는 고정된 면 또는 롤면은, 직물 기포 이면과의 접촉 길이가 20 ∼ 100 ㎜ 이고, 접촉 시간이 2 ∼ 10 초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금속제, 세라믹스제 또는 내열성 수지제의 고정된 면이나 롤면을 적합재로서 들 수 있다. 고정된 면이나 롤면의 표면은, 경면 상태여도 되고, 조화상 (粗化狀) 이어도 되고, 또 기포 이면을 가압할 수 있다면 다소의 요철을 갖고 있어도 된다.
고정된 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 기포 이면이 고정된 면 (8) 을 따라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특히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 바람직하다. 도 5 에서는, 면 파스너용 직물 (6) 은 고정된 면 (8) 을 따라 90°주행 방향을 변경하고 있다. 또한, 고정된 면이나 롤면은, 접촉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열처리 온도보다 80 ∼ 210 ℃ 낮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열처리로로부터 나온 열처리된 면 파스너용 직물 (6) 이 갖고 있는 여열에 의해 고정된 면이나 롤면 (8) 의 표면이 데워져 있도록 조정하면 된다. 직물 기포 이면을 가압하는 면은, 면이 고정되어 있는 면이어도 되고, 면 파스너용 직물의 주행에 따라서 접촉면이 회전하는 롤면, 면 파스너용 직물을 적극적으로 잡아당기는 구동이 부여된 롤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가이드상의 폭이 좁은 면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 파스너용 직물 (6) 은 열처리로 (7) 를 통과하고, 열처리로 (7) 를 통과하는 동안에 경사 및 위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축되고, 열처리로 (7) 로부터 나온 직후에,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상을 계속해서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압착될 때에는, 면 파스너용 직물 (6) 에는 경사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된다.
면 파스너용 직물이,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을 통과한 직후에서의 면 파스너용 직물에 가해지는 장력은 50 ∼ 600 g/㎝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을 통과하기 전에는 면 파스너용 직물에 최대한 장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을 통과한 직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력이 면 파스너용 직물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 경사는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시키고 있고, 따라서 직물 기포 이면은 경사로 덮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위사는,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열 융착성 섬유의 용융물이 고정된 면이나 롤면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그것이 원인이 되어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도 없다.
특히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면 파스너용 직물 (6) 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함으로써, 경사 및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된다. 또한, 그 후에 실시하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로 하는 작업에 있어서, 편각만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편각만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후크 직물 면 파스너 또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가 얻어진다.
면 파스너용 직물 (6) 의 이면을, 위사로서 사용한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는 조작은, 도 5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처리를 한 면 파스너용 직물을 냉각시키지 않고, 열처리로 (7) 에서의 열처리에 연속하여, 열처리시의 여열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열처리로 (7) 로부터 나온 면 파스너용 직물을 냉각시킨 후, 재가열하여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해도 된다.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면 파스너용 직물 (6) 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시키고 있는 경사의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 (K) 의 두께 Tb 가, 경사의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 (K) 의 두께 Ts 의 0.94 배 이하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Tb 는 Ts 의 0.92 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b 는 Ts 의 0.88 배 이하이다.
단, Ts 에 비해 Tb 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직물 기포의 이면이, 열 융착에 의해 치밀화, 평탄화되고, 직물의 메리트인 유연성, 질감, 통기성, 통액성이 저해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Tb 는 Ts 의 0.7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0.75 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 은,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면 파스너용 직물 (6) 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직물 면 파스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 는,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면 파스너용 직물 (6) 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 (8) 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하지 않았던 경우의 직물 면 파스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Tb 가 Ts 와 거의 동일한 값으로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Tb/Ts 비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조 공정 중에 면 파스너 직물의 자중에 의해 Tb 의 값이 Ts 의 값보다 감소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감소는 매우 근소하여, Tb 가 Ts 의 0.96 배 이하가 되는 경우는 없다. Tb 가 Ts 의 0.94 배 이하임으로써, 경사 및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 등이 수정되는 본 발명의 효과가 비로소 얻어진다.
다음으로,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시키고 있는 경사의 Tb 와 Ts 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직물 면 파스너의 표면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또한 걸어맞춤 소자에 의한 영향이 적은 지점을 면도용의 안전 면도날을 사용하여 경사와 경사의 사이를 경사에 평행하게 절단하였다. 얻어진 절단 부분의 단면을 200 배로 확대한 사진을 찍었다. 얻어진 절단 부분의 단면 사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3 이다. 이 사진으로부터, 경사가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을 순서대로 3 개 지점 임의로 선택하고,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을 순서대로 3 개 지점 임의로 선택하여, 각각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측정을 직물 면 파스너의 임의의 10 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된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의 측정값 합계 30 개와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의 측정값 합계 30 개로부터 가장 큰 쪽에서부터 순서대로 5 개의 측정값과 가장 작은 쪽에서부터 순서대로 5 개의 측정값을 제거하고, 나머지 20 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평균값이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b,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s 이다.
또한, 열 융착성 수지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물 면 파스너 직물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해도, 면 파스너 직물의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경사의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의 전부가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 중에는,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되지 않고, Tb 가 Ts 와 거의 다름없는 지점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지점도 임의로 선택된 지점 중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Tb/Ts 비는, 이들 지점도 포함시킨 평균값이다.
도 4 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 직물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지 않았던 경우의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b 와 Ts 가 거의 동일값인 경우에는, 열처리시의 수축에 의해 발생한 경사나 걸어맞춤 소자용 실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수정되지 않으므로, 귀부 형성용 영역의 중간부를 정확하게 슬릿하는 것이 어렵고, 또 편각만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갖는 후크 직물 면 파스너나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얻는 것도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Tb/Ts 비는, 주로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직물 기포를 가압할 때의 강도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직물 기포를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고정된 면 상 또는 롤 면 상을 주행시키고,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된 면 또는 롤면을 따라 주행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Tb/Ts 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할 때에,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존재하고 있는 직물 기포의 표면측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면 파스너용 직물을 롤 사이에 놓고, 면 파스너용 직물을 상하로부터 가압하는 조작을 실시한 경우에는, 직물 기포의 표면에 직립하고 있는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가 밀려 넘어뜨려지고, 그 상태에서 직물 기포의 표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능이 저하됨과 함께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도 악화된다. 또, 면 파스너용 직물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양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한 경우에는 Tb 와 Ts 가 거의 동등해져,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Tb/Ts 비를 만족할 수 없다.
후크 직물 면 파스너 혹은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하고,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직물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여 얻은 면 파스너용 직물을 냉각시킨 후,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로 한다 (공정 4).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단 장치로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2 개의 고정날 사이에 배치된 가동 절단날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절단하는 구조를 갖는 절단 장치가 바람직하다.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의 루프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를 넘는 장소에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루프의 편각만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직조 공정 (공정 1) 부터 열처리 공정 (공정 2), 그리고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대고 누르는 공정 (공정 3) 까지를, 도중에 롤상으로 권취하지 않고, 연속 주행시킴으로써 양호한 생산성으로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할 수 있다. 또, 후크 직물 면 파스너 또는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직조 공정 (공정 1) 부터 열처리 공정 (공정 2), 그리고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대고 누르는 공정 (공정 3), 추가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로 하는 공정 (공정 4) 까지를 동일한 속도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 주행시킴으로써, 양호한 생산성으로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백 코트 접착제를 이면에 도포하는 직물 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짜는 공정은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도, 직물 기포의 이면에 접착제액을 도포하고, 접착제의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데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각 공정을 동일 속도로 실시할 수 없다. 그 결과,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한 후에 일단 권취하고, 그리고 감아올린 면 파스너용 직물을 풀어 다음의 백 코트 접착제 도포 및 건조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생산성이 매우 떨어졌다. 이 점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직물 면 파스너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실은, 종래의 직물 면 파스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나일론계의 실이나 폴리올레핀계의 실과 비교하여 강직하므로, 얻어지는 직물 면 파스너도 강직해져, 유연성이 요구되는 의료, 신발, 장갑 등의 일용 잡화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백 코트 접착제 도포에 의한 직물 면 파스너의 강직화는 저지된다. 이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실인 것도 상관없이, 본 발명의 직물 면 파스너는 유연성이 요구되는 의류나 일용 잡화 분야에도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백 코트 접착제를 이면에 도포하는 직물 면 파스너의 경우에는, 이면의 백 코트 접착제층이 직물 면 파스너의 통액성을 저하시키므로, 염색액이 직물 면 파스너를 관통할 수 없어, 염색성이 떨어진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 즉,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실이 기포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염색할 수 밖에 없었다. 기포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염색시키면, 염색 처리 중의 염색액의 유동에 의해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실이 이동하고, 그 결과, 걸어맞춤 소자의 줄에 흐트러짐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실은 열처리에 의해 직물 기포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열처리 후에 있어서도 직물 면 파스너는 통액성을 갖고 있으므로, 열처리 후에 염색할 수 있어, 종래 기술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로 하는 공정 4 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 공정 4 의 종료 직후, 또 공정 4 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대고 누르는 공정 3 의 종료 직후에, 얻어진 장척의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처음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권취된 상태에서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액으로 염색시키는 것이, 염색 처리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게다가 폭이 넓고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한꺼번에 염색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점에서, 더욱 균일한 염색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정 5 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염색 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된 슬릿 전의 폭넓은 면 파스너용 직물을, 면 파스너용 직물의 폭보다 약간 높은 높이를 갖고, 통액성을 갖는 원통상의 용기에 넣고, 이 용기를 염색 가마 내에 쌓아 올린다. 이 상태에서 염색 가마에 분산 염료를 함유하는 염료액을 넣고, 110 ∼ 145 ℃ 의 온도 및 2 ∼ 5 ㎫ 의 압으로 용기의 상하, 측면 및 중심부로부터 면 파스너용 직물 내에 염료액을 순환시켜 염색시킨다. 이 염색 처리에 의해, 한꺼번에 효율적으로, 또한 염반 없이 염색된 슬릿 전의 폭넓은 직물 면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염색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염색 처리는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직물 면 파스너가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는 경우에는,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 방향으로 슬릿한다. 이로써, 복수 장의 장척 직물 면 파스너가 동시에 제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직물 면 파스너는, 염색 후에 있어서도 귀부 영역 및 귀부 형성용 영역이 위사 방향으로 거의 어긋나 있지 않으므로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슬릿하는 것이 용이하여, 동일한 폭의 귀부를 갖는 직물 면 파스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직물 면 파스너에, 난연 처리나 발수 처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슬릿하는 것에 앞서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 상에서 바람직하다.
슬릿하기 전에 염색 처리된 직물 면 파스너인지의 여부는, 슬릿면의 염색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슬릿하기 전에 염색된 경우에는,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가 다른 부분의 섬유 단면과 동일하지만, 슬릿한 후에 염색된 경우에는,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가 다른 부분의 염색 농도보다 진해진다.
본 발명의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높이는, 직물 기포면으로부터 1.2 ∼ 2.1 ㎜ 가, 또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높이는 직물 기포면으로부터 1.9 ∼ 3.0 ㎜ 가 걸어맞춤력의 점에서, 또한, 걸어맞춤 소자가 잘 쓰러지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후크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밀도, 루프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밀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합계 밀도는, 열 수축 후의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직물 기포 부분의 면적에 대하여, 각각 30 ∼ 70 개/㎠, 35 ∼ 140 개/㎠, 35 ∼ 70 개/㎠ 가 바람직하다.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개수와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개수의 비율은, 40 : 60 ∼ 60 : 4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 루프 직물 면 파스너, 및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는, 종래의 일반적인 직물 면 파스너가 사용되고 있는 용도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백, 모자, 장갑 등 외에, 의류, 혈압계, 서포터류, 포장을 묶는 밴드, 결속 테이프, 각종 장난감류, 토목 건축용 시트의 고정, 각종 패널이나 벽재의 고정, 전기 부품의 고정, 자유롭게 조립/해체할 수 있는 수납 상자나 곤포 케이스, 소품류, 커튼 등의 폭넓은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봉제에 의해 직물 면 파스너를 천이나 시트에 장착하는 용도 분야, 예를 들어 의류, 신발, 백, 모자, 장갑, 서포터 등의 분야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은 JIS L 3416 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직물 면 파스너가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인 경우에는, 걸어맞춤 상대로서 후크 직물 면 파스너 A8693Y (쿠라레 파스닝 (주)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직물 면 파스너가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인 경우에는, 걸어맞춤 상대로서 루프 직물 면 파스너 B2790Y (쿠라레 파스닝 (주)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직물 면 파스너가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인 경우에는, 동일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루프 직물 면 파스너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경사, 위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로서 다음의 실을 사용하였다.
경사
· 융점 26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167 dtex 로서 30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6 %
위사 : 열 융착성 심초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260 ℃)
· 초 성분 : 이소프탈산 25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190 ℃)
· 심초 비율 (중량비) : 70 : 30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120 dtex 로서 24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5 %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융점 : 220 ℃)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305 dtex 로서 8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4 %
상기 경사, 위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평직 조직의 루프 직물 면 파스너용 직물 (간단히 "면 파스너용 직물" 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이하와 같이 직조하였다.
열 수축 처리 후의 직밀도가 경사 55 개/㎝, 위사 21 개/㎝ 가 되도록 경사와 위사를 박아 넣었다. 경사 4 개에 1 개의 비율로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경사를 넘지 않고, 위사 5 개를 부침시킨 후에 직물 기포 상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경사에 평행하게 박아 넣었다.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은 경사 방향에 평행한 일방의 단부에서 타방의 단부를 향하여 이하의 영역을 갖고 있었다.
일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타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얻어진 폭 12.2 ㎝ 의 면 파스너용 직물을, 위사의 초 성분만이 열 용융되고, 또한 경사,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및 위사의 심 성분이 열 용융되지 않는 온도인 195 ℃ 의 열처리로 내를 고체물에 접하지 않고, 또한 장력을 거의 가하지 않고 60 초간 주행시켜 열처리하여, 경사, 위사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수축시켰다. 그 결과, 면 파스너용 직물은 위사 방향으로 10 % 수축되고, 초 성분은 용융되어 인근에 존재하는 실에 융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열 융착성 섬유 (초 성분) 가 아직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5 에 기재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용 직물을, 그 이면을 열처리로의 출구 직후에 설치된 조화 표면을 갖는 스테인리스제의 고정된 면 (그 이면과 접촉 길이 5 ㎝) 에 가압하면서 5 초간 주행시키고, 그 후, 200 g/㎝ 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주행시켰다.
냉각 후, 얻어진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권취하였다.
또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짜는 공정 1 부터, 열처리하는 공정 2, 추가로 이면을 고정된 면에 가압하는 공정 3 까지를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 밀도는 44 개/㎠ 이고,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직물 기포면으로부터의 높이는 2.1 ㎜ 였다.
얻어진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감아올린 상태에서 통액성이 있는 원통상 용기에 삽입하였다. 이 용기를 염색 가마에 넣고, 가마 내를 남색의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액으로 채우고, 염색액을 135 ℃ 및 3.5 ㎫ 의 가열 가압으로 직물 면 파스너 내을 관통, 순환시켜 염색시켰다.
얻어진 남색으로 염색된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사이에 놓여진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에 평행하게 슬릿하여, 양단에 폭 2 ㎜ 의 귀부 영역을 갖고,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 루프 직물 면 파스너는, 모두 염색 얼룩이 없고, 또한 4 개 모두가 동 농도로 염색되어 있었다. 또한,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는 다른 부분의 섬유 단면과 동일하였다.
종래의 나일론계의 실로 이루어지고,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한 루프 직물 면 파스너와 비교하여, 얻어진 귀부가 형성된 루프 직물 면 파스너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귀부 영역의 폭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도 포함한다) 이 항상 일정한 2 ㎜ 이고, 경사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없었다. 따라서, 귀부 영역의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 (端) 이 귀부 영역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빠진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b 와,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s 를 측정한 결과, 도 3 에 기재한 바와 같이, Tb 가 0.089 ㎜, Ts 가 0.104 ㎜ 로서, Tb/Ts 는 0.86 이었다. 얻어진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전단 초기 강력이 14.9 N/㎠, 초기 박리 강력이 1.15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이 13.6 N/㎠, 박리 강력이 1.05 N/㎝ 로서, 직물 면 파스너로서 우수한 걸어맞춤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윈드 브레이커의 소맷부리의 개폐에 사용하는 면 파스너로서, 윈드 브레이커의 소맷부리에 봉제에 의해 장착한 결과, 유연하고, 또한 귀부 폭이 항상 일정한 점에서, 재봉실이 사행하지 않아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 후크 직물 면 파스너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경사, 위사 및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로서 다음의 실을 사용하였다.
경사
· 융점 26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167 dtex 로서 30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6 %
위사 : 열 융착성 심초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260 ℃)
· 초 성분 : 이소프탈산 25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190 ℃)
· 심초 비율 (중량비) : 70 : 30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99 dtex 로서 24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5 %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260 ℃)
· 섬도 : 370 dtex (직경 : 0.19 ㎜)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8 %
상기 경사, 위사 및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평직 조직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용 직물 (간단히 "면 파스너용 직물" 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이하와 같이 직조하였다.
열 수축 처리 후의 직밀도가 경사 55 개/㎝, 위사 19 개/㎝ 가 되도록 경사와 위사를 박아 넣고, 경사 4 개에 1 개의 비율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를 경사에 평행하게 박아 넣었다.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는 위사 5 개를 부침시킨 후에 경사 3 개를 넘고, 넘은 지점에서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은 경사 방향에 평행한 일방의 단부에서 타방의 단부를 향하여 이하의 영역을 갖고 있었다.
일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타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을, 위사의 초 성분만이 열 용융되고, 또한 경사, 후크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및 위사의 심 성분이 열 용융되지 않는 온도인 210 ℃ 의 열처리로 내를 고체물에 접하지 않고, 또한 장력을 거의 가하지 않고 55 초간 주행시켜 열처리하여, 경사, 위사 및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를 수축시켰다. 그 결과, 면 파스너용 직물은 위사 방향으로 11 % 수축되고, 초 성분은 용융되어 인근에 존재하는 실에 융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열 융착성 섬유 (초 성분) 가 아직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5 에 기재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용 직물을, 그 이면을 열처리로의 출구 직후에 설치된 스테인리스제의 조화 표면을 갖는 고정된 면 (그 이면과 접촉 길이 5 ㎝) 에 가압하면서 5 초간 주행시키고, 그 후, 200 g/㎝ 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주행시켰다.
냉각 후,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부를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형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권취하고, 감아올린 상태에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심홍색의 분산 염료액으로 염색시켰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밀도는 42 개/㎠ 이고, 또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기포면으로부터의 높이는 1.5 ㎜ 였다. 또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짜는 공정 1 부터, 열처리하는 공정 2, 이면을 고정된 면에 가압하는 공정 3, 추가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 절단 공정까지를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하여 실시하고,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부를 절단한 후,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처음으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사이에 놓여진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경사에 평행하게 슬릿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을 갖고,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모두 염색 얼룩이 없고, 또한 4 개 모두 동 농도로 염색되어 있었다. 염색물을 관찰한 결과,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는 다른 부분의 섬유 단면과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나일론계의 실로 이루어지고,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크 직물 면 파스너와 비교하여, 얻어진 귀부가 형성된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귀부 영역의 폭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도 포함한다) 이 항상 일정한 2.0 ㎜ 이고, 경사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없었다. 따라서, 귀부 영역의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이 귀부 영역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빠진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소자면을 상세하게 관찰한 결과,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는, 모두 동일한 높이의 지점에서 편각만이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고, 양각이 절단된 루프, 양각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은 루프, 도중까지만 절단 자국이 나 있는 루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b 와,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s 를 측정한 결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b 가 0.084 ㎜, Ts 가 0.100 ㎜ 로서, Tb/Ts 는 0.84 였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이 14.9 N/㎠, 초기 박리 강력이 1.15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이 13.6 N/㎠, 박리 강력이 1.05 N/㎝ 로서, 직물 면 파스너로서 우수한 걸어맞춤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유아용 신발의 갑피를 단단히 조이는 밴드의 고정구로서 갑피 조임 밴드에 봉제에 의해 장착한 결과, 유연하고, 또한 귀부 폭이 항상 일정한 점에서, 재봉실이 귀부에 평행하게 주행하고 있어,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형성하는 경사, 위사,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및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로서 다음의 실을 사용하였다.
경사
· 융점 26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167 dtex 로서 30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6 %
위사 : 열 융착성 심초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사
· 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260 ℃)
· 초 성분 : 이소프탈산 25 몰%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185 ℃)
· 심초 비율 (중량비) : 70 : 30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110 dtex 로서 24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5 %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융점 : 220 ℃)
· 토탈 데시텍스 및 필라멘트 개수 : 305 dtex 로서 8 개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4 %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 260 ℃)
· 섬도 : 370 dtex (직경 : 0.19 ㎜)
· 180 ℃ 에서의 건열 수축률 : 18 %
상기 경사, 위사,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 및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평직 조직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용 직물 (간단히 "면 파스너용 직물" 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이하와 같이 직조하였다.
열 수축 처리 후의 직밀도가 경사 55 개/㎝, 위사 19 개/㎝ 가 되도록 경사와 위사를 박아 넣었다.
경사 4 개에 1 개의 비율로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를, 위사 3 개를 부침시킨 후에 경사 1 개를 넘고, 넘은 지점에서 직물 기포 상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경사에 평행하게 박아 넣었다.
경사 4 개에 1 개의 비율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를, 위사 3 개를 부침시킨 후에 경사 3 개를 넘고, 넘은 지점에서 직물 기포 상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경사에 평행하게 박아 넣었다.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용 멀티필라멘트사와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모노필라멘트사는 각각 2 개 단위로 연속하여 존재하도록 교대로 섞어넣어 짰다.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은 경사 방향에 평행한 일방의 단부에서 타방의 단부를 향하여 이하의 영역을 갖고 있었다.
일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폭 6.0 ㎜ 의 귀부 형성용 영역,
폭 22.5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타방의 단부에 존재하는 폭 7.0 ㎜ 의 귀부 영역.
얻어진 폭 12.2 ㎝ 의 면 파스너용 직물을, 위사의 초 성분만이 열 용융되고, 또한 경사,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위사의 심 성분이 열 용융되지 않는 온도인 205 ℃ 의 열처리로 내를 장력을 거의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60 초간 주행시켜 열처리하여, 경사, 위사 및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수축시켰다. 그 결과, 면 파스너용 직물은 위사 방향으로 11 % 수축되고, 초 성분은 용융되어 인근에 존재하는 실에 융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열 융착성 섬유 (초 성분) 가 아직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 파스너용 직물을, 그 이면을 열처리로의 출구 직후에 설치된 조화 표면을 갖는 스테인리스제의 고정된 면 (그 이면과 접촉 길이 5 ㎝) 에 가압하면서 5 초간 주행시키고, 그 후, 200 g/㎝ 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주행시켰다.
냉각 후,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부를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형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권취하고, 감아올린 상태에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심홍색의 분산 염료액으로 염색시켰다.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밀도는 30 개/㎠,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 밀도는 30 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의 기포면으로부터의 높이는 1.6 ㎜,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의 기포면으로부터의 높이는 2.0 ㎜ 였다. 또한, 직물을 짜는 공정 1 부터, 열처리하는 공정 2, 추가로 이면을 고정된 면에 가압하는 공정 3, 추가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 절단 공정까지를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용 직물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 사이에 놓여진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경사에 평행하게 슬릿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을 갖고,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및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의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는, 모두 염색 얼룩이 없고, 또한 4 개 모두 동 농도로 염색되어 있었다. 염색물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1 이나 2 의 경우와 동일하게,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는 다른 부분의 섬유 단면과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나일론계의 실로 이루어지고,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와 비교하여, 얻어진 귀부가 형성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귀부 영역의 폭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도 포함한다) 이 항상 일정한 2.0 ㎜ 이고, 경사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없어, 귀부 영역의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이 귀부 영역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빠진다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상세하게 관찰한 결과, 모두 동일한 높이의 지점에서 편각만이 완전히 절단되어 있고, 양각이 절단된 것이나, 양각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것이나, 도중까지만 절단 자국이 나 있는 것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b 와,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s 를 측정한 결과, Tb 가 0.087 ㎜, Ts 가 0.102 ㎜ 로서, Tb/Ts 는 0.85 였다.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은 11.1 N/㎠, 초기 박리 강력은 1.05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은 10.0 N/㎠, 박리 강력은 0.96 N/㎝ 로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로서 우수한 걸어맞춤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얻어진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서포터의 조임용 테이프로서, 서포터에 봉제에 의해 장착한 결과, 유연하고, 또한 귀부 폭이 항상 일정하므로 봉제선이 사행하지 않아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었다. 서포터를 원통에 통과시키고, 일단을 되접어 꺾어 후크/루프 걸어맞춤 소자면끼리를 걸어 맞춤으로써, 조임력도 충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공정 3 을 실시하지 않고, 공정 2 에서 얻어진 열처리 후의 면 파스너용 직물을 냉각시킨 후에 롤러로 인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루프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 루프 직물 면 파스너는, 길이 방향으로 약간이기는 하지만 염색 얼룩이 있고, 특히, 양 단부에 가까운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은 2 개에는, 염색 얼룩이 곳곳에 보였다.
귀부가 형성된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에서는, 귀부 폭 2.0 ㎜ 를 중심으로 하여, 귀부 폭이 넓은 지점과 좁은 지점이 경사 방향으로 0.6 ㎝ 주기로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귀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이 비어져 나와, 흐트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빴다.
또, 슬릿 전에 존재하고 있던 귀부 영역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그 결과, 귀부 폭이 불균일하였다. Tb 와 Ts 를 측정한 결과, 도 4 에 기재한 바와 같이, Tb 가 0.101 ㎜, Ts 가 0.104 ㎜, Tb/Ts 가 0.97 이었다.
이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은 14.2 N/㎠, 초기 박리 강력은 1.09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은 12.9 N/㎠, 박리 강력은 0.99 N/㎝ 로서, 직물 면 파스너로서 일단 우수한 걸어맞춤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귀부가 형성된 루프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영역을 봉제에 의해 천에 장착한 결과, 재봉실이 사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볼품의 점에서 실시예 1 보다 떨어지는 것이었다.
바교예 2
실시예 2 에 있어서, 공정 3 을 실시하지 않고, 공정 2 에서 얻어진 열처리 후의 면 파스너용 직물을 냉각시킨 후에 롤러로 인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약간이기는 하지만 길이 방향으로 염색 얼룩이 있고, 특히 양 단부에 가까운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은 2 개에는, 염색 얼룩이 곳곳에 보였다.
이 귀부가 형성된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에서는, 귀부 폭이 2.0 ㎜ 를 중심으로 귀부 폭이 넓은 지점과 좁은 지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귀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이 비어져 나와, 흐트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빴다.
또한,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편각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루프, 양각 모두 절단된 루프, 루트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절단된 루프, 루트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절단된 루프가 약간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슬릿 전에 존재하고 있던 귀부 영역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그 결과, 귀부 폭이 불균일하였다.
Tb 와 Ts 를 측정한 결과, 도 4 에 기재한 바와 같이, Tb 가 0.098 ㎜, Ts 가 0.100 ㎜ 로서, Tb/Ts 는 0.98 이었다.
이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은 13.4 N/㎠, 초기 박리 강력은 1.04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은 12.2 N/㎠, 박리 강력은 0.94 N/㎝ 로서, 실시예 2 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에 비해 걸어맞춤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귀부가 형성된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영역을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봉제에 의해 천에 장착한 결과, 재봉실이 사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볼품의 점에서 실시예 2 보다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 에 있어서, 공정 3 을 실시하지 않고, 냉각시킨 후에 고정된 면 상의 가이드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인취하고, 이어서,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 절단 처리를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얻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는, 비교예 1 및 2 와 동일하게, 경사 방향으로 약간이기는 하지만 염색 얼룩을 갖고 있고, 특히 양 단부에 가까운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은 2 개에는, 염색 얼룩이 곳곳에 보였다.
이 귀부가 형성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에서는, 귀부 폭이 넓은 지점과 좁은 지점이 병존하고 있고, 또한 귀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이 비어져 나와, 흐트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직물 면 파스너의 볼품이 나빴다.
또 슬릿 전에 존재하고 있던 귀부 영역은 위사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그 결과, 귀부 폭이 불균일하였다.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양각 모두 절단되어 있지 않은 루프, 양각 모두 절단된 루프, 절단 위치가 루트부에 가까운 루프, 루트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절단되어 있는 루프가 약간 존재하고 있었다.
Tb 와 Ts 를 측정한 결과, 도 4 에 기재한 바와 같이, Tb 가 0.099 ㎜, Ts 가 0.102 ㎜ 로서, Tb/Ts 는 0.97 이었다.
이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은 10.0 N/㎠, 초기 박리 강력은 0.95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은 9.0 N/㎠, 박리 강력은 0.86 N/㎝ 로서, 실시예 3 의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보다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귀부가 형성된 후크/루프 병존형 직물 면 파스너의 귀부 영역을 비교예 1 이나 2 와 동일하게 봉제에 의해 천에 장착한 결과, 재봉실이 경사 방향으로 사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볼품의 점에서 실시예 3 보다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 의 공정 3 에서 사용한 스테인리스제의 조화 표면을 갖는 고정된 면을 스테인리스제의 경면 마무리 롤면으로 바꿔놓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폭 2.0 ㎜ 의 귀부 영역을 갖고, 귀부 영역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폭 21 ㎜ 의 걸어맞춤 소자 영역을 갖는 폭 25 ㎜ 의 귀부가 형성된 장척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4 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롤면은 접촉하며 주행하는 면 파스너용 직물의 주행 속도에 맞춰 회전한다. 직물 기포 이면과 롤면의 접촉 시간은 5 초이고, 열 융착성 섬유 (초 성분) 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롤면에 가압하였다. 롤면 통과 후, 직물 기포에는 250 g/㎝ 의 장력이 가해지고 있었다.
얻어진 4 개의 장척의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모두 염색 얼룩이 없고, 또한 4 개 모두 동 농도로 염색되어 있었다. 염색물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1 ∼ 3 과 동일하게, 슬릿 부분의 섬유 단면의 염색 농도는 다른 부분의 섬유 단면과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나일론계 실로 이루어지고, 백 코트 접착제를 도포한 직물 면 파스너와 비교하여, 얻어진 귀부가 형성된 후크 직물 면 파스너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유연성이 우수하였다. 또 귀부 형성용 영역을 슬릿하여 얻어진 귀부 영역 및 슬릿 전에 존재하고 있던 귀부 영역 모두, 귀부 폭이 항상 일정한 2.0 ㎜ 였다. 경사의 위사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없어,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절단된 경사의 절단단은, 귀부 영역 단부에 보이지 않았다. 또,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 소자면을 상세하게 관찰한 결과,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는, 모두 일정한 높이의 지점에서 편각만이 정확하게 절단되어 있었다.
Tb 와 Ts 를 측정한 결과, 도 4 에 기재한 바와 같이, Tb 가 0.091 ㎜, Ts 가 0.100 ㎜ 로서, Tb/Ts 는 0.91 이었다.
이 후크 직물 면 파스너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전단 강력은 14.8 N/㎠, 초기 박리 강력은 1.10 N/㎝, 1000 회 걸어맞춤/박리 후의 전단 강력은 13.5 N/㎠, 박리 강력은 1.00 N/㎝ 로서, 후크 직물 면 파스너로서 우수한 걸어맞춤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후크 직물 면 파스너를, 스포츠 장갑의 소맷부리를 단단히 조이는 고정구로서 봉제에 의해 장착한 결과, 손의 움직임에 따라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갖고 있고, 또한 귀부 폭이 항상 일정하므로, 재봉실이 귀부에 평행하게 주행하고 있어,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었다.
1 : 걸어맞춤 소자 영역
2a : 귀부 영역
2b : 귀부 형성용 영역 (중이용 영역)
3 : 경사
4 : 위사
5 : 걸어맞춤 소자
L :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K : 기포 두께 방향
6 : 면 파스너용 직물
7 : 열처리로
8 : 고정된 면 또는 롤면
Wa : 경사 방향
We : 위사 방향
Tb :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Ts :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경사 두께

Claims (16)

  1.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는 직물 기포(基布), 및
    그 기포의 경사에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 걸어맞춤 소자용 실로 이루어지고,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그 기포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루프상 걸어맞춤 소자,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 또는 그 쌍방을 형성하고,
    그 경사, 그 위사 및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모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이고,
    그 위사는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그 걸어맞춤 소자의 밑동이 그 열 융착성 섬유에 융착되고, 그 기포에 고정되어 있는 직물 면 파스너에 있어서, 이하의 요건 (1) 과 (2) 를 만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1) 경사가 위사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를 부침(浮沈)시키고, 그 경사가 기포 이면측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 Tb 가, 기포 표면측으로 가장 떠올라 있는 지점에서의 기포 두께 방향의 두께 Ts 의 0.94 배 이하인 것,
    (2) 기포 표면측의 경사에 평행한 양 단부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
  2. 제 1 항에 있어서,
    Tb 가 Ts 의 0.92 배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b 가 Ts 의 0.7 ∼ 0.88 배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의 귀부 영역의 사이에,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이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고, 그 귀부 형성용 영역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경사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 형성용 영역이 그 폭 방향 중앙에서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슬릿되어 귀부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포의 이면에는, 걸어맞춤 소자를 기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 염료에 의해 염색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8. 이하의 공정 1 ∼ 공정 3 을 이 순서에 따라서 실시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공정 1 :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는 직물 기포,
    그 기포의 경사에 평행하게 섞어넣어 짜여진 걸어맞춤 소자용 실, 및
    기포 표면의 양 단부에 존재하고,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은, 그 기포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그 쌍방을 형성하고,
    그 경사, 그 위사 및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모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이고,
    그 위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면 파스너용 직물을 직조하는 공정,
    공정 2 :
    그 면 파스너용 직물을 열처리로 내에서, 그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그 면 파스너용 직물을 구성하는 실을 열 수축시킴과 함께 그 걸어맞춤 소자용 실을 기포에 강고하게 고정시키는 열처리 공정,
    공정 3 :
    열처리된 면 파스너용 직물을 상기 열처리로로부터 꺼내고, 그 열 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포의 이면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는 공정.
  9. 제 8 항에 있어서,
    공정 1 에서 얻어진 면 파스너용 직물이, 상기 귀부 영역의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고, 그 귀부 형성용 영역에 의해 걸어맞춤 소자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경사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공정 1 ∼ 공정 3 을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하는 제조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 3 을 기포의 표면측을 고정된 면 또는 롤면에 가압하지 않고 실시하는 제조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와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쌍방이고, 공정 3 의 후에 하기 공정 4 를 실시하고, 또한 공정 1 ∼ 공정 4 까지를 도중에 권취하지 않고 연속으로 실시하는 제조 방법.
    공정 4 :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편각을 절단하여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를 형성하는 공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 파스너용 직물이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인 경우에는 공정 3 의 종료 후,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와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쌍방인 경우에는 공정 4 의 종료 후, 하기의 공정 5 를 실시하는 제조 방법.
    공정 5 :
    상기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슬릿하는 공정.
  14. 제 8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인 경우에는 공정 3 의 종료 후,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와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쌍방인 경우에는 공정 4 의 종료 후,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권취하고, 권취된 상태에서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액 중에 침지시켜 염색시키는 제조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인 경우에는 공정 3 의 종료 후, 상기 걸어맞춤 소자용 실이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 또는, 후크상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와 루프 걸어맞춤 소자용 루프의 쌍방인 경우에는 공정 4 의 종료 후, 얻어진 귀부 형성용 영역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를 권취하고, 권취된 상태에서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액 중에 침지시켜 염색시키는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 후에 하기 공정 5 를 실시하는 제조 방법.
    공정 5 :
    상기 귀부 형성용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을 경사 방향에 평행하게 슬릿하는 공정.
KR1020237012584A 2020-11-06 2021-11-01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96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5629 2020-11-06
JP2020185629 2020-11-06
PCT/JP2021/040187 WO2022097593A1 (ja) 2020-11-06 2021-11-01 ポリエステル系織物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995A true KR20230096995A (ko) 2023-06-30

Family

ID=8145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584A KR20230096995A (ko) 2020-11-06 2021-11-01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00198A1 (ko)
EP (1) EP4241611A1 (ko)
JP (1) JPWO2022097593A1 (ko)
KR (1) KR20230096995A (ko)
CN (1) CN116568176A (ko)
TW (1) TW202233086A (ko)
WO (1) WO2022097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602A1 (ja) * 2022-03-07 2023-09-14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難燃性面ファスナー
WO2023171616A1 (ja) * 2022-03-08 2023-09-14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耳部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織物面ファスナ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817A1 (ja) 2004-06-17 2005-12-29 Kuraray Fastening Co., Ltd. 布製面ファスナー
WO2007074791A1 (ja) 2005-12-26 2007-07-05 Kuraray Fastening Co., Ltd. 改良された自己融着ループ面ファスナ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7989A (ja) * 2012-07-31 2014-02-13 Kuraray Fastening Co Ltd 耳部を有する面ファスナー
JP2015062599A (ja) * 2013-09-26 2015-04-09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顔料着色された織製面ファスナー
JP2016016200A (ja) * 2014-07-10 2016-02-01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耳部付の布製面ファスナー小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815778A (zh) * 2016-09-14 2018-03-20 周朝木 自体黏扣织物(二)
JP7299249B2 (ja) * 2019-01-23 2023-06-27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織物系フック面ファスナ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817A1 (ja) 2004-06-17 2005-12-29 Kuraray Fastening Co., Ltd. 布製面ファスナー
WO2007074791A1 (ja) 2005-12-26 2007-07-05 Kuraray Fastening Co., Ltd. 改良された自己融着ループ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3086A (zh) 2022-09-01
WO2022097593A1 (ja) 2022-05-12
US20240000198A1 (en) 2024-01-04
JPWO2022097593A1 (ko) 2022-05-12
EP4241611A1 (en) 2023-09-13
CN116568176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720B1 (ko) 수습윤에 의해 요철이 발현하는 권축 섬유 함유 직편물,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섬유 제품
KR20230096995A (ko) 폴리에스테르계 직물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TWI574644B (zh) 黏扣帶及黏扣帶用接合元件之組合
JP5743154B2 (ja) フック・ループ混在型面ファスナー
JP6265904B2 (ja) 両面係合タイプの布製面ファスナー
WO2022270159A1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織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49330B2 (ja) 同一面にフックとループの両係合素子を有する面ファスナー
JP5966195B2 (ja) 布製面ファスナーの組み合わせ
JP2014027989A (ja) 耳部を有する面ファスナー
JP5916115B2 (ja) 布製面ファスナーの組み合わせ
KR101158529B1 (ko)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한 천테이프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천테이프
JP6717448B2 (ja)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2015043807A (ja) 布製の面ファスナー
JP6413123B2 (ja) 布製ループ面ファスナー
WO2023210293A1 (ja) ポリエステル系織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71616A1 (ja) 耳部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織物面ファスナー
WO2023074339A1 (ja) フック状係合素子を有する織物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00436A (ja) 結束ベルトに適した布製面ファスナー
WO2023171602A1 (ja) 難燃性面ファスナー
EP3881710A1 (en) Touch fastener having loop-shaped engagement elements and production method for touch fastener having loop-shaped engagement elements
EP3881709B1 (en) Fabric touch fastener having hook-shaped engagement elements
CN118139557A (zh) 具有钩状钩合元件的织物粘扣带及其制造方法
JP2022166370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面ファスナー
JP2015062601A (ja) 布製ループ面ファスナー
JP2017023570A (ja) マスカラブラシのブラシ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