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040A -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040A
KR20230087040A KR1020210175617A KR20210175617A KR20230087040A KR 20230087040 A KR20230087040 A KR 20230087040A KR 1020210175617 A KR1020210175617 A KR 1020210175617A KR 20210175617 A KR20210175617 A KR 20210175617A KR 20230087040 A KR20230087040 A KR 2023008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sweet pumpkin
functional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수
Original Assignee
(주)이루심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루심푸드 filed Critical (주)이루심푸드
Priority to KR102021017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040A/ko
Publication of KR2023008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Abstract

본원은 각종 재료의 기능을 그대로 함유한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FUNCTIONAL SWEET PUMPKIN POWDER SAUCE}
본원은, 각종 재료의 기능을 그대로 함유한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한국인의 식단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식품으로써 맛 뿐만 아니라 최근 김치가 가지고 있는 각종 유기산과 미생물 등의 작용으로 인한 건강 상의 효용이 밝혀지면서 국내와 국외에서 김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물김치 등 그 종류만 하여도 100여가지가 넘으며, 이러한 김치의 효능과 종류에 걸맞게 좀 더 기능적이고 맛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김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버섯, 다시마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김치가 제조되고 있지만 소비자 호응을 얻지 못하고 대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KR 10-0607670 B
본원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재료의 기능을 그대로 함유하고 김치 본래의 맛을 저하시키지 않는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기초 재료로서 단호박,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재료를 찜기에 넣고 찌는 단계; 상기 쪄진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재료를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김치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 1 측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를 상기 김치 양념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함유된 김치 양념을 이용하여 김치를 담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소의 제조방법은, 단호박,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각 단계인 찌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및 분쇄하는 단계가 상기 각종 재료가 함유하고 있는 상기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설계된 특징이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소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분말소스는 김치에 함유될 경우 김치의 식감을 살리되 그 맛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고, 항산화, 항암 등 김치에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말소스는 김치 뿐만 아니라 다른 각종 식품에 첨가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일상 식생활을 통하여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다양한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원이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기초 재료로서 단호박,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재료를 찜기에 넣고 찌는 단계; 상기 쪄진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재료를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재료는, 상기 단호박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찹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양파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잎새버섯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표고버섯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마늘 10 중량부 내지 18 중량부, 다시마 7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청각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재료는, 상기 단호박 100 중량부에 대해 찹쌀 50 중량부, 양파 25 중량부, 잎새버섯 25 중량부, 표고버섯 18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다시마 10 중량부 및 청각 7.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함량은 단호박과 각종 재료가 분말소스로 제조되고 이들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었을 때 식품의 영양과 맛에 영향을 주지 않을 최적의 비율이다. 이 중 하나의 성분이라도 그 함량이 많거나 적은 경우에는, 많아지는 성분으로 인해 식품의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양이 적을 경우에는 그로 인해 나타나는 기능성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호박은 비타민 A와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억제하고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찹쌀은 단호박과 함께 사용되어 전분을 제공, 분말소스의 풀로 사용되고 동시에 우수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양파는 퀘르세틴을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혈관을 청소하는 효과가 있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가을에 졸참나무, 물푸레나무의 뿌리 근처에 사물 기생하여 다발로 발생하며, 한국,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잎새버섯은 뭉툭한 대에서 무수한 가지꼴로 갈라지며 그 위에 다소 두껍고 구두칼형의 작은 갓을 형성한다.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종양 억제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잎새버섯은 또한 면역에 관여하는 자연 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및 대식세포 (macrophage)의 활성을 상승시켜 암을 저해하는데 효과가 있다. 표고버섯은 재배가 쉽고 향미가 풍부한 버섯으로 에르고스테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체내에서 자외선을 받으면 비타민 D로 변하므로, 비타민 D 관련한 효과가 있다. 특히 성인병 예방에 좋으며 면역력 개선과 암 예방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마늘은 S-알릴시스테인의 수용성 유황아미노산을 생성시켜 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다시마는 알긴산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혈당치를 내려 당뇨를 막는 효과 및 장운동을 도와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청각은 베타카로틴 성분이 많아 세포의 산화로 인한 각종 질병과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A로 전환되어 야맹증 예방, 시력보호 등 눈 건강에 효능이 있다.
본원의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소의 제조방법은, 단호박,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각 단계인 찌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및 분쇄하는 단계가 상기 각종 재료가 함유하고 있는 상기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설계된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된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는, 단호박을 베이스 재료로 사용하되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추가 포함하여 이들 재료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 기능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찌는 단계는 180℃ 내지 22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찌는 단계의 온도와 시간은 상기 재료들에 함유된 기능성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된 것으로, 상기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또는 상기 시간이 너무 짧거나 긴 경우에는 재료들이 갖고 있는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의 시간은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은 매우 중요하며, 6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에는 건조하는 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고 이는 모든 재료의 수분 함량이 목적하는 값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70℃를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에는 재료 본연의 색상을 잃을 수 있으며, 특히 단호박이 높은 온도에서 건조 시 본연의 색을 잃을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김치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 1 측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를 상기 김치 양념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함유된 김치 양념을 이용하여 김치를 담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김치 양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3 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될 경우에는 기능성 효과가 부여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김치 양념의 색상이 옅어져 미관상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본원의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를 이용하여 식품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단호박의 단맛이 찜과 건조를 통해 더욱 향상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인공의 설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으며, 각종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재료의 사용에 따라 화학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액상이 아닌 분말의 형태이므로 액상에 비해 유통기한이 6개월 이상 늘어나는 특징과 보관 또한 용이해지는 특징이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에 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본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
단호박, 찹쌀,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양파, 다시마 및 청각을 각각 준비하고 이를 세척하였다. 단호박 분말소스 제조를 위해 주 재료인 단호박을 기준으로 각 재료의 함량을 조절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단호박 100 중량부에 대해 찹쌀 50 중량부, 양파 25 중량부, 잎새버섯 25 중량부, 표고버섯 18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다시마 10 중량부 및 청각 7.5 중량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재료를 찜기에 넣고 쪄서 단호박 분말소스의 기초 재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찜기에서의 수행은 찌는 온도를 180℃ 내지 220℃로 설정하였으며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간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든 재료가 골고루 잘 익혀지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기초 재료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때 단호박의 색상을 살리기 위해 건조시키는 온도는 60℃ 내지 70℃로 설정하였다. 또한, 상기 건조는 상기 기초 재료의 수분 함량이 3% 내지 5%가 되도록 진행하였다.
상기 건조된 재료를 분쇄기에 넣어 미분으로 분쇄하고 60 내지 70 메쉬체를 이용하여 걸려줌으로써 단호박 분말소스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단호박 분말소스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단호박 분말소스를 준비된 김치 양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단호박 분말소스가 함유된 김치 양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상기 김치 양념을 배추포기 김치에 첨가하여 단호박 분말소스가 함유된 기능성 김치를 완성하였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기초 재료로서 단호박, 찹쌀, 양파, 잎새버섯, 표고버섯, 마늘, 다시마 및 청각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재료를 찜기에 넣고 찌는 단계;
    상기 쪄진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재료를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재료는, 상기 단호박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찹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양파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잎새버섯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표고버섯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마늘 10 중량부 내지 18 중량부, 다시마 7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청각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는 단계는 180℃ 내지 22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간 수행되는 것인,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5. 김치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 1 항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를 상기 김치 양념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함유된 김치 양념을 이용하여 김치를 담그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양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가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KR1020210175617A 2021-12-09 2021-12-09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KR20230087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17A KR20230087040A (ko) 2021-12-09 2021-12-09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17A KR20230087040A (ko) 2021-12-09 2021-12-09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40A true KR20230087040A (ko) 2023-06-16

Family

ID=8694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617A KR20230087040A (ko) 2021-12-09 2021-12-09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0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70B1 (ko) 2003-12-24 2006-08-02 오직영 오갈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70B1 (ko) 2003-12-24 2006-08-02 오직영 오갈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59B1 (ko)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8839B1 (ko) 기능성 해삼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1924366B1 (ko) 흑미 맛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미 맛간장
KR20110130133A (ko) 새싹채소와 홍삼이 함유된 냄새 안나는 된장 및 간장 제조방법
KR101232272B1 (ko) 배무채 다색 물김치 및 이를 이용한 국수용 배무채 다색 육수
KR20230087040A (ko) 기능성 단호박 분말소스
CN101147539A (zh) 一种速溶炒面
KR102006548B1 (ko) 콩나물 잡채의 제조방법
KR20170089730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건강기능성 흑색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781614B1 (ko) 김치 제조방법
KR102279702B1 (ko) 간장 달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장 달임물
KR20090062945A (ko) 생와사비를 함유한 마요네즈 조성물
KR101287375B1 (ko) 함초염 및 구기자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2315552B1 (ko) 동아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535424B1 (ko)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KR100437573B1 (ko) 옥수수 메주 및 된장
CN105360936A (zh) 一种土豆挂面
KR101884375B1 (ko) 제주톳보리장의 제조방법
KR102279638B1 (ko) 황칠 해초 김 자반의 제조방법
KR20040067182A (ko)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만들어진 김부각
KR102351692B1 (ko) 고구마 디핑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535657B1 (ko) 다시팩을 이용한 떡볶이 밀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498B1 (ko) 순대 및 순대 제조방법
KR101034626B1 (ko) 나노칼슘 콜로이드 농축액에 의한 기능성 돌산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돌산갓 캔 김치
KR20130087837A (ko) 녹색 야채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