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21A -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 Google Patents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21A
KR20230031421A KR1020210113635A KR20210113635A KR20230031421A KR 20230031421 A KR20230031421 A KR 20230031421A KR 1020210113635 A KR1020210113635 A KR 1020210113635A KR 20210113635 A KR20210113635 A KR 20210113635A KR 20230031421 A KR20230031421 A KR 2023003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frying
laver
whole
glutinou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숙
Original Assignee
유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숙 filed Critical 유재숙
Priority to KR102021011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421A/ko
Publication of KR2023003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7Farinaceous granules for dressing meat, fi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김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면서도 형태가 뒤틀어지지 않고 편편한 형태의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강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른 전장김(2)을 준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찹쌀풀을 만드는 과정; 망체(10) 위에 상기 전장김(2)을 올려놓는 과정; 사각프레임(22)에 사각프레임(22)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누름줄(24)을 엮어서 제조된 누름틀(20)을 상기 전장김(2)이 놓인 망체(10) 위에 올려서, 전장김(2)이 상기 누름줄(24)에 눌리도록 하는 과정; 전장김(2)에 만들어 놓은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 찹쌀풀을 바른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로 건조시켜서 부각 반제품을 만드는 과정; 및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and laver-boogak manufactured by the same that, fry mold}
본 발명은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김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면서도 형태가 뒤틀어지지 않아 편편한 형태의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에 관한 것이다.
김은 해조류에서 가장 선호되는 식품으로서, 양질의 단백질과 섬유소, 비타민, 미네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칼로리도 낮고 알칼리성 식품으로 현대인에게 이상적인 식품이다.
이러한 김은 이용한 식품 중 하나로 김부각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김부각은 건조된 김에 찹쌀풀을 발라서 건조시킨 다음 튀긴 것으로서,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김부각은 제조과정, 특히, 찹쌀풀을 바르거나 튀기는 과정에서 형태가 뒤틀어진다. 이와 같이 형태가 제조과정에서 김부각의 형태가 뒤틀어지기 때문에 김부각을 만들 때에는 김을 전장 그래도 사용하지 않고 전강 김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여 김부각을 만든다. 도 1은 종래 김부각을 보인 사진이다.
한편, 산자는 산찹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말려 기름에 튀긴 다음, 튀긴 밥알이나 깨를 꿀과 함께 묻힌 음식으로 연례나 제례에서 필수음식으로 쓰이는 과자이다. 이러한 산자는 연례나 제례상에서 고임음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높이 고일 수 있도록 네 귀가 반듯하게 편편한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산자를 대신하여 김부각을 고임음식으로 사용하면 산자와 달리 김의 영양을 섭취할 수 있어서 건강에도 좋고 단순히 흰색인 산자에 비해 보기에도 좋을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김부각은 제조과정에서 형태가 뒤틀어져서 산자처럼 반듯한 형태로 만들기가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1459호(2017. 09. 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260호(2006. 04. 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장김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면서도 형태가 뒤틀어지지 않고 편편한 형태의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마른 전장김(2)을 준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찹쌀풀을 만드는 과정; 다공판(10) 위에 상기 전장김(2)을 올려놓는 과정; 사각프레임(22)에 사각프레임(22)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누름줄(24)을 엮어서 제조된 누름틀(20)을 상기 전장김(2)이 놓인 다공판(10) 위에 올려서, 전장김(2)이 상기 누름줄(24)에 눌리도록 하는 과정; 전장김(2)에 만들어 놓은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 찹쌀풀을 바른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로 건조시켜서 부각 반제품을 만드는 과정; 및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름줄(2)은 낚싯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기는 과정에서는,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프레임(32)과, 좌우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2)의 하단부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금속망(34)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금속망(34)들 사이에 납작한 튀김공간(36)들이 형성되는 튀김틀(30)을 이용하며, 상기 튀김공간(36)에 부각 반제품을 넣고 튀기면 김부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김부각을 기름에 튀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손잡이기능을 하는 수직프레임(31)이 좌우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상부망체(32);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간격부재(38)들에 의해 상기 상부망체(32)와 이격되도록 상부망체(32) 하측에 위치되며, 후방측 단부가 상기 상부망체(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망체(34); 상기 상부망체(32)와 하부망체(34)가 상기 간격부재(38)에 의해 상하로 이격됨에 따라 상, 하부망체(32,34) 사이에 형성되는 튀김공간(36); 및 상기 상, 하부망체(32,34)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 하부망체(32,34)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쇠(37);를 포함하여,
전장김에 찹쌀풀을 바르고 건조시켜 만든 부각 반제품을 상기 튀김공간(36)에 넣고 기름에 튀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용 튀김틀(30)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전장김에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에서 누름틀을 이용하여 전장김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전장김에 찹쌀풀을 바르고 건조시킨 부각 반제품을 튀기는 과정에서는 납작한 튀김공간을 가지는 튀김틀을 이용하여 튀김으로써 전장김을 절단하지 않고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형태가 뒤틀리지 않고 편편한 전장김 부각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은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형태가 편편하고 여러 장 층층이 쌓을 수 있기 때문에 산자를 대신하여 연례나 제례상의 고임음식으로 활용하기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튀김틀은 상, 하부망체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되어 각 망체들 사이에 납작한 튀김공간이 형성되어 튀김공간에 부각 반제품을 넣고 튀기면 부각의 형태가 뒤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는데, 특히, 상, 하부망체가 회동되어 튀김공간이 개방되므로 튀김공간에 부각 반제품을 집어넣고 튀겨진 부각을 꺼내기가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튀김틀을 사용하면 형태가 편편한 전장김 부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장김을 다공판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누름틀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 누름틀로 전장김을 누르고 찹쌀풀을 바른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튀김틀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튀김틀에 부각 반제품을 수용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의 사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틀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장김을 손질한다.
마른 전장김(2)을 준비하고, 준비된 김 중에서 찢어진 김을 골라내고, 김에 묻은 이물질도 제거한다.
2) 찹쌀풀을 만든다.
찹쌀가루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찹쌀풀을 쑨다. 바람직하게는 찹쌀풀에 찹쌀을 쪄서 만든 찹쌀밥을 섞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찹쌀풀에 찹쌀밥을 섞어서 사용하면 찹쌀풀만 사용하는 경우에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각이 부피감을 가져서 한층 더 먹음직스러워 보일 뿐만 아니라, 부각의 식감도 좋다.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한 전장김(2)을 다공판(10) 위에 올린다.
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22)에 사각프레임(22)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누름줄(24)이 엮인 누름틀(20)을 전장김(2)이 놓인 다공판(10) 위에 올려놓는다.
전장김(2)이 누름틀(20)의 사각프레임(22) 내부에 위치되도록 누름틀(20)을 배치시키면, 누름틀(20)의 누름줄(24)이 전장김(2)을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줄(24)은 낚싯줄로 이루어진다.
5) 전장김(2)에 찹쌀풀을 바른다.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에서 전장김(2)에 찹쌀풀을 바르는데, 전장김(2)이 누름틀(20)의 누름줄(24)에 눌린 상태이므로 전장김(2)에 찹쌀풀을 바르더라도 전장김(2)의 둘레부가 말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에서 전장김(2)에 찹살풀을 바른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6) 찹쌀풀을 바른 전장김을 건조시킨다.
찹쌀풀을 바른 전장김을 건조시켜서 부각 반제품을 만든다. 건조과정에서 전장김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로 건조실로 이동시켜서 건조시킨다. 찹쌀풀이 60~80% 정도 건조되면 누름틀(20)을 제거하고, 추가로 건조시켜서 부각 반제품을 만든다.
7) 부각 반제품을 튀긴다.
건조시킨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긴다. 기름에 튀기는 과정에서 형태가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튀김틀(30)을 사용한다.
튀김틀(30)은 좌우 양단부에 수직프레임(31)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망체(32)와, 상부망체(32)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연결배치된 하부망체(34)들로 이루어져서, 이들 망체들 사이에 납작한 튀김공간(36)들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튀김틀(30)의 튀김공간(36)에 부각 반제품을 넣고 기름에 튀기는데, 부각 반제품이 납작한 튀김공간(36) 내부에서 튀겨지므로 부각 반제품의 형태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부각이 편편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튀김틀(30)의 좌우 수직프레임(31) 상단부가 손잡이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수직프레임(32)의 상단부를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하면 부각 반제품을 용이하게 튀길 수 있다.
8) 튀긴 김부각에 설탕을 뿌려서 조리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전장김에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에서 누름틀(20)을 이용하여 전장김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부각 반제품을 튀기는 과정에서는 납작한 튀김공간(36)을 가지는 튀김틀(30)을 이용하여 튀김으로써 부각 반제품을 튀기기 때문에 형태가 뒤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장김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가형태가 뒤틀리지 않고 편편한 전장김 부각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전장김은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가 편편하고 여러 장 층층이 쌓을 수 있기 때문에 산자를 대신하여 연례나 제례상의 고임음식으로 활용하기도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틀(30)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틀(30)은 튀김공간을 형성하는 망체들이 회동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의한 튀김틀은 수직프레임(31)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망체(32)에 연결되고, 하부망체(34)들은 후방측 단부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망체들과 경첩으로 연결되어 각 망체들이 회동되어 개방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망체(42)와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망체의 전방측 단부에는 망체들이 임의로 개방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잠금쇠(37)가 구비된다. 미 설명 부호 38은 하부망체(34)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간격부재로서, 이들 간격부재(38)들에 의해 망체들 사이에 일정한 폭의 튀김공간(26)이 형성된다. 그리고 미 설명 부호 39는 상, 하부망체(32,34)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경첩이다.
이와 같이 망체들이 회동개방되도록 연결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들을 회동시켜서 튀김공간(36)을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튀김공간(36)에 부각 반제품을 집어넣고, 튀겨진 부각을 튀김공간(36)에서 꺼내기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망체(34)가 2개 적층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하부망체(34)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5)

  1. 마른 전장김(2)을 준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찹쌀밥이 혼합된 찹쌀풀을 만드는 과정;
    다공판(10) 위에 상기 전장김(2)을 올려놓는 과정;
    사각프레임(22)에 사각프레임(22)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누름줄(24)을 엮어서 제조된 누름틀(20)을 상기 전장김(2)이 놓인 다공판(10) 위에 올려서, 전장김(2)이 상기 누름줄(24)에 눌리도록 하는 과정;
    전장김(2)에 만들어 놓은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
    찹쌀풀을 바른 전장김(2)을 누름틀(20)로 누른 상태로 건조시켜서 부가 반제품을 만드는 과정; 및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줄(2)은 낚싯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각 반제품을 기름에 튀기는 과정에서는,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프레임(32)과, 좌우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2)의 하단부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망체(34)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망체(34)들 사이에 납작한 튀김공간(36)들이 형성되는 튀김틀(30)을 이용하며,
    상기 튀김공간(36)에 부각 반제품을 넣고 튀기면 김부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기재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
  5. 김부각을 기름에 튀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손잡이기능을 하는 수직프레임(31)이 좌우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상부망체(32);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간격부재(38)들에 의해 상기 상부망체(32)와 이격되도록 상부망체(32) 하측에 위치되며, 후방측 단부가 상기 상부망체(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망체(34);
    상기 상부망체(32)와 하부망체(34)가 상기 간격부재(38)에 의해 상하로 이격됨에 따라 상, 하부망체(32,34) 사이에 형성되는 튀김공간(36); 및
    상기 상, 하부망체(32,34)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 하부망체(32,34)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쇠(37);를 포함하여,
    전장김에 찹쌀풀을 바르고 건조시켜 만든 부각 반제품을 상기 튀김공간(36)에 넣고 기름에 튀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김 부각용 튀김틀(30)
KR1020210113635A 2021-08-27 2021-08-27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KR20230031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35A KR20230031421A (ko) 2021-08-27 2021-08-27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35A KR20230031421A (ko) 2021-08-27 2021-08-27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21A true KR20230031421A (ko) 2023-03-07

Family

ID=8551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35A KR20230031421A (ko) 2021-08-27 2021-08-27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4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60B1 (ko) 2004-12-29 2006-05-03 김호원 김부각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김부각
KR20170101459A (ko) 2016-02-29 2017-09-06 김태선 김부각 반제품 압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60B1 (ko) 2004-12-29 2006-05-03 김호원 김부각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김부각
KR20170101459A (ko) 2016-02-29 2017-09-06 김태선 김부각 반제품 압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8603A (zh) 一种纯天然彩色拉肠粉及其制作方法
DE169263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mbisshappens
KR20230031421A (ko) 전장김 부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장김 부각, 이에 사용되는 튀김틀
KR20160083679A (ko) 라이스페이퍼를 이용한 부각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각
US6117466A (en) Formed chip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11588032A (zh) 食用黄精片的加工方法
KR101005241B1 (ko) 매생이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매생이 건식품 제조방법 및매생이 건식품
KR101959870B1 (ko) 분알된 명란을 합착한 고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DE241128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nusprigen frittierten nahrungsmittels auf kartoffelbasis nach art von kartoffelchips
CN104187430B (zh) 一种燕麦片生产方法
KR101172716B1 (ko) 문양이 표현된 다중 만두피 및 그 제조방법
JP5956431B2 (ja) 冷凍マカロニ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05155A1 (de) Hohlkörperförmige Speise mit Formschale
DE202012011349U1 (de) Nahrungsmittelprodukt
KR102081518B1 (ko) 꽃 강정의 제조방법
CN1535586A (zh) 带孔食品的加工方法
JP3228758U (ja) サツマイモ加工食品
DE3631518C2 (ko)
KR102146955B1 (ko) 산나물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620B1 (ko) 적층 무늬 곶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1459A (ko) 김부각 반제품 압착 방법
CN112741266A (zh) 一种非油炸植物染色杂粮方便面加工方法
CN108157839A (zh) 一种干香菇烧牛肉的制作方法
CN117413928A (zh) 一种金黄色南瓜粉丝的制备方法
CN205512100U (zh) 一种保健果脯的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