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380A -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380A
KR20230026380A KR1020230020665A KR20230020665A KR20230026380A KR 20230026380 A KR20230026380 A KR 20230026380A KR 1020230020665 A KR1020230020665 A KR 1020230020665A KR 20230020665 A KR20230020665 A KR 20230020665A KR 20230026380 A KR20230026380 A KR 2023002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lectronic components
moving
moving device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145B1 (ko
Inventor
나명진
이상훈
문병훈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23002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1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재배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는 구분되어야 할 전자부품들이 서로 혼재되어 섞여 있을 때 이를 서로 구분하여 재배치한다.
이에 따라 핸들러의 가동률이 향상되거나 전자부품 및 트레이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재배치장치{APPARATUS FOR RELOCAT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하나의 트레이에 혼재되어 함께 실려 있는 전자부품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다른 트레이로 재배치시키는 기술과 관련된다.
생산된 반도체소자들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뉘어서 양품만이 출하되며, 테스터와 반도체소자의 전기적인 연결은 테스트용 핸들러에 의해 이루어진다.
핸들러는 고객트레이에 있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제 3의 적재요소로 이동시킨 후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테스트가 종료되면 핸들러는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등급별로 분류하면서 제3의 적재요소에서 고객트레이로 이동시킨다.
한편, 대게의 경우 전자부품은 1 랏(lot) 단위로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 때, 전 랏의 물량과 후 랏의 물량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랏의 물량이 모두 테스트되면 후 랏의 물량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핸들러는 최대 용량으로 작동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휴지 시간까지 요구된다. 특히 전 랏의 물량 중 리테스트(Re Test) 대상 물량까지 모두 리테스트가 완료되어야 후 랏의 물량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짜투리 물량을 처리하기 위한 핸들러의 공정은 용량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은 궁극적으로 핸들러의 용량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여러 랏이 연속적으로 테스트되도록 함으로써 핸들러의 용량을 최대로 담보하고자 하는 제안들이 있어 왔다.
그런데, 이렇게 여러 랏이 연속적으로 테스트되면, 가동 상의 물류 흐름, 리테스트 시의 물류 흐름 등으로 인해 하나의 고객트레이에 서로 다른 랏의 전자부품들이 섞인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9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구분의 필요성이 있는, 예를 들면 랏의 마지막 물량이나 리테스트 물량 또는 처음부터 테스트할 양이 적은 랏의 물량 등 전반적으로 적은 물량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랏의 전자부품들이 하나의 트레이 내에 뒤섞여 있는 경우 등 재배치의 필요성이 있는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킬 수 있는 신규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는 서로 구분되어야 할 전자부품들이 함께 실린 트레이들을 재배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 스택커장치;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전자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영역을 거쳐 전자부품을 재배치시키기 위한 상기 재배치 영역의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장치;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영역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에 있는 식별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언로딩위치에 위치한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상기 식별장치에 의해 식별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재배치 영역의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로 재배치시키는 재배치장치; 상기 로딩위치에서 전자부품들의 로딩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들이 수용되는 회수용 스택커장치; 상기 재배치장치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재배치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상기 회수용 스택커장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장치; 및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언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상기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들로 재배치시키는 제어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은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며,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테스트 정보이다.
상기 제1 이동장치 트레이를 상기 식별 영역을 거쳐 상기 언로딩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장치는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영역을 지나가는 상태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라인스캔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이송 영역에 위치된 트레이를 상기 제2 이동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식별장치에 의해 재배치 작업이 생략될 수 있는 전자부품들만이 실린 트레이를 상기 제1 이동장치에서 상기 제2 이동장치로 직접 이송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공급용 스택커 장치와 회수용 스택커 장치는 전방의 스택커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스택커 영역, 상기 식별 영역, 상기 이송 영역 및 상기 재배치 영역은 전후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는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영역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는 상기 확인장치가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 중이거나 상기 제2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 중인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안착 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확인 영역 내에서 상기 확인장치를 이동시키는 무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방비는 상기 언로딩위치에서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상기 언로딩위치에서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승된 상태의 트레이를 상기 제1 이동장치로 하강시키는 제1 승강장치; 상기 로딩위치에서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로딩위치에서 상기 제2 이동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승된 상태의 트레이를 상기 제2 이동장치로 하강시키는 제2 승강장치;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 또는 제2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승하는 트레이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분; 및 트레이가 하강할 시에 트레이를 하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싱부분; 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는 서로 구분되어야 할 전자부품들이 함께 실린 트레이들을 언로딩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 스택커장치;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전자부품을 재배치시키기 위한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장치;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언로딩위치에 위치한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로 재배치시키는 재배치장치; 상기 로딩위치에서 전자부품들의 로딩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들이 수용되는 회수용 스택커장치; 상기 재배치장치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재배치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상기 회수용 스택커장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언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상기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들로 재배치시키는 제어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구분하여 재배치될 필요성이 있는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킴으로서 핸들러의 가동률을 최대로 상승시킬 수 있고, 전자부품 및 트레이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의 공급측 구성(공급용 스택커, 제1 이동장치, 제1 고정부재, 제1 승강장치)과 트레이의 회수측 구성(회수용 스택커, 제2 이동장치, 제2 고정부재, 제2 승강장치)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어떠한 작동 모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전자부품을 재배치할 필요성이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절한 기능의 변형과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에 적용된 제1 고정부재와 제1 승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에 적용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구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제1 고정부재와 제1 승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전제 조건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가 적용되려면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용 핸들러가 전자부품들을 개개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즉, 전자부품에는 고유의 식별자가 있어야 하고, 핸들러는 해당 식별자를 읽어 전자부품을 식별할 수 있으며,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에 대한 정보를 개개별로 기록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테스트에 따른 전자부품에 대한 개개별 정보는 내부 전용회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로 보내져야 한다.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치(ERE)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 제1 이동장치(120), 식별장치(210), 확인장치(220), 무빙장치(230), 재배치장치(310), 이송장치(410), 회수용 스택커장치(510), 제2 이동장치(520), 적재용 스택커장치(610), 제3 이동장치(620), 제1 고정부재(710), 제1 승강장치(720), 제2 고정부재(810), 제2 승강장치(820) 및 제어장치(910)를 포함한다.
공급용 스택커장치(110)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재배치 영역(RS)의 언로딩위치(UP)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가 2개 구비되며 다수의 트레이들이 적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1 이동장치(120)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에 대응되게 2개가 구비되며, 기존 핸들러 기술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에 있는 트레이를 밑에서부터 한 장씩 언로딩위치(UP)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이동하는 트레이는 식별 영역(DZ)과 확인 영역(CZ)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에 언로딩위치(UP)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이동장치(120)는 처리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트레이가 식별 영역(DZ)과 확인 영역(CZ)에서 정지하지 않고 언로딩위치(UP)까지 연속적으로 정속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동장치(120)는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전용보트나 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제작된 한 쌍의 이동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트레이의 정속 이동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빠른 이동 동작을 위해 이동벨트가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나 정지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관성에 의해 트레이가 이동벨트 상에서 순간적으로 미끄러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작동 충격에 따른 떨림 등으로 인해 트레이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틀어진 상태로 트레이가 식별 영역(DZ)이나 확인 영역(CZ)에서 지나가게 되면 식별이나 확인 작업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자부품들을 재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재배치장치(310)의 티칭점(전자부품을 파지하는 지점)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다른 고정장치 없이 단순히 이동벨트에 얹어진 상태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벨트를 미끄러짐 방지용 소재로 제작하거나, 이동벨트에 미끄럼 방지패드를 채용하는 것을 고려하거나, 이동하는 트레이를 고정시킬 고정부재 또는 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는 전용보트을 구성하여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트레이의 미끄러짐이나 틀어짐 없이 트레이의 정속 이동 보장되어서 식별 및 확인 작업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고, 티칭점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제1 이동장치(120)에 관한 사항은 후술할 제2 이동장치(620)에도 그대로 해당한다.
식별장치(210)는 트레이에 실린 상태로 식별 영역(DZ)을 지나가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식별자는 2D 바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문자, 그림 또는 기타 식별장치(210)에 의해 전자부품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식이면 족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 이동장치(120)는 트레이를 식별 영역(DZ)을 거쳐 언로딩위치(UP)까지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식별장치(210)는 식별 영역(DZ)을 지나가는 상태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식별하기 위해 라인스캔카메라와 조명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연속적이고 빠른 이동을 위해 라인스캔카메라를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처리량 저하 문제가 없어서 속도에 상관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카메라나 에어리어카메라를 가지고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촬영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확인장치(220)는 식별장치(210)의 후방에 구비되며,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이중 적재, 불량 적재 또는 적재의 유무 등과 같은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확인장치(22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8211호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레이저스캔카메라와 라인을 표시하는 레이저발사기로 구비될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서 레이저스캔카메라는 일정 정도 경사진 형태로 레이저발사기의 라인을 촬영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스캔카메라에 레이저 대역만 통과시킬 수 있는 밴드패스필터를 장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왜냐하면, 연속 촬영, 물류의 흐름 및 장비의 소형화를 위해 확인장치는 식별장치와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식별장치(210)의 조명이 레이저스캔카메라의 인식을 방해하여 레이저스캔카메라의 인식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레이저 대역만 통과시켜서 레이저스캔카메라로 입사되도록 밴드패스필터를 장착함으로써 식별장치(210)의 인식률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무빙장치(230)는 확인장치(220)를 확인 영역(CZ)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확인장치(220)는 무빙장치(230)의 작동에 의해서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이동 중이거나 제2 이동장치(530)에 의해 이동 중인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안착 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장치(210)와 확인장치(220)가 서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현되어 있고, 이에 따라 무빙장치(230)의 작동에 따라 확인장치(220)와 함께 식별장치(210)도 이동되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만일 실시하기에 따라서 공급용 스택커(110)가 하나만 구비되면 무빙장치(230)가 확인장치만(220)을 이동시키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공급된 전자부품은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이동할 때 한 번만 식별하면 족하므로 그러한 경우 식별장치(210)의 이동은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는 전자부품의 재배치 후에도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각각의 이동 경로에 확인장치(220)들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나, 생산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빙장치(230)에 의해 확인장치(2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치장치(310)는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재배치 영역(RZ)의 언로딩위치(UP)들에 위치된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언로딩한 후 식별장치(210)에 의해 식별된 정보에 따라 재배치 영역(RZ)의 우측 방향의 로딩위치(LP)에 있는 트레이들로 재배치하면서 로딩시킨다. 이러한 재배치장치(310)는 기존 핸들러에서 사용되던 픽커모듈과 픽커모듈을 좌우 방향 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치장치(310)에 구비되는 픽커모듈을 구성하는 픽커들은 트레이의 규격이 달라져서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 간의 간격이 달라질 경우를 고려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장치(41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21357의 트랜스퍼 장치와 같이 트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이송 영역(TZ)에 위치된 트레이를 제2 이동장치(520)나 제3 이동장치(62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장치(410)의 주된 기능은 전자부품의 언로딩이 완료된 후 비워진 트레이를 제3 이동장치(620)로 이동시키거나, 제3 이동장치(620)에 의해 공급되는 빈 트레이를 제2 이동장치(520)들로 이동시켜서 로딩위치(LP)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언로딩위치(UP)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려진 전자부품들의 식별이 완료된 후 실린 전자부품들의 재배치가 요구되지 않는 트레이의 경우(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전자부품들만 실린 경우)에는 재배치 작업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위치(UP)까지 보내지 않고 곧바로 이송 영역(TZ)으로 보내진 뒤 이송장치(410)에 의해 제2 이동장치(5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는 로딩위치(LP)에서 전자부품들의 재배치 및 로딩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들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며, 5개가 구비된다. 이렇게 공급용 스택커장치(110)보다 회수용 스택커 장치(510)을 더 많은 개수로 구현한 이유는 공급된 전자부품들을 구분하여 재배치시킬 가지의 수가 많을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와 함께 전방의 스택커 영역(SZ)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제2 이동장치(520)는 제1 이동장치(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5개의 회수용 스택커장치(510)에 대응하여 5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이동장치(520)는 재배치장치(310)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재배치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로 이동시킨다.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는 빈 트레이를 적재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는 초기 빈 트레이들을 로딩위치(LP)로 적절히 공급할 정도면 족하므로 최소 개수인 1개로 구비되어도 충분할 수 있다. 이는 로딩에 필요한 나머지 필요한 빈 트레이는 재배치 작업이 경과되면서 언로딩위치(UP)에서 발생하게 됨이 고려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전자부품을 재배치시키기 위한 기술이므로 공급용 스택커장치(110)를 통해 공급되는 트레이, 회수용 스택커장치(510)에 의해 회수되는 트레이, 및 적재용 스택커장치(610)에 의해 공급되는 빈 트레이가 모두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이동장치(620)는 적재용 스택커장치(610)에 있는 빈 트레이를 로딩위치(LP)로 공급하거나, 언로딩위치(LP)에서 비워져서 이송장치(410)에 의해 전달되어 온 트레이를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로 이동시킨다.
제1 고정부재(710)와 제1 승강장치(720)는 제1 이동장치(120)에 대응하여 2개로 구비되며, 도 3의 (a) 및 (b) 개략적인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1 고정부재(710)와 제1 승강장치(720)는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언로딩위치(UP)로 온 트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제1 고정부재(710)는 언로딩위치(UP)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언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의 상면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개방 구멍(OH)을 가진다.
제1 승강장치(72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언로딩위치(UP)로 이동되어 온 트레이를 상승시켜서 트레이의 테두리가 제1 고정부재(710)에 밀착되도록 하여 트레이가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도 3의 (a)에서와 같이 전자부품의 언로딩이 완료된 트레이는 하강시켜서 제1 이동장치(120)로 되돌린다. 이를 위해 제1 승강장치(720)는 승강판(721)과 승강판(721)을 승강시키는 승강기(7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기(722)는 생산원가를 고려하여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810)와 제2 승강장치(820)는 제2 이동장치(520)에 의해 로딩위치(LP)로 온 트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810) 및 제2 승강장치(820)는 각각 제1 고정부재(710) 및 제2 승강장치(720)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재(710)들과 제2 고정부재(810)들이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긴 고정플레이트(FP)에 언로딩위치(UP)나 로딩위치(LP)에 개방구멍(OH)들이 형성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재배치장치(310)에 의해 전자부품들이 정확히 언로딩되거나 로딩되기 위해서는 제1 고정부재(710)와 제2 고정부재(810)가 트레이를 정확히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 승강장치(720) 또는 제2 승강장치(820)에 의해 트레이가 상승할 때, 제1 고정부재(710) 또는 제2 고정부재(810)에 구비된 탄성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하게 구비된 정렬부분(AP)이 트레이를 일 측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밀어서 트레이를 정렬시키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 승강장치(720) 또는 제2 승강장치(820)가 트레이를 하강시킬 시에 정렬부분(AP)의 압박에 의해 트레이가 제1 고정부재(710) 또는 제2 고정부재(720)에 끼어서 트레이의 하강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고정부재(710) 또는 제2 고정부재(810)에는 트레이가 하강할 시에 트레이를 하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싱부분(PP)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싱부분(PP)이 판스프링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트레이가 상승할 시에는 탄성 변형되어 자유단이 상방으로 상승했다가 트레이가 하강할 때 탄성 복원되면서 자유단이 하방으로 하강하면서 트레이의 적절한 하강 작업을 돕도록 구현되었다.
제어장치(910)는 앞서 언급한 각 구성들 중 제어가 필요한 구성들을 모두 제어함으로써 언로딩위치(UP)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로딩위치(LP)에 있는 트레이들로 재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910)는 핸들러로부터 온 테스트 결과나 랏 정보 또는 이력 등에 대한 전자부품들의 개별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 제어장치(910)는 테스트를 지원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핸들러와 통합적으로 구비되어서, 하나의 제어장치(910)에 의해 핸들러와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가 함께 제어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하였지만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의 작업 효율성 및 각 구성들 간의 작동 간섭 방지를 위해 스택커 영역(SZ), 식별 영역(DZ), 확인 영역(CZ), 이송 영역(TZ) 및 재배치 영역(RZ)이 전후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가장 전방에 스택커 영역(SZ)이 존재하고, 그 뒤로 식별 영역(DZ), 확인 영역(CZ), 이송 영역(TZ) 및 재배치 영역(RZ)이 순차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식별장치(210), 확인장치(220), 이송장치(410) 및 재배치장치(310)의 작업 영역이 겹치지 않고 구분되어 있어서 구조나 제어의 설계가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식별 영역(DZ)과 확인 영역(CZ)이 서로 바뀔 수는 있을 것이다.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의 작동 설명>
작업자 또는 자동대차에 의해 공급용 스택커장치(110)로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린 트레이들이 적재되고,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로는 최소한의 개수로 빈 트레이들이 적재된 후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에 의한 전자부품 재배치 작업이 시작된다.
제1 이동장치(120)들은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에 적재된 트레이들 중 가장 밑에 있는 트레이를 한 장씩 언로딩위치(UP)로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3 이동장치(620), 이송장치(410) 및 제2 이동장치(520)들은 빈 트레이를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로부터 로딩위치(LP)로 이동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빈 트레이를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를 통해 공급하거나 수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들이 초기에 빈 트레이를 공급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적절히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트레이가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정속 및 연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트레이는 당연히 식별 영역(DZ) 및 확인 영역(CZ)을 거치게 되며, 이에 따라 식별장치(210)에 의해 전자부품이 개별적으로 식별되고, 확인장치(220)에 의해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가 확인된다.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트레이가 언로딩위치(UP)까지 도착하게 되면, 제1 승강장치(720)가 작동하여 트레이를 상승시킴으로써 제1 고정부재(710)와 제1 승강장치(720)에 의해 트레이가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정렬부분(AP)이 트레이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마찬가지로 빈 트레이의 경우에도 제2 이동장치(520)에 의해 로딩위치(LP)로 이동하여, 제2 고정부재(810) 및 제2 승강장치(820)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서 재배치장치(310)가 작동되어 언로딩위치(UP)에 있는 트레이로부터 전자부품들을 언로딩한 후 로딩위치(LP)들에 있는 빈 트레이들로 재배치시킨다. 여기서 이루어지는 재배치 작업과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하여 언로딩위치(UP)에서 실린 전자부품의 언로딩이 완료된 트레이는 제1 승강장치(710)에 의해 하강하여 제1 이동장치(120)로 되돌려지는 데, 이 때 푸싱부분(PP)에 의해 트레이의 적절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강된 트레이는 제1 이동장치(120)에 의해 이송 영역(TZ)으로 이동되고, 이송장치(410)에 의해 제3 이동장치(620)로 전달되며, 제3 이동장치(620)는 비워진 트레이를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적재용 스택커장치(610)에 수용된 빈 트레이는 차후 제2 이동장치(620), 이송장치(410) 및 제2 이동장치(520)에 의해 로딩위치(LP)로 공급된다.
한편, 로딩위치(LP)들에 있는 트레이들이 채워지면 해당 트레이들은 제2 이동장치(520)들에 의해 전방의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로 회수된다. 이 과정에서 트레이들은 확인 영역(CZ)을 거치게 되며, 무빙장치(230)에 의해 미리 이동하여 대기하고 있던 확인장치(220)는 확인 영역(CZ)을 지나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식별장치(210)도 확인장치(220)과 함께 이동하게 되지만, 회수되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에 대해서는 식별작업을 또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과정에서는 식별작업이 생략된다.
덧붙여,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에서 공급된 트레이지만, 식별장치(210)에 의한 식별 결과 전자부품의 재배치가 생략될 있는 경우에는, 해당 트레이가 언로딩위치(UP)를 거치지 않고 이송 영역(TZ)에서 곧바로 제2 이동장치(520)로 이송된 후 회수용 스택커장치(510)로 이동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2 이동장치(520)가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재(810)나 제2 승강장치(820)가 없이 제2 이동장치(520)에 파지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된 경우에는 언로딩위치(UP)를 거치지 않고 직접 오는 트레이의 처리가 곤란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에에 따르면 제2 고정부재(810) 및 제2 승강장치(820)에 의해 언로딩위치(UP)에 있는 트레이를 고정시키므로 제2 이동장치(520)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부재(810)와 제2 승강장치(820)가 트레이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도 가지지만, 제2 이동장치(520)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
<적용예>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는 전자부품들을 랏 별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여 도출되었지만, 제안된 전자부품 재배치장비(RER)는 다양한 작동 모드의 선택에 의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적용예들을 가질 수 있다.
1. 랏 구분에 따른 재배치
일반적으로 핸들러를 통해 여러 랏의 물량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테스트가 된 경우에는 전자부품들이 이동 과정이나 리테스트 과정 등에서 전 랏과 후 랏의 물량이 서로 섞여서 하나의 트레이에 실릴 수 있으며, 또는 리테스트만 한 물량이든지 처음부터 테스트 물량이 적었던 랏과 같이 전반적으로 물량이 적은 경우 등에서도 서로 다른 랏의 전자부품들이 섞여서 하나의 트레이에 함께 실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들러로부터 회수한 트레이들은 전자부품 재배치장비에 공급하고, 전자부품의 식별자가 가진 랏 정보에 따라 동일한 랏의 물량들을 재배치시킬 수 있다.
본 활용예에서는 적어도 2 이상의 랏들의 물량을 재배치시켜야 하므로, 공급용 스택커장치(110)보다는 회수용 스택커장치(510)의 개수가 더 많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등급 구분에 따른 재배치
예를 들어, 핸들러에서의 작업 효율성을 위해 테스트 등급이 서로 다른 물량이 하나의 트레이에 구분되게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트레이들을 모아 일괄적으로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에 공급함으로써 등급별로 구분되게 재배치시킬 수 있다.
3. 병합에 따른 재배치
전단에서의 작업 과정에서 일부를 채우지 못한 트레이들이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트레이들을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에 공급하여서 전자부품들이 트레이에 모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트레이의 관리 및 활용율을 높일 수 있다.
<참고적 사항>
1. 위의 설명에서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는 그러한 실시예로만 활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생산공장에서 각각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물량이 서로 섞여 있을 경우에도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킬 필요성이 있을 수 있고, 출하를 위한 필요를 위해서도 일정 목적하에서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ERE)는 어떠한 전 공정(예를 들어 테스트 공정 또는 생산 공정 등)을 거친 후 하나의 트레이에 서로 구분되어야 할 전자부품들이 함께 혼재되어 실린 경우, 이를 구분하여 빈 트레이들에 재배치시킴으로써 핸들러의 가동률을 향상시키거나 수작업에 의한 작업의 곤란함 또는 시간의 절약을 꾀할 수 있게 한다.
2.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가 2개가 구비되고, 회수용 스택커장치(510)가 5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어떠한 제어 모드가 선택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그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병합의 경우에는 공급용 스택커장치(110)의 개수가 회수용 스택커장치(510)의 개수보다 많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물론, 이 때 트레이의 물류만 공급용 스캑커장치(110)와 회수용 스택커장치(510)의 개수 및 그 활용에 맞게 제1 이동장치(120)와 제2 이동장치(520)를 제어해야 할 것이다.
3.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언로딩위치(UP)에서 비워진 트레이가 적재용 스택커장치(610)로 이동한 후 로딩위치(LP)로 이동하는 흐름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언로딩위치(UP)에서 비워진 트레이가 로딩위치(LP)로 직접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4. 그리고 상술한 설명들에서는 전자부품들을 전자부품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있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키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트레이의 고유 식별 정보 및 트레이에 안착된 전자부품들의 좌표 정보를 통해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식별장치(210)가 트레이를 식별하는 것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전자부품들을 단순 병합시키는 경우에는 전자부품들의 적재위치 정도만 확인한 후 그에 따른 좌표 정보만을 통해 전자부품들을 재배치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식별장치(210)의 구성이 생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5. 트레이나 전자부품의 이동 흐름은 어떠한 작동 모드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ERE :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110 : 공급용 스택커장치 120 : 제1 이동장치
210 : 식별장치 220 : 확인장치
230 : 무빙장치 310 : 재배치장치
410 : 이송장치 510 : 회수용 스택커장치
520 : 제2 이동장치 710 : 제1 고정부재
720 : 제1 승강장치 810 : 제2 고정부재
820 : 제2 승강장치
AP : 정렬부분 PP : 푸싱부분

Claims (8)

  1.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재배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 스택커장치;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전자부품을 재배치시키기 위한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장치;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확인 영역을 지나가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언로딩위치에 위치한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상기 재배치 영역의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로 재배치시키는 재배치장치;
    상기 로딩위치에서 전자부품들의 로딩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들이 수용되는 회수용 스택커장치;
    상기 재배치장치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재배치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 실린 트레이들을 상기 회수용 스택커장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장치; 및
    상기 재배치장치가 상기 언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을 상기 로딩위치에 있는 트레이들로 재배치시키도록 상기 재배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에 있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공급용 스택커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은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이며,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테스트 정보인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이송 영역에 위치된 트레이를 상기 제2 이동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재배치 작업이 생략될 수 있는 전자부품들만이 실린 트레이를 상기 제1 이동장치에서 상기 제2 이동장치로 직접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장치가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 중이거나 상기 제2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 중인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의 안착 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확인 영역 내에서 상기 확인장치를 이동시키는 무빙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의해 전자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영역을 지나가는 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들에 있는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장치는 상기 확인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위치에서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상기 언로딩위치에서 상기 제1 이동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상승시켜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승된 상태의 트레이를 상기 제1 이동장치로 하강시키는 제1 승강장치;
    상기 로딩위치에서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로딩위치에서 상기 제2 이동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상승시켜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승된 상태의 트레이를 상기 제2 이동장치로 하강시키는 제2 승강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또는 제2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승하는 트레이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분; 및
    트레이가 하강할 시에 트레이를 하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싱부분; 을 가지는 전자부품 재배치장비.











KR1020230020665A 2018-07-12 2023-02-16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KR10258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665A KR102581145B1 (ko) 2018-07-12 2023-02-16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90A KR102581147B1 (ko) 2018-07-12 2018-07-12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KR1020230020665A KR102581145B1 (ko) 2018-07-12 2023-02-16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90A Division KR102581147B1 (ko) 2018-07-12 2018-07-12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380A true KR20230026380A (ko) 2023-02-24
KR102581145B1 KR102581145B1 (ko) 2023-09-25

Family

ID=692093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90A KR102581147B1 (ko) 2018-07-12 2018-07-12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KR1020230020665A KR102581145B1 (ko) 2018-07-12 2023-02-16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90A KR102581147B1 (ko) 2018-07-12 2018-07-12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581147B1 (ko)
CN (1) CN110711705B (ko)
TW (1) TWI7024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23B1 (ko) * 2019-04-12 2023-11-06 (주)테크윙 전자부품 처리 공정용 시터 및 전자부품 처리 공정용 시터의 스태커 시스템
CN114972505B (zh) * 2022-04-29 2023-05-12 弥费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识别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95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적층 시스템
KR100838265B1 (ko) * 2007-03-09 2008-06-17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핸들링장치
KR20100107945A (ko) 2009-03-27 2010-10-06 (주)제이티 소자소팅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2525A (ko) * 2011-02-11 2012-08-21 (주)제이티 소자검사장치
KR20170054825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이노비즈 반도체 검사 및 분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9614B (en) * 2000-12-04 2004-07-07 Ssi Schaefer Ltd Pallet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JP3804540B2 (ja) * 2002-01-28 2006-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薄物郵便物道順組立仕分装置
CN101384913A (zh) * 2006-01-17 2009-03-11 株式会社爱德万测试 电子部件试验装置以及电子部件的试验方法
CN101807437B (zh) * 2009-02-12 2013-01-23 深圳市江波龙电子有限公司 快闪存储器的自动扫描分拣系统及自动扫描方法
CN103826998B (zh) * 2011-09-30 2017-01-18 Ats自动化加工系统公司 为移动元件提供真空的系统和方法
CN102688860B (zh) * 2012-05-18 2014-01-08 昆山诚业德通讯科技有限公司 自动分拣排料装置
KR102024944B1 (ko) * 2013-07-17 2019-09-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및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서 테스트 트레이 이송 제어방법
EP3047715B1 (en) * 2013-09-18 2019-03-27 Mycronic AB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dentifying a bin in an smt system
US20150118011A1 (en) * 2013-10-30 2015-04-30 Data I/O Corporation Tray stack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811662B1 (ko) * 2014-03-07 2017-12-26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및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에서의 테스트 지원 방법
US9638748B2 (en) * 2014-04-10 2017-05-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y loading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810082B1 (ko) * 2014-10-24 2017-12-18 (주)제이티 소자소팅장치
TWI613600B (zh) * 2015-11-30 2018-02-01 Seiko Epson Corp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KR102656451B1 (ko) * 2016-03-18 2024-04-12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CN106364880B (zh) * 2016-10-25 2018-09-25 山东华光光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激光器产品快速排列转移装置及转移方法
CN107931145A (zh) * 2017-12-20 2018-04-20 惠州恒立信科技有限公司 锂电池分选排列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95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적층 시스템
KR100838265B1 (ko) * 2007-03-09 2008-06-17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핸들링장치
KR20100107945A (ko) 2009-03-27 2010-10-06 (주)제이티 소자소팅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2525A (ko) * 2011-02-11 2012-08-21 (주)제이티 소자검사장치
KR20170054825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이노비즈 반도체 검사 및 분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147B1 (ko) 2023-09-25
CN110711705A (zh) 2020-01-21
KR20200007140A (ko) 2020-01-22
KR102581145B1 (ko) 2023-09-25
TWI702409B (zh) 2020-08-21
TW202006381A (zh) 2020-02-01
CN110711705B (zh)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6380A (ko)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KR101734397B1 (ko) 검사용 전자부품 로딩 장치 및 전자부품 테스트 장치
TWI611195B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JP3016982B2 (ja) 自動テスト用ハンドラーのトレイを取り扱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205950B1 (ko) 메모리카드용 테스트 핸들러
KR20230165173A (ko) 소자소팅장치
KR100815131B1 (ko) 트레이 로딩/언로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20000065749A (ko) 번인테스터용 소팅 핸들러
KR101508507B1 (ko) 비전검사장비의 픽커 유니트
KR20220103075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102598123B1 (ko) 전자부품 처리 공정용 시터 및 전자부품 처리 공정용 시터의 스태커 시스템
KR102603158B1 (ko) 소자소팅장치
TWI804322B (zh) 置盤裝置及作業機
KR101446310B1 (ko) 전자부품 테스트 시스템
KR100809365B1 (ko) 테스트핸들러의 테스트지원방법 및 테스트핸들러
KR100833284B1 (ko) 반도체 소자 적재용 트레이 이송 방법
KR102227346B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20230166058A (ko) 전자부품이 실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전자부품 처리장비
KR101417909B1 (ko) 검사 시스템, 그리고 그 구동 유닛 및 방법
KR100835178B1 (ko) 버티컬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이송 장치
KR101267841B1 (ko)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 공급 배출 방법
KR20220103076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TW201632904A (zh) 電子元件作業設備
KR20230151427A (ko) 소자소팅장치
KR20240033653A (ko)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