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589A -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589A
KR20230021589A KR1020220092335A KR20220092335A KR20230021589A KR 20230021589 A KR20230021589 A KR 20230021589A KR 1020220092335 A KR1020220092335 A KR 1020220092335A KR 20220092335 A KR20220092335 A KR 20220092335A KR 20230021589 A KR20230021589 A KR 2023002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kin
double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 키노시타
유스케 스기노
타츠야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의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1)는, 기재층(2)과, 기재층(2)의 양면에 마련된 점착제층(3, 4)을 구비한다. 한쪽의 점착면(3a)의,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서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mJ/m2 미만이다. 다른 쪽의 점착면(4a)은 피부에 첩부하는 측이다.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1)의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파단 응력은 0.8N/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APPLICATION TO SKIN}
본 발명은 피부에 첩부하여 이용되는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나 스포츠 분야, 미용 분야 등에서 피부 첩부용의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피부 첩부용 점착 시트에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나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피부 첩부용 점착 시트로서는, 예컨대 인용 문헌 1~3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인용 문헌 3에는 뇌파 측정용으로 이용하는 젤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284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284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24907호
근래, 예컨대 인체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 등, 헬스케어 목적 등에서 각종 측정 기기 등의 전자 기기 디바이스가 인체의 피부에 첩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 기기 디바이스 등의 첩부물을 피부에 첩부할 때,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첩부물을 피부에 첩부하는 데 사용되는 양면 점착 시트에는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하에서 생각된 것이며, 그의 목적은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의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층을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이며, 첩부물 측의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특정의 범위 내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에 따르면,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한쪽의 점착면의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서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mJ/m2 미만이며, 다른 쪽의 점착면은 피부에 첩부하는 측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파단 응력이 0.8N/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영률이 5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쪽의 점착면의 온도 23℃, 박리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측정되는, 실리콘 수지 기판에 대한 180° 박리 강도는 2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JIS K7136-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에서, 파장 400~700nm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이며, 또한 파장 2000~2500nm의 영역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50mJ/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1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과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은, 서로 종류가 상이한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전자 기기 디바이스를 인체의 피부에 첩부하는 용도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기기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의 단면 모식도이다.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한쪽의 점착면을 첩부물에, 다른 쪽의 점착면을 피부에 각각 첩부하여 이용되는 양면 점착 시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첩부물에 첩부하는 측의 점착면을 '점착면 A', 피부에 첩부하는 측의 점착면을 '점착면 B'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면 A를 제공하는 점착제층을 '점착제층 A', 점착면 B를 제공하는 점착제층을 '점착제층 B'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에서의 상기 한쪽의 점착면(점착면 A)의,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서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mJ/m2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8mJ/m2 이하이다. 상기 표면 자유 에너지가 20mJ/m2 미만인 것에 의해, 점착면 A의 첩부물(특히 표면 자유 에너지가 낮은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점착면 B)의,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서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50mJ/m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40mJ/m2이다. 상기 표면 자유 에너지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점착면 B의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γ)는, 다음 식: γ=γd+γp+γh;에 의해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에서, 상기 식 중의 γd, γp 및 γh는, 각각, 표면 자유 에너지의 분산 성분, 극성 성분, 및 수소결합 성분을 나타낸다.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γ)는, 물, 디요오드메탄, 및 1-브로모나프탈렌을 프로브액으로서 이용하고 각프로브액의 접촉각으로부터 기타자키-하타식(일본 접착 협회지, Vol. 8, No. 3, 1972, pp. 131-141)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접촉각의 측정은, 시판의 접촉각계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접촉각계로서는, 쿄와 계면 과학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명 'DMo-701'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에는 액적법을 이용하여 착적(着滴) 1000ms 후의 액적 형상으로부터 접촉각을 측정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이 채용된다.
점착면 A의, 온도 23℃, 박리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측정되는, 실리콘 수지 기판에 대한 180° 박리 강도는, 2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N/2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N/20mm 이상이다. 상기 박리 강도가 2N/20mm 이상이면, 점착면 A의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적어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과, 점착면 A를 제공하는 점착제층과 점착면 B를 제공하는 점착제층을 적어도 구비한다.
점착면 A를 제공하는 측에 마련된 점착제층 및 점착면 B를 제공하는 측에 마련된 점착제층은, 각각 단층이어도 되고 복층이어도 된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가 구비하는 복수의 점착제층은, 동일한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조성, 두께, 물성 등이 상이한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는, 서로 동일한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두께나 물성, 성분 조성 등이 상이한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는, 서로 성분 조성이 상이한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조성이 상이한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종류나 구성 단위의 비율 등),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성분 조성 등이 상이한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1)는, 기재층(2)과, 기재층(2)의 한쪽의 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점착제층 A)(3)과 기재층(2)의 다른 쪽의 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점착제층 B)(4)을 구비한다. 점착제층(3)은 첩부물에 첩부하는 점착면 A(3a)를 포함하고, 점착제층(4)은 피부에 첩부하는 점착면 B(4a)를 포함한다. 점착제층(3, 4)은 서로 성분 조성이 상이한 점착제층이다.
(기재층)
상기 기재층은,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에서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요소이다. 상기 기재층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취급성이 우수하고, 예컨대 첩부물을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기재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예컨대,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EVA), 이오노머,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랜덤, 교호)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등의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아라미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페닐설파이드; 불소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폴리설폰; 폴리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층에는 양면 점착 시트의 사용(첩부) 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층으로서는, 예컨대 플라스틱 기재(예컨대 플라스틱 필름), 종이, 포,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스티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필름이나, 예컨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셀룰로오스 등의 합성 혹은 천연의 유기 고분자류로 이루어지는 직포나 부직포, 편포, 종이; 이들 중 2 이상의 적층체(포백(布帛)이나 종이끼리의 적층체, 필름과 포백의 적층체,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부직포,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폴리우레탄계 기재, 폴리프로필렌계 기재, 폴리에틸렌계 기재, 에틸렌-초산비닐계 기재, 실리콘계 기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유연성(피부 추종성), 적당한 투습성, 인장 강도 등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계 필름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필름이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우수하면 첩부물로서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피부에 첩부한 상태에서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
상기 기재층은,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착색제(안료나 염료), 분산제(계면활성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각종 첨가제의 배합 비율은, 상기 기재층의 총 질량 100질량%에 대하여, 30중량% 미만(예컨대 20중량% 미만, 전형적으로는 10중량% 미만) 정도이다.
상기 기재층은, 보조적인 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보조적인 층의 예로서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마련된 착색층, 언더코트(undercoat)층, 대전 방지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층 표면은, 점착제층과의 밀착성, 유지성 등을 높이는 목적으로,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샌드 매트 가공 처리, 오존 폭로 처리, 화염 폭로 처리, 고압 전격 폭로 처리,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크롬산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코팅제(언더코트제)에 의한 이접착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는 기재층의 표면 전체에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유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이 우수하고 취급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직포나 부직포 등의 포백이나 종이 등을 기재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평량이 8~200g/m2 정도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를 적어도 구비한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 이외의 그 외의 점착제층을, 상기 기재층과 점착제층 A 또는 점착제층 B와의 사이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가 구비하는 각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이들의 혼합계 등),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점착제층 A>
점착제층 A를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낮은 표면 자유 에너지를 갖는 점착제층을 용이하게 설계 가능한 관점에서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점착제층 A는 실리콘계 점착제로 구성된 실리콘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내지 관용의 실리콘계 점착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과산화물 가교형 실리콘계 점착제(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제, 축합형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1액형, 2액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규소 원자에 비닐기 등의 알켄일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과 히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염화 백금산 등의 백금 화합물 촉매를 이용하여 부가 반응(히드로실릴화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실리콘계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점착제이다.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과산화물에 의해 경화(가교)시켜 실리콘계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점착제이다. 또한, 축합형 실리콘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말단에 실란올기 또는 알콕시실릴기 등의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산 간의 탈수 또는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실리콘계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점착제이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촉매(경화제), 충전제, 가소제, 노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리콘 고무로서는, 실리콘계의 고무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등을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형에 따라, 규소 원자에 결합한 알켄일기를 갖는 실리콘계 고무(알켄일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부가 반응형의 경우), 메틸기를 적어도 갖는 실리콘계 고무(과산화물 경화형의 경우) 말단에 실란올기 또는 가수분해성의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실리콘계 고무(축합형의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고무에서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컨대 15만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8만~1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만~90만이다.
상기 실리콘 레진으로서는, 실리콘계 점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계의 레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구성 단위 'R3Si1/2'로 이루어지는 M단위, 구성 단위 'SiO2'로 이루어지는 Q단위, 구성 단위 'RSiO3/2'로 이루어지는 T단위, 및 구성 단위 'R2SiO'로 이루어지는 D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단위에서의 R은,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지방족 탄화수소기(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 등), 지환식 탄화수소기(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 방향족 탄화수소기(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M단위와, Q단위, T단위, 및 D단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위의 비율(비)로서는, 예컨대 전자/후자(몰비)=0.3/1~1.5/1(바람직하게는 0.5/1~1.3/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리콘 레진에서의 오가노폴리실록산에는, 필요에 따라서, 비닐기 등의 각종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입되는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한 관능기이어도 된다. 실리콘 레진으로서는, M단위와 Q단위로 이루어지는 MQ레진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레진에서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예컨대 1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10000이다.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의 배합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리콘 고무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레진이 100~220질량부, 특히 120~18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은, 이들을 함유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에서 단지 혼합되어 있는 혼합 상태이어도 되고, 서로 반응하여, 축합물(특히 부분 축합물), 가교 반응물, 부가 반응 생성물 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가교 구조체로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록산계 가교제(실리콘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실록산계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폴리오가노히드로젠실록산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오가노히드로젠실록산에서,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규소 원자에는, 수소 원자 이외에 각종 유기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나 페닐기 등의 아릴기 외에 할로겐화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합성이나 취급의 관점에서, 알킬기, 특히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오가노히드로젠실록산의 골격 구조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 중 어느 골격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되지만 직쇄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디아실퍼옥사이드, 알킬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퍼옥시케탈, 디알킬퍼옥사이드, 히드로퍼옥사이드, 케톤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KR-3700', 상품명 'KR-3701', 상품명 'X-40-3237-1', 상품명 'X-40-3240', 상품명 'X-40-3291-1'(이상, 신에쓰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 제조)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로서 예컨대, 상품명 'KR-100', 상품명 'KR-101-10', 상품명 'KR-130'(이상, 신에쓰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 제조) 등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층은, 예컨대 점착제층 A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또는 박리 라이너 위에 도포(도공)하여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또는 박리 라이너 위에 도포(도공)하여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가열 건조하여도 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컨대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공)에는,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가 이용되어도 된다.
점착제층 A의 두께는 예컨대 5~500㎛이며, 바람직하게는 50~200㎛이다. 상기 두께가 5㎛ 이상이면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두께가 500㎛ 이하(특히, 200㎛ 이하)이면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점착제층 B>
점착제층 B를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폴리머란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폴리머 성분 중의 주성분, 예컨대 50질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폴리머 성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6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그 외도 마찬가지이다.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탄소수가 1~20인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그 중에서도, 탄소수가 6 이상(바람직하게는 6~18)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6 이상(특히 6~18)이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비교적 적고,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점착력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함께,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카복시기 함유 모노머,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케토기 함유 모노머,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비닐에테르계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방향족 비닐 화합물, 지환식 모노머, 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염소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B는, 필요에 따라서, 또한 점착 부여 수지, 필러, 가교제, 가교 촉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박상물, 방청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첨가제는 각각 1종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점착제층 B는, 어느 형태이어도 되고, 예컨대 에멀션형, 용제형(용액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용융형(핫멜트형) 등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기 쉬운 점에서, 용제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컨대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층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점착제 조성물)를 상기 기재층 또는 박리 라이너 위에 도포(도공)하여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또는 박리 라이너 위에 도포(도공)하여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가열 건조하여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공)에는,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가 이용되어도 된다.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의 가열 건조 온도는, 40~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70℃이다. 건조 시간은 적당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지만, 예컨대 5초~2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5초~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5분이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제조함과 함께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 사전에 일부를 중합하여 시럽으로 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에는,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B의 두께는 예컨대 1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상기 두께가 10㎛ 이상(특히 20㎛ 이상)이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 및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두께가 200㎛ 이하(특히 60㎛ 이하)이면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총 두께)는 1000㎛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1000㎛ 미만이면 유연성이 우수하고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상기 두께가 40㎛ 이상(특히 80㎛ 이상)이면 첩부물 및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는, 점착면 A로부터 점착면 B까지의 두께, 즉 점착체의 두께를 말하고,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점착면 A 및 점착면 B를 양쪽의 점착면으로 하는, 점착제층 A, 상기 기재층, 및 점착제층 B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점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의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파단 응력은, 0.8N/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m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N/mm2 이상이다. 상기 파단 응력이 0.8N/mm2 이상이면, 점착제층이 연장되었을 때에 파단하기 어렵고, 첩부물로서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피부에 첩부한 상태에서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 상기 파단 응력은, 샘플 형상을 덤벨 3호형으로 하고 척간 거리 50mm, 인장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23℃, 50%RH의 환경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특히, 상기 기재층의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파단 응력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의 파단 응력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의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영률은, 5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MPa 이하이다. 상기 영률이 50MPa 이하이면 첩부물로서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피부에 첩부한 상태에서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의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영률은, 예컨대 0.5MPa 이상이다. 상기 영률은, 샘플 형상을 덤벨 3호형으로 하고 척간 거리 50mm, 인장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23℃, 50%RH의 환경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특히, 상기 기재층의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영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의 영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의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파단 신도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파단 신도가 50% 이상이면, 점착제층이 연장되었을 때에 파단하기 어렵고, 첩부물로서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피부에 첩부한 상태에서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 상기 파단 신도는, 샘플 형상을 덤벨 3호형으로 하고 척간 거리 50mm, 인장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23℃, 50%RH의 환경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특히, 상기 기재층의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파단 신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의 파단 신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는, JIS K7136-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에서, 파장 400~700nm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상기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이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고 양면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첩부하였을 때의 시인성이 우수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상기 점착체)는, JIS K7136-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에서, 파장 2000~2500nm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상기 투과율의 평균값이 40% 이상이면 적외선의 투과율이 높고, 광 센싱 기능이 우수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에는 박리 라이너가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에서의 양면의 각 점착면은, 2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 1매에 의해, 롤상으로 권회되는 형태(권회체)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이용되고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벗겨진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박리 처리층을 포함하는 기재,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포함하는 기재로서는, 예컨대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 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에서의 불소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극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첩부물을 피부(살갗)에 첩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첩부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자 기기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면 A는 실리카나 실리콘 수지 등의 규소 원자 함유 물질에 대한 밀착성이 특히 우수한 관점에서, 상기 첩부물로서는, 그 중에서도, 전자 기기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전자 기기 디바이스에 첩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부용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피부 및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연성이 우수한 경우,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여 피부로부터 벗겨져 떨어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상기 첩부물은, 리지드 디바이스, 세미 플렉서블 디바이스, 플렉서블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는 인체의 피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투명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센싱 기능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아무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콘계 점착제층의 제작)
부가형의 실리콘계 점착제(상품명 'KR-3700', 신에쓰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 제조)를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편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S',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며 140℃에서 8분 가열하여 건조하여, 두께 100㎛의 점착제층(실리콘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양면 점착 시트)
기재층의 한쪽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당해 점착제층 표면에 박리 라이너가 적층된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76',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의 기재층 표면에,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층을 첩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층의 양면에, 점착제층 및 실리콘계 점착제층 각각이 적층되고 또한 양쪽의 점착제층에 각각 박리 라이너가 적층된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76',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대신에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79',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76',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대신에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45',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76',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대신에 피부 첩부용 테이프(상품명 'ST-2410',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고무계 점착제층)
베이스 폴리머로서의 수첨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상품명 '2563NS', 소켄 화학 주식회사 제조)를 톨루엔에 용해하고, 고형분 농도를 25질량%로 조정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편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하여 건조하여, 두께 50㎛의 점착제층(고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양면 점착 시트)
실리콘계 점착제층 대신에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였다. 단, 후술하는 평가에서, 피부 첩부용 테이프에서의 점착제층 및 실리콘계 점착제층의 첩부 대상이 실시예 1과는 반대가 되도록 이용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계 점착제층)
아크릴산 부틸(BA) 40질량부, 아크릴산 시클로헥실(CHA) 40질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Ominrad 651', 아이 지 엠 레진 비. 브이.(IGM Resins B. V.)사 제조) 0.05질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Ominrad 184', 아이 지 엠 레진 비. 브이.(IGM Resins B. V.)사 제조) 0.05질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분 중합물(모노머 시럽)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모노머 시럽에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상품명 'KAYARAD DPHA', 닛폰 가야쿠 주식회사 제조) 0.1질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편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에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편면이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E',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을, 당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이 상기 도포층 측이 되도록 하여 덮어씌웠다. 이것에 의해 상기 도포층을 산소로부터 차단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도포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케미컬 라이트 램프(주식회사 토시바 제조)를 이용하여 조도 5mW/cm2의 자외선을 360초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켜 두께 50㎛의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조도의 값은, 피크 감도 파장 약 350nm의 공업용 UV 체커(제품명 'UVR-T1', 주식회사 톱콘 제조, 수광부 형식 UD-T36)에 의한 측정 값이다.
(양면 점착 시트)
실리콘계 점착제층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및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1) 표면 자유 에너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에서의 양쪽의 점착면에 대하여, 물, 디요오드메탄, 및 1-브로모나프탈렌 각각의 접촉각을, 접촉각계(제품명 'DMo-701', 쿄와 계면 과학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촉각의 값을 이용하여 기타자키-하타식에 따라 표면 자유 에너지를 산출하였다.
(2) 영률, 파단 신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덤벨 3호형(JIS K6251에 준거, 폭 5mm)으로 펀칭하고, 모든 박리 라이너를 벗겨 점착 시트를 노출시키고, 23℃, 50%RH의 환경하에서, 모든 박리 라이너를 벗겨 점착 시트를 노출시켜, 인장 시험기(제품명 'Autograph AG-10G형 인장 시험기',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 50mm, 인장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상기 시험편이 파단할 때까지 시험편을 잡아늘여 신장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변위와 응력의 결과로부터 영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험편의 초기 척간 거리를 0%로 하고, 시험편의 파단 시에서 초기 척간 거리로부터 연장한 차분(差分)을 초기 척간 거리로 나눈 값을 파단 신도로 하였다. 또한, 상기 신장 시험은, 기재층의 MD 방향 및 TD 방향 각각에 대하여 행하였다.
(3) 파단 응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덤벨 3호형(JIS K6251에 준거, 폭 5mm)으로 펀칭하고, 모든 박리 라이너를 벗겨 점착 시트를 노출시키고, 긴 방향으로 척간 50mm에서 인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I'(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에 셋팅하고, 인장 속도 50mm/분에서 파단할 때까지 신장하여, 하중(파단 응력)을 측정하였다.
(4) 투과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모든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 방향의 전광선 투과율을 자외선/가시근적외선 분광 광도계(장치명 'SolidSpec',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투과율 및 파장 2000~2500nm에서의 평균 투과율을 각각 산출하였다.
(5) 첩부물 측 점착면의 밀착성
23℃, 50%RH의 측정 환경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의 피부 측의 점착면(표 1 참조)에 두께 25㎛의 PET 필름을 첩부하여 배접하고, 폭 2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컷팅하여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측정 샘플에 대하여, 23℃, 50%RH의 환경하에서, 상기 측정 샘플의 첩부물 측의 점착면(표 1 참조)을 실리콘 고무 시트(상품명 'QP1-70', 다우·도레이 주식회사 제조)에 2kg의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이것을 동일 환경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3연 인장 시험기(제품명 'AG-X plus',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를 사용하여, JIS Z0237:2000에 준하여, 인장 속도 50m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180°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6) 피부 측 점착면의 밀착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를 폭 50mm×길이 50mm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하고, 첩부물 측의 점착면에는, 두께 5㎛의 PET 필름을 첩부하여 배접하고, 피부 측의 점착면을 자원봉사자 5명의 전완부에 첩착하였다. 이 상태에서, 실온에서 3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양면 점착 시트 단부의 들뜸 상태를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4는 모두 3이었다.
(들뜸의 상태)
3: 들뜸 없음, 2: 단부에 약간 들뜸 있음, 1: 절반 이상 들뜸 있음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는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 및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유연성도 우수하고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첩부물을 첩합시키는 측의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큰 경우(비교예), 첩부물에 대한 밀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1: 양면 점착 시트
2: 기재층
3, 4: 점착제층
3a: 점착면 A
4a: 점착면 B

Claims (12)

  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한쪽의 점착면의,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서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mJ/m2 미만이며,
    다른 쪽의 점착면은 피부에 첩부하는 측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파단 응력은 0.8N/mm2 이상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에서의 영률은 50MPa 이하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점착면의, 온도 23℃, 박리 속도 50mm/분의 조건으로 측정되는, 실리콘 수지 기판에 대한 180° 박리 강도는 2N/20mm 이상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JIS K7136-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에서, 파장 400~700nm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은 40% 이상이며, 또한 파장 2000~2500nm의 영역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은 40% 이상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50mJ/m2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총 두께는 1000㎛ 미만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과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은, 서로 종류가 상이한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자 기기 디바이스를 인체의 피부에 첩부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인,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디바이스.
KR1020220092335A 2021-08-05 2022-07-26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KR20230021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28747 2021-08-05
JP2021128747A JP2023023326A (ja) 2021-08-05 2021-08-05 皮膚貼付用両面粘着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589A true KR20230021589A (ko) 2023-02-14

Family

ID=8518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335A KR20230021589A (ko) 2021-08-05 2022-07-26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23326A (ko)
KR (1) KR20230021589A (ko)
CN (1) CN115703948A (ko)
TW (1) TW2023114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454A (ja) 2019-02-07 2020-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0128453A (ja) 2019-02-07 2020-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1024907A (ja) 2019-08-01 2021-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454A (ja) 2019-02-07 2020-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0128453A (ja) 2019-02-07 2020-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1024907A (ja) 2019-08-01 2021-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1472A (zh) 2023-03-16
JP2023023326A (ja) 2023-02-16
CN115703948A (zh)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777B1 (ko) 점착 시트
KR102292340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전자기기
KR101884943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102292917B1 (ko) 점착 테이프
KR20160011614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5030765A (ja)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121044A (ja) 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US10961417B2 (en) Laminate sheet and roll
KR102295036B1 (ko)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JP4822885B2 (ja) 半導体用粘着シート
JP201222480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7873043B (zh) 粘合剂片材
CN112571879A (zh) 层叠片
WO2016114241A1 (ja) 両面粘着シート
JP6989380B2 (ja) 剥離ライナー付きグラファイト粘着テープ
JP2010155923A (ja) 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6456717B2 (ja) 粘着テープ
JP2018065320A (ja) 型板ガラス内貼り用飛散防止フィルム
KR20230021589A (ko) 피부 첩부용 양면 점착 시트
WO2012144349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4101460A (ja) 透明粘着剤組成物及び透明粘着テープ
JP201310799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121868A1 (ja) 発泡部材用キャリアテープ、発泡部材複合体、ポリエステル系発泡部材の搬送方法、ポリエステル系発泡部材の加工方法、および、ポリエステル系発泡部材の組み付け方法
KR20230061258A (ko) 박리 라이너 부착 광학 점착 시트
JP2005263993A (ja) 粘着加工シート及び剥離シート付き粘着加工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