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600A -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600A
KR20230017600A KR1020210099299A KR20210099299A KR20230017600A KR 20230017600 A KR20230017600 A KR 20230017600A KR 1020210099299 A KR1020210099299 A KR 1020210099299A KR 20210099299 A KR20210099299 A KR 20210099299A KR 20230017600 A KR20230017600 A KR 2023001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wing
outer wing
rotate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준
연동원
손정웅
김병조
전완수
김춘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600A/ko
Priority to US17/728,432 priority patent/US11878574B2/en
Priority to DE102022204512.2A priority patent/DE102022204512A1/de
Priority to CN202210562937.2A priority patent/CN115675019A/zh
Publication of KR2023001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 및 서포트윙(500)이 모두 덕트(100)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함에 따라 컴팩트하고 슬림한 에어벤트의 구성이 가능하고, 히든감 구현 및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우터윙(400)의 중앙에 위치한 1개의 노브(600)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해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조작에 대한 편의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통해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SLIM 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향 및 풍량 등에 대한 성능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상하방향 높이가 축소된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차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에어벤트(air vent)가 구비되어 있다.
에어벤트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너윙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아우터윙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너윙 및 아우터윙의 회전을 통해 공기조화기에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차실내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벤트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아우터윙이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하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차량 실내에서 종래의 에어벤트를 보면 덕트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하로 적층된 다수개의 아우터윙에 의해 상하방향의 길이는 길고(상하방향의 높이가 높고), 좌우방향의 길이는 상하방향과 대등한 길이로 형성된 구조인 바, 이로 인해 종래의 에어벤트는 외형적 사이즈가 크고 투박하여 스마트한 이미지 및 고급감의 이미지를 추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벤트는 아우터윙이 덕트의 외부로 돌출되어서 실내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미가 나쁜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벤트는 아우터윙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출구의 단면적이 변화되고, 이로 인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에 변화가 발생하여서 토출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며, 이 결과 에어벤트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8487호
본 발명은, 풍향 및 풍량 등에 대한 성능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풍향조절을 위해 회전하는 이너윙과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이 모두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의 구성으로, 이를 통해 상하방향의 높이 축소를 통해 컴팩트하고 슬림한 에어벤트의 구성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스마트한 이미지 및 고급감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이너윙과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을 통해 아우터윙이 덕트의 외부로 돌출되어서 실내로 노출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우터윙의 회전에 상관없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출구의 단면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벤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실내로 돌출된 노브의 돌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 및 실내로 토출되는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는, 덕트내에 위치하고 노브 조작시 좌우로 회전하는 이너윙; 상기 덕트내에 위치하고 이너윙의 후방에 위치하며 노브 조작시 상하로 회전하는 아우터윙과 서포트윙; 상기 노브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고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에는 노브와 함께 회전하고 노브의 좌우방향 이동시에는 노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핀; 및 상기 노브핀의 일단과 아우터윙을 연결하고 노브의 상하??향 회전에 따른 노브핀의 회전시 아우터윙과 서포트윙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의 좌우측에 스페이서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윙의 좌우 양단 및 서포트윙의 좌우 양단이 스페이서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윙의 전방단과 서포트윙의 후방단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윙은 아우터윙의 회전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윙은 상하로 이격된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은 링크기구를 통해 노브핀과 연결되어서 노브핀의 회전시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윙은 어퍼아우터윙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어퍼서포트윙; 및 상기 로어아우터윙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서포트윙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서포트윙와 로어서포트윙은 상하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서포트윙과 로어서포트윙은 각각 실린더 및 실린더를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로드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서 아우터윙의 상하방향 회전시에 개별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는 이너윙의 수직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수직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노브의 좌우방향 조작시 수직로드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이너윙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는 노브핀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는 이너노브; 및 상기 이너노브를 감싸고 노브핀이 관통하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아우터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이너노브와 노브핀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노브의 좌우방향 이동시 이너노브와 노브핀은 고정되고 아우터노브만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노브와 아우터노브에는 이너노브와 아우터노브사이의 간극관리를 위한 스프링 및 러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핀은 장식커버 및 백커버에 의해 감싸여지고; 상기 장식커버와 백커버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장식커버는 덕트의 상하??향 중간위치에서 좌우 양단이 덕트에 고정되고 실내로 노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노브에는 아우터노브와 장식커버사이의 간극관리 및 작동력관리를 위해 장식커버와 접촉하도록 러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노브핀의 일단과 결합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고 양단이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과 결합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핀이 회전하면 제1링크가 회전하고, 제1링크의 회전시 제2링크는 제1링크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의 좌우측에는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스페이서의 외측에서 스페이서를 관통한 노브핀의 일단 및 어퍼아우터윙의 가이드돌기와 로어아우터윙의 가이드돌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제1링크의 회전에 따른 제2링크의 상하방향 이동시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홀과 제2가이드홀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는, 풍향과 풍량 및 풍향 지향성과 소음 그리고 기밀성에 대한 에어벤트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면서 이너윙과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이 모두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높이를 크게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하고 슬림한 에어벤트의 구성이 가능하고, 스마트한 이미지 및 고급감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스마트한 이미지를 갖는 자율주행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이너윙과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이 모두 덕트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히든감 구현 및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의 상하방향 회전에 상관없이 후방유로의 단면적은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벤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아우터윙의 중앙에 위치한 1개의 노브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해서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으로, 1개의 노브를 조작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노브의 수동조작을 통해 원가절감 및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실내로 돌출된 노브의 돌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 및 실내로 토출되는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의 단면도,
도 5는 노브와 노브핀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노브핀과 아우터윙을 연결하는 링크기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도 3에서 노브 및 아우터윙이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 및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실내로 안내하는 덕트(100), 상기 덕트(100)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공기의 토출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개의 이너윙(200),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에 고정되게 결합된 스페이서(300), 상기 이너윙(2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좌우 양단이 스페이서(30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아우터윙(400), 상기 아우터윙(400)의 전방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우 양단이 스페이서(30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아우터윙(400)의 회전시 길이가 가변되는 서포트윙(500), 상기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노브(600), 상기 노브(600)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고 노브(600)의 상하방향 회전시에는 노브(600)와 함께 회전하고 노브(600)의 좌우방향 이동시에는 노브(6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핀(700), 및 상기 노브핀(700)의 일단과 아우터윙(400)을 연결하고 노브(700)의 상하??향 회전에 따른 노브핀(700)의 회전시 아우터윙(400)과 서포트윙(7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 및 서포트윙(500)이 모두 덕트(100)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다수개의 아우터윙이 덕트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하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에어벤트와 비교하여 볼 때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높이를 크게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슬림 에어벤트의 구성이 가능하고, 스마트한 이미지 및 고급감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한 이미지를 갖는 자율주행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 및 서포트윙(500)이 모두 덕트(100)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히든감 구현 및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너윙(200)은 좌우로 배치된 다수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이너윙(200)은 상하단에 결합된 링키지(210)를 통해 일체화되게 연결되며, 링키지(210)는 덕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다수개의 이너윙(200) 중 어느 하나가 좌우로 회전하면 링키지(210)를 통해 연결된 나머지의 이너윙(200)들도 동시에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은 설치된 방향을 따라 각각 수직윙과 수평윙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덕트(100)의 좌우측에는 아우터윙(400)의 측면과 마주 대하도록 스페이서(300)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다.
스페이서(300)는 덕트(100)의 측면과 아우터윙(400)의 측면사이의 불필요한 틈새를 막아서 공기가 누유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누기로 인한 휘슬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아우터윙(400)은 상하로 이격된 어퍼아우터윙(410) 및 로어아우터윙(420)을 포함한다.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의 좌우측에는 가이드돌기(411,421)가 각각 형성되고, 스페이서(300)에는 어퍼아우터윙(410)의 회전반경 및 로어아우터윙(420)의 회전반경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가이드돌기(411,421)가 삽입되어서 이동하는 제1가이드홀(310)과 제2가이드홀(320)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411,421)와 제1,2가이드홀(310,320)은 아우터윙(400)의 상하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스페이서(300)를 통해 덕트(100)와 아우터윙(400)을 연결해주는 역할도 해서 아우터윙(400)의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어퍼아우터윙(410)의 후방단 좌우측과 로어아우터윙(420)의 후방단 좌우측에는 각각 힌지돌기(412,422)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페이서(300)에는 힌지돌기(412,422)가 각각 결합되는 힌지구멍이 형성되는 바, 따라서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은 힌지돌기(412,422)와 힌지구멍의 결합에 의해 스페이서(300)에 대해 함께 상하로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은 링크기구(800)를 통해 노브핀(700)과 연결되어서 노브핀(700)의 회전시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서포트윙(500)은 어퍼아우터윙(410)의 전방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쪽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돌기(511)가 스페이서(300)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결합됨에 따라 스페이서(300)에 대해 상하로 회전하는 어퍼서포트윙(510), 및 로어아우터윙(420)의 전방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쪽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돌기(521)가 스페이서(300)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결합됨에 따라 스페이서(300)에 대해 상하로 회전하는 로어서포트윙(520)을 포함한다.
덕트(100)의 내부에서 가장 전방쪽 위치에 이너윙(200)이 위치하고, 이너윙(200)의 후방단 위치에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이 상하로 대칭되게 위치하고, 어퍼서포트윙(510)의 후방단은 어퍼아우터윙(410)과 연결되고, 로어서포트윙(520)의 후방단은 로어우터윙(420)과 연결되며,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우터윙(420)은 상하로 대칭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덕트(100)를 통해 이너윙(200)을 통과한 공기는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사이의 전방유로(910) 및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사이의 후방유로(9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노브(600)는 이너윙(200)의 수직로드(220)와 결합되는 결합부(610)를 포함하고, 결합부(610)는 노브(600)의 상하방향 회전시 수직로드(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노브(600)의 좌우방향 조작시 수직로드(220)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이너윙(200)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노브(600)를 좌우로 조작해서 이동시키면 결합부(610)가 수직로드(220)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너윙(200)은 링키지(210)를 통해 덕트(100)에 대해 좌우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아우터윙(400)과 서포트윙(500)은 상하로 회전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600)를 상하로 조작해서 회전시키면 링크기구(800)를 통해 노브(600)의 조작력이 아우터윙(400)으로 전달되어 아우터윙(400)과 서포트윙(500)은 함께 상하로 회전하고, 이때 노브(600)의 결합부(610)는 수직로드(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너윙(200)은 좌우로 회전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노브(600)의 후방 일부만이 덕트(100)의 외측(후방, 실내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실내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히든감 구현 및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600)는 노브핀(700)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는 이너노브(620), 및 상기 이너노브(600)를 감싸고 노브핀(700)이 관통하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아우터노브(630)를 포함한다.
이너노브(620)와 노브핀(700)은 스틸재질의 클립부재(640)에 의해 일체화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된다.
사용자의 조작으로 아우터노브(6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이너노브(620)와 노브핀(700)도 함께 회전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아우터노브(630)가 좌우방향 이동할 때에 이너노브(620)와 노브핀(700)은 위치가 고정되어서 이때에는 아우터노브(630)만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너노브(620)와 아우터노브(630)에는 이너노브(620)와 아우터노브(630)사이의 간극관리 및 노브(600)의 작동력 관리를 위한 스프링(650) 및 러버(6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노브핀(700)은 장식커버(710) 및 백커버(720)에 의해 감싸여지고, 상기 장식커버(710)와 백커버(720)는 서로 결합된다.
장식커버(710)와 백커버(720)는 노브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노브핀(700)의 양단의 일부만을 제외하고 전장에 걸쳐 대부분 노브핀(700)을 감싸는 구조가 된다.
노브핀(700)과 장식커버(710) 및 백커버(720)는 모두 노브(600)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고,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10)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장식커버(710)는 덕트(100)의 상하??향 중간위치에서 좌우 양단이 덕트(100)에 고정되고 실내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바 이를 통해 고급감 이미지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식커버(710)를 통해 덕트(100)의 내부구조를 가릴 수 있게 됨으로써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우터노브(630)에는 아우터노브(630)와 장식커버(710)사이의 간극관리 및 노브(600)의 작동력 관리를 위해 장식커버(710)와 접촉하도록 러버(670)가 구비된다.
노브(600)의 상하방향 조작시 아우터윙(400)과 서포트윙(5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링크기구(800)는 노브핀(700)의 일단과 결합된 제1링크(810), 상기 제1링크(810)와 결합되고 양단이 어퍼아우터윙(410) 및 로어아우터윙(420)과 결합된 제2링크(820)를 포함한다.
노브(600)의 상하방향 조작으로 노브핀(700)이 회전하면 제1링크(810)가 회전하고, 제1링크(810)의 회전시 제2링크(820)는 제1링크(8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에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도 함께 회전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810)와 제2링크(820)는 스페이서(300)의 외측에서 스페이서(300)를 관통한 노브핀(700)의 일단 및 어퍼아우터윙(410)의 가이드돌기(411)와 로어아우터윙(420)의 가이드돌기(421)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스페이서(300)에는 제1링크(810)의 회전에 따른 제2링크(820)의 상하방향 이동시 어퍼아우터윙(410) 및 로어아우터윙(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홀(310)과 제2가이드홀(320)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실내를 향하는 덕트(100)의 후방면에는 노브(600)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상부가니쉬(930) 및 하부가니쉬(94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서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노브(600)가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위치했을 때 노브(600)의 위쪽에 위치한 어퍼아우터윙(410) 및 어퍼서포트윙(510)은 노브(600)의 아래쪽에 위치한 로어아우터윙(420) 및 로어서포트윙(520)과 상하 대칭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으로, 이 결과 이너윙(200)을 통과한 후 전방유로(910)와 후방유로(9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3과 같이 노브(600)가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위치했을 때 후방유로(920)를 통과한 공기는 차실내에 위치한 승객의 정면을 향해 토출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노브(600)가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위치했을 때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은 전방끝에서 후방끝까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사이의 전방유로(910)는 노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실내쪽으로의 공기 토출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노브(6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이 도 8과 같이 상측으로 회전하면 전방유로(910)를 통과한 공기는 후방유로(920)를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된다.(화살표 M1)
그리고, 도 3의 상태에서 노브(6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이 도 9와 같이 하측으로 회전하면 전방유로(910)를 통과한 공기는 후방유로(920)를 통해 하방향으로 토출된다.(화살표 M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어퍼아우터윙(410) 및 로어아우터윙(420)의 상하방향 회전에 상관없이 후방유로(920)의 단면적(A1)은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벤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후방유로(920) 후방단의 단면적(A1)은 아우터윙(400)의 상하방향 회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의 상하방향 회전시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은 개별적으로 길이가 가변된다.
즉, 도 8과 같이 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어퍼서포트윙(510)이 길이가 늘어나도록 가변되고, 반대로 도 9와 같이어퍼아우터윙(410)과 로어아우터윙(4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로어서포트윙(520)이 길이가 늘어나도록 가변된다.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의 길이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어퍼서포트윙(510)과 로어서포트윙(520)은 각각 실린더(512,522) 및 실린더(512,522)를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로드(513,523)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는, 풍향과 풍량 및 풍향 지향성과 소음 그리고 기밀성에 대한 에어벤트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면서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 및 서포트윙(500)이 모두 덕트(100)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높이를 크게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하고 슬림한 에어벤트의 구성이 가능하고, 스마트한 이미지 및 고급감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스마트한 이미지를 갖는 자율주행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이너윙(200)과 아우터윙(400) 및 서포트윙(500)이 모두 덕트(100)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히든감 구현 및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어퍼아우터윙(410) 및 로어아우터윙(420)의 상하방향 회전에 상관없이 후방유로(920)의 단면적은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벤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는 아우터윙(400)의 중앙에 위치한 1개의 노브(600)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해서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으로, 1개의 노브(600)를 조작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노브(600)의 수동조작을 통해 원가절감 및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600)의 상하방향 회전시 실내로 돌출된 노브(600)의 돌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 및 실내로 토출되는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덕트 200 - 이너윙
210 - 링키지 220 - 수직로드
300 - 스페이서 400 - 아우터윙
410 - 어퍼아우터윙 411 - 가이드돌기
412 - 힌지돌기 420 - 로어아우터윙
421 - 가이드돌기 422 - 힌지돌기
500 - 서포트윙 510 - 어퍼서포트윙
511 - 힌지돌기 512 - 실린더
513 - 실린더로드 520 - 로어서포트윙
521 - 힌지돌기 522 - 실린더
523 - 실린더로드 600 - 노브
610 - 결합부 620 - 이너노브
630 - 아우터노브 640 - 클립부재
650 - 스프링 660,670 - 러버
700 - 노브핀 710 - 장식커버
720 - 백커버 800 - 링크기구
810 - 제1링크 820 - 제2링크
910 - 전방유로 920 - 후방유로
930 - 상부가니쉬 940 - 하부가니쉬

Claims (13)

  1. 덕트내에 위치하고 노브 조작시 좌우로 회전하는 이너윙;
    상기 덕트내에 위치하고 이너윙의 후방에 위치하며 노브 조작시 상하로 회전하는 아우터윙과 서포트윙;
    상기 노브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고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에는 노브와 함께 회전하고 노브의 좌우방향 이동시에는 노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핀; 및
    상기 노브핀의 일단과 아우터윙을 연결하고 노브의 상하??향 회전에 따른 노브핀의 회전시 아우터윙과 서포트윙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좌우측에 스페이서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윙의 좌우 양단 및 서포트윙의 좌우 양단이 스페이서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윙의 전방단과 서포트윙의 후방단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윙은 아우터윙의 회전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윙은 상하로 이격된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은 링크기구를 통해 노브핀과 연결되어서 노브핀의 회전시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윙은 어퍼아우터윙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어퍼서포트윙; 및
    상기 로어아우터윙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서포트윙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서포트윙와 로어서포트윙은 상하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퍼서포트윙과 로어서포트윙은 각각 실린더 및 실린더를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로드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서 아우터윙의 상하방향 회전시에 개별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이너윙의 수직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수직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노브의 좌우방향 조작시 수직로드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이너윙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노브핀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는 이너노브; 및
    상기 이너노브를 감싸고 노브핀이 관통하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아우터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노브의 상하방향 회전시 이너노브와 노브핀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노브의 좌우방향 이동시 이너노브와 노브핀은 고정되고 아우터노브만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노브와 아우터노브에는 이너노브와 아우터노브사이의 간극관리를 위한 스프링 및 러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핀은 장식커버 및 백커버에 의해 감싸여지고;
    상기 장식커버와 백커버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장식커버는 덕트의 상하??향 중간위치에서 좌우 양단이 덕트에 고정되고 실내로 노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노브에는 아우터노브와 장식커버사이의 간극관리 및 작동력관리를 위해 장식커버와 접촉하도록 러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노브핀의 일단과 결합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고 양단이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과 결합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핀이 회전하면 제1링크가 회전하고, 제1링크의 회전시 제2링크는 제1링크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어퍼아우터윙과 로어아우터윙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좌우측에는 아우터윙 및 서포트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스페이서의 외측에서 스페이서를 관통한 노브핀의 일단 및 어퍼아우터윙의 가이드돌기와 로어아우터윙의 가이드돌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제1링크의 회전에 따른 제2링크의 상하방향 이동시 어퍼아우터윙 및 로어아우터윙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홀과 제2가이드홀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KR1020210099299A 2021-07-28 2021-07-28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KR20230017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99A KR2023001760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US17/728,432 US11878574B2 (en) 2021-07-28 2022-04-25 Slim air vent for vehicle
DE102022204512.2A DE102022204512A1 (de) 2021-07-28 2022-05-09 Schlanke lüft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2210562937.2A CN115675019A (zh) 2021-07-28 2022-05-23 用于车辆的狭长式通风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99A KR2023001760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600A true KR20230017600A (ko) 2023-02-06

Family

ID=8489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299A KR2023001760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8574B2 (ko)
KR (1) KR20230017600A (ko)
CN (1) CN115675019A (ko)
DE (1) DE1020222045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87A (ko) 2018-06-05 2019-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7Y1 (ko) 2002-10-30 2003-01-17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JP4669034B2 (ja) 2008-10-15 2011-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の吹出口構造
JPWO2013128763A1 (ja) 2012-02-27 2015-07-30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JP6086669B2 (ja) * 2012-08-01 2017-03-01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KR101552787B1 (ko) 2014-02-24 2015-09-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CN205168111U (zh) 2015-07-22 2016-04-20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带档位的出风口及具有该出风口的车辆
JP6579002B2 (ja) * 2016-03-10 2019-09-25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2017206068A (ja) 2016-05-16 2017-11-24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JP6349376B2 (ja) 2016-12-07 2018-06-27 Towa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の樹脂材料供給装置及び方法、並びに圧縮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DE102017112616A1 (de) * 2017-06-08 2018-12-13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KR102394803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KR102507011B1 (ko) 2018-04-10 202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KR102083321B1 (ko) 2018-05-11 2020-04-23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46809B1 (ko) 2018-07-09 2019-11-20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데코 에어벤트
KR102088275B1 (ko) * 2018-09-20 2020-03-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JP7249136B2 (ja) 2018-12-05 2023-03-30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用フィン
US11453270B2 (en) * 2020-01-06 2022-09-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for a vehicle
KR20210108594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DE102020132204A1 (de) * 2020-07-29 2022-02-03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KR20220136744A (ko) *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87A (ko) 2018-06-05 2019-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4512A1 (de) 2023-02-02
CN115675019A (zh) 2023-02-03
US20230037011A1 (en) 2023-02-02
US11878574B2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9188B2 (ja) 空調用レジスタ
US11701946B2 (en) Air vent for vehicle
KR20220136744A (ko)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US7018288B2 (en) Register for air conditioning
US6881139B2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car air vents
KR20190034731A (ko) 에어벤트의 노브 일체형 댐퍼 개폐 장치
KR102552157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KR20230017600A (ko)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CN103047738B (zh) 用于车辆空调系统的凸轮板的定位装置
JP2016107832A (ja) レジスタ
US20220314746A1 (en) Slim air vent for vehicle
KR20230022022A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프론트윙 장치
JP7408452B2 (ja) ルーフレジスタ
JPH0142750Y2 (ko)
US20220250445A1 (en) Vehicle air vent apparatus with direct and indirect multifunction
JP4385837B2 (ja) 空調用レジスタ
JPH0539399Y2 (ko)
JP2005306327A (ja) ホップアップレジスタ
KR20070059468A (ko) 차량용 에어벤트
JP3516787B2 (ja) 風量制御装置
JPH0439046Y2 (ko)
JP2010018194A (ja) レジスタ
KR20230022023A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프론트윙 장치
KR102008559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및 그 작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