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424A - 릴 시트 - Google Patents

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424A
KR20230012424A KR1020220085424A KR20220085424A KR20230012424A KR 20230012424 A KR20230012424 A KR 20230012424A KR 1020220085424 A KR1020220085424 A KR 1020220085424A KR 20220085424 A KR20220085424 A KR 20220085424A KR 20230012424 A KR20230012424 A KR 20230012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nut member
concave portion
hood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아키바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간이한 구조로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조립해 넣은 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릴 시트는 릴 다리 적재부와, 로드의 후단 부분이 끼워맞춤, 고정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통 형상부를 구비한 시트 본체를 갖는다. 시트 본체는 축 방향으로 이동해서 릴 다리 적재부에 적재된 릴 다리를 고정하는 유동 후드(60)와, 유동 후드(60)를 회전 멈춤시킨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유동 후드에 끼워맞춤되는 너트 부재(70)와,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는 클릭 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클릭 기구(80)는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요철(82)과, 유동 후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요철(82)과 걸림 결합하는 정상부(90a)를 구비한 판 스프링(90)을 설치하는 원호상의 오목부(8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릴 시트{REEL SEAT}
본 발명은 릴이 장착되는 각종 낚싯대에 설치되어, 릴을 장착,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릴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동 후드를 이동시킬 때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릴을 사용하는 낚싯대의 원대의 외주면에, 통 형상의 릴 시트를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릴 시트는, 릴 다리 적재부의 축 방향 일단부측에 고정 후드가 마련되고, 축 방향 타단부측에 유동 후드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유동 후드는 너트 부재와 회전 멈춤 걸림 결합되어 있고, 너트 부재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유동 후드를 고정 후드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릴 시트에는, 너트 부재를 회전 조작했을 때, 크랙음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너트 부재와 릴 시트 사이에, 판 스프링을 설치한 지지 부재를 배치한 클릭 기구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너트 부재와 릴 시트 사이에 코일 스프링과 볼 파트를 설치한 지지 부재를 배치한 클릭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어느 것의 구성도, 너트 부재의 내면에 판 스프링 및 볼 파트가 탄성 걸림 결합하는 요철이 둘레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너트 부재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클릭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342123호 일본특허공개 제2001-145439호
종래의 클릭 기구는, 너트 부재와 릴 시트 사이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동 후드의 외경이 굵어져버려, 외관이 저하됨과 함께 기능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 유동 후드의 외경을 억제하려고 하면, 스크루 외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어, 사용할 수 있는 범위에 제한이 있다. 또한, 볼 파트를 코일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구조는, 부품 개수가 많아, 비용도 비싸지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고 고장 등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간이한 구조로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조립해 넣은 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는,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적재하는 릴 다리 적재부와, 로드의 후단 부분이 끼워맞춤, 고정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통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 본체는, 축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릴 다리 적재부에 적재된 릴 다리를 고정하는 유동 후드와, 상기 유동 후드를 회전 멈춤시킨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동 후드에 끼워맞춤되는 너트 부재와, 상기 유동 후드와 너트 부재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요철과, 상기 유동 후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과 걸림 결합하는 정상부를 구비한 판 스프링을 설치하는 원호상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릴 시트의 클릭 기구는 유동 후드와 너트 부재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클릭 기구는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과 걸림 결합하는 정상부를 구비한 판 스프링을 갖고 있다. 이 판 스프링은 유동 후드의 끼워맞춤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호상의 오목부에 설치하는 구성인 점에서, 종래와 같이, 별도, 지지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또한 오목부에 설치한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릴 시트는, 각종 낚싯대의 로드(원대)의 외주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간이한 구조로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조립해 넣은 릴 시트 및 그러한 릴 시트가 장착된 낚싯대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축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릴 시트 부분의 분해 사시도로, (a)는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릴 시트를 구성하는 너트 부재를 나타내고 있고, (a)는 축 방향의 단면도, (b)는 도면 (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릴 시트를 구성하는 유동 후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축 방향의 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축 방향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유동 후드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유동 후드에 너트 부재를 끼워맞춤시킨 상태(클릭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너트 부재를 회전시켜서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오목과 걸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철부와 걸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클릭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너트 부재를 회전시켜서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요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철부와 걸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축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도 1에서 나타낸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 방향(측방향)은,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는, 스피닝 릴을 설치하는 낚싯대에 적합한 구조(이형 그립 구조)로 되어 있고, 릴은 하측에 장착된다. 또한, 릴 시트에 고착되는 낚싯대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로드의 후단 부분(원대)이 릴 시트의 개구 구멍을 통해 축 방향으로 끼워넣어지고, 접착 등에 의해 고착된다. 이 낚싯대에 대해서는, 진출식, 병계식, 1대 로드 등, 그 구성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시트(1)의 시트 본체(1A)는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투명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우레탄 등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내부까지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색채에 대해서는,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유채색이어도 되고, 내부를 시인할 수 있으면, 투과율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부분적으로 색 구분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투과율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혹은 투명하지 않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본체(1A)는,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통 형상부(1B)에 형성된 전후 방향에 걸쳐서 관통하는 개구 구멍(1C)에, 낚싯대를 구성하는 로드(원대)의 기단측이 삽입되고, 그 외주면이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로드의 기단측은 직접, 개구 구멍(1C)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관상의 스페이서를 통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본체(1A)에는, 파지, 보유지지되는 통 형상의 그립(50)이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그립(50)은, 시트 본체(1A)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그 본체(50A)는 파지했을 때의 감촉, 그립성이나 외관의 향상 및 경량화가 도모되는 연질 재료, 예를 들어 천연 코르크, 우레탄, EVA,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고무 등으로 형성하거나, 경질 부재에 이들 재료를 피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립(50)은, 후술하는 커버 부재를 개재시켜 시트 본체(1A)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고, 양자가 일체화되면, 본체(50A)의 전후 방향에 걸쳐서 관통하는 개구 구멍(50B)은 시트 본체(1A)의 상기 개구 구멍(1C)과 동축 상으로 되어, 로드의 기단측이 삽입 관통, 고정된다. 이 경우, 삽입 관통되는 로드의 기단측은, 개구 구멍(50B)의 내주면에 직접, 고정되어도 되고, 관상의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본체(1A)에는 스피닝 릴의 릴 다리를 적재하는 릴 다리 적재부(3)와, 릴 다리 적재부(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릴 다리의 후단부측을 받는 고정 후드(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본체(1A)에는, 고정 후드(5)와 대향해서 축 방향 전방측에, 유동 후드(60)와, 유동 후드(60)를 회전 멈춤시킨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유동 후드에 끼워맞춤되는 너트 부재(70)와,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는 클릭 기구(8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시트 본체(1A)의 전방측(릴 다리 적재부(3)의 전방측)에는, 상기 고정 후드(5)와 대향해서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유동 후드(6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동 후드(60)는 통 형상부(1B)의 전방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7)에 나사 결합된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하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릴 다리 적재부(3)에 적재된 스피닝 릴의 다리부의 전단부측을 체결하고, 고정한다. 이 때문에, 유동 후드(60)는 축 방향으로 이동해서 릴 다리의 전단부측을 받는 후드부(6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구조 및 클릭 기구(8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시트 본체(1A)의 그립측의 단부면(접속 단부면)(8)에는, 그립(50)의 단부면(접속 단부면)(52)이 대향해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양자 간에, 커버 부재(30)가 개재되어 양자는 일체화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1) 및 그립(50)은, 그립의 축 방향의 일부가, 릴 시트의 시트 본체(1A)에 겹쳐서 배치되는 이형 그립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본체(1A)는 상기 통 형상부(1B)가 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노출되는 돌출부(이하, 노출 돌출부(1B')라 한다)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접속 단부면(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 단부면(8)은 노출 돌출부(1B')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노출 돌출부(1B')의 하단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차부(8a)와, 돌출 단차부(8a)의 양측에서, 전방측을 향해서 점차 상승하도록 형성된 양측 경사 단차부(8b)와, 노출 돌출부(1B')의 상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 경사 단차부(8b)와 연속하도록 형성된 상측 돌출 단차부(8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 단차부(8a), 양측 경사 단차부(8b), 상측 돌출 단차부(8c)를 구비하는 접속 단부면(8)은 후방측을 향해서 노출되는 접촉면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접촉면에, 커버 부재(30)가 밀착하도록 면접촉된다. 또한, 상기 고정 후드(5)는 돌출 단차부(8a)의 하면으로부터, 양측 경사 단차부(8b)의 하방측과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그립(50)의 본체(50A)의 접속측이 되는 접속 단부면(52)은 시트 본체측의 접속 영역에 있어서,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커트되어 있고, 그 커트면은 상기 시트 본체(1A)의 돌출 단차부(8a), 양측 경사 단차부(8b), 상측 돌출 단차부(8c)와 대향하도록, 하측 단부면(52a), 양측 경사 단부면(52b), 상측 단부면(52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면은 그립(50)의 전방측의 개구 구멍(50B)에, 상기 시트 본체(1A)의 노출 돌출부(1B')를 끼워넣는 것으로 커버 부재(3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립(50)의 전방측의 개구 구멍(50B)에, 상기 시트 본체(1A)의 노출 돌출부(1B')를 끼워넣을 때, 양자 사이에는, 커버 부재(30)가 개재된다. 이 커버 부재(30)는, 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측이 굴곡되어 상승하는 링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비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30)가 시트 본체(1A)와 그립(5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는, 시트 본체(1A), 커버 부재(30), 그립(50)의 표면은 대략 동일 평면 형상으로 되어, 표면에 요철이 없는 파지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상기 커버 부재(30)는,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표면에는, 색채, 모양을 붙여도 되고, 광휘성을 갖도록,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도금을 붙여도 된다. 이와 같이, 시트 본체(1A)와 커버 부재(30) 사이의 경계 부분에, 자세한 선상의 커버 부재(30)가 노출됨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는, 한쪽 면(시트 대향면)(30A)이, 상기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돌출 단차부(8a), 양측 경사 단차부(8b), 상측 돌출 단차부(8c))과 면접촉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면(그립 대향면)(30B)이 그립의 본체(50A)의 접속 단부면(52)(하측 단부면(52a), 양측 경사 단부면(52b), 상측 단부면(52c))과 면접촉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 부재(30)는, 시트 본체 및 그립을 로드에 장착하기 전에,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과 그립(50)(접속 단부면(52))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를 일체화하고, 일체화된 상태에서, 로드를 개구 구멍(1C, 50B)에 삽입 관통하고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커버 부재(30)와 그립(50)을 접착제로 접착해도, 그 접착제는 비투명한 커버 부재(30)에 의해, 투명한 시트 본체(1A)를 통해 시인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시트 본체(1A)에 접착제를 은폐하는 것과 같은 피막을 형성해 둘 필요가 없다. 즉,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에 은폐 도료를 도포하거나, 도금 처리하는 등의 피막 형성 공정을 실시할 필요도 없으므로, 비용 및 가공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 점에서, 투명 부분이 줄어들어서 외관이 저하되는 일은 없고, 피막의 변동을 수정, 가공하는 등의 후처리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 및 그립(50)의 접속 단부면(52)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30)에 대한 접지 면적이 넓어져서 고정력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눈으로 볼 수 있는 커버 부재 표면의 면적도 넓어져서,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커버 부재(30)는 시트 본체(1A)에 미리 고정해 두고, 이 상태에서 커버 부재(30)에 그립(50)을 접착하도록 구성하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커버 부재(30)의 접속 단부면(시트 대향면)(30A)과,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에, 양자를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시키는 요철 걸림 결합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 걸림 결합부는, 양 부재가 닿아 붙는 영역에 형성해 두면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본체(1A)의 접속 단부면(8)의 돌출 단차부(8a)의 중앙부 표면에 오목부(12)를 형성하고, 또한 커버 부재(30)의 접속 단부면(시트 대향면)(30A)에, 상기 오목부(12a)에 끼워맞춤되는 볼록부(32)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요철은 반대여도 된다).
이러한 요철 걸림 결합부(12, 32)에 의하면, 커버 부재(30)를 시트 본체(1A)에 대하여,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 고정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그립(50)을 커버 부재(30)에 접착함으로써, 조립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요철 걸림 결합부는, 축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부재의 요철 걸림 결합부가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됨으로써, 커버 부재(30)를, 시트 본체(1A)에 대하여, 노출 돌출부(1B')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도록 축 방향으로 삽입하고, 그대로 양 부재를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일체화된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30)는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양 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요철 걸림 결합부는, 축 방향으로 부착할 때 상대 이동하기 쉽고, 또한 축 방향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것과 같은 경사면이나 규제면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립 부착하기 쉽고, 또한 조립 부착한 후에는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구조 및 상기 클릭 기구(8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은, 유동 후드(60)의 전단부 및 너트 부재(70)의 후단부에서 이루어지고, 너트 부재(70)가 유동 후드(6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밖에서 끼우도록 되어 있다. 너트 부재(70)의 후단부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팽출하고 있고, 그 내면측에, 도 4에 도시한 유동 후드(60)의 전단부가 끼워맞춤된다.
상기 너트 부재(7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 형상부(1B)의 전방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7)와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하면, 너트 부재(70)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영역에는, 너트 부재(70)의 축 방향 이동과 일체적으로 유동 후드(60)를 이동시키는 걸림 결합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 구조는, 너트 부재(70)의 후단부 테두리에,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플랜지(72)와, 유동 후드(60)의 선단의 원통 돌기부(63)의 후방측에 형성된 원주 홈(62)과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해 구성된다.
즉, 너트 부재(70)의 플랜지(72)가 유동 후드(60)의 원주 홈(62)에 꼭 끼이는 것으로,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해서 너트 부재(70)가 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진퇴해도, 유동 후드(60)는 너트 부재와 함께 일체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해도, 유동 후드(60)가 따라서 돌아가지 않도록 회전 멈춤 구조에 의해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회전 멈춤 구조는, 예를 들어 유동 후드(60)의 내주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기(65)를 형성함과 함께, 시트 본체(1A) 측으로, 이 돌기(65)가 들어가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홈(1E)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유동 후드(60)가 너트 부재(70)와 함께 회전하려고 해도, 돌기(65)와 긴 홈(1E)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해, 유동 후드(60)의 회전이 규제됨과 함께, 유동 후드(60)의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돌기와 긴 홈에 의한 회전 멈춤 구조는, 복수 개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 간격으로 2군데), 돌기를 시트 본체(1A) 측, 긴 홈을 유동 후드(60)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클릭 기구(80)는, 유동 후드(60)와 너트 부재(70)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 부재(70)의 축 방향 이동과 일체적으로 유동 후드(60)를 이동시키는 걸림 결합 구조(플랜지(72))의 전방측에서, 상기 유동 후드(60)의 선단의 원통 돌기부(63) 부분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클릭 기구(80)는 상기 너트 부재(70)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고,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요철(82)과, 유동 후드(6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82)과 걸림 결합하는 정상부(90a)를 구비한 판 스프링(90)과, 이 판 스프링(90)을 설치하는 원호상의 오목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84)는 원통 돌기부(63)의 표면에 형성되고,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후드(60)의 후드부(61)에, 축 방향으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고, 후드부(61)의 근방에서 음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판 스프링(9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90a) 및 양 단부면(90b)을 구비한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84) 안에 그대로 설치(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판 스프링(90)은 원통 돌기부(63)에 대하여 권회되는 것이 아니고, 정상부(90a)의 양측이 오목부(84) 안에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84)의 형성 범위(축 방향으로부터 본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의 각도 θ; 도 4의 (c) 참조)에 대해서는, 축심 X를 중심으로 해서 180° 미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실제로는, 판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효과적으로 클릭음이 발생하는 크기이면 되고, 구조의 간략화, 경량화, 조립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50° 내지 120°의 범위이면 되고, 나아가 60° 내지 90°의 범위이면 된다. 또한, 판 스프링(90)의 재료에 대해서는, 알루미늄이나 SUS 등의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그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목부(84)의 깊이 D에 대해서는, 클릭 기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릴 시트에 있어서의 유동 후드의 원통 돌기부(63)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할 것을 고려한 경우,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0.5㎜ 내지 1.5㎜ 정도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깊이 D의 오목부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90)의 두께 T에 대해서는, 0.15㎜ 내지 0.5㎜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릭 기구(80)에 의한 클릭음의 통보음은,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했을 때, 회전하는 요철(82)과 판 스프링(90)의 정상부(90a)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요철(82)의 형성 개수(1조로 된 철부(82a)와 요부(82b)의 둘레 방향의 형성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했을 때의 돌리기 용이함, 및 클릭음의 음 발생 상태 등을 고려하여, 30개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정상부(90a)와 요철(82)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90a)가 인접하는 철부(82a) 사이의 요부(82b) 사이로 들어갈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하면,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부(82a)에 의해 정상부(90a)가 압박되어 판 스프링(90)이 0.2㎜ 정도 변형되고, 그 탄발로 정상부(90a)가 요부(82b)의 사이로 들어가는 것으로 클릭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클릭 기구(8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90)과 원호상의 오목부(84)는, 원호상의 오목부(84) 내에 판 스프링(90)을 설치했을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90)의 단부면(90b)과 오목부의 내벽(84a)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90)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해서 철부(82a)에 의해 정상부(90a)가 압박되었을 때, 판 스프링이 변형되기 쉬워져서, 너트 부재(70)의 회전에 큰 저항이 작용하는 일도 없다.
또한, 이와 같이 간극을 형성하는 경우,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하여, 판 스프링(90)이 요철(82)의 철부(82a)와 정상부(90a)의 탄발 걸림 결합에 의해 압박되었을 때, 그 단부면(90b)(어느 한쪽의 단부면이어도 되고, 양측의 단부면이어도 된다)이, 오목부(84)의 내벽(84a)에 닿아 붙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90)의 단부면(90b)이 오목부(84)의 내벽(84a)에 닿아 붙는 것으로 판 스프링(90)의 거동이 안정되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클릭음이 얻어지게 된다.
도 7은 상기한 클릭 기구(8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너트 부재를 회전시켜서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요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판 스프링의 정상부가 철부와 걸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기 판 스프링(90)을 오목부(84)에 설치했을 때, 판 스프링(90)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원호상의 오목부(84)의 내벽에 경사면(84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84b)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오목부측으로 쓰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84) 내에 설치된 판 스프링(90)은, 경사면(84b)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빠짐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90)은 직경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는 점에서,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하면, 그 정상부(90a)는 안정적으로 철부(82a)에 의해 압박되어, 안정된 클릭음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도 6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90) 단부면(90b)과 오목부(84)의 내벽 사이에 간극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 스프링(90)의 정상부(90a)와 요철(82)(철부(82a), 요부(82b))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70)의 회전 조작 시에 클릭음이 발생하는 것이면, 그 걸림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판 스프링(90)의 정상부(90a)는, 요철면에 대하여,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하는(요부(82b) 안에 정상부(90a)가 들어가지 않고, 인접하는 철부(82a)가 정상부(90a)를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너트 부재(70)를 회전 조작할 때의 저항이 경감되어, 회전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릴 시트의 클릭 기구(80)에 의하면, 유동 후드(60)의 외주면(선단의 원통 돌기부(63))에 원호상의 오목부(84)를 형성하고, 그 부분에 판 스프링(90)을 설치하는 것뿐인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 스프링 부재용의 지지 부재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그러한 오목부(84)가 설치한 판 스프링(90)의 탄성(상하 방향의 탄발)에 의해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는 일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여러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클릭 기구(80)는, 유동 후드(60)의 후드부(61)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인접해서 형성했지만, 그 형성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클릭 기구(80)는, 단순히 유동 후드(60)의 끼워맞춤 영역에 오목부(84)를 형성하는 것 뿐인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형성해도, 유동 후드 및 너트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는 일도 없다. 또한, 시트 본체(1A)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고, 그 표면 형상에 대해서는, 요철, 두께 감소부, 개구를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너트 부재(70)에 대해서는, 그 표면에 그립 등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유동 후드(60)는 시트 본체(1A)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이 유동 후드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는, 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지만, 양 베어링 릴을 장착하는 타입이어도 되고, 이러한 시트 본체에서는, 릴 다리 적재부와 반대측에 트리거를 형성해도 된다.
1 : 릴 시트
1A : 시트 본체
1B : 통 형상부
1C : 개구 구멍
3 : 릴 다리 적재부
5 : 고정 후드
60 : 유동 후드
70 : 너트 부재
80 : 클릭 기구
82 : 요철
84 : 오목부
90 : 판 스프링

Claims (6)

  1.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적재하는 릴 다리 적재부와, 로드의 후단 부분이 끼워맞춤, 고정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통 형상부를 구비한 시트 본체를 갖는 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는, 축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릴 다리 적재부에 적재된 릴 다리를 고정하는 유동 후드와, 상기 유동 후드를 회전 멈춤시킨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동 후드에 끼워맞춤되는 너트 부재와, 상기 유동 후드와 너트 부재의 끼워맞춤 영역에 마련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요철과, 상기 유동 후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과 걸림 결합하는 정상부를 구비한 판 스프링을 설치하는 원호상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과 원호상의 오목부는, 상기 원호상의 오목부 내에 상기 판 스프링을 설치했을 때, 판 스프링의 단부면과 오목부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 부재를 회전 조작했을 때,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요철과 정상부의 탄발 걸림 결합에 의해 압박되어, 그 단부면이 상기 오목부의 내벽에 닿아 붙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이 배치되었을 때, 판 스프링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오목부의 내벽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정상부는, 상기 너트 부재의 요철면에 대하여 곡률 반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두께 T는 0.15㎜ 내지 0.5㎜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의 범위 θ는 50° 내지 120°, 오목부의 깊이 D는 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6. 상기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릴 시트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20220085424A 2021-07-15 2022-07-12 릴 시트 KR20230012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7133A JP2023013160A (ja) 2021-07-15 2021-07-15 リールシート
JPJP-P-2021-117133 2021-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424A true KR20230012424A (ko) 2023-01-26

Family

ID=8485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424A KR20230012424A (ko) 2021-07-15 2022-07-12 릴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9517A1 (ko)
JP (1) JP2023013160A (ko)
KR (1) KR20230012424A (ko)
CN (1) CN115606556A (ko)
AU (1) AU2022201598A1 (ko)
TW (1) TWI80521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123A (ja) 1999-06-04 2000-12-12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1145439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2677U (ja) * 1982-05-31 1983-12-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リ−ルのパイプシ−ト
JPS5942169U (ja) * 1982-09-10 1984-03-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制動装置
JPH0246300Y2 (ko) * 1985-04-19 1990-12-06
US4943012A (en) * 1987-02-09 1990-07-24 Ryobi Ltd. Double bearing fishing reel
US5149009A (en) * 1988-10-31 1992-09-22 Shimano Industrial Co., Ltd. Fishing reel
JPH0725028Y2 (ja) * 1989-08-10 1995-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H03114964U (ko) * 1990-03-12 1991-11-27
JP2538893Y2 (ja) * 1991-02-2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570445Y2 (ja) * 1993-04-07 1998-05-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US5518194A (en) * 1993-04-13 1996-05-21 Bando Leports Ltd. Fishing reel with sound generator
JP2573084Y2 (ja) * 1993-10-21 1998-05-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US5692692A (en) * 1995-07-12 1997-12-02 Zebco Div. Of Brunswick Corporation Clicker element for fishing reel
US5740975A (en) * 1997-01-13 1998-04-21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Inc. Fishing reel drag mechanism
JP2000041541A (ja) * 1998-05-29 2000-02-15 Daiwa Seiko Inc リ―ル装着式釣竿
US6398141B1 (en) * 2000-08-30 2002-06-04 W. C. Bradley/Zebco Holdings, Inc. Discreting brake dial for baitcast fishing reel
JP2003070398A (ja) * 2001-08-31 2003-03-1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3070388A (ja) * 2001-09-03 2003-03-11 Shimano Inc 釣 竿
JP6177625B2 (ja) * 2013-08-16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123A (ja) 1999-06-04 2000-12-12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1145439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01598A1 (en) 2023-02-02
JP2023013160A (ja) 2023-01-26
TWI805217B (zh) 2023-06-11
US20230019517A1 (en) 2023-01-19
TW202304300A (zh) 2023-02-01
CN115606556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2822A1 (en) Gearing for an adjustment device, especially an automotive adjustment device, with compensation for play
JP5313722B2 (ja) レンズ組立体
JPWO2015040952A1 (ja) 光学素子の保持構造、カメラ用フィルタ枠、カメラ用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撮像レンズ
WO2018105577A1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US20070297790A1 (en) Lens accessory mounting device
US9151899B2 (en) Optical fiber head
KR20230012424A (ko) 릴 시트
JP7195379B2 (ja) リールシートのナット
WO2023068165A1 (ja) リールシート
JP5525941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10092023A (ja) レンズフード着脱機構
JP7397784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10256568A (ja) レンズ鏡筒
JP5567987B2 (ja) レンズの倒れ調整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6966399B2 (ja) 釣竿
JP3245397U (ja) リールシート
CN218216088U (zh) 一种光纤固定密封器件
JPH085899Y2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71379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90001794U (ko) 탄성 결속재 및 이를 포함하는 등받이 틸팅 가능한 의자
JP2019060944A (ja) レンズユニット
JP5767278B2 (ja) レンズ組立体
JP2001091810A (ja) レンズ鏡筒
TW202327448A (zh) 捲線器座
JPH0643350A (ja) 光学機器用附属品およびレンズ鏡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