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758A -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5758A KR20220155758A KR1020210063408A KR20210063408A KR20220155758A KR 20220155758 A KR20220155758 A KR 20220155758A KR 1020210063408 A KR1020210063408 A KR 1020210063408A KR 20210063408 A KR20210063408 A KR 20210063408A KR 20220155758 A KR20220155758 A KR 20220155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bossam
- powder
- noodl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864 coconut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240 coconut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TVLJNOHNHRBUBC-SIHAWKHTSA-J [Na+].[Na+].[Na+].[Na+].O[C@@H]1[C@@H](COP([O-])([O-])=O)O[C@H]([C@@H]1O)n1cnc2c(O)ncnc12.Nc1nc2n(cnc2c(=O)[nH]1)[C@@H]1O[C@H](COP([O-])([O-])=O)[C@@H](O)[C@H]1O Chemical compound [Na+].[Na+].[Na+].[Na+].O[C@@H]1[C@@H](COP([O-])([O-])=O)O[C@H]([C@@H]1O)n1cnc2c(O)ncnc12.Nc1nc2n(cnc2c(=O)[nH]1)[C@@H]1O[C@H](COP([O-])([O-])=O)[C@@H](O)[C@H]1O TVLJNOHNHRBUBC-SIHAWKHTSA-J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888 disodium 5'-ribonucleot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193 disodium 5'-ribonucleot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223014 Syzygium aroma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131415 Zanthoxylum piperit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8853 Zanthoxylum piperi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29982 garlic powde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5927 past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MMWHPNWAFZXNH-UHFFFAOYSA-N Benz[a]pyrene Chemical compound C1=C2C3=CC=CC=C3C=C(C=C3)C2=C2C3=CC=CC2=C1 FMMWHPNWAFZX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3040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92 trans-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돼지고기 특유의 잡내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수육과 함께 누들 보쌈양념을 곁들여, 맛과 풍미를 향상시킨 보쌈의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4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한 해 주요 축산물 소비량은 총 45.1kg이며, 이 중에서도 돼지고기 소비는 21.5kg을 차지한다. 돼지고기에는 비타민 B군이 소고기의 5~10배 이상 들어있고, 양질의 단백질과 영양소가 많아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돼지고기에 다량 함유된 철분은 체내 흡수율이 높아 철분 결핍성 빈혈의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돼지 지방의 융점은 사람의 체온보다 낮아,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수은이나 납의 공해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해독작용 역시 뛰어나다.
우리나라에서는 돼지고기 중에서도 삼겹살 구이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지만, 직접 불에 굽는 경우 조리과정에서 발암성 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수육은 고기를 물에 삶거나 수증기에 찌는 조리방법으로 조리 과정에서 고온의 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발암성 물질의 생3성을 억제하고, 몸에 좋지 않은 동물성 지방과 항생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물에 삶아내거나 수증기에 찌는 종래의 수육 제조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육질을 부드럽게 유지하면서 잡내(누린내)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간혹, 고기 고유의 냄새(누린내)를 제거하지 못하여 심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다.
고기의 잡내를 제거하는 것은 고기를 삶는 물에 들어가는 시즈닝, 염지제, 야채 등의 부재료에 달려 있으며, 육질은 삶는 시간과 불의 화력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근래에는 잡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재료를 이용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10-2015-0059280에는 솔잎, 허브, 황토를 이용한 보쌈용 수육 조리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10-2015-0005328에는 애배추와 그 발효액을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재료 준비가 번거롭고 잡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육질을 부드럽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돼지고기의 잡내를 확실하게 제거함은 물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맛 좋은 보쌈 양념의 조성과 이를 포함하는 보쌈의 제조방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돼지고기 특유의 잡내를 제거한 수육에 누들을 포함하는 감칠맛 나는 보쌈 양념을 곁들임으로써, 맛과 풍미를 향상시킨 보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a) 통삼겹살을 미온수에 담궈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정제수 8000중량부, 된장 200중량부, 무 700중량부, 대파 100중량부, 마늘 80중량부, 생강 50중량부, 쇠고기다시다 20중량부, 노두유 70중량부, 계피 5중량부 및 육수용 분말 170중량부를 냄비에 넣고, 염도가 1.00%가 될 때까지 끓여 육수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육수에 상기 겉면이 튀겨진 통삽겹살을 넣고, 30분 동안 삶은 후, 소주 100중량부를 넣고 센불에서 10분 동안 더 삶아 잡내가 제거된 수육을 준비하는 단계; d) 누들 보쌈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e)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핏물이 제거된 통삼겹살을 육수에 삶기 전, 천일염에 넣고 -5 내지 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냉장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핏물이 제거된 통삼겹살을 육수에 삶기 전, 180 내지 230 ℃의 코코넛오일에 1~5분 동안 튀겨 겉면을 먼저 익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육수용 분말은 된장 20~30중량부, 소금 5~1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마늘분말 5~15중량부, 생강분말 5~15중량부, 계피분말 0.3~0.5중량부, L-글루타민산나트륨 5~10중량부, 산초분말 0.1~1중량부, 감초분말 0.1~1중량부, 건양파분말 30~40중량부, 커피 1~5중량부, 흑후추분태 1~5중량부, 클로브그라운드 0.3~0.5중량부, 베이그라운드 0.3~0.5중량부 및 스티아니스분말 0.3~0.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누들 보쌈 양념은 베이스 소스에 불린 당면과 땡초를 넣고 끓여 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소스는 소금 5~10중량부, 간장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물엿 5~10중량부, 레몬식초 5~10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5~10중량부, 글리신 1~5중량부, 전분 1~5중량부, 흑후추분말 1~3중량부,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량부 및 잔탄검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돼지고기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는 동시에,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수육의 육즙과 감칠맛 나는 누들 보쌈 양념을 곁들여, 맛과 풍미를 향상시킨 보쌈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돼지고기를 튀기는 과정에서 코코넛오일을 사용함으로써, 트렌스지방의 발생 우려가 없고, 오히려 상기 코코넛오일의 섭취로 체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육수용 분말 및 누들 보쌈 양념을 표준화된 제조방법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를 이용한 보쌈의 대량 생산 및 대량 유통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보쌈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보쌈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수육'은 돼지고기를 물 또는 육수에 삶거나, 증기에 쪄 알맞게 익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쌈'은 상기 수육을 썰어서 배추속이나 보쌈김치 등과 함께 싸서 먹는 음식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육'과 '보쌈'을 상기와 같이 구분된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은 a) 통삼겹살을 미온수에 담궈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정제수 8000중량부, 된장 200중량부, 무 700중량부, 대파 100중량부, 마늘 80중량부, 생강 50중량부, 쇠고기다시다 20중량부, 노두유 70중량부, 계피 5중량부 및 육수용 분말 170중량부를 냄비에 넣고, 염도가 1.0 %가 될 때까지 끓여 육수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육수에 상기 통삽겹살을 넣고, 30분 동안 삶은 후, 소주 100중량부를 넣고 센불에서 10분 동안 더 삶아 잡내가 제거된 수육을 준비하는 단계; d) 누들 보쌈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e) 포장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수육용 돼지고기인 통삼겹살은 먼저 미온수에 1~2시간 정도 담궈 핏물을 제거한다. 상기 돼지고기에 함유된 핏물은 여러 잡내(누린내)를 유발하고, 부패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적어도 1시간 이상 정도 미온수에 담궈 핏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과정을 복수회 진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핏물이 제거된 통삼겹살은 천일염에 넣고, -5 내지 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냉장 숙성시켜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숙성은 통삼겹살을 천일염에 담아 염지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통삼겹살에 적절히 짠맛을 부여하고, 염지육 특유의 풍미를 조성시킨다. 또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켜 보존성을 높여줄 뿐 아니라, 고기의 육질을 연하고 부드럽게 해준다. 이 때, 상기 숙성 과정은 -5 내지 0 ℃의 온도에서 보관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만약 상기 0 ℃ 보다 높은 온도에서 보관할 경우, 육즙이 빠져 고기가 퍽퍽해 질 수 있으며, -5 ℃ 보다 낮은 온도에서 보관할 경우, 소금이 충분히 배어들지 않아 고기가 약간 싱거울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킨 통삽겹살을 육수에 삶기 전, 코코넛오일에서 1~5분 동안 튀겨서 준비한다. 적합한 튀김 온도는 180 내지 230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의 발연점보다 높아 오일의 영양소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독성가스가 발생하여 발암물질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겉면만 바삭한 식감을 갖도록 튀기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보다 적합한 튀김 온도는 180 내지 200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을 통해 통삼겹살의 겉면만을 튀겨준다.
상기 겉면이 튀겨진 통삼겹살을 삶기 위한 육수를 준비한다. 육수는 정제수에 각종 야채 및 첨가물을 넣고, 여기에 육수용 분말을 함께 넣어 염도가 염도가 1.0 %가 될 때까지 끓여준다. 상기 각종 야채는 무, 대파, 마늘, 생강 등이 대표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물은 된장, 계피, 노두유, 다시다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육수용 분말은 돼지고기를 삶아낼 육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돼지고기 특유의 잡내를 없애고, 보다 깊고 고소한 육즙의 맛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분말이다. 상기 육수용 분말은 된장 20~30중량부, 소금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마늘분말 5~15중량부, 생강분말 5~15중량부, 계피분말 0.3~0.5중량부, L-글루타민산나트륨 5~10중량부, 산초분말 0.1~1중량부, 감초분말 0.1~1중량부, 건양파분말 30~40중량부, 커피 1~5중량부, 흑후추분태 1~5중량부, 클로브그라운드 0.3~0.5중량부, 베이그라운드 0.3~0.5중량부 및 스티아니스분말 0.3~0.5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들을 넣고 우려낸 육수를 염도가 1.00%가 될 때까지 삶아 적절한 간을 맞출 수 있다.
상기 끓여 놓은 육수에 상기 통삽겹살을 넣고, 30분 동안 삶아 돼지고기를 익힌 수육을 준비한다. 이어, 소주를 넣고 센불에서 10분 동안 더 삶아 수육의 잡내를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통삼겹살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육수에서 삶은 후, 10분 동안 뜸을 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삶아진 수육은 잡내가 거의 없고, 촉촉한 상태에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된다.
이어, 상기 수육에 함께 곁들일 누들 보쌈 양념을 제조한다.
상기 누들 보쌈 양념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베이스 소스를 준비한다. 베이스 소스는 소금 5~10중량부, 간장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물엿 5~10중량부, 레몬식초 5~10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5~10중량부, 글리신 1~5중량부, 전분 1~5중량부, 흑후추분말 1~3중량부,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량부 및 잔탄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어, 상기 베이스 소스 희석액에 불린 당면과 땡초를 넣고 끓인 후, 국물이 자작하게 남은 상태에서 불을 꺼 누들 보쌈 양념을 제조한다.
상기 준비한 수육을 일정 크기로 잘라 준비하고, 상기 수육 위에 누들 보쌈 양념을 올려 본 발명에 따른 보쌈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보쌈의 제조
1-1. 육수용 분말 준비
된장 20~30중량부, 소금 5~1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마늘분말 5~15중량부, 생강분말 5~15중량부, 계피분말 0.3~0.5중량부, L-글루타민산나트륨 5~10중량부, 산초분말 0.1~1중량부, 감초분말 0.1~1중량부, 건양파분말 30~40중량부, 커피 1~5중량부, 흑후추분태 1~5중량부, 클로브그라운드 0.3~0.5중량부, 베이그라운드 0.3~0.5중량부 및 스티아니스분말 0.3~0.5중량부를 혼합하여 육수용 분말을 준비하였다.
1-2. 수육 준비
1) 통삼겹살을 냉장(실온)해동하고, 8등분으로 자른 후, 물(미온수30°C)에 담가 핏물을 제거하였다.
2) 상기 통삼겹살을 천일염이 담긴 용기에 넣고 천일염으로 덮어, -5 내지 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냉장 숙성시켰다.
3) 상기 숙성시킨 통삼겹살을 190 ℃의 코코넛오일에서 튀겨 겉면(4면)을 익혔다.
4) 정제수 8000 중량부, 된장 200중량부, 무 700중량부, 대파 100중량부, 마늘 80중량부, 생강 50중량부, 쇠고기다시다 20중량부, 노두유 70중량부, 계피 5중량부 및 육수용 분말 170중량부를 냄비에 넣고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1 시간 동안 더 끓여주었다. 염도가 1.00 %가 될 때까지 끓여 정제수가 1L 정도 줄어든 육수를 준비하였다.
5) 상기 준비된 육수에 핏물을 제거한 통삼겹살을 넣고 30분 동안 삶았다. 이 후, 소주 100중량부를 넣고 센불에서 10분 동안 더 삶아 잡내를 제거하였다. 이어, 불을 끄고 15분 정도 뜸을 들여 수육을 준비하였다.
1-3. 누들 보쌈 양념 준비
소금 5~10중량부, 간장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물엿 5~10중량부, 레몬식초 5~10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5~10중량부, 글리신 1~5중량부, 전분 1~5중량부, 흑후추분말 1~3중량부,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량부 및 잔탄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소스를 준비하였다.
이어, 팬에 상기 베이스 소스의 희석액을 담고, 불린 당면과 땡초를 넣고 끓여주었다. 끓일 때 가운데 불은 세게, 가장자리 불은 약하게 하여 2분 30초 동안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고 2분이 지난 시점에 당면이 바닥에 눌러 붙지 않도록 나무젓가락으로 저어주었다. 국물이 자작하게 남았을 때, 불을 꺼 누들 보쌈 양념을 준비하였다.
1-4. 보쌈의 제조
상기 준비된 수육을 숯불그릴과 토치를 사용하여 굽고, 일정한 크기로 잘라 용기에 담았다. 이어, 상기 수육 위에 상기 누들 보쌈 양념을 올리고, 그 위에 파채와 부추를 토핑하였다. 마지막으로 통깨를 뿌리고, 포장하였다.
Claims (8)
- a) 통삼겹살을 미온수에 담궈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정제수 8000중량부, 된장 200중량부, 무 700중량부, 대파 100중량부, 마늘 80중량부, 생강 50중량부, 쇠고기다시다 20중량부, 노두유 70중량부, 계피 5중량부 및 육수용 분말 170중량부를 냄비에 넣고, 염도가 1.0 %가 될 때까지 끓여 육수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육수에 상기 통삽겹살을 넣고, 30분 동안 삶은 후, 소주 100중량부를 넣고 센불에서 10분 동안 더 삶아 잡내가 제거된 수육을 준비하는 단계;
d) 누들 보쌈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e)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핏물이 제거된 통삼겹살을 육수에 삶기 전, 천일염에 넣고 -5 내지 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냉장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핏물이 제거된 통삼겹살을 육수에 삶기 전, 180 내지 230 ℃의 코코넛오일에 1~5분 동안 튀겨 겉면을 먼저 익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용 분말은 된장 20~30중량부, 소금 5~1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마늘분말 5~15중량부, 생강분말 5~15중량부, 계피분말 0.3~0.5중량부, L-글루타민산나트륨 5~10중량부, 산초분말 0.1~1중량부, 감초분말 0.1~1중량부, 건양파분말 30~40중량부, 커피 1~5중량부, 흑후추분태 1~5중량부, 클로브그라운드 0.3~0.5중량부, 베이그라운드 0.3~0.5중량부 및 스티아니스분말 0.3~0.5중량부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들 보쌈 양념은 베이스 소스 희석액에 불린 면과 땡초를 넣고 끓여 졸인 것인,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소스는 소금 5~10중량부, 간장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물엿 5~10중량부, 레몬식초 5~10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5~10중량부, 글리신 1~5중량부, 전분 1~5중량부, 흑후추분말 1~3중량부,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량부 및 잔탄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소면, 당면, 라면, 칼국수면, 파스타면, 메밀면, 우동면 및 수타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소금 5~10중량부, 간장 20~30중량부, 설탕 5~10중량부, 물엿 5~10중량부, 레몬식초 5~10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5~10중량부, 글리신 1~5중량부, 전분 1~5중량부, 흑후추분말 1~3중량부,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중량부 및 잔탄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 양념용 베이스 소스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408A KR20220155758A (ko) | 2021-05-17 | 2021-05-17 |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408A KR20220155758A (ko) | 2021-05-17 | 2021-05-17 |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758A true KR20220155758A (ko) | 2022-11-24 |
Family
ID=8423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3408A KR20220155758A (ko) | 2021-05-17 | 2021-05-17 |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5575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4563B1 (ko) * | 2023-02-06 | 2023-12-15 | 농업회사법인 라이플로우 주식회사 | 잡내와 식감이 개선된 소불고기용 양념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소불고기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5328A (ko) | 2013-07-05 | 2015-01-14 | 박진우 | 애배추와 그 발효액을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 |
KR20150059280A (ko) | 2013-11-22 | 2015-06-01 | 김경중 | 솔잎과 허브 및 황토를 이용한 보쌈용 수육 및 그것의 조리방법 |
KR102057693B1 (ko) | 2019-07-25 | 2019-12-19 | 이규운 | 마늘 보쌈의 제조방법 |
-
2021
- 2021-05-17 KR KR1020210063408A patent/KR2022015575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5328A (ko) | 2013-07-05 | 2015-01-14 | 박진우 | 애배추와 그 발효액을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 |
KR20150059280A (ko) | 2013-11-22 | 2015-06-01 | 김경중 | 솔잎과 허브 및 황토를 이용한 보쌈용 수육 및 그것의 조리방법 |
KR102057693B1 (ko) | 2019-07-25 | 2019-12-19 | 이규운 | 마늘 보쌈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4563B1 (ko) * | 2023-02-06 | 2023-12-15 | 농업회사법인 라이플로우 주식회사 | 잡내와 식감이 개선된 소불고기용 양념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소불고기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2006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 |
CN103689669B (zh) | 一种烧烤三文鱼片食品的制作方法 | |
KR100698874B1 (ko) | 삼색 돼지 양념 갈비 | |
KR101401116B1 (ko) | 육질이 부드러운 등갈비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등갈비 조림 | |
KR101132908B1 (ko) | 세절 훈제 오리 불고기 제조 방법 및 세절 훈제 오리 불고기를 포장한 팩 | |
KR20210048966A (ko) | 조림닭 조리방법 | |
KR102624480B1 (ko) | 물불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물불고기 | |
KR20220002855A (ko) | 육전 물냉면 제조방법 | |
KR20220155758A (ko) | 누들 보쌈 양념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들 보쌈의 제조방법 | |
KR101318412B1 (ko) | 산채와 버섯이 함유된 훈제오리전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훈제오리전골 | |
KR19990018270A (ko) | 훈제된 오리고기 순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73029B1 (ko) | 돼지고기 구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돼지고기 구이 | |
KR100758057B1 (ko) | 기러기고기 육수 및 이를 이용한 칼국수 | |
KR102405395B1 (ko) | 오레가노 분말이 함유된 바베큐용 등갈비 제조방법 | |
KR20100111154A (ko) | 원료육의 감량을 줄이고 가공시간을 단축한 훈제오리의 제조 방법 | |
CN106722226A (zh) | 一种猪肉干的制作方法 | |
KR100526424B1 (ko) | 청국장 햄의 제조방법 | |
KR20050121942A (ko) | 샤브샤브용 육수 및 그 육수의 제조방법 | |
KR102749536B1 (ko) | 누룽지 닭백숙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누룽지 닭백숙 | |
KR102628815B1 (ko) | 약선 천궁 문어탕 제조 방법 | |
KR102678123B1 (ko) | 해물찜 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물찜 소스 | |
KR102389715B1 (ko) | 엽경채류 잎을 이용한 전자레인지 간편 조리방식 수육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
KR102300708B1 (ko) | 고추장 불고기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육 제조방법 | |
KR102624527B1 (ko) | 파스닙을 포함하는 육류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716632B1 (ko) | 토핑 김치찜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