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398A -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398A
KR20220152398A KR1020227038025A KR20227038025A KR20220152398A KR 20220152398 A KR20220152398 A KR 20220152398A KR 1020227038025 A KR1020227038025 A KR 1020227038025A KR 20227038025 A KR20227038025 A KR 20227038025A KR 20220152398 A KR20220152398 A KR 2022015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tool parts
pair
fabric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뵈른레
외르크 사우테르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2015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4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로 구성된 직물 공구 부품 쌍(15), 및 그와 같은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도움으로 직물 기계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은 전방 단부(21)와 후방 단부(22) 사이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후방 단부들(21)로부터 진행하여,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서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전방 단부(22)까지 서로 대향한다. 상기 후방 단부들(21)에서,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특히 절곡 축(A)을 중심으로 절곡함으로써 공구들 없이 수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본 발명은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로 구성된 직물 공구 부품 쌍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각각 직물 기계의 수용부(seating)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루프 형성, 루프 전송 또는 예를 들면 편직 공구 부품들과 같은 직물 생산 중 스레드 조작 동안에 사용된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직물 기계의 공구 수용부 또는 예를 들어 편직기의 홈형 가이드 채널에 삽입된다. 상기 직물 또는 편직 공구 부품들은 가이드 채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각각 완전한 직물 공구일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직물 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직물 공구는 예를 들어, 싱커(sinker), 전사 부품 또는 전사 니들, 예를 들어 래치 니들(latch needle)과 같은 편직 니들, 경편 니들(warp knitting needle), 슬라이더 니들용 슬라이더, 재봉 니들, 또는 루프 형성 또는 루프의 이송 중에 사용되는 다른 직물 공구일 수 있다.
직물 기계, 특히 편직 니들에서 루프 형성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직물 공구는 많은 구성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O 2009/095359 A1은 니들로부터 인접한 니들로 루프들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니들을 설명한다.
평베드(flat bed) 편직기를 위한 직물 공구가 EP 2 767 626 A1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직물 공구는 서로 연결된 2개의 평평한 부품들로 구성된다.
DE 10 2014 103 261 A1은 스탬핑 및 절곡에 의한 편직기 또는 경편기용 스레드 안내 직물 공구의 제조를 제안한다. 이에 의해 직물 공구의 2개의 웹들이 스탬프 처리된 후 서로의 위에 놓이거나 서로의 위에 접혀진다.
DE 693 11 629 T2에 따른 방법은 상이한 두께의 섹션들을 갖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스탬핑함으로써 싱커와 같은 예에 따른 직물 공구를 제조하도록 제공된다.
EP 2 128 319 A1에는 계단식 두께를 갖는 직물 공구 부품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나중에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균일한 두께와 상이한 윤곽을 갖는 2 부품들이 제조된다.
DE 10 2013 104 189 A1은 싱커 쌍의 2개의 싱커들이 감소된 두께를 가지며 싱커 캠의 채널에 함께 삽입되는 싱커 쌍을 설명한다.
DE 101 48 196 C1은 직물 공구 및 상기 예에 따른 편직 니들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직물 공구는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는 부품들을 갖는다. 상기 2개의 부품들은 취급을 단순화하기 위해 물질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결부가 기계에서 처음 사용하는 동안 파단되고 2개의 부품들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공구의 제조 및/또는 취급을 개선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갖는 직물 공구 부품 쌍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청구항 12항의 특징에 따른 직물 기계의 장착 방법이 제안되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공구 부품 쌍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공구 부품 쌍은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거나, 동일한 윤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 사이의 연결 위치에서 연장되는 대칭 평면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은 루프 형성 동안 또는 루프의 이동 또는 전달 중에 스레드와 접촉하도록 또는 직물 생산 중 다른 작업에 따르도록 구성되는 작업 섹션을 갖는다. 상기 작업 섹션은 상기 전방 단부에 직접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섹션은 상기 후방 단부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공통의 직물 공구 부품 쌍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분리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에 의해 후방 단부들에서 또는 후방 단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는 분리되고, 예를 들어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절곡 축을 중심으로의 절곡에 의해 파단된다.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을 분리한 후, 이들은 직물 기계에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삽입 및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가 설정되는 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상기 직물 기계에서 사용하는 동안 요구되는 상대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상대 위치 또는 방향을 갖는다. 특히, 상기 직물 기계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의 삽입은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가 설정되어 있는 한 불가능하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일체형 구성 요소로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매우 작은 직물 공구 부품들에 대해 유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체적으로 보다 긴 부품, 즉 일체형 직물 공구 부품 쌍의 제조 도중 취급이 단순화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이 처리 스테이션 또는 처리 센터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고 그로부터 다시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도중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조 도중 처리되는 동안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 사이의 상대 위치가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직물 공구 부품의 특징부들이 각각의 다른 직물 공구 부품의 특징부들의 위치와 관련하여 매우 정확하게 생성될 수 있으므로, 직물 기계에서 협력하는 2개의 방직 공구 부품들의 제조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증가된 제조 정확도를 초래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사후 처리 요구 사항 또는 조정 요구 사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직물 기계를 장착하는 동안에도 취급이 현저하게 단순화될 수 있다. 항상 쌍으로 사용되는 협력 직물 공구 부품들 또는 직물 공구 부품들, 예를 들면 EP 3 124 664 A1에 공지된 바와 같은, 상이한 푸트(foot) 위치를 갖는 기계 편직 니들 또는 쌍으로 사용되는 비대칭 니들은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를 갖는 직물 공구 부품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한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이 일반적으로 상기 직물 기계에 삽입되기 직전까지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치하지 않는 직물 공구 부품들의 삽입으로 인한 오류가 회피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가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의 2개의 후방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웹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의 인접하는 후방 단부들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단면적,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보다 작은 두께 및/또는 높이 방향으로 보다 작은 높이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은 각각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서로에 대해 직교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과 함께 데카르트 좌표계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과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및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예를 들면 강철 합금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절단 공정 및/또는 비절단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스탬핑 또는 다른 절단 방법에 의해 그리고/또는 엠보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은 서로 대향하는 후방 단부들의 2개의 단부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단부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향된다. 그들은 상기 높이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서 확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공통 길이 방향으로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에서 시작하여 각각 그의 전방 단부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절곡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의 절곡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절곡 축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평행한 그리고/또는 상기 가로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곡을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곡은 배타적으로 허용된다. 상기 절곡 축은 예를 들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부들의 단부 표면들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 각각이 공통 기준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공통 기준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절곡 축에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베이스 표면이 상기 기준 평면에서 연장될 때까지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에 대해 아래로부터 접촉하게 되는 접촉 평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 또는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의 어떠한 부품도 상기 기준 평면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의 베이스 표면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은 바람직하게도 길이 방향으로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특히 정확하게 하나의 베이스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표면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섹션들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표면은 상기 제조 공정 도중 또는 제조 후 선적 도중,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을 취급하는 동안 지지 표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의 지지는 개별 직물 공구 부품들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공통 직물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의 분리 후에 서로에 대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2개의 접촉 표면들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공통 평면에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공통 평면은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높이 방향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촉한 후 싱커를 형성하는 싱커 부품들일 수 있다.
직물 기계를 장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상술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공구 부품 쌍이 제공된다. 이어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이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에서 서로 분리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는 상기 분리가 공구 없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을 서로 분리한 후,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은 상기 직물 기계의 작동 위치에 삽입된다.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서로 접촉될 수 있고, 또한 함께 예를 들어 싱커, 전달 부품 또는 기타 직물 공구와 같은 직물 공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은 또한 직물 기계, 특히 편직기의 상이한 가이드 채널들에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의 분리는 절곡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곡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절곡 축은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의 후방 단부들에 평행하게, 특히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부들의 단부 표면들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이 상기 직물 기계 또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 채널 또는 상기 각각의 공구 수용부에 추가의 후처리 없이 삽입될 수 있는 경우 유리하다.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파단 부품들 또는 상기 후방 단부들의 파단 표면들은 제거되지 않는다. 그들은 상기 직물 기계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유도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을 갖는 직물 공구 부품 쌍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직물 공구 부품 쌍의 평면도에서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측면도에서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절곡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곡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를 분리시키는 기본 설명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2개의 분리된 직물 공구 부품들로 구성되고 직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 내로 삽입되는 싱커 형태의 직물 공구 부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정확하게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로 구성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개별적으로 사용 가능한 직물 공구(17)이거나 또는 함께 정합되고 함께 직물 공구(17)를 형성하는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직물 공구 부품 쌍(15)은, 예를 들면 싱커(18)(도 1) 또는 루프의 전달을 위한 전달부(19)를 직물 기계에 삽입한 후,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이 함께 하나의 단일 기능성 직물 공구(17)를 형성하는 것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로 형성된 싱커(18)는 도 12에 평면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달리,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각각 이미 개별 직물 공구(17), 및 상기 예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래치 니들(20)로서 구성된 기계 편직 니들을 형성한다.
각각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후방 단부(21)와 전방 단부(22) 사이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은, 각각의 직물 기계에서 직물 공구 부품(16)을 사용하는 동안, 특히 루프 형성 공정 동안 또는 루프 또는 스레드의 전달 또는 조작 동안, 스레드와 접촉하는 작업 섹션(25)을 포함하며, 따라서 직물 제조 및 특히 루프 형성에 기여한다. 상기 작업 섹션(25)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싱커(18)(도 1)의 형성을 위해 각각 높이 방향(H)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실질적으로 서로 위에 배열되는 억제 에지(26) 및 녹-오버 에지(knock-over edge; 27)를 포함한다. 상기 억제 에지(26) 및 녹-오버 에지(27)는 상기 예에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및/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억제 에지(26) 및 녹-오버 에지(27)는 서로 마주하고 있다. 이들은 상기 전방 단부(22)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는 유지 공간(28)을 한정한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은 상기 싱커(18)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에지(29)와 상부 에지(30) 사이의 작업 섹션(25)에서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에지(29)와 상부 에지(30)는 상기 예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상기 하부 에지(29)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높이 방향(H)에 직교하고 상기 길이 방향(L)에 수직인 가로 방향(Q)에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에지(29)는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의 베이스 표면(31)을 형성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2개의 베이스 표면들(31)은 상기 길이 방향(L) 및 상기 가로 방향(Q)에 의해 한정되는 공통 기준 평면(E)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어떤 구성 요소들도 상기 기준 평면(E)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기준 평면(E)은 상기 예에 따라, 상기 하부 에지들(29) 또는 상기 베이스 표면들(31)이 상기 기준 평면(E)에서 연장될 때까지 상기 하부 에지들(29) 또는 베이스 표면들(31)과 아래로부터 접촉하게 되는 접촉 평면이다. 이는 상기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하부 에지들(29) 또는 베이스 표면들(31) 모두가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제조 동안, 예를 들어 부품들의 전달 동안 또는 공작 기계에 배열되는 동안 공통 지지 표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의 작업 섹션(25)은 상기 후방 단부(21)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단부(21)에 대해 전방 단부(22)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작업 섹션(25)은, 예를 들면 전달 부품(19)(도 2 및 도 3)을 형성하기 위한 직물 공구 부품(16)뿐만 아니라 상기 래치 니들(20)(도 4 및 도 5)에서, 상기 각각의 전방 단부(22)에 직접 인접할 수 있다.
전달 부품들(19)을 형성하기 위한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작업 섹션들(25)에는 각각 상부를 향해 개방된 루프 유지 리세스(34)가 존재한다.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은, 전방 단부(22)를 향해 테이퍼지고 예를 들어 (높이 방향(H)에서 볼 때) 상기 루프 유지 리세스(34) 아래에서 절곡되는, 전달 부품(19)을 형성하기 위한 전달 후크(35)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래치 니들(20)에서는, 니들 후크(36)가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의 전방 단부(22)가 위치하는 작업 섹션(25)에 각각 배열된다. 상기 니들 후크(36)의 후크 내부 영역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37)에 의해 개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래치(37)를 회전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은 상기 작업 섹션(25)과 상기 후방 단부(29) 사이에 구동 섹션(40)을 포함한다. 높이 방향(H)으로 돌출되는 푸트(41)가 상기 구동 섹션(40)에 제공되고, 상기 푸트(41)는, 예를 들면 싱커(18), 전달 부품(19) 또는 래치 니들(20)와 같은, 직물 공구를 구동시키고 또한 직물 공구를 가이드 채널(42)을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직물 기계의 캠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42)은 상기 싱커(18)에 대해 도 12에 예시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직물 공구 부품 쌍(15)은 상기 작업 섹션에서 하부 에지(29) 또는 베이스 표면(31) 외부의 기준 평면(E)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상기 저부 에지(29) 또는 베이스 표면(31)은 예에 따라 상기 전방 단부(22)에 직접 인접한다.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이 제조 동안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기울기에 저항하는 지지는 상기 베이스 표면(31)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모든 직물 공구 부품들(16)에 있어서,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기준 평면(E)은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베이스 표면(31)에 대해 아래로부터 인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어떠한 구성 요소들도 상기 기준 평면(E)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표면들(31)은 길이 방향(L)으로 중단 없이 연속적일 수 있거나(도 1 내지 도 4), 또는 중단에 의해 다중 섹션들로 분리될 수 있다(도 5).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표면(31)은 상기 전방 단부(22)에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전방 단부(22)에 직접 인접하고, 상기 전방 단부(22)에 비해 각각의 후방 단부(21)까지의 더 긴 거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표면(31)은 상기 전방 단부(22)보다 상기 후방 단부(21)에 더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도 3).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표면(31)은 상기 전방 단부(22)로부터 또는 적어도 상기 작업 섹션(25)으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21)까지 거의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도 2 및 4).
서로 마주하는 후방 단부들(21)에서,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은 하나의 유닛이며, 이에 의해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제조 중에 하나의 유닛으로서 함께 생성 및 전달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직물 기계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배열 직전에만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도,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대칭 평면(S)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칭 평면은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 사이의 중심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L)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의 하부 에지(29)는 분리 후에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을 구분할 수 있도록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한,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이 서로로부터 구별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다른 기하학적 특징 및/또는 마킹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44) 또는 다른 마킹이 푸트(41)에 또는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 중 하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도입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도 6 내지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공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리를 위해 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후방 단부들(21) 사이에서 연장되는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웹(4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2개의 직접적으로 인접한 후방 단부들(21)로서 가로 방향(Q) 및/또는 높이 방향(H)에서 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는 분리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취약부를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의 치수는 그것이 직물 기계를 장착하는 동안 작업자에 의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분리되거나 파손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공구 부품(16)의 각각의 후방 단부(21)는 단부 ㅍ표면(47)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 표면들(47)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단부 표면들(47)은 상기 예에 따라 상기 높이 방향(H)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L)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향될 수 있거나(도 7, 도 9 및 도 10), 또는 상기 길이 방향(L) 및/또는 상기 가로 방향(Q)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단부 표면들(47)과 상기 길이 방향(L)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도 직각으로부터 최대 약 20° 또는 최대 10°만큼 벗어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과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어떠한 이음매 또는 조인트 위치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제조된다. 상기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웹(46)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칩 제거 공정 및/또는 스탬핑 공정 및/또는 성형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상기 2개의 후방 단부들(21) 또는 상기 2개의 단부 표면들(47) 사이의 스탬핑 공정 및/또는 성형 공정(예를 들어,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후방 단부들(29) 또는 상기 2개의 단부 표면들(47)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단일 웹(46)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높이 방향(H)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다중 웹들(46)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가로 방향(Q)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중 웹들(46)을 포함하지 않는다. 만약 다중 웹들(46)이 제공되는 경우, 그들은 특히 높이 방향(H)으로 서로 배타적으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상기 후방 단부들(21)에 대해 가로 방향(Q)으로 더 얇은 웹(46)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2개의 후방 단부들(21) 또는 상기 2개의 단부 표면들(47) 사이의 리세스 또는 엠보싱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의 대향 측면들상에 가로 방향(Q)으로 제공되는 리세스 또는 개구부는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평행하거나 또는 경사진 레그들을 갖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과 비교). 함몰부는 또한 대안적으로 장방형 단면(도 7) 또는 다른 다각형 단면, 예를 들어 사다리꼴 단면(도 8)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방향(H)으로 연장하는 절곡 축(A)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이 절곡 축(A)을 중심으로 절곡되는 동안,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의 적어도 하나의 웹(46)이 파손되어,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이 서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상기 가로 방향(Q)과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축 중심에서의 절곡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 즉 하나의 단일 웹(46) 또는 본 발명의 모든 웹들(46)의 전체 높이는 그의 길이 방향(L) 및/또는 가로 방향(Q)의 치수보다 크다.
공통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상기 절곡 축(A) 중심으로의 절곡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절곡 축(A)은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가 분리된 후, 파단 부품(48) 또는 파단된 웹(46)의 파단면은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각각의 후방 단부(21) 또는 각각의 단부 표면(47)에 남게 된다(도 11 및 도 12).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후처리 없이 상기 직물 기계 또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 채널(42) 내에 삽입된다. 상기 나머지 파단 부품들(48) 또는 상기 후방 단부(21)의 파단 표면들은 상기 직물 기계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사용에 중요하지 않다. 그들은 상기 작업 섹션(25)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직물 생산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레드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들은 또한 상기 파단 부품들(48) 또는 상기 파단된 웹(46)의 파단 표면들에 의해 생성되는 마모가 증가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채널(42)의 가이드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직물 기계를 장착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 공구 부품 쌍(15)이 재고로부터 취해지고,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를 분리시킴으로써 서로 분리되며 또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추가의 후속 후처리 없이 상기 할당된 가이드 채널(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통 가이드 채널(42)에 배열되고 함께 싱커(18)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은 접촉 표면(49)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2개의 접촉 표면들(49)은 싱커(18)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접촉한다(도 1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촉 표면들(49)은 적어도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의 구동 섹션(40)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접촉 표면(49)은 상기 길이 방향(L)과 평행하고 상기 높이 방향(H)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상기 접촉 표면들(49)은 특히 개구부 없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 사이에 2차원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상기 전달 부품(19)을 형성하기 위해 그들의 접촉 표면들(49)로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15 직물 공구 부품 쌍
16 직물 공구 부품
17 직물 공구
18 싱커
19 전달 부품
20 래치 니들
21 후방 단부
22 전방 단부
25 작업 섹션
26 억제 에지
27 녹-오버 에지
28 유지 공간
29 하부 에지
30 상부 에지
31 베이스 표면
34 루프 유지 리세스
35 전달 후크
36 니들 후크
37 래치
40 구동 섹션
41 푸트
42 가이드 채널
44 노치
45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
46 웹
47 단부 표면
48 파단 부품
49 접촉 표면
A 절곡 축
E 기준 평면
H 높이 방향
L 길이 방향
Q 가로 방향
S 대칭 평면

Claims (14)

  1. 각각 직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 또는 공구 수용부(tool seating)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로 구성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15)으로서,
    각각의 직물 공구 부품(16)은 전방 단부(22)와 후방 단부(21) 사이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단부(21)까지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작업 섹션(25)을 포함하고, 스레드 접촉 및/또는 루프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공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분리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에 의해 그의 후방 단부들(21)에서 서로 연결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상기 2개의 후방 단부들(21)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상기 후방 단부들(21)에 비해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웹(46)을 포함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과 일체로 구성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46)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후방 단부들(21)의 2개의 단부 표면들(47) 사이에서 연장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그들의 전방 단부(22)까지 서로 멀어지게 연장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는 상기 길이 방향(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곡 축(A)을 중심으로 상기 직물 공구 부품(16)의 절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 각각은 상기 길이 방향(L) 및 가로 방향(Q)에 의해 한정되는 공통 기준 평면(E)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표면(31)을 갖는, 직물 공구 부품 쌍.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축(A)은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베이스 표면들(3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E)은 상기 베이스 표면들(31)이 상기 기준 평면(E)에서 연장될 때까지 아래로부터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평면이고, 이에 의해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어떠한 구성 요소들도 상기 기준 평면(E)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 직물 공구 부품 쌍.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 각각은 접촉 표면(49)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표면(49)은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의 분리 이전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파단 연결부(45)가 분리된 후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직물 공구(18, 19)를 형성하는, 직물 공구 부품 쌍.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직물 공구는 싱커(sinker; 18)인, 직물 공구 부품 쌍.
  12. 직물 기계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직물 공구 부품 쌍(15)을 제공하는 단계,
    - 공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미리 정해진 파단 연결부(45)에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을 분리시키는 단계,
    - 상기 분리된 직물 공구 부품들(16)을 상기 직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42) 또는 공구 수용부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상기 직물 공구 부품 쌍(15)의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2개의 직물 공구 부품들(16)의 2개의 후방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절곡 축(A)을 중심으로 절곡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구 부품들(16)은 추가의 후처리 없이 각각 상기 가이드 채널(42) 또는 공구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법.
KR1020227038025A 2020-04-01 2021-03-29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KR20220152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7558.4 2020-04-01
EP20167558.4A EP3889330B1 (de) 2020-04-01 2020-04-01 Textilwerkzeugteilepaar und verfahren zur bestückung einer textilmaschine
PCT/EP2021/058194 WO2021198201A1 (de) 2020-04-01 2021-03-29 Textilwerkzeugteilepaar und verfahren zur bestückung einer textil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398A true KR20220152398A (ko) 2022-11-15

Family

ID=7015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025A KR20220152398A (ko) 2020-04-01 2021-03-29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38793A1 (ko)
EP (1) EP3889330B1 (ko)
JP (1) JP2023528563A (ko)
KR (1) KR20220152398A (ko)
CN (1) CN115298368A (ko)
TW (1) TW202204709A (ko)
WO (1) WO20211982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4161A (en) * 1917-05-25 1918-01-22 Burnside E Sawyer Method of making crochet-hooks.
DE699244C (de) * 1938-06-12 1940-11-26 Aachener Maschb Heinrich Schi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deln mit Endverjuengungen
US2393155A (en) * 1939-06-23 1946-01-15 Omes Ltd Forging pointed articles
US2696721A (en) * 1950-04-04 1954-12-14 Mellor Bromley & Co Ltd Knitting instrument
US3973413A (en) * 1973-05-01 1976-08-10 George Humphrey Tichenor Portable hand knitting device
US4541470A (en) * 1982-09-23 1985-09-17 Rhein-Nadel Maschinennadel Gmbh Method of producing sewing machine needles
DE3800802C1 (ko) * 1988-01-14 1989-02-16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De
US5244141A (en) 1992-05-15 1993-09-14 Doolittle Milton A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haracteristic small thin flat metallic parts
DE10148196C1 (de) 2001-09-28 2003-04-03 Groz Beckert Kg Systemteil
DE10325671B4 (de) * 2003-06-06 2007-03-01 Groz-Beckert Kg Versandeinheit länglicher Systemteile, insbesondere Nadeln, für maschenbildende Maschinen
ITMI20080121A1 (it) 2008-01-28 2009-07-29 Santoni & C Spa Ag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punti di maglia dallo stesso ago ad aghi adiacenti per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EP2128319A1 (de) 2008-05-30 2009-12-02 Groz-Beckert KG Zweilagiges Systemteil für ein Stricksystem
CA2755302C (en) * 2009-03-13 2014-11-04 Pamela Turner Open eye sewing needle
DE102009051612B4 (de) * 2009-11-02 2013-06-06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Maschenbildende Nadel
JP2013237936A (ja) 2012-05-11 2013-11-28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ペアシンカー
CN103334223A (zh) 2013-07-04 2013-10-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编机的织针
DE102014103261B4 (de) 2014-03-11 2017-02-23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denberührenden Elements und fadenberührendes Element, insbesondere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n
PT3124664T (pt) 2015-07-30 2020-03-23 Groz Beckert Kg Método e dispositivo para a formação de laç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4709A (zh) 2022-02-01
EP3889330C0 (de) 2023-08-23
CN115298368A (zh) 2022-11-04
JP2023528563A (ja) 2023-07-05
US20230138793A1 (en) 2023-05-04
WO2021198201A1 (de) 2021-10-07
EP3889330B1 (de) 2023-08-23
EP3889330A1 (de)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049B2 (en) Gripper for a tufting machine
KR101345570B1 (ko) 터프팅 기계용 그리퍼 도구
CN101302680B (zh) 特别适用于高精细分度的针织机工具
KR20180033284A (ko)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KR100859110B1 (ko) 편물바늘 및 바늘대
US8082862B2 (en) Gripper for a tufting machine
CN101012595B (zh) 用于针织机的取出梳
KR20220152398A (ko) 직물 공구 부품 쌍 및 직물 기계 장착 방법
EP2568066A2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CN101148802B (zh) 横机的沉降片装置和导纱隔距块
US6591637B2 (en) Plate for closing the toe of hosiery
EP2436810A2 (en) Knitting method of three dimensionally shaped-knitted fabric, and three dimensionally shaped-knitted fabric
CN110656437B (zh) 成圈工具和用于制造成圈工具的方法
KR102285359B1 (ko) 경편기용 복합침
JP6373361B2 (ja) スライド針
US20170130380A1 (en) Needle Module for a Needle Board of a Needling Machine
TW201804043A (zh) 經編針織機及用於製造經編針織織物的方法
EP2354284A1 (en) Plating knitting method
JPH07509542A (ja) クロシェット編機のための鉤針の締付案内装置
CN109352267A (zh) 一种横编机中移圈针的加工方法
KR20030086036A (ko) 더블 랏셀 편직기 및 그 편물지
JP2751957B2 (ja) スプリングニードル
CN105544083B (zh) 纺织机用针或沉降片及其制造方法
CN101784715B (zh) 在圆袜机中用于转移线圈的挺针片
TW202237922A (zh) 針體、複合針組件及經紗編織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