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906A -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906A
KR20220138906A KR1020210044569A KR20210044569A KR20220138906A KR 20220138906 A KR20220138906 A KR 20220138906A KR 1020210044569 A KR1020210044569 A KR 1020210044569A KR 20210044569 A KR20210044569 A KR 20210044569A KR 20220138906 A KR20220138906 A KR 2022013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hannel
substrate
channel structures
cell arra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림
김지영
윤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906A/ko
Priority to US17/529,462 priority patent/US11887951B2/en
Priority to CN202210276622.1A priority patent/CN115206984A/zh
Publication of KR2022013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50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assemblies consisting of devices, each device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or H01L29/00
    • H01L27/11568
    • H01L27/1157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1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99Material
    • H01L2224/0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051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99Material
    • H01L2224/05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6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056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81Disposition
    • H01L2224/0812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0813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0814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3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4814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9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1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34Bonding interfaces of the bonding area
    • H01L2224/80357Bonding interfaces of the bonding area being flush with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0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0895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s, e.g. copper-copper direct bonding, surface activated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0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0896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insulating surfaces, e.g. oxide or nitr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17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 H01L2225/102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the support being a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7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iners
    • H01L2225/1052Wire or wire-like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1Log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5Read-only memory [ROM]
    • H01L2924/1451EPROM
    • H01L2924/14511EEP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어레이 영역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 상의 적층 구조체,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제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딩 패드들을 통해 서로 결합된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저장을 필요로 하는 전자 시스템에서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데이터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장치의 경우,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패턴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초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2차원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는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상기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 상의 적층 구조체,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제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부분,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2 부분, 및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주변 트랜지스터들,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 상의 주변 회로 배선들, 및 상기 주변 회로 배선들을 통해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과 연결되는 제1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의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본딩 패드들, 상기 제2 본딩 패드들 상의 연결 회로 배선들, 상기 연결 회로 배선들을 통해 상기 제2 본딩 패드들과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 상기 비트 라인들 상의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 상기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교대로 적층되어 상기 제1 기판의 상면과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층간 절연막들 및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수직 채널 홀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 각각은 상기 수직 채널 홀들 각각의 내부 측벽을 컨포말하게 덮는 데이터 저장 패턴, 및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으로 둘러싸인 수직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은 차례로 적층된 블록킹 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터널링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셀 어레이 영역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제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부분,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셀 어레이 영역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주변 회로 구조체,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 상의 적층 구조체,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 및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 상의 입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입출력 패드를 통하여 상기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제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부분,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2 부분, 및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 상의 주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체 및 본딩 패드들을 통해 주변 회로 구조체와 결합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고, 셀 어레이 구조체는 적층 구조체 및 적층 구조체 상의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은 서로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소거 동작 시 서로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부분들 사이에 역방향 접합(reverse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거 동작 시 더미 수직 채널 구조체들이 전기적으로 플로팅되고, 소거 동작 시의 불량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 구조체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를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면적당 셀 용량이 커질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셀 어레이 구조체를 각각 제조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각종 열처리 공정에 따른 주변 트랜지스터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2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들로, 도 7a는 도 6a의 A 부분에 대응되며, 도 7b는 도 6b의 B 부분 또는 도 6a의 C 부분에 대응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3a 및 도 10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9 또는 도 11을 Ⅲ-Ⅲ' 선 및 Ⅳ-Ⅳ'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들로, 도 18a는 도 17a의 D 부분에 대응되며, 도 18b는 도 17b의 E 부분 또는 도 17a의 F 부분에 대응된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 및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storage device) 또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1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를 포함하는 SSD 장치(solid state drive devi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퓨팅 시스템, 의료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3차원 낸드(NAND) 플래쉬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는 제1 영역(1100F) 및 제1 영역(1100F) 상의 제2 영역(1100S)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영역(1100F)은 제2 영역(1100S)의 옆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영역(1100F)은 디코더 회로(1110), 페이지 버퍼(1120) 및 로직 회로(1130)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100S)은 비트 라인들(BL), 공통 소스 라인(CSL), 워드 라인들(WL), 제1 라인들(LL1, LL2), 제2 라인들(UL1, UL2) 및 비트 라인들(BL)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의 메모리 셀 스트링들(CSTR)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100S)에서, 각각의 메모리 셀 스트링들(CSTR)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인접하는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 비트 라인들(BL)에 인접하는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 및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과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개수와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개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메모리 셀 스트링들(CSTR)은 공통 소스 라인(CSL)과 제1 영역(1100F)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들(LL1, LL2)은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다. 워드 라인들(WL)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의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고, 제2 라인들(UL1, UL2)은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직렬 연결된 제1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LT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직렬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UT1) 및 제2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제2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 중 적어도 하나는 게이트 유도 누설 전류(Gate Induce Drain Leakage, GIDL) 현상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소거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 제1 라인들(LL1, LL2), 워드 라인들(WL) 및 제2 라인들(UL1, UL2)은 제1 영역(1100F) 내에서 제2 영역(1100S)까지 연장되는 제1 연결 배선들(1115)을 통해 디코더 회로(1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제1 영역(1100F) 내에서 제2 영역(1100S)까지 연장되는 제2 연결 배선들(1125)을 통해 페이지 버퍼(1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1100F)에서,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1120)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1120)는 로직 회로(1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는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1101)를 통해, 컨트롤러(1200)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1101)는 제1 영역(1100F) 내에서 제2 영역(1100S)까지 연장되는 입출력 연결 배선(1135)을 통해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1210), NAND 컨트롤러(122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시스템(1000)은 복수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1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러(1200)는 복수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1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한 전자 시스템(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소정의 펌웨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NAND 컨트롤러(1220)를 제어하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에 억세스할 수 있다. NAND 컨트롤러(1220)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NAND 인터페이스(1221)를 포함할 수 있다. NAND 인터페이스(1221)를 통해,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로부터 읽어오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는 전자 시스템(10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210)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2000)은 메인 기판(2001)과, 메인 기판(2001)에 실장되는 컨트롤러(2002), 하나 이상의 반도체 패키지(2003) 및 DRAM(2004)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 및 DRAM(2004)은 메인 기판(2001)에 제공되는 배선 패턴들(2005)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기판(2001)은 외부 호스트와 결합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200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6)에서 복수의 핀들의 개수와 배치는, 전자 시스템(20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PCI-Express(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UFS(Universal Flash Storage)용 M-Phy 등의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외부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은, 예를 들어, 커넥터(2006)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은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컨트롤러(2002) 및 반도체 패키지(2003)에 분배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반도체 패키지(200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으며, 전자 시스템(2000)의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DRAM(2004)은 데이터 저장 공간인 반도체 패키지(2003)와 외부 호스트의 속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포함되는 DRAM(2004)은 일종의 캐시 메모리로도 동작할 수 있으며, 반도체 패키지(2003)에 대한 제어 동작에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DRAM(2004)이 포함되는 경우,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를 제어하기 위한 NAND 컨트롤러 외에 DRAM(2004)을 제어하기 위한 DRAM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은 각각 복수의 반도체 칩들(2200)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 각각은, 패키지 기판(2100), 패키지 기판(2100) 상의 반도체 칩들(2200),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접착층들(2300), 반도체 칩들(2200)과 패키지 기판(2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구조체들(2400) 및 패키지 기판(2100) 상에서 반도체 칩들(2200) 및 연결 구조체들(2400)을 덮는 몰딩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을 포함하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칩들(2200)은 입출력 패드들(221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들(2210) 각각은 도 1의 입출력 패드(1101)에 해당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게이트 적층 구조체들(3210) 및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3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구조체들(2400)은, 예를 들어, 입출력 패드들(2210)과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들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에서, 반도체 칩들(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패키지 기판(2100)의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에서, 반도체 칩들(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의 연결 구조체들(2400) 대신에, 관통 전극(Through Silicon Via)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은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메인 기판(2001)과 다른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에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이 실장되고, 인터포저 기판에 제공되는 배선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2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003)는 패키지 기판(2100) 및 패키지 기판(2100) 상의 복수의 반도체 칩들(2200) 및 패키지 기판(2100)과 반도체 칩들(2200)을 덮는 몰딩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거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상부 패드들(2130),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의 하면 상에 배치되거나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하부 패드들(2125) 및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 내부에서 상부 패드들(2130)과 하부 패드들(21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배선들(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드들(2130)은 연결 구조체들(2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패드들(2125)은 도전성 연결부들(2800)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전자 시스템(2000)의 메인 기판(2001)의 배선 패턴들(200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칩들(2200)의 일 측벽들은 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고, 반도체 칩들(2200)의 다른 측벽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은 본딩 와이어 형태의 연결 구조체들(24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반도체 기판(4010), 반도체 기판(4010) 상의 제1 구조체(4100) 및 제1 구조체(4100) 상의 제2 구조체(4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체(4200)는 웨이퍼 본딩 방식으로 제1 구조체(4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조체(4100)는 주변 회로 배선들(4110) 및 제1 본딩 패드들(4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체(4200)는 공통 소스 라인(4205), 공통 소스 라인(4205)과 제1 구조체(4100) 사이의 게이트 적층 구조체(4210), 게이트 적층 구조체(4210)를 관통하는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4220)과 분리 구조체들(4230), 및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4220) 및 게이트 적층 구조체(4210)의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본딩 패드들(4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본딩 패드들(4250)은,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4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4240) 및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연결 배선들(4235)을 통하여, 각각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4220) 및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조체(4100)의 제1 본딩 패드들(4150) 및 제2 구조체(4200)의 제2 본딩 패드들(4250)은 서로 접촉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딩 패드들(4150) 및 제2 본딩 패드들(4250)의 결합되는 부분들은, 예를 들어,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입출력 패드(2210) 및 입출력 패드(2210) 하부의 입출력 연결 배선(4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연결 배선(4265)은 제2 본딩 패드들(4250) 중 일부 및 주변 회로 배선들(4110)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기판(10), 제1 기판(10) 상의 주변 회로 구조체(PS) 및 주변 회로 구조체(PS) 상의 셀 어레이 구조체(C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 주변 회로 구조체(PS) 및 셀 어레이 구조체(CS)는 각각 도 3 및 도 4의 반도체 기판(4010), 반도체 기판(4010) 상의 제1 구조체(4100) 및 제1 구조체(4100) 상의 제2 구조체(4200)에 해당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S)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CS)를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면적당 셀 용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 구조체(PS) 및 셀 어레이 구조체(CS)를 각각 제조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각종 열처리 공정에 따른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게르마늄 기판 또는 단결정(monocrystalline) 실리콘 기판에 성장된 단결정 에피택시얼층(epitaxial layer)일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과 나란하고, 제3 방향(D3)과 직교하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방향들(D1, D2, D3)은,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들일 수 있다. 소자 분리막(11)이 제1 기판(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1)은 제1 기판(10)의 활성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셀 어레이 영역(CAR)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은 셀 어레이 영역(CAR)으로부터 제1 방향(D1)(또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기판(10) 상에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주변 콘택 플러그들(31), 주변 콘택 플러그들(31)을 통해 주변 트랜지스터들(PT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 회로 배선들(33), 주변 회로 배선들(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본딩 패드들(35) 및 이들을 둘러싸는 제1 절연막(30)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체(PS)가 제공될 수 있다.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제1 기판(10)의 활성 영역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주변 회로 배선들(33)은 도 3 및 도 4의 주변 회로 배선들(4110)에 해당할 수 있고, 제1 본딩 패드들(35)은 도 3 및 도 4의 제1 본딩 패드들(4150)에 해당할 수 있다.
주변 콘택 플러그들(31)은, 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주변 콘택 플러그들(31) 및 주변 회로 배선들(33)은 금속 등의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예를 들어, 디코더 회로(도 1의 1110), 페이지 버퍼(도 1의 1120) 및 로직 회로(도 1의 113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각각은 주변 게이트 절연막(21), 주변 게이트 전극(23), 주변 캡핑 패턴(25), 주변 게이트 스페이서(27) 및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29)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게이트 절연막(21)은 주변 게이트 전극(23)과 제1 기판(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캡핑 패턴(25)은 주변 게이트 전극(2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주변 게이트 스페이서(27)는 주변 게이트 절연막(21), 주변 게이트 전극(23) 및 주변 캡핑 패턴(25)의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29)은 주변 게이트 전극(23) 양측에 인접하는 제1 기판(1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주변 회로 배선들(33) 및 제1 본딩 패드들(35)이 주변 콘택 플러그들(31)을 통해 주변 트랜지스터들(PTR)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각각은, 예를 들어, NMOS 트랜지스터, PMOS 트랜지스터 또는 게이트-올-어라운드(gate-all-around) 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절연막(30)이 제1 기판(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절연막(30)은 제1 기판(10) 상에서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주변 콘택 플러그들(31) 및 주변 회로 배선들(33)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막(30)은 다층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막(3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또는 저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30)은 제1 본딩 패드들(35)의 상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연막(30)의 상면은 제1 본딩 패드들(35)의 상면들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S) 상에 제2 본딩 패드들(45), 비트 라인들(BL), 적층 구조체(ST)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본딩 패드들(45), 비트 라인들(BL), 적층 구조체(ST)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은 각각 도 3 및 도 4의 제2 본딩 패드들(4250), 비트 라인들(4240), 게이트 적층 구조체(4210) 및 공통 소스 라인(4205)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절연막(30) 상에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제1 본딩 패드들(35)과 접촉하는 제2 본딩 패드들(45), 연결 콘택 플러그들(41), 연결 콘택 플러그들(41)을 통해 제2 본딩 패드들(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회로 배선들(43) 및 이들을 둘러싸는 제2 절연막(40)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절연막(40)은 다층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막(4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또는 저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콘택 플러그들(41)은, 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연결 콘택 플러그들(41) 및 연결 회로 배선들(43)은 금속 등의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막(40)은 제2 본딩 패드들(45)의 하면들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제2 절연막(40)의 하면은 제2 본딩 패드들(45)의 하면들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본딩 패드들(45) 각각의 하면은 제1 본딩 패드들(35) 각각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은 구리(Cu), 텅스텐(W),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은 그 사이의 경계면 없이 일체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의 측벽들은 나란히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평면적인 관점에서,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의 측벽들은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제2 절연막(40)의 상부에 연결 콘택 플러그들(41)과 접촉하는 비트 라인들(BL),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이 제공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 각각은, 예를 들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은 금속 등의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막(40) 상에 제3 절연막(50)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절연막(50) 상에 제4 절연막(60) 및 제4 절연막(60)으로 둘러싸인 적층 구조체(ST)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절연막들(50, 60)은 다층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및 제4 절연막들(50, 6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또는 저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막(50) 내에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이 제공될 수 있다.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비트 라인들(BL) 및 후술하는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절연막(50) 및 제4 절연막(60)을 관통하는 셀 콘택 플러그들(CCP) 및 관통 콘택 플러그(TCP)가 제공될 수 있다. 셀 콘택 플러그들(CCP)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제1 도전 라인들(CL1) 및 후술하는 적층 구조체(ST)의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셀 콘택 플러그들(CCP) 각각은 후술하는 적층 구조체(ST)의 층간 절연막들(ILDa, ILDb)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관통 콘택 플러그(TCP)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제2 도전 라인(CL2) 및 후술하는 입출력 패드(IOP)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 셀 콘택 플러그들(CCP) 및 관통 콘택 플러그(TCP)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 셀 콘택 플러그들(CCP) 및 관통 콘택 플러그(TCP)는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 셀 콘택 플러그들(CCP) 및 관통 콘택 플러그(TCP)는 금속 등의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막(50) 상에 적층 구조체(ST)가 제공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T)는 제4 절연막(60)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적층 구조체(ST)의 하면(즉, 제3 절연막(50)과 접촉하는 일 면)은 제4 절연막(60)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적층 구조체(ST)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적층 구조체들(ST)은, 도 5에 따른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수의 적층 구조체(ST)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하의 설명은 다른 적층 구조체들(ST)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T)는 제1 적층 구조체(ST1) 및 제2 적층 구조체(S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층 구조체(ST1)는 교대로 적층된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및 제1 게이트 전극들(EL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적층 구조체(ST2)는 교대로 적층된 제2 층간 절연막들(ILDb)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적층 구조체(ST2)는 제1 적층 구조체(ST1)와 제1 기판(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적층 구조체(ST2)는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하부의 것(bottommost one)의 하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적층 구조체(ST2)의 제2 층간 절연막들(ILDb) 중 최상부의 것(topmost one)과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하부의 것은 서로 접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적층 구조체(ST2)의 제2 게이트 전극들(ELb) 중 최상부의 것과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게이트 전극들(ELa) 사이에는 단일층의 절연막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은, 예를 들어, 도핑된 반도체(ex, 도핑된 실리콘 등), 금속(ex,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등), 도전성 금속질화물(ex, 질화티타늄, 질화탄탈늄 등) 또는 전이금속(ex, 티타늄, 탄탈늄 등)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또는 저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은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물(HDP oxide) 또는 TEOS(TetraEthylOrtho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 상에서,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T1, ST2) 각각은 후술하는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중 최외각의 것(outer-most one)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T1, ST2) 각각은 제1 방향(D1)을 따라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게이트 전극들(ELa) 및 제2 적층 구조체(ST2)의 제2 게이트 전극들(ELb)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측벽들은, 도 5에 따른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적층 구조체(ST2)의 제2 게이트 전극들(ELb) 중 최하부의 것은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가장 작을 수 있고,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게이트 전극들(ELa) 중 최상부의 것은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은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패드부들(ELp)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들(ELp)은 수평적으로 그리고 수직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들(ELp)은 제1 방향(D1)을 따라 계단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셀 콘택 플러그들(CCP)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패드부들(ELp)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은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상부에 접하는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 중 하나와 측벽이 정렬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과 마찬가지로, 제1 기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들(ILDb) 중 최하부의 것은 다른 층간 절연막들보다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클 수 있고,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상부의 것은 다른 층간 절연막들보다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작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적층 구조체(ST)를 제3 방향(D3)으로 관통하는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은 도 3 및 도 4의 메모리 채널 구조체들(4220)에 해당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적층 구조체(ST)의 적어도 일부 및 제4 절연막(60)을 제3 방향(D3)으로 관통하는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이 제공될 수 있다.
수직 채널 홀들(CH)은 제1 수직 채널 홀들(CH1) 및 제1 수직 채널 홀들(CH1)과 연결되는 제2 수직 채널 홀들(C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채널 홀들(CH1, CH2) 각각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채널 홀들(CH1, CH2)은 서로 연결되는 경계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 채널 홀들(CH2) 각각의 상부 직경은 제1 수직 채널 홀들(CH1) 각각의 하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채널 홀들(CH1, CH2) 각각은 그 경계에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두 군데 이상의 경계들에서 각각 단차를 갖는 3개 이상의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이 제공될 수도 있고, 단차를 갖지 않고 평탄한 측벽을 갖는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 각각은 제3 절연막(50)과 인접하는 도전 패드(PAD), 제1 및 제2 수직 채널 홀들(CH1, CH2) 각각의 내부 측벽을 컨포말하게 덮는 데이터 저장 패턴(DSP), 데이터 저장 패턴(DSP)의 측벽을 컨포말하게 덮는 수직 반도체 패턴(VSP), 및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도전 패드(PAD)로 둘러싸인 제1 및 제2 수직 채널 홀들(CH1, CH2) 각각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매립 절연 패턴(VI)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데이터 저장 패턴(DSP)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 각각의 하면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데이터 저장 패턴(DSP)과 매립 절연 패턴(VI) 사이 및 데이터 저장 패턴(DSP)과 도전 패드(PAD)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상단이 닫힌 파이프 형태 또는 마카로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상단이 오픈된(opened) 파이프 형태 또는 마카로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의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 물질 또는 다결정(polycrystalline)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패드(PAD)는,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 또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적층 구조체(ST)를 가로지르는 제1 트렌치(TR1) 및 제2 트렌치(TR2)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R1)는 셀 어레이 영역(CAR)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트렌치(TR2)는 셀 어레이 영역(CAR)으로부터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 각각의 내부를 채우는 제1 분리 패턴(SP1) 및 제2 분리 패턴(SP2)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패턴들(SP1, SP2)은 도 3 및 도 4의 분리 구조체들(4230)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분리 패턴(SP2)의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는 제1 분리 패턴(SP1)의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패턴들(SP1, SP2)의 측벽들은 적층 구조체(ST)의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패턴들(SP1, SP2)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 패턴(SP2)의 하면은 제3 절연막(50)의 하면(즉, 제2 절연막(40)의 상면) 및 비트 라인들(BL),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의 상면들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분리 패턴(SP2)의 상면은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의 상면들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층 구조체(ST)가 복수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제1 분리 패턴(SP1) 또는 제2 분리 패턴(SP2)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층 구조체들(ST)은 제1 분리 패턴(SP1) 또는 제2 분리 패턴(SP2)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T) 상에 제2 기판(70)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판(70)은 셀 어레이 영역(CAR)의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3),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의 제3 부분(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은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각각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은 제1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은 적층 구조체(ST) 상의 공통 소스 영역(CSL) 및 적층 구조체(ST)와 공통 소스 영역(CSL) 사이의 소스 구조체(SC)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CSL) 및 소스 구조체(SC)는 제1 기판(10)의 상면(또는, 적층 구조체(ST)의 상면)과 나란하게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CSL)은 제1 기판(10)의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CSL)은,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반도체 물질 또는 단결정(monocrystalline)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구조체(SC)는 적층 구조체(ST) 상의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 및 적층 구조체(ST)와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 사이의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은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과 제1 적층 구조체(ST1)의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상부의 것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은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의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는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의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소스 구조체(SC)는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구조체(SC)는, 예를 들어, 공통 소스 영역(CSL)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의 불순물 농도는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의 불순물 농도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의 불순물 농도보다 클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은 제1 분리 패턴(SP1)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될 수 있고,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각각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은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각각의 하부는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은 적층 구조체(ST)의 계단 구조(즉,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패드부들(ELp))와 제3 방향(D3)으로 중첩될 수 있고,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 각각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은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 각각의 하부는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 및 제3 부분(75)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다른 제2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부분들일 수 있다. 소거 동작 시 제1 부분(71)과 제2 부분(73) 사이 및 제1 부분(71)과 제3 부분(75) 사이에 역방향 접합(reverse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73)과 접촉하는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및 제3 부분(75)과 접촉하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소거 동작 시 제2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VS3)이 전기적으로 플로팅됨으로써, 소거 동작 시의 불량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기판(70) 및 제4 절연막(60) 상에 제5 절연막(80)이 제공될 수 있다. 제5 절연막(80)을 관통하여 관통 콘택 플러그(TCP)와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IOP)가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 패드(IOP)는 관통 콘택 플러그(TCP)를 통해 제2 도전 라인(C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패드(IOP)의 일부는 제5 절연막(8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패드(IOP)는 도 1의 입출력 패드(1101) 또는 도 3 및 도 4의 입출력 패드들(2210)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5 절연막(80) 및 제2 기판(70)의 일부를 관통하는 공통 소스 콘택들(PCC)이 제공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콘택들(PCC)의 하면은 제2 기판(70)의 상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공통 소스 콘택들(PCC)은 공통 소스 영역(C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통 소스 콘택들(PCC) 상에 추가적인 배선들 또는 콘택들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입출력 패드(IOP) 및 공통 소스 콘택들(PCC)은, 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IOP) 및 공통 소스 콘택들(PCC)은 금속 등의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로, 도 6a의 A 부분에 대응된다.
도 6a 및 도 7a를 참조하면, 공통 소스 영역(CSL) 및 소스 구조체(SC)를 포함하는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 및 데이터 저장 패턴(DSP), 수직 반도체 패턴(VSP), 매립 절연 패턴(VI) 및 하부 데이터 저장 패턴(DSPr)을 포함하는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중 하나가 도시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수의 수직 채널 홀(CH) 및 제1 수직 채널 구조체(VS1)에 대해 설명하나, 이하의 설명은 다른 수직 채널 홀들(CH) 및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VS1)의 상면(VS1t)은 공통 소스 영역(CSL)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VS1)의 상면(VS1t)은 하부 데이터 저장 패턴(DSPr)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VS1)의 상면(VS1t)은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의 상면(SCP1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수직 채널 홀(CH)의 측벽 상에 차례로 적층된 블록킹 절연막(BLK), 전하 저장막(CIL) 및 터널링 절연막(TIL)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 절연막(BLK)은 적층 구조체(ST) 또는 소스 구조체(SC)에 인접할 수 있고, 터널링 절연막(TIL)은 수직 반도체 패턴(VSP)에 인접할 수 있다. 전하 저장막(CIL)은 블록킹 절연막(BLK) 및 터널링 절연막(TIL)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블록킹 절연막(BLK), 전하 저장막(CIL) 및 터널링 절연막(TIL)은 적층 구조체(ST) 및 수직 반도체 패턴(VSP) 사이에서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유도되는 파울러-노드하임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 현상에 의해,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킹 절연막(BLK) 및 터널링 절연막(TIL)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전하 저장막(CIL)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구조체(SC) 중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은 수직 반도체 패턴(VSP)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은 데이터 저장 패턴(DSP)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은 수직 반도체 패턴(VSP)을 사이에 두고 매립 절연 패턴(VI)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은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의 상면(SCP2b)보다 낮은 레벨 또는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의 상면(SCP1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한 돌출부들(SCP1p)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들(SCP1p)은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의 하면(SCP2a)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 패턴(DSP) 또는 하부 데이터 저장 패턴(DSPr)과 접하는 돌출부들(SCP1p) 각각의 일 면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로, 도 6b의 B 부분 또는 도 6a의 C 부분에 대응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또는 제3 부분(75)) 및 데이터 저장 패턴(DSP), 수직 반도체 패턴(VSP), 매립 절연 패턴(VI) 및 하부 데이터 저장 패턴(DSPr)을 포함하는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또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 중 하나가 도시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수의 수직 채널 홀(CH)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VS2)(또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VS3))에 대해 설명하나, 이하의 설명은 다른 수직 채널 홀들(CH)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또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VS2)의 상면(VS2t) 또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VS3)의 상면(VS3t)은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 또는 제3 부분(75)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VS2)의 상면(VS2t) 또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VS3)의 상면(VS3t)은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은 수직 채널 홀(CH)의 측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의 일 측벽은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중 어느 하나의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접촉할 수 있고,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의 타 측벽은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 또는 제3 부분(75)과 접촉할 수 있다.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은 도 7a의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도 7a의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 패턴(DSP) 또는 하부 데이터 저장 패턴(DSPr)과 접하는 잔류 소스 도전 패턴(SCP1r)의 면들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3a 및 도 10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9 또는 도 11을 Ⅲ-Ⅲ' 선 및 Ⅳ-Ⅳ'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이하에서, 도 8a 및 도 8b에서부터 도 14a 및 도 14b까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 상에 주변 회로 구조체(PS)가 형성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S)를 형성하는 것은 제1 기판(10) 내부에 소자 분리막(11)을 형성하는 것, 소자 분리막(11)에 의해 정의되는 제1 기판(10)의 활성 영역 상에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을 형성하는 것, 및 주변 트랜지스터들(PT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 콘택 플러그들(31), 주변 회로 배선들(33), 제1 본딩 패드들(35) 및 이들을 덮는 제1 절연막(3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딩 패드들(35)의 상면들은 제1 절연막(3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루는 것은 평탄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평탄화 공정은, 예를 들어,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 또는 에치 백(etch back)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캐리어 기판(100) 상에 공통 소스 영역(CSL), 하부 희생막(101) 및 하부 반도체막(103)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CSL) 및 하부 반도체막(103)은 제1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희생막(101)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희생막(101)은 다층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절연막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반도체막(103)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 및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을 포함하는 예비 적층 구조체(STp)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과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고 식각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은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은 일부 영역에서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교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 및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을 포함하는 예비 적층 구조체(STp)에 대한 트리밍(trimming)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트리밍 공정은 셀 어레이 영역(CAR)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예비 적층 구조체(STp)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것, 마스크 패턴을 통해 예비 적층 구조체(STp)를 패터닝하는 것, 마스크 패턴의 면적을 축소시키는 것 및 축소된 면적을 갖는 마스크 패턴을 통해 예비 적층 구조체(STp)를 패터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패턴의 면적을 축소하고, 마스크 패턴을 통해 예비 적층 구조체(STp)를 패터닝하는 것은 번갈아 반복될 수 있다. 트리밍 공정에 의해,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예비 적층 구조체(STp)의 계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비 적층 구조체(STp)의 계단 구조를 덮는 제4 절연막(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절연막(60)은 캐리어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절연막(60)의 상면은 예비 적층 구조체(STp)의 제2 층간 절연막들(112)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예비 적층 구조체(STp)의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 및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 하부 반도체막(103), 하부 희생막(101)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수직 채널 홀들(CH)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채널 홀들(CH)은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제4 절연막(60)을 더 관통할 수 있다.
수직 채널 홀들(CH)은 제1 층간 절연막들(111) 및 제1 희생막들(121)을 관통하는 제1 수직 채널 홀들(CH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2) 및 제2 희생막들(122)을 관통하는 제2 수직 채널 홀들(C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홀들(CH2)은 제1 수직 채널 홀들(CH1)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될 수 있고, 제1 수직 채널 홀들(CH1)과 연결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R)의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이 형성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의 수직 채널 홀들(CH) 내에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 각각은 수직 채널 홀들(CH) 각각의 내부 측벽을 컨포멀하게 덮는 데이터 저장 패턴(DSP) 및 수직 반도체 패턴(VSP)을 형성하는 것, 수직 반도체 패턴(VSP)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매립 절연 패턴(VI)을 형성하는 것 및 매립 절연 패턴(VI)과 데이터 저장 패턴(DSP)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도전 패드(PAD)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의 상면들은 제2 층간 절연막들(112)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 및 제4 절연막(6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도 10a, 도 10b,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층간 절연막들(112)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 및 제4 절연막(60)의 상면을 덮는 제3 절연막(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연막(50), 예비 적층 구조체(STp), 하부 반도체막(103), 하부 희생막(101)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은 셀 어레이 영역(CAR)으로부터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R1)의 깊이는 제2 트렌치(TR2)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트렌치(TR1)의 하면은 제1 층간 절연막들(111)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트렌치(TR2)의 하면은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의 하면들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에 의해 노출되는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 및 하부 희생막(101)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 및 하부 희생막(101)을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어, 불산(HF) 및/또는 인산(H3PO4) 용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하부 희생막(101)이 제거될 때, 하부 희생막(101)이 제거된 공간에 의해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각각의 데이터 저장 패턴(DSP)의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하부 희생막(101)이 제거된 공간을 채우는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은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각각의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은,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소스 도전 패턴(SCP1)의 내부에는 에어 갭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반도체막(103)은 제2 소스 도전 패턴(SCP2)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소스 도전 패턴들(SCP1, SCP2)을 포함하는 소스 구조체(SC)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스 구조체(SC) 및 공통 소스 영역(CSL)을 포함하는 제2 기판(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막들(121, 122)이 제거된 공간을 채우는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1, 112)은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T1, ST2)의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로 지칭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ST)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R1)를 채우는 제1 분리 패턴(SP1) 및 제2 트렌치(TR2)를 채우는 제2 분리 패턴(S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패턴들(SP1, SP2)의 상면들은 제3 절연막(5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제3 절연막(50)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의 상면들과 접촉하는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이 형성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제3 및 제4 절연막들(50, 60)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ELa, ELb)의 패드부들(ELp)과 접촉하는 셀 콘택 플러그들(CCP)이 형성될 수 있다. 셀 콘택 플러그들(CCP)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ILDa, ILDb)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제3 및 제4 절연막들(50, 60)을 관통하여 캐리어 기판(100)의 상면과 접촉하는 관통 콘택 플러그(TCP)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콘택 플러그(TCP)는 적층 구조체(ST) 및 셀 콘택 플러그들(CCP) 중 최외각의 것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제3 절연막(50) 상에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LCP)과 접촉하는 비트 라인들(BL)이 형성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에서 제3 절연막(50) 상에 셀 콘택 플러그들(CCP) 및 관통 콘택 플러그(TCP)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3 절연막(50) 상에 비트 라인들(BL),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CL1, C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콘택 플러그들(41), 연결 회로 배선들(43), 제2 본딩 패드들(45) 및 이들을 덮는 제2 절연막(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딩 패드들(45)의 상면들은 제2 절연막(4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해, 캐리어 기판(100)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캐리어 기판(100) 상에 형성된 셀 어레이 구조체(CS)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1 기판(10) 상에 형성된 주변 회로 구조체(PS)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기판(100)은 셀 어레이 구조체(CS)와 주변 회로 구조체(PS)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1 기판(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제1 본딩 패드들(35)은 셀 어레이 구조체(CS)의 제2 본딩 패드들(45)과 서로 접촉하면서 융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35, 45)이 서로 결합된 이후, 셀 어레이 구조체(CS) 상의 캐리어 기판(100)은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판(70)의 일부에 대한 이온 주입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 패턴(SP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는 셀 어레이 영역(CAR)의 제2 기판(70)의 일부에 대한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이 형성될 수 있고,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의 제2 기판(70)에 대한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온 주입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제2 기판(7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부분(7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일부에 대한 이온 주입 공정은, 예를 들어, 제2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예를 들어, 붕소(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을 주입하는 공정일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 및 제3 부분(75)이 제1 부분(71)과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됨으로써, 제2 부분(73)과 접촉하는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및 제3 부분(75)과 접촉하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은 소거 동작 시에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이온 주입 공정 이후, 제2 기판(70) 상에 제5 절연막(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절연막(80)을 관통하여 관통 콘택 플러그(TCP)와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IOP) 및 제5 절연막(80)을 관통하여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연결되는 공통 소스 콘택들(PCC)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콘택들(PCC)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VS3) 각각의 제3 방향(D3)으로의 길이는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각각의 제3 방향(D3)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의 상면들(VS2t)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의 상면들(VS3t)은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의 상면들(VS1t)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의 상면들(VS2t)은 제1 개구(OP1)를 채우는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과 접촉할 수 있고,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의 상면들(VS3t)은 제2 개구(OP2)를 채우는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의 상면들(VS2t)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의 상면들(VS3t)은 제2 기판(70)의 하면 및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8a 및 도 8b에서부터 도 14a 및 도 14b까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1 기판(10) 상에 주변 회로 구조체(PS) 및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2 기판(7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1 개구(OP1) 및 제2 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 패턴(SP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는 셀 어레이 영역(CAR)의 제2 기판(7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1 개구(OP1)가 형성될 수 있고, 셀 어레이 콘택 영역(EXR)의 제2 기판(70)이 제거되어 제2 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들(OP1, OP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및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VS3) 각각의 하부가 제2 기판(70)의 공통 소스 영역(CSL) 및 소스 구조체(SC)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5,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개구(OP1) 내에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OP2) 내에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들(OP1, OP2) 이외의 제2 기판(7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부분(7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 및 제3 부분(75)은 제1 및 제2 개구들(OP1, OP2) 내에 제2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는 것 또는 제1 및 제2 개구들(OP1, OP2) 내에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의 진성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제2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5를 Ⅰ-Ⅰ' 선 및 Ⅱ-Ⅱ' 선으로 자른 단면들에 각각 대응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들로, 도 18a는 도 17a의 D 부분에 대응되며, 도 18b는 도 17b의 E 부분 또는 도 17a의 F 부분에 대응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2 기판(70)은 제1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71), 제2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2 부분(73) 및 제3 부분(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은 도 1의 공통 소스 라인(CSL) 또는 도 3 및 도 4의 공통 소스 라인(4205)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의 하면은 제1 층간 절연막들(ILDa) 중 최상부의 것의 상면(STb)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의 상면은 제5 절연막(8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분리 패턴(SP2)은 내부에 도전 콘택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분리 패턴(SP2) 내부의 도전 콘택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소거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게이트 유도 누설 전류(Gate Induce Drain Leakage, GIDL) 현상을 이용하여 소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의 상면들(VS1t)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각각의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제2 기판(70)의 제1 부분(7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의 상면들(VS2t)은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과 접촉할 수 있고,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의 상면들(VS3t)은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VS2) 각각의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제2 기판(70)의 제2 부분(73)과 접촉할 수 있고,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3) 각각의 수직 반도체 패턴(VSP)은 제2 기판(70)의 제3 부분(75)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VS1, VS2, VS3) 각각에서,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수직 반도체 패턴(VSP)의 측벽을 둘러쌀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수직 반도체 패턴(VSP)과 제2 기판(70) 사이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돌출부(DSPp)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패턴(DSP)의 돌출부(DSPp)로 둘러싸인 수직 반도체 패턴(VSP)의 일부분은 제2 기판(70)과 접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셀 어레이 영역 및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주변 회로 구조체;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 상의 적층 구조체,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제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부분;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2 부분; 및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 각각의 하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가로지르는 제1 분리 패턴 및 상기 셀 어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분리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분리 패턴은 상기 제2 부분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셀 어레이 구조체는 상기 셀 어레이 콘택 영역 상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3 부분과 접촉하는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층 구조체 상의 공통 소스 영역 및 상기 적층 구조체와 상기 공통 소스 영역 사이의 소스 도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도전 패턴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공통 소스 영역의 불순물 농도와 다르고,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 각각은 상기 적층 구조체의 측벽과 접촉하는 데이터 저장 패턴, 및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으로 둘러싸인 수직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도전 패턴은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공통 소스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은 상기 소스 도전 패턴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소스 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 및 상기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은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 및 상기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의 상면들은 상기 제2 기판의 하면 및 상기 적층 구조체의 상면과 공면을 이루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직 채널 구조체들 각각은 상기 적층 구조체의 측벽과 접촉하는 데이터 저장 패턴, 및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으로 둘러싸인 수직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의 상면은 상기 제2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주변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과 연결되는 제1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는 상기 제1 수직 채널 구조체들과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 상기 비트 라인들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도전 라인들, 및 상기 비트 라인들 또는 상기 도전 라인들과 연결되는 제2 본딩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상기 제2 본딩 패드들은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210044569A 2021-04-06 2021-04-06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38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9A KR20220138906A (ko) 2021-04-06 2021-04-06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7/529,462 US11887951B2 (en) 2021-04-06 2021-11-18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2210276622.1A CN115206984A (zh) 2021-04-06 2022-03-21 三维半导体存储器装置和包括其的电子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9A KR20220138906A (ko) 2021-04-06 2021-04-06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06A true KR20220138906A (ko) 2022-10-14

Family

ID=8345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69A KR20220138906A (ko) 2021-04-06 2021-04-06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7951B2 (ko)
KR (1) KR20220138906A (ko)
CN (1) CN1152069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5158A (ja) * 2020-08-20 2022-03-04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20125884A (ko) * 2021-03-05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88B1 (ko) 2008-06-1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8820B1 (ko) * 2015-08-07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KR102600997B1 (ko) * 2016-06-02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KR20180053918A (ko) 2016-11-14 2018-05-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1554A (ko) 2016-11-29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368932B1 (ko) 2017-06-0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308776B1 (ko) * 2017-08-24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33483B1 (ko) 2018-02-23 202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644525B1 (ko) 2018-11-07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소자
KR102546653B1 (ko) 2018-12-1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택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2661853B1 (ko) * 2018-12-14 202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1398451B2 (en) * 2019-03-01 2022-07-26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reusing substrates during manufacture of a bonded assembly including a logic die and a memory die
KR20220034273A (ko) * 2020-09-10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48530A (ko) * 2020-10-12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1676954B2 (en) * 2020-12-28 2023-06-13 Sandisk Technologies Llc Bonded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s with backside source power supply mesh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220114818A (ko) * 2021-02-09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N114175251B (zh) * 2021-02-22 2023-05-02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装置的接触部结构及其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0025A1 (en) 2022-10-06
US11887951B2 (en) 2024-01-30
CN115206984A (zh)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4273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4091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1887951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08043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same
KR20230164431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8376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1492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06990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10025031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874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EP4301109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EP4369882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023337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40016714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20220375888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084497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devices
US2023009430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142960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47934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45622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70305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62224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40490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99039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43791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