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767A -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767A
KR20230083767A KR1020210172070A KR20210172070A KR20230083767A KR 20230083767 A KR20230083767 A KR 20230083767A KR 1020210172070 A KR1020210172070 A KR 1020210172070A KR 20210172070 A KR20210172070 A KR 20210172070A KR 20230083767 A KR20230083767 A KR 2023008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tructures
substrate
stack structur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김준형
신지수
유병익
임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767A/ko
Priority to US18/054,730 priority patent/US20230180476A1/en
Priority to CN202211531855.8A priority patent/CN116322055A/zh
Publication of KR2023008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internal interconnections, e.g. cross-under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80/0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device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장치는, 기판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전극층들과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체;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라인부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 및 집적도가 보다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경우, 그 집적도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특히 증가된 집적도가 요구되고 있다.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장치의 경우, 그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패턴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초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2차원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는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적도와 신뢰성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전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판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전극층들과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체;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라인부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회로 구조체와 이 위에 배치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셀 어레이 영역과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의 소스 구조체; 상기 제 1 기판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1 전극층들과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스택 구조체;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2 전극층들과 제2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상기 연결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의 단부를 덮는 평탄 절연막;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 및 상기 소스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기판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수직 반도체 패턴들; 상기 수직 패턴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비트라인 패드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 및 상기 소스 구조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절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1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2 변곡점을 가진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주변 회로 구조체와 이 위에 배치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는: 기판층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전극층들과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체;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층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라인부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상기 입출력 패드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반도체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서는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을 배치시키고 이를 소스 구조체(SCL)와 연결되는 소스 콘택들로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장치의 휨(warpage) 문제를 방지/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CSL 노이즈 발생을 방지/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평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고집적화에 유리하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평 크기가 작아지기에 한장의 웨이퍼로 제조할 수 있는 칩의 개수인 net die가 증가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P1’ 부분을 확대한 세부 평면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C-C’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의 ‘P1’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5a의 ‘P3’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도 5b의 ‘P4’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18a는 도 5a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b 내지 18b는 도 5b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22는 도 21a 또는 도 21b의 D-D’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P5’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를 E-E’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5를 F-F’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P1’ 부분을 확대한 세부 평면도들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1을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1을 C-C’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반도체 장치(1100) 및 반도체 장치(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1100)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storage device) 또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1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1100)를 포함하는 SSD 장치(solid state drive devi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퓨팅 시스템, 의료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11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AND 플래쉬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1100)는 제1 구조물(1100F) 및 제1 구조물(1100F) 상의 제2 구조물(1100S)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구조물(1100F)은 제2 구조물(1100S)의 옆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구조물(1100F)은 디코더 회로(1110), 페이지 버퍼 회로(1120), 및 로직 회로(1130)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1100S)은 비트 라인(BL), 공통 소스 라인(CSL), 워드 라인들(WL), 제1 및 제2 게이트 상부 라인들(UL1, UL2), 제1 및 제2 게이트 하부 라인들(LL1, LL2), 및 비트 라인(BL)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의 메모리 셀 스트링들(CSTR)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1100S)에서, 각각의 메모리 셀 스트링들(CSTR)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인접하는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 비트 라인(BL)에 인접하는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 및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과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개수와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개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하부 라인들(LL1, LL2)은 각각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워드 라인들(WL)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의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고, 게이트 상부 라인들(UL1, UL2)은 각각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직렬 연결된 하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L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직렬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UT1) 및 상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상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 중 적어도 하나는 게이트 유도 누설 전류(Gate Induce Drain Leakage, GIDL) 현상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소거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 제1 및 제2 게이트 하부 라인들(LL1, LL2), 워드라인들(WL),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상부 라인들(UL1, UL2)은,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제1 연결 배선들(1115)을 통해 디코더 회로(1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제2 연결 배선들(1125)을 통해 페이지 버퍼 회로(1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100F)에서,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 회로(1120)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 회로(1120)는 로직 회로(1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100)는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1101)를 통해, 컨트롤러(1200)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1101)는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입출력 연결 배선(1135)을 통해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1211), NAND 컨트롤러(122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시스템(1000)은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1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러(1200)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1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1)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한 전자 시스템(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1)는 소정의 펌웨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NAND 컨트롤러(1220)를 제어하여 반도체 장치(1100)에 억세스할 수 있다. NAND 컨트롤러(1220)는 반도체 장치(11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NAND 인터페이스(1221)를 포함할 수 있다. NAND 인터페이스(1221)를 통해, 반도체 장치(1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반도체 장치(1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 반도체 장치(1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로부터 읽어오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는 전자 시스템(10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211)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2000)은 메인 기판(2001)과, 메인 기판(2001)에 실장되는 컨트롤러(2002), 하나 이상의 반도체 패키지(2003), 및 DRAM(2004)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 및 DRAM(2004)은 메인 기판(2001)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들(2005)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기판(2001)은 외부 호스트와 결합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200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6)에서 상기 복수의 핀들의 개수와 배치는, 전자 시스템(2000)과 상기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자 시스템(2000)은 USB(Universal Serial Bus), PCI-Express(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UFS(Universal Flash Storage)용 M-Phy 등의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외부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자 시스템(2000)은 커넥터(2006)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은 상기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컨트롤러(2002) 및 반도체 패키지(2003)에 분배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반도체 패키지(200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으며, 전자 시스템(2000)의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DRAM(2004)은 데이터 저장 공간인 반도체 패키지(2003)와 외부 호스트의 속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포함되는 DRAM(2004)은 일종의 캐시 메모리로도 동작할 수 있으며, 반도체 패키지(2003)에 대한 제어 동작에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DRAM(2004)이 포함되는 경우,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를 제어하기 위한 NAND 컨트롤러 외에 DRAM(2004)을 제어하기 위한 DRAM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은 각각 복수의 반도체 칩들(2200)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 각각은, 패키지 기판(2100), 패키지 기판(2100) 상의 반도체 칩들(2200),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접착층들(2300), 반도체 칩들(2200)과 패키지 기판(2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구조물(2400), 및 패키지 기판(2100) 상에서 반도체 칩들(2200) 및 연결 구조물(2400)을 덮는 몰딩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을 포함하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칩(2200)은 입출력 패드(22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2210)는 도 1a의 입출력 패드(1101)에 해당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게이트 적층 구조체들(3210) 및 수직 구조체들(3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연결 구조물(2400)은 입출력 패드(2210)와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에서, 반도체 칩들(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패키지 기판(2100)의 패키지 상부 패드들(2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3a, 2003b)에서, 반도체 칩들(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의 연결 구조물(2400) 대신에, 관통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은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기판(2001)과 다른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에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이 실장되고, 상기 인터포저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반도체 칩들(2200)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c 및 도 1d는 각각 도 1b의 반도체 패키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1b의 반도체 패키지를 절단선 I-I'를 따라 절단한 영역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c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003)에서, 패키지 기판(2100)은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패키지 상부 패드들(도 1b의 2130),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의 하면에 배치되거나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하부 패드들(2125), 및 패키지 기판 바디부(2120) 내부에서 상부 패드들(2130)과 하부 패드들(21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배선들(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드들(2130)은 연결 구조물들(2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패드들(2125)은 도전성 연결부들(2800)을 통해 도 1b와 같이 전자 시스템(2000)의 메인 기판(2010)의 배선 패턴들(2005)에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반도체 기판(3010) 및 반도체 기판(3010)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제1 구조물(3100) 및 제2 구조물(3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은 주변 배선들(3110)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물(3200)은 소스 구조체(3205), 소스 구조체(3205) 상의 적층 구조체(3210), 적층 구조체(3210)을 관통하는 수직 구조체들(3220)과 분리 구조체들(3230), 수직 구조체들(3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3240), 및 적층 구조체(3210)의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셀 콘택 플러그들(3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제2 구조물(3200)/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후속에서 설명되는 분리 구조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제1 구조물(3100)의 주변 배선들(3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구조물(3200) 내로 연장되는 관통 배선(3245)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배선(3245)은 적층 구조체(3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체(3210)을 관통하도록 더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 각각은, 제1 구조물(3100)의 주변 배선들(3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도 1b의 2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003A)에서, 반도체 칩들(2200a) 각각은 반도체 기판(4010), 반도체 기판(4010) 상의 제1 구조물(4100), 및 제1 구조물(4100) 상에서 웨이퍼 본딩 방식으로 제1 구조물(4100)과 접합된 제2 구조물(4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은 주변 배선(4110) 및 제1 접합 구조물들(4150)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물(4200)은 소스 구조체(4205), 소스 구조체(4205)과 제1 구조물(4100) 사이의 적층 구조체(4210), 적층 구조체(4210)을 관통하는 수직 구조체들(4220)과 분리 구조체(4230), 및 수직 구조체들(4220) 및 적층 구조체(4210)의 워드 라인들(도 1a의 WL)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합 구조물들(4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합 구조물들(4250)은, 수직 구조체들(4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4240) 및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셀 콘택 플러그들(4235)을 통하여, 각각 수직 구조체들(4220) 및 워드 라인들(도 1의 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의 제1 접합 구조물들(4150) 및 제2 구조물(4200)의 제2 접합 구조물들(4250)은 서로 접촉하면서 접합될 수 있다. 제1 접합 구조물들(4150) 및 제2 접합 구조물들(4250)의 접합되는 부분들은 예를 들어,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제2 구조물(4200)/반도체 칩들(2200a)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소스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들(2200a) 각각은 제1 구조물(4100)의 주변 배선들(4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도 1b의 2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c의 반도체 칩들(2200) 및 도 1d의 반도체 칩들(2200a)은 본딩 와이어 형태의 연결 구조물들(24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1c의 반도체 칩들(2200) 및 도 1d의 반도체 칩들(2200a)과 같은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 내에서의 반도체 칩들은 관통 비아(TSV)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c의 제 1 구조물(3100) 및 도 1d의 제 1 구조물(4100)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1c의 제 2 구조물(3200) 및 도1d의 제 2 구조물(4200)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셀 어레이 구조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P1' 부분을 확대한 세부 평면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C-C'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3, 4a, 4b, 5a 및 5b를 참조하면, 주변 회로 구조체(PS)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배치된다. 셀 어레이 구조체(CS)는 제 2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블록들(BL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들(BLK)의 대부분은 데이터의 프로그램/읽기/소거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록들(BLK) 중 일부는 데이터의 프로그램/읽기/소거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더미 블록일 수 있다. 블록들(BLK)은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에 의해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블록들(BLK) 중에 하나의 블록(BLK)을 도시한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SL1)은 상기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SL1)은 제 1 그루브(G1)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SL1)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다공성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록들(BLK)은 각각 셀 어레이 영역(CAR)과 이의 양단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CNR)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BLK)은 이의 중심을 지나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에 의해 두 개의 서브 블록들(SBLK)로 나뉠 수 있다.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은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는 끊어지지 않으며 연결 영역(CNR)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은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끊어져 두 개로 나뉠 수 있다.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은 제2 그루브(G2)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S)는 제 1 기판(10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3)은 실리콘 단결정 기판 또는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3)에는 소자분리막(105)이 배치되어 활성 영역들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들 상에는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각각 주변 게이트 전극, 주변 게이트 절연막 및 이의 양 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기판(103) 내에 배치되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주변 층간절연막(107)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주변 층간절연막(107)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다공성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층간 절연막(107) 내에는 주변 배선들(109)과 주변 콘택들(3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배선들(109)과 주변 콘택들(33)은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배선들(109)과 주변 콘택들(33)의 일부는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PTR)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변 배선들(109)와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도 1a의 페이지 버퍼 회로(1120)와 디코더 회로(11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는 상단에 배치되는 도전 패드들(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 상에는 식각 저지막(111)이 배치된다. 상기 식각 저지막(111)은 제 2 기판(201) 및 주변 층간절연막(107)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각 저지막(111)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저지막(111)은 '접착막'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CS)에 속하는 각각의 블록(BLK)은 차례로 적층된 제 2 기판(201), 소스 구조체(SCL),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 및 제 1 내지 제 4 상부 절연막들(205, 207, 208, 20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는 교대로 적층된 제1전극층들(EL1) 및 제1전극 층간절연막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는 교대로 적층된 제2전극층들(EL2) 및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그리고 최상층에 위치하는 최상위 제2 전극 층간절연막(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판(201)은 예를 들면 실리콘 단결정층, 실리콘 에피택시얼층 또는 SOI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1)에는 예를 들면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은 예를 들면 P형의 붕소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은 N형의 비소나 인일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들(EL1)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과 그 위에 위치하는 것은 도 1a의 게이트 하부 라인들(LL1, LL2)에 해당될 수 있으며,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 즉 하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LT2)의 게이트 전극들에 해당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블록(SBLK)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층의 제2전극층(EL2)은 소스 그루브(CG)에 의해 복수의 라인들로 분리되어 상기 게이트 상부 라인들(UL1, UL2)을 구성할 수 있다. 제2전극층들(EL2) 중에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것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것은 각각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 즉 상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UT1)의 게이트 전극들에 해당될 수 있다. 그 외의 전극층들(EL1, EL2)은 도 1a의 워드라인들(WL)에 해당할 수 있다. 그 외의 전극층들(EL1, EL2) 중 적어도 하나는 실제 동작하지 않는 더미 워드라인들일 수 있다.
상기 전극층들(EL1, EL2)은 예를 들어, 도핑된 반도체(ex, 도핑된 실리콘 등), 금속(ex,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등), 도전성 금속질화물 (ex, 질화티타늄, 질화탄탈늄 등) 또는 전이금속(ex, 티타늄, 탄탈늄 등)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산화질화막, 다공성 절연막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조체(SCL)은 최하층에 위치하는 전극 층간절연막(12)과 제 2 기판(201)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소스 패턴(SC1), 그리고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과 상기 제 2 기판(201)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소스 패턴(S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을, 예를 들면,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을, 예를 들면,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과 다른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에 도핑된 불순물의 도전형은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에 도핑된 불순물의 도전형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소스 구조체(SCL)은 도 1a의 공통 소스 라인(CSL)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201)도 도 1a의 공통 소스 라인(CSL)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a의 'P1'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5a의 'P3'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도 5b의 'P4'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a, 4b, 5a, 5b, 6a, 6b, 6c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서브 블록들(SBLK)의 상기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상기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과 상기 전극층들(EL1, EL2)은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및 수직 도전 패턴들(CSPG)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은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은 도 4b처럼 하나의 서브 블록(SBLK)의 중심에서 제 1 방향(D1)을 따라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는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으로 덮인다. 상기 소스 그루브(CG)는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의 상부와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 내에 형성된다.
제 1 방향(D1)으로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상부들 사이에 상기 소스 그루브(CG)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 상부면은 도전 라인부(CSLP)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 라인부(CSLP)는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 상부면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방향(D1)으로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 상부 측벽은 도전 연결부(CSLC)와 접할 수 있다. 도전 연결부(CSLC)는 도전 라인부(CSLP)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은 더미 수직홀(DVH)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 연결부(CSLC)와 상기 도전 라인부(CSLP)는 상기 소스 그루브(CG)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의 상부면의 폭(W1)은 상기 도전 라인부(CSLP)의 폭(W2)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의 상부면의 폭(W1)은 도전 연결부(CSLC)의 폭(W3)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 상기 도전 라인부(CSLP) 및 도전 연결부(CSLC)는 서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 상기 도전 라인부(CSLP) 및 도전 연결부(CSLC) 사이에는 경계면이 없을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 상기 도전 라인부(CSLP) 및 도전 연결부(CSLC)은 도 7의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CSCS)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 상기 도전 라인부(CSLP) 및 도전 연결부(CSLC)는 각각 금속 패턴부(MP)와 상기 금속 패턴부(MP)의 표면(측면과 바닥면)을 덮는 확산 방지막(B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부(MP)는 예를 들면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고, 확산 방지막(BM)은 티타늄, 및/또는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처럼, 도전 연결부(CSLC)는 측벽으로부터 옆으로 돌출된 돌출부들(PP)을 가질 수 있다. 도전 연결부(CSLC)의 측면은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측벽은 분리 절연막(IN)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분리 절연막(IN)은 연장되어 상기 도전 연결부(CSLC)와 상기 도전 라인부(CSLP)의 측벽들을 덮는다. 분리 절연막(IN)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게이트 절연막(GO)은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의 측벽을 감쌀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 절연막(IN)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2 두께(T2)는 바람직하게는 20nm~50nm일 수 있다.
상기 전극층들(EL1, EL2)과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GO)이 개재될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은 각각 속이 빈 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은 예를 들면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실리콘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의 측벽들은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 사이에 인접하여 제1 변곡점(IFP1)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측벽들은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 사이에 인접하여 제2 변곡점(IFP2)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내부는 매립 절연 패턴(29)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매립 절연 패턴(29)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상에는 각각 비트라인 패드(BP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패드(BPD)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텅스텐, 알루미늄 및 구리와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처럼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의 하부 측벽들과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분리 절연막(IN)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하부 측벽들과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확산 방지막(BM)과 접한다. 이로써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금속 패턴부(MP)을 구성하는 금속이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을 구성하는 실리콘막 안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의 하부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의 상단은 제1 레벨(LV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하부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의 상단은 제1 레벨(LV1)과 다른 제2 레벨(LV2)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레벨(LV2)은 제1 레벨(LV1)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의 하부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의 하단은 제3 레벨(LV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의 하부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의 하단은 제3 레벨(LV3)과 다른 제4 레벨(LV4)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 레벨(LV4)은 제3 레벨(LV3) 보다 낮을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은 터널 절연막(TL), 전하 저장막(SN) 및 블로킹 절연막(BC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SN)은 트랩 절연막, 부유 게이트 전극 또는 도전성 나노 도트들(conductive nano dots)을 포함하는 절연막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하 저장막(SN)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실리콘-풍부 질화막(Si-rich nitride), 나노크리스탈 실리콘(nanocrystalline Si) 및 박층화된 트랩막(laminated trap layer)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막(TL)은 전하 저장막(SN)보다 큰 밴드 갭을 갖는 물질들 중의 한가지일 수 있으며, 블로킹 절연막(BCL)은 알루미늄 산화막 및 하프늄 산화막 등과 같은 고유전막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은 고유전막(H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HL)은 상기 블로킹 절연막(BCL)과 상기 전극층들(EL1, EL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HL)은 상기 전극층들(EL1, EL2)과 상기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HL)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막으로써 예를 들면 하프늄 산화막, 알루미늄 산화막과 같은 금속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두께(T1)는 상기 고유전막(HL)을 제외한, 터널 절연막(TL), 전하 저장막(SN) 및 블로킹 절연막(BCL)의 두께들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들(VS)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하부는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상부와 분리되어 잔여 게이트 절연막(GOr)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상기 분리 절연막(IN)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도전 패턴들(CSPG)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기 분리 절연막(IN)의 하부는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에 의해 상기 분리 절연막(IN)의 상부와 분리되어 잔여 분리 절연막(INr)이 될 수 있다.
다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 상에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과 상기 제 2 분리 절연 라인들(SL2)은 각각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 제 1 상부 층간 절연막(205)과 상기 서브 스택 구조체들(ST1, ST2)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과 상기 제 2 분리 절연 라인들(SL2)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과 상기 제 2 분리 절연 라인들(SL2)은 상기 소스 구조체(SCL)의 제1 소스 패턴(SC1)을 관통하여 제 2 소스 패턴(SC2)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과 상기 제 2 분리 절연 라인들(SL2)의 하부면들의 레벨들은 서로 같을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분리 절연 라인들(SL1)과 상기 제 2 분리 절연 라인들(SL2)은 상기 소스 구조체(SCL)의 제1 소스 패턴(SC1) 및 제 2 소스 패턴(SC2) 모두를 관통하여 제 2 기판(201)과 접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 상에는 제 3 상부 층간 절연막(20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상부 층간 절연막(208) 상에는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제 1 도전 라인들(BL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라인들(BLL)은 도 1a의 비트라인들(BL)에 대응될 수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R) 상에서 제 1 콘택들(CT1)이 제 1 내지 제 3 상부 층간절연막들(205, 207, 208)을 관통하여 수직 반도체 패턴들(VS) 상에 배치되는 비트라인 패드들(BPD)과 제 1 도전 라인들(BLL) 중 하나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콘택(CT2)은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라인부(CSLP)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 상에 제2 도전 라인(CSLL)이 배치되며, 제2 콘택(CT2)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 라인(CSLL)은 도 4a처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들(BLK)에 각각 속하는 서브 스택 구조체들(ST1, ST2)는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층들(EL1, EL2) 및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은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에 가까울수록, 상기 전극층들(EL1, EL2) 및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이 제 1 방향(D1)으로 길어지고,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의 단부는 제1 평탄 절연막(210)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의 단부는 제2평탄 절연막(220)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평탄 절연막들(210, 22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다공성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평탄 절연막들(210, 220) 상에 제 1 내지 제3 상부 층간 절연막들(205, 207, 208)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들(EL1, EL2)의 단부들은 셀 콘택 플러그들(CC)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셀 콘택 플러그들(CC)은 제 1 내지 제3 상부 층간 절연막들(205, 207, 208) 및 상기 전극 층간 절연막들(12, 22, 24)을 관통하여 상기 전극층들(EL1, EL2)과 각각 접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평탄 절연막들(210, 220)과 상기 계단 형태를 이루는 전극층들(EL1, EL2) 및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의 단부는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는 평면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의 단면은 도 5a의 수직 반도체 패턴(VS)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의 내부도 매립 절연 패턴(29)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과 상기 전극층들(EL1, EL2)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GO)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 상에도 비트라인 패드(BPD)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들(EDVS)은 제1 도전 라인(BLL)과 연결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상부 층간 절연막(208) 상에는 전극 연결 배선(C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에지 관통 비아(ETHV)가 상기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205, 207), 상기 평탄 절연막들(210, 220), 상기 제 2 기판(201), 및 식각 저지막(111)을 관통하여 각각 주변 도전 패드(30b)과 접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에지 관통 비아들(ETHV)은 서브 스택 구조체들(ST1, ST2)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에지 관통 비아들(ETHV)은 상기 제 2 상부 층간 절연막(207) 내에 배치되는 제 3 콘택들(CT3)에 의해 상기 전극 연결 배선(CL)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극층들(EL1, EL2)은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예를 들면 디코더 회로(도 1a의 1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지 관통 비아(ETHV)와 상기 평탄 절연막들(210, 220) 사이, 그리고 상기 에지 관통 비아(ETHV)과 상기 식각 저지막(111) 사이에는 비아 절연 패턴(SP2)이 개재될 수 있다.
에지 관통 비아들(ETHV)은 각각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탄탈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 패턴(SP2)은 각각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지 관통 비아들(ETHV)과 이격된 곳에 상기 제 2 기판(201) 내에는 기판 접지 영역(W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접지 영역(WR)에는 상기 제 2 기판(201) 내에 도핑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되되 상기 제 2 기판(201)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연결 영역(CNR)에서 기판 콘택 플러그(WC)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205, 207) 및 상기 평탄 절연막들(210, 220)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접지 영역(WR)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연결 배선들(CL)은 제4 상부 층간절연막(209)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4 상부 층간절연막(209) 상에는 외부 단자(CP)가 배치될 수 있다. 제 4 콘택(CT4)은 상기 제4 및 제3 상부 층간절연막들(209, 208)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단자(CP)와 상기 기판 콘택 플러그(WC)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 콘택 플러그(WC)의 측벽은 콘택 절연 패턴(SP3)으로 덮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은 '소스 콘택들'로도 명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을 배치시키고 이를 소스 구조체(SCL)와 연결되는 소스 콘택들로 이용할 수 있다. '워드라인 컷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 안에는 소스 콘택 라인들이나 소스 콘택들이 배치되지 않고 오로지 절연막인 분리 절연 라인들(SL1, SL2)로 채워진다.
이로써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소스 구조체(SCL)와 연결시키기 위한 소스 콘택들의 절대적인 부피/양이 작아질 수 있다. 소스 콘택들을 구성하는 텅스텐과 같은 금속의 절대적인 양이 많아질수록, 실리콘 기판과 텅스텐 간의 열팽창률 차이에 다른 휨(warpage) 문제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소스 콘택들의 절대적인 부피/양이 작아지기에, 소스 콘택들을 구성하는 텅스텐과 같은 금속의 절대적인 양도 작아져, 휨(warpage) 문제를 방지/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이 배치되며, 더미 수직홀들(DVH)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소스 구조체(SCL)에 소스 전압을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CSL 노이즈 발생을 방지/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 영역(CAR)에서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이 배치되며, 별도의 소스 콘택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평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고집적화에 유리하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평 크기가 작아지기에 한장의 웨이퍼로 제조할 수 있는 칩의 개수인 net die가 증가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18a는 도 5a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b 내지 18b는 도 5b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주변 회로 구조체(PS)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제 1 기판(103)에 소자분리막(105)를 형성하여 활성 영역들을 한정한다. 상기 활성 영역들에 트랜지스터들(PT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들(PTR)을 덮는 다층의 주변 층간절연막(107)과 상기 주변 층간절연막(107) 내에 주변 콘택들(33) 및 주변 배선들(109)을 형성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상단에 도 3의 주변 도전 패드들(30b)을 형성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PS)의 전면 상에 식각 저지막(111)을 차례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식각 저지막(111) 상에 제 2 기판(201)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기판(201)은 반도체 에피택시얼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반도체 단결정 기판을 상기 식각 저지막(111) 상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1)은 반도체 층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1)은 예를 들면 제 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1)에 도 3의 기판 접지 영역(W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접지 영역(WR)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제 2 기판(201)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어레이 영역(CAR), 및 연결 영역(CN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1) 상에 제 1 버퍼층(16), 제 1 희생막(17), 제 2 버퍼층(18), 제 1 소스 패턴(SC1)을 차례로 적층한다.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 상에 제1전극 층간절연막들(12)과 제 2 희생막들(14)을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하여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층들(16, 18) 그리고 상기 전극 층간절연막들(12)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막(17)은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층들(16, 18), 상기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12),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 및 상기 제 2 희생막들(14)과 동시에 식각 선택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희생막들(14)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막(17)은 실리콘 게르마늄막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희생막(17)은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와 다른 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트리밍 공정과 이방성 식각 공정을 반복 진행하여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상기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12)과 제 2 희생막들(14)의 단부들을 계단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제 1 버퍼층(16), 제 1 희생막(17), 제 2 버퍼층(18), 제 1 소스 패턴(SC1)도 일부 식각되어 상기 제 2 기판(201)의 상부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평탄 절연막(210)을 형성하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의 단부들을 덮는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CAR)과 상기 더미 영역(DR)에서 상기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 제 1 소스 패턴(SC1), 제 2 버퍼층(18), 제 1 희생막(17), 제 1 버퍼층(16) 및 상기 제2 기판(201)의 일부를 식각하여 복수개의 하부 홀들(BH)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홀들(BH)을 하부 희생 매립 패턴들(BGP)로 각각 채운다. 상기 희생 매립 패턴(BGP)은 상기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12)과 제 2 희생막들(14),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 제 2 버퍼층(18), 제 1 희생막(17), 제 1 버퍼층(16) 및 상기 제2 기판(201)과 동시에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희생 매립 패턴(BGP)은 SOH(Spin on Hardmask),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iG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와 상기 제1 평탄 절연막(210) 상에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24)과 제 3 희생막들(26)을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하여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를 형성한다. 상기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24)은 상기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1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희생막들(26)은 상기 제2 희생막들(14)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트리밍 공정과 이방성 식각 공정을 반복 진행하여 상기 연결 영역(CNR)에서 상기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24)과 제 3 희생막들(26)의 단부들을 계단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제2 평탄 절연막(220)을 형성하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의 단부들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셀 어레이 영역(CAR)과 상기 더미 영역(DR)에서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를 식각하여 희생 매립 패턴들(BGP)을 각각 노출시키는 상부 홀들(UH)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홀들(UH)을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으로 채운다. 상기 상부 희생 매립 패턴(BGP)은 SOH(Spin on Hardmask),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iGe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중첩되는 상기 상부 홀들(UH)과 상기 하부 홀들(BH)은 수직홀들(VH)과 더미 수직홀들(DVH)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b처럼 더미 수직홀들(DVH)은 상기 수직홀들(VH)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 상에 제1 마스크 패턴(MK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도 4b의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을 모두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수직홀들(VH)을 덮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 및 하부 희생 매립 패턴(BGP)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수직홀들(VH) 안의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 및 하부 희생 매립 패턴(BGP)을 제거하고 수직홀들(VH)의 내부 표면을 노출시킨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홀들(VH) 안에 게이트 절연막(GO)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O) 상에 수직 반도체 패턴(VS)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홀들(VH) 내부를 매립 절연 패턴(29)으로 채운다. 수직 반도체 패턴(VS)의 상부를 일부 제거하고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막으로 채워 비트라인 패드들(BP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패드들(BPD)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이 제거되어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 안의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 상에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을 적층한다.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 상에 제2 마스크 패턴(MK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K1)은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OP1)는 도 4a의 소스 그루브(CG)의 위치를 정의하며,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과 중첩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마스크 패턴(MK2)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 안의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의 상부, 그리고 및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의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24)과 제 3 희생막들(26)을 식각하여 소스 그루브(CG)를 형성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2 마스크 패턴(MK2)을 제거한다. 소스 그루브(CG)를 통해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 안의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과 하부 희생 매립 패턴(BGP)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의 내부 표면을 노출시킨다. 이때, 도 13b의 단면에서 소스 그루브(CG) 내측벽에 노출된 제 3 희생막들(26)이 일부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소스 그루브(CG) 내측벽은 요철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소스 그루브(CG)와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분리 절연막(IN)을 콘포말하게 형성하고 도전막으로 채우고 에치백 공정 또는 CMP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분리 절연막(IN), 도전 라인부(CSLP), 도전 연결부(CSLC) 및 수직 도전 패턴들(CSPG)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205) 상에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을 형성한다. 제2 상부 층간절연막(207), 상기 제 1 상부 층간절연막(205),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 상기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 및 상기 제 2 버퍼층(18)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 1 희생막(17)을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의 내측벽에 보호 스페이서(PSL)를 형성할 수 있다. 보호 스페이서(PSL)는 상기 제2 예비 스택 구조체(PST2)과 상기 제1 예비 스택 구조체(PST1)의 측벽을 덮을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을 통해 상기 제 2 버퍼층(18), 상기 제 1 희생막(17) 및 상기 제 1 버퍼층(16)을 제거하여 제 1 빈 공간(ER1)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 스페이서(PSL)는 상기 제 2 버퍼층(18), 상기 제 1 희생막(17) 및 상기 제 1 버퍼층(16)을 제거할 때, 상기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12)과 제 2 희생막들(14)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층간절연막들(22, 24)과 제 3 희생막들(26)이 제거되지 않게 보호한다. 제 1 빈 공간(ER1)을 형성할 때,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VS)의 측벽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분리 절연막(IN)의 일부가 제거되어 수직 도전 패턴(CSPG)의 측벽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구조와 물질이 상기 분리 절연막(IN)과 다르기 때문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GO)의 식각률은 상기 분리 절연막(IN)의 식각률과 다를 수 있다. 이로써 도 6a처럼 레벨들(LV1~LV4)의 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빈 공간(ER1)을 형성할 때, 상기 수직 반도체 패턴(VS), 상기 수직 도전 패턴(CSPG) 및 도 3의 상기 에지 더미 수직 패턴(EDVS)은 예비 셀 어레이 구조체(PCS)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제 2 소스막을 콘포말하게 적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을 통해 상기 제 1 빈 공간(ER1)을 채우고, 이방성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 내의 제 2 소스막을 제거하고 상기 상기 제 1 빈 공간(ER1) 안에 제 2 소스막을 남겨 제 2 소스 패턴(SC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1 소스 패턴(SC1)과 상기 제 2 소스 패턴(SC2)은 소스 구조체(SCL)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스페이서(PSL)는 제거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을 통해 상기 제 2 희생막들(14) 및 상기 제3 희생막들(26)을 제거해서 상기 전극 층간절연막들(12, 22, 24) 사이에 제 2 빈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막을 콘포말하게 적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을 통해 상기 제 2 빈공간들을 채운다. 그리고 이방성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 안의 제1 도전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빈공간들 안에 전극층들(EL1, EL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와 제2 서브 스택 구조체(ST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막을 적층하기 전에 도 6a의 고유전막(HL)을 콘포말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절연막을 콘포말하게 적층하고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들(G1, G2)을 채우는 제1 및 제2 분리 절연 라인들(SL1, SL2)을 형성한다. 후속으로 통상의 과정을 진행하여 도 2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분리 절연 라인들(SL1, SL2)의 하부면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의 하부면은 제1 분리 절연 라인(SL1)의 하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분리 절연 라인(SL2)의 하부면은 제1 소스 패턴(SC1)과 접할 수 있으며 제2 소스 패턴(SC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분리 절연 라인(SL1)의 하부면 제2 소스 패턴(SC2)과 접할 수 있다. 제2 분리 절연 라인(SL2) 아래에서 제1 소스 패턴(SC1)의 일부는 제2 소스 패턴(SC2)을 관통하여 제2 기판(201)과 접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8a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패턴(SC1)의 일부는 제 2 버퍼층(18), 제 1 희생막(17) 및 제 1 버퍼층(16)를 관통하여 제 2 기판(201)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5a의 단계에서 제2 그루브(G2)의 깊이가 제1 그루브(G1) 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a의 단계에서 상기 제 2 버퍼층(18), 상기 제 1 희생막(17) 및 상기 제 1 버퍼층(16)을 제거하여 제 1 빈 공간(ER1)을 형성할 때, 상기 제1 소스 패턴(SC1)의 일부는 예비 셀 어레이 구조체(PCS)가 쓰러지지 않도록 예비 셀 어레이 구조체(PCS)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외의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22는 도 21a 또는 도 21b의 D-D'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P5'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a 또는 도 21b의 B-B'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는 도 5a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1a 또는 도 21b의 C-C'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는 도 5b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1a, 도 21b, 22 및 23을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 블록(SBLK)에서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하는 수직 도전 패턴들(CSPG)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가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은 더미 수직홀들(DVH) 안에 배치된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은 수직 반도체 패턴들(VS)과 동일하게, 속이 빈 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과 서브 스택 구조체들(ST1, ST2) 사이에 더미 게이트 절연막(DGO)이 개재될 수 있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 내부는 매립 절연 패턴(29)으로 채워질 수 있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들(CDVS) 상에는 더미 비트라인 패드(DBLP)가 배치될 수 있다. 도전 연결부(CSLC)는 더미 비트라인 패드(DBLP),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CDVS), 매립 절연 패턴(29)을 제1 방향(D1)으로 관통할 수 있다. 도전 연결부(CSLC)와 더미 비트라인 패드(DBLP) 사이, 도전 연결부(CSLC)와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CDVS) 사이 그리고 도전 연결부(CSLC)와 매립 절연 패턴(29) 사이에는 분리 절연막(IN)이 개재될 수 있다.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CDVS) 안에서 도전 연결부(CSLC)의 측벽은 요철구조를 가지지 않고 수직하게 또는 비스듬하게 평탄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8a의 단계에 있어서, 제1 마스크 패턴(MK1)은 라인 형태가 아닌 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크 패턴(MK1)은 더미 수직홀들(DVH) 중 일부를 덮되 다른 일부를 덮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마스크 패턴(MK1)으로 덮이지 않은 더미 수직홀들(DVH) 안의 상부 희생 매립 패턴(UGP)와 하부 희생 매립 패턴(BGP)은 도 9a의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의 단계에서 수직 반도체 패턴(VS), 게이트 절연막(GO), 매립 절연 패턴(29) 및 비트라인 패드(BPD)를 형성할 때, 도 24처럼, 제1 마스크 패턴(MK1)으로 덮이지 않은 더미 수직홀(DVH) 안에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CDVS), 더미 게이트 절연막(DGO), 매립 절연 패턴(29) 및 더미 비트라인 패드(DBPD)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2a의 단계에서 소스 그루브(CG)를 형성할 때, 도 24처럼 중앙 더미 수직 반도체 패턴(CDVS) 안에도 소스 그루브(CG)가 형성된다. 후속 공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를 E-E'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 블록(SBLK)에서 수직홀들(VH)과 더미 수직홀들(DVH)의 배치는 도 4b와 다를 수 있다. 더미 수직홀들(DVH)은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제 1 방향(D1)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도전 패턴들(CSPG)도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제 1 방향(D1)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도전 라인부들(CSLP)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5를 F-F'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더미 수직홀들(DVH)은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제 1 방향(D1)을 따라 3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도전 패턴들(CSPG)도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제 1 방향(D1)을 따라 3열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블록(SBLK) 내에서 서로 이격된 세 개의 도전 라인부들(CSLP)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를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 기판(201) 상에 소스층(202)이 배치된다. 소스층(202)에는 도 5a의 소스 구조체(SCL)과 같이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소스층(202) 상에 버퍼막(203)이 배치된다. 버퍼막(203) 상에 제1 서브 스택 구조체(ST1)가 배치된다. 수직 반도체 패턴(VS)은 제1 전극층들(EL1)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관통하지 않는다. 수직 반도체 패턴(VS)과 소스층(202) 사이에는 반도체 에피 패턴(SEP)이 개재된다. 반도체 에피 패턴(SEP)은 예를 들면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실리콘 에피택시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에피 패턴(SEP)은 제1 전극층들(EL1)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관통한다. 제1 전극층들(EL1)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과 반도체 에피 패턴(SEP) 사이에는 하부 게이트 절연막(GI)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절연막(GI)은 열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O)은 수직 반도체 패턴(VS)의 하부면과 반도체 에피 패턴(SEP)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반도체 패턴(VS)의 일부는 게이트 절연막(GO)을 관통하여 반도체 에피 패턴(SEP)과 접할 수 있다. 수직 도전 패턴(CSPG)과 분리 절연막(IN)은 제1 전극층들(EL1)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관통하여 소스층(20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400)는 C2C(chip to chip) 구조일 수 있다. C2C 구조는 제1 웨이퍼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을 포함하는 상부 칩을 제작하고, 제1 웨이퍼와 다른 제2 웨이퍼 상에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을 포함하는 하부 칩을 제작한 후, 상기 상부 칩과 상기 하부 칩을 본딩(bonding)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딩 방식은 상부 칩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본딩 메탈과 하부 칩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본딩 메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딩 메탈이 구리(Cu)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본딩 방식은 Cu-to-Cu 본딩 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본딩 메탈은 알루미늄(Al) 혹은 텅스텐(W)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400)의 주변 회로 구조체(PERI)과 셀 어레이 구조체(CELL) 각각은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 및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은 제1 기판(1210), 층간 절연층(1215), 제1 기판(1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1220a, 1220b, 1220c), 복수의 회로 소자들(1220a, 1220b, 1220c)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메탈층(1230a, 1230b, 1230c), 제1 메탈층(1230a, 1230b, 1230c) 상에 형성되는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탈층(1230a, 1230b, 1230c)은 상대적으로 전기적 비저항이 높은 텅스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은 상대적으로 전기적 비저항이 낮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메탈층(1230a, 1230b, 1230c)과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만 도시되고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탈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탈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을 형성하는 구리보다 더 낮은 전기적 비저항을 갖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215)은 복수의 회로 소자들(1220a, 1220b, 1220c), 제1 메탈층(1230a, 1230b, 1230c), 및 제2 메탈층(1240a, 1240b, 1240c)을 커버하도록 제1 기판(1210) 상에 배치되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의 제2 메탈층(1240b) 상에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은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상부 본딩 메탈(1371b, 1372b)과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과 상부 본딩 메탈(1371b, 1372b)은 알루미늄, 구리, 혹은 텅스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ELL)는 도 2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셀 어레이 구조체(CS)에 해당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은 제2 기판(1310)과 공통 소스 라인(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310) 상에는, 제2 기판(1310)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워드라인들(1331-1338; 1330)이 적층될 수 있다. 워드라인들(13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스트링 선택 라인들과 접지 선택 라인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링 선택 라인들과 접지 선택 라인 사이에 복수의 워드라인들(1330)이 배치될 수 있다.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채널 구조체(1CH)는 제2 기판(1310)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워드라인들(1330), 스트링 선택 라인들, 및 접지 선택 라인을 관통할 수 있다. 채널 구조체(CH)는 데이터 저장층, 채널층, 및 매립 절연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층은 제1 메탈층(1350c) 및 제2 메탈층(136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탈층(1350c)은 비트라인 컨택일 수 있고, 제2 메탈층(1360c)은 비트라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라인(1360c)은 제2 기판(1310)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채널 구조체(CH)와 비트라인(1360c)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트라인(1360c)은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서 페이지 버퍼(1393)를 제공하는 회로 소자들(122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비트라인(1360c)은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서 상부 본딩 메탈(1371c, 1372c)과 연결되며, 상부 본딩 메탈(1371c, 1372c)은 페이지 버퍼(1393)의 회로 소자들(1220c)에 연결되는 하부 본딩 메탈(1271c, 1272c)과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워드라인들(1330)은 제 1 방향에 수직하면서 제2 기판(1310)의 상면에 평행한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셀 컨택 플러그들(1341-1347; 1340)와 연결될 수 있다. 셀 컨택 플러그들(1341-1347; 1340)의 형태는 도 3의 셀 콘택 플러그(CC)와 같을 수 있다.
워드라인들(1330)과 셀 컨택 플러그들(1340)은, 제2 방향을 따라 워드라인들(133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제공하는 패드들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들(1330)에 연결되는 셀 컨택 플러그들(1340)의 상부에는 제1 메탈층(1350b)과 제2 메탈층(1360b)이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컨택 플러그들(1340)은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셀 영역(1CELL)의 상부 본딩 메탈(1371b, 1372b)과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을 통해 주변 회로 구조체(PERI)과 연결될 수 있다.
셀 컨택 플러그들(1340)은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서 로우 디코더(1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1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디코더(1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1220b)의 동작 전압은, 페이지 버퍼(1393)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1220c)의 동작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일례로, 페이지 버퍼(1393)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1220c)의 동작 전압이 로우 디코더(1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1220b)의 동작 전압보다 클 수 있다.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는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1380)가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1380)는 금속, 금속 화합물, 또는 폴리실리콘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공통 소스 라인(1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1380) 상부에는 제1 메탈층(1350a)과 제2 메탈층(1360a)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일례로,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1380), 제1 메탈층(1350a), 및 제2 메탈층(1360a)이 배치되는 영역은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패드 본딩 영역(1PA)에는 입출력 패드들(1205, 130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기판(1210)의 하부에는 제1 기판(1210)의 하면을 덮는 하부 절연막(1201) 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절연막(1201) 상에 제1 입출력 패드(12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출력 패드(1205)는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1203)를 통해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1220a, 220b, 220c)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하부 절연막(1201)에 의해 제1 기판(1210)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1203)와 제1 기판(1210) 사이에는 측면 절연막이 배치되어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1203)와 제1 기판(1210)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2 기판(1310)의 상부에는 제2 기판(1310)의 상면을 덮는 상부 절연막(1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막(1301) 상에 제2 입출력 패드(13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출력 패드(1305)는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1303)를 통해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1220a, 1220b, 1220c)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입출력 패드(1305)는 회로 소자(12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1303)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제2 기판(1310) 및 공통 소스 라인(1320) 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입출력 패드(1305)는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워드라인들(1380)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1303)는 제2 기판(1310)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2 기판(1310)과 분리되며,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층간 절연층(1315)을 관통하여 제2 입출력 패드(1305)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입출력 패드(1205)와 제2 입출력 패드(1305)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메모리 장치(1400)는 제1 기판(1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입출력 패드(1205)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2 기판(1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입출력 패드(1305)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 장치(1400)가 제1 입출력 패드(1205)와 제2 입출력 패드(130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ELL)과 주변 회로 영역(1PERI) 각각에 포함되는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과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 각각에는 최상부 메탈층의 메탈 패턴이 더미 패턴(dummy pattern)으로 존재하거나, 최상부 메탈층이 비어있을 수 있다.
메모리 장치(1400)는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서,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상부 메탈 패턴(1372a)에 대응하여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상부 메탈 패턴(1372a)과 동일한 형태의 하부 메탈 패턴(1273a)을 형성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1273a)은 주변 회로 구조체(PERI)에서 별도의 콘택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1273a)에 대응하여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상부 메탈층에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하부 메탈 패턴(1273a)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 메탈 패턴(137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의 제2 메탈층(1240b) 상에는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하부 본딩 메탈(1271b, 1272b)은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상부 본딩 메탈(1371b, 1372b)과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1252)에 대응하여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주변 회로 구조체(PERI)의 하부 메탈 패턴(1252)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 메탈 패턴(1392)을 형성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상부 메탈 패턴(1392) 상에는 콘택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P1’ 부분을 확대한 세부 평면도들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1을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1을 C-C’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들의 사시도이다.
도 31, 32a, 32b 및 33을 참조하면, 제3 상부 절연막(208)과 제 1 도전 라인들(BLL) 사이에 그리고 제3 상부 절연막(208)과 제2 도전 라인(CSLL) 사이에 제5 상부 절연막(206)이 개재될 수 있다. 제 1 도전 라인들(BLL)과 제2 도전 라인(CSLL)은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지며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 도전 라인들(BLL)은 제1 방향(D1)으로 제4 폭(W4)을 가질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CSLL)은 제1 방향(D1)으로 제5 폭(W5)을 가질 수 있다. 제5 폭(W5)은 제4 폭(W4)과 다를 수 있다. 제5 폭(W5)은 바람직하게는 제4 폭(W4) 보다 클 수 있다.
제5 상부 절연막(206), 제3 상부 절연막(208), 제2 상부 절연막(207) 및 제1 상부 절연막(205)을 관통하는 제5 콘택들(CT5)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콘택들(CT5) 중 일부는 각각 비트라인 패드들(BPD)과 접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5 콘택들(CT5) 중 일부는 비트라인 패드들(BPD)을 적어도 일부 관통할 수 있다. 제5 콘택들(CT5)은 제 1 도전 라인들(BLL) 및 제2 도전 라인(CSLL)과 이격될 수 있다. 제5 콘택들(CT5) 중 하나는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CSCS)의 도전 라인부(CSLP)과 접할 수 있다. 제5 콘택들(CT5) 중 상기 하나는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CSCS)의 도전 라인부(CSLP)를 일부 관통할 수 있다. 제5 콘택들(CT5)의 하부면들의 레벨들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도전 라인부(CSLP)와 접하는 제5 콘택(CT5)의 하부면의 레벨은 비트라인 패드들(BPD)과 접하는 제5 콘택들(CT5)의 하부면들의 레벨들과 다를 수 있다.
제1 콘택들(CT1)은 제5 상부 절연막(206)을 관통하여 제5 콘택들(CT5) 중 일부를 제 1 도전 라인들(BLL)과 연결시킬 수 있다. 제 1 도전 라인들(BLL)은 제5 콘택들(CT5) 중 일부와 제1 콘택들(CT1)에 의해 비트라인 패드들(BPD)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콘택(CT2)은 제5 상부 절연막(206)을 관통하여 제5 콘택들(CT5) 중 하나를 제2 도전 라인(CSLL)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CSLL)은 제5 콘택들(CT5) 중 하나와 제2 콘택(CT2)에 의해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CSCS)의 도전 라인부(CSLP)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3에서 제1 또는 제2 분리 절연 라인(SL1, SL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공통 소스 콘택 구조체들(CSCS)은 상기 제2 도전 라인(CSLL)과 제2 콘택들(CT2) 및 제5 콘택들(CT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기판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전극층들과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체;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라인부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 라인부의 하부면과 접하는 도전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 연결부, 상기 도전 라인부 및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연결부의 측벽은 요철 구조를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1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2 변곡점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수직 반도체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 라인부의 하부면과 접하는 도전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더미 수직 반도체 구조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을 각각 둘러싸는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을 각각 둘러싸는 분리 절연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분리 절연막은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을 각각 둘러싸는 게이트 절연막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을 각각 둘러싸는 분리 절연막들; 및
    상기 스택 구조체와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소스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스 구조체는 제1 소스 층 및 그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소스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소스 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들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과 각각 접하고,
    상기 제2 소스 층은 상기 분리 절연막들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과 각각 접하고,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에서 상기 제2 소스 층의 상단의 제1 레벨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에서 상기 제2 소스 층의 상단의 제2 레벨과 다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주변 회로 구조체와 이 위에 배치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셀 어레이 영역과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의 소스 구조체;
    상기 제 1 기판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1 전극층들과 제1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스택 구조체;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2 전극층들과 제2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상기 연결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의 단부를 덮는 평탄 절연막;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 및 상기 소스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기판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수직 반도체 패턴들;
    상기 수직 패턴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비트라인 패드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택 구조체들 및 상기 소스 구조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절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1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의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스택 구조체와 상기 제2 서브 스택 구조체 사이에 인접하여 제2 변곡점을 가지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주변 회로 구조체와 이 위에 배치되는 셀 어레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셀 어레이 구조체는: 기판층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전극층들과 전극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체;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인접하는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상기 수직 반도체 구조체들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택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층에 인접하는 수직 도전 구조체들,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및 상기 스택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라인부와 상기 수직 도전 구조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 회로 구조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상기 입출력 패드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반도체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1020210172070A 2021-12-03 2021-12-03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83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70A KR20230083767A (ko) 2021-12-03 2021-12-03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8/054,730 US20230180476A1 (en) 2021-12-03 2022-11-11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2211531855.8A CN116322055A (zh) 2021-12-03 2022-12-01 三维半导体存储器件和包括其的电子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70A KR20230083767A (ko) 2021-12-03 2021-12-03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767A true KR20230083767A (ko) 2023-06-12

Family

ID=8660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070A KR20230083767A (ko) 2021-12-03 2021-12-03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0476A1 (ko)
KR (1) KR20230083767A (ko)
CN (1) CN1163220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84A (ko) * 2018-12-21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0476A1 (en) 2023-06-08
CN116322055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4273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EP4095910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14091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N115206984A (zh) 三维半导体存储器装置和包括其的电子系统
KR2022007680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US20230180476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08043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same
KR20230116272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64431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67716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4874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2023008137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11626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20359562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data storage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230046500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data storage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23001403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023337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20123014A1 (en)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8507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142960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46346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16714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45622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43791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2015814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