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912A -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912A
KR20220131912A KR1020227025008A KR20227025008A KR20220131912A KR 20220131912 A KR20220131912 A KR 20220131912A KR 1020227025008 A KR1020227025008 A KR 1020227025008A KR 20227025008 A KR20227025008 A KR 20227025008A KR 20220131912 A KR20220131912 A KR 2022013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er
electrolyzed water
electrode
portab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사사베
유코 후지이
도모코 다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1Electrolytic cell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9/015Cylindr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21)와, 케이스(21) 내에 형성되는 액체 탱크부(3)와, 액체 탱크부(3) 내에 설치되며,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전극(51)으로 구성된 전해부(5)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21) 내에 형성되며, 전해부(5)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2)와, 액체 탱크부(3)에 접속되며, 전해부(5)에서 전해된 전해수를 분무하는 분무 기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21)는, 적어도 일 측면에 재치면을 형성하고, 전극(51)은, 재치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한다. 이로 인해, 재치 시에, 액면과 전극이 평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본 개시는, 액체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한 전해수를 스프레이부로부터 분무하는 전해수 분무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하여 임의의 부위에 전해수를 분무하여 제균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해수의 우수한 살균, 소독 작용에 착목하여, 핸드백 등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임의의 장소의 살균, 소독에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로서, 전원부와, 제어 회로부와, 액체 탱크부와, 분무 기구부를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외곽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블 등에 재치(載置)했을 때,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가, 어느 방향으로 재치될지 불명확하다. 즉, 종래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액체 탱크 내에, 복수 장의 전극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재치한 상태에서, 전극이 액체 탱크 내의 액면과, 거의 평행해진 경우, 액체를 전기 분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92886호 공보
본 개시는, 재치 시에, 액면과 전극이 평행해지는 것을 억제 가능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액체 탱크부와, 액체 탱크부 내에 설치되며,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적어도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을 갖는 전해부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전해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액체 탱크부에 접속되며, 전해부에서 전기 분해된 전해수를 분무하는 분무 기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는,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재치면을 갖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재치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된다.
본 개시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설치 상태에 상관없이,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전원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액체 탱크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내부를 투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전해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90도 회전시킨 상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전극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 전극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동 전극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기초가 된 지견 등)
본 발명자들이 본 개시를 도출하기에 이르렀던 당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라는 기술은, 제품화가 검토되고 있으나, 실용화는 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실용화의 검토에 있어서는, 가방 등에 넣어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컴팩트하게 하는 설계가 일반적이었다.
컴팩트하게 설계하기 위해,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경우, 외곽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테이블 등에 재치했을 때,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가 어느 방향으로 재치될지 불명확하다.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액체 탱크 내에 복수 장의 전극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재치한 상태에서, 전극이 액체 탱크 내의 액면과 거의 평행해진 경우, 액체를 전기 분해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주제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개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액체 탱크부와, 액체 탱크부 내에 설치되며,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적어도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을 갖는 전해부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전해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액체 탱크부에 접속되며, 전해부에서 전기 분해된 전해수를 분무하는 분무 기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는,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재치면을 갖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재치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 1)
이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에 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원부(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액체 탱크부(3)의 단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외관 형상이 예를 들면, 원통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외관 형상은, 원통 형상이다.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하부에 전원부(2), 중간부에 액체 탱크부(3), 상부에 푸시식 분무 기구부(4)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액체 탱크부(3)는,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전해부(5)를 구비한다. 전해부(5)는, 액체 탱크부(3)의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또, 전해부(5)는,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한다.
전원부(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ABS 등의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21) 내에 수납되는 전원용 전지(22)와, 전지(22)의 측방에 병설되는 제어 회로부(23)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부(2)는, 저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전원부(2)의 저면은, 평탄면을 설치면으로 하여,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에 재치할 수 있다. 전원부(2)는, 전지(22)가 수납되며,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가장 무거운 부분을 구성한다. 그 때문에, 상기 설치면을 통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로 재치할 수 있다.
또, 전원부(2)는, 저부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24)를 갖는다. 전원 스위치(24)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동작을 ON, OFF 한다.
또한, 전원부(2)는, 측면에 배치되는 조작부(25)를 갖는다. 조작부(25)는, 사용자의 압압(押壓) 조작에 의해, 제어 회로부(23)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된다. 이 때, 조작부(25)는, 조작부(25)의 외면 측의 단면이, 전원부(2) 측면과 거의 단차가 없이(단차가 없는 것을 포함함), 혹은, 전원부(2) 측면보다 안으로 들어가게(오목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설령, 전원부(2) 측면에 무언가가 접촉해도, 조작부(25)의 부주의한 조작을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사용자가, 우선, 전원 스위치(24)를 조작하고, 또한, 조작부(25)를 조작함으로써 작동한다. 즉, 전원 스위치(24)와 조작부(25), 2단계의 조작에 의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부주의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24)는, 회전에 의한 조작이고, 조작부(25)는, 압압에 의한 조작이다. 즉, 전원 스위치(24)와 조작부(25)는, 상이한 조작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전원부(2)의 케이스(21)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지(22)와 제어 회로부(23)가 병설된다. 제어 회로부(23)는, 제어 기판을 구비한다. 제어 기판은, 조작부(25)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LED 및 전력 변환 장치 등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3)는, 사용자가, 우선, 전원 스위치(24)를 조작하고, 그리고, 조작부(25)에 의해 스위치가 전원부(2)의 외면으로부터 조작되어 기동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부(23)는, 전지(22)를 전원으로 하여, 전해부(5)에 통전한다. LED는, LED의 발광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외방에서 목시(目視)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LED는, 전해부(5)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점등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전해부(5)로의 통전 상태가 알려진다.
전원부(2)는, 액체 탱크부(3)와 수밀 상태로 결합된다. 액체 탱크부(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PET를 개량한 내약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변성(PETG) 등의 투명 부재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액체 탱크부(3) 내부에 형성되는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의 양을 목시(目視)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해부(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탱크부(3) 내에 배치되며,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전해부(5)는, 액체를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고, 제균용 전해수로서,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한다. 이 때,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액체로서, 염화나트륨 수용액, 염산수, 혹은, 염산과 염화나트륨의 혼합액이 이용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입수가 용이한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액체로서 이용하고 있다.
전해부(5)의 전극은, 플러스 전극(제1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제2 전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해부(5)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교호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3장의 판 형상 전극이,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제2 전극을 플러스 전극, 제1 전극을 마이너스 전극으로 하여, 전극을 구성해도 된다.
즉, 실시 형태 1에서는, 전해부(5)의 전극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스 전극의 양측에 마이너스 전극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 3장의 전극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전해부(5)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이, 제어 회로부(2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전해부(5)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의 대향면에 있어서, 전기 분해에 작용하는 유효 면적이, 대략 동일(동일한 것을 포함함)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해부(5) 전체를 전해 영역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액체 탱크부(3)는, 상부가 개구하는 상면 개구를 갖고, 상면 개구는 액체 보급 개구를 구성한다. 분무 기구부(4)는, 액체 보급 개구에, 수밀하게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즉, 분무 기구부(4)를 떼어 냄으로써, 액체 보급 개구가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액체 보급 개구를 통해, 액체 탱크부(3) 내에 액체를 보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무 기구부(4)는, 액체 탱크부(3)의 액체 보급 개구의 주연부에, 수밀 상태로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그리고, 분무 기구부(4)를 액체 탱크부(3)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24)와 조작부(25)를 ON 하면, 타이머 회로가 작동한다. 이 때, 전지(22)의 전력이 승압 회로에서 승압되고, 승압된 전압이 소정 시간 전해부(5)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LED가 발광한다. 동시에, 전해부(5)로의 통전에 의해, 전해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전해수는, 사용자의 분무 기구부(4)의 조작에 의해 분무된다.
또, 액체 탱크부(3) 내에 액체를 보급할 때, 우선, 액체 탱크부(3)로부터 분무 기구부(4)를 떼어 낸다. 그리고, 액체 탱크부(3)의 액체 보급 개구를 개방하고, 액체 보급 개구로부터 액체 탱크부(3)에, 물과 염, 혹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보급한다.
즉, 실시 형태 1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핸드백 등에 넣어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분무 기구부(4)는, 노즐 커버(6)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덮인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들고 다닐 때 등,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어떠한 상태에 의해 분무 기구부(4)가 조작되어, 전해수가 부주의하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전해부(5)의 전극 표면에 칼슘 등의 스케일이 부착된다. 그 때문에, 스케일에 의해, 전해부(5)에서의 전기 분해 작용이 저해되는 일이 상정된다. 그래서, 스케일이 부착된 경우, 액체 탱크부(3) 내에, 예를 들면, 구연산 용액을 넣어 전해부(5)를 담근다. 이로 인해, 전극 표면에 부착된 칼슘 등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의 제거에는, 전해부(5)의 전극에 인가하는 극성을, 소정 시간마다 전환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제어 회로부(23)가 배치되는 측면과, 제어 회로부(23) 측의 측면과 서로 대향하는 전지(22)측의 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을, 거의 평탄한, 거의 원통 형상으로, 즉, 통의 측면이 약간 R형상, 혹은, 원주형의 일부의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잡았을 때, 엄지를 평탄한 면에 걸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 분무 기구부(4)를 조작할 때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엄지를 평탄한 면에 걸쳐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1) 내에 수용되는 전지(22)와, 전지(22)의 측방에 제어 회로부(23) 등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무게 중심은, 제어 회로부(23)와 서로 대향하는 전지(22) 측의 측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의 위에 두었을 때, 조작부(25)가 배치되는 면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재치된다. 그 결과,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조작부(25)가, 예를 들면, 테이블 등의 면에 의해 압압되는 등,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일이 없다.
또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무게 중심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중심이 아니라, 중심에서 벗어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에 재치한 경우에도, 테이블 위를,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전지(22)와 제어 회로부(23)의 배치에 의해, 무게 중심을 치우치게 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21)의 제어 회로부(23)와 서로 대향하는 전지(22) 측의 측면에, 장식판 등의 장식재를 설치하여, 무게 중심을 치우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장식재는, 중량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장식재를,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케이스(21)의 제어 회로부(23)와 서로 대향하는 전지(22) 측의 측면을, 케이스(21)의 제어 회로부(23) 측의 측면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무게 중심을 치우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지(22) 측의 측면에, 예를 들면, 추를 배치하여, 무게 중심을 치우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을 조합하여, 무게 중심을 치우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전원부(2)의 무게 중심은, 제어 회로부(23)와 서로 대향하는 케이스(21)의 전지(22)측의 측면 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의 위에 두었을 때, 케이스(21)의 조작부(25)가 배치되는 면이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부(5)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이, 제어 회로부(2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의 위에 두었을 때, 전해부(5)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에 침지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의 면에 가로눕힌 상태여도, 전해부(5)에서 액체의 전기 분해를 행할 수 있다. 또,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해부(5)에서의 전해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액체 탱크부(3)는, 내부의 기포 제거를 위해 형성되는 공기 도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공기 도입 구멍에는, 공기는 통하지만, 액체는 통하지 않는 기액 분리막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핸드백 등에 넣어 가지고 다닐 때 등에, 공기 도입 구멍으로부터의 액체 탱크부(3)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도입 구멍은, 전지(22) 측의 측면 이외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 회로부(23) 측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에 재치했을 때, 공기 도입 구멍이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에 의해 막혀, 기포 제거가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내부를 투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해부(5)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해부(5)는, 원통 형상의 장식통(7)에 의해 덮인다. 장식통(7)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내식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장식통(7)은, 장식통(7)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통수(通水) 구멍(71)을 갖는다. 통수 구멍(71)에 의해, 장식통(7)은,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가 자유롭게 유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실시 형태 1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조작부(25)를 없앴다는 점에서, 실시 형태 1과 상이하다.
실시 형태 2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전원 스위치(24)를 조작하여, 분무 기구부(4)를 조작하면, 분무 기구부(4)의 조작을 검출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하여, 전해부(5)에 통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분무 기구부(4)의 조작에 의해,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가 전해부(5)를 통과할 때, 전해수로서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전해수는, 분무 기구부(4)로부터 분무된다. 즉, 분무 기구부(4)가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전해부(5)에 통전되어, 전해수가 분무 기구부(4)로부터 분무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해부(5)는, 절연재의 스페이서(5B)를 개재하여, 플러스 전극(6A)(제1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6B)(제2 전극)이 교호로 대향 배치되는 전극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전해부(5)는, 중간의 판 형상 전극인 플러스 전극(6A)과, 양측의 판 형상 전극인 마이너스 전극(6B)을 통 형상체(5P)로 덮어 구성된다. 이 때,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 사이에, 액체의 유통로가 되는 전해실(5S)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해부(5)는, 전해실(5S)에 존재하는 액체를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액체는 전해실(5S)만을 통과한다. 그 때문에, 실시 형태 2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효율적으로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이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도 8 중의 우측 측면과 좌측 측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직사각형 형상(장방형 형상), 즉, 사각 기둥의 한 쌍의 2면이 만곡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전지(22)가 케이스(21)의 우측 공간에 배치되며, 제어 회로부(23)가 좌측 공간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액체 탱크부(3)가 좌측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 푸시식 분무 기구부(4)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전해부(5)는, 액체 탱크부(3) 내의 중앙부에 있어서, 액체 탱크부(3)의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전해부(5)는,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한다.
또, 케이스(21)는, 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21)의 저면을 설치면으로 하여, 테이블 등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재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는, 좌측 저부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24)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24)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동작이 ON, OFF 된다.
실시 형태 3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실시 형태 2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4)를 조작하여, 분무 기구부(4)를 조작하면, 분무 기구부(4)의 조작을 검출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하여, 전해부(5)에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분무 기구부(4)의 조작에 의해,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가 전해부(5)를 통과할 때에, 전기 분해되어 전해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전해수는, 분무 기구부(4)로부터 분무된다. 즉, 분무 기구부(4)가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전해부(5)에 통전되어, 전해수가 분무 기구부(4)로부터 분무된다.
또, 액체 탱크부(3) 내에 배치되는 전해부(5)는,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한다.
또한, 전해부(5)의 전극은, 실시 형태 2의 전해부(5)의 전극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실시 형태 3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전해부(5)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도 8 중의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다.
실시 형태 3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우측 측면과 좌측 측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의 위에 가로눕힐 때, 우측 측면과 좌측 측면 사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면으로 재치할 수 있다.
이 때, 전해부(5)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재치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위치한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가로눕힌 상태에서도, 전극은,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에 침지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테이블 등에 가로눕힌 상태에서도, 전해부(5)에서 액체의 전기 분해를 행할 수 있다. 또,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해부(5)에서의 전해 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90도 회전시킨 상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케이스(21)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액체 탱크부(3) 내에 배치되는 전해부(5)는, 케이스(21)의 평탄면에 대해, 예를 들면, 45도 경사지게 하여 배치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를 가로눕히면, 케이스(21)의 평탄면이 재치면이 된다. 그 때문에, 전해부(5)의 전극(51)이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에 침지된 상태가 되어, 전해부(5)에서 액체의 전기 분해를 행할 수 있다. 또,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해부(5)에서의 전해 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에서는, 전극(51)은, 케이스(21)의 재치면, 혹은 테이블 등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51)은, 재치면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실시 형태 4에서는, 케이스(21)를 사각형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예로 설명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21)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4의 전극(51)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를 가져도 된다. 개구부는, 전극(51)의 단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절결부(52)로 구성해도 된다. 절결부(52)의 형성에 의해, 절결부(52)로부터,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내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극(51) 사이에 가스가 체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4의 전극(5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 구멍(53)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53)으로부터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내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극(51) 사이에 가스가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4의 전극(51)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 형상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도, 액체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내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극(51) 사이에 가스가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효과 등)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21)와, 케이스(21) 내에 형성되는 액체 탱크부(3)와, 액체 탱크부(3) 내에 설치되며, 액체 탱크부(3)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으로 구성되는 전극을 갖는 전해부(5)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케이스(21) 내에 형성되며, 전해부(5)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2)와, 액체 탱크부(3)에 접속되며, 전해부(5)에서 전해된 전해수를 분무하는 분무 기구부(4)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21)는,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재치면을 갖고,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재치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재치면에 대해 45도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재치면에 대해, 거의 직교(직교를 포함함)하여 배치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표리로 관통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개구부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에 가스가 체류함에 따른 전해 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의 개구부는, 전극 단부에 형성되는 절결부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개구부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에 가스가 체류함에 따른 전해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전극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53)을 갖는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관통 구멍으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에 가스가 체류함에 따른 전해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극을 구성하는 플러스 전극(6A)과 마이너스 전극(6B)은, 메시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에도,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메시의 간극으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에 가스가 체류함에 따른 전해 불량의 발생을 억제를 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는, 무게 중심을 한쪽 측면으로 치우치게 하여, 한쪽 측면을 재치면으로 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측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 때문에,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전원부(2)는, 전지(22)와, 전지(22)의 측방에 늘어서서 배치되며, 전지(22)를 전원으로 하여, 전해부(5)에 통전하는 제어 회로부(23)를 갖는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전지 측의 측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 때문에,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케이스(21)는, 한쪽 측면 측을 두껍게 형성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 두껍게 형성한 측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 때문에,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케이스(21)는, 내부의 한쪽 측면 측에 배치되는 추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 추를 배치한 측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 때문에,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1)의 케이스(21)는, 한쪽 측면 측에 설치되는 장식재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를 가로눕힌 경우, 장식재를 설치한 측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 때문에, 전극을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켜, 액체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개시의 기술 범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2: 전원부
3: 액체 탱크부 4: 분무 기구부
5: 전해부 5B: 스페이서
5P: 통 형상체 5S: 전해실
6: 노즐 커버 6A: 플러스 전극
6B: 마이너스 전극 7: 장식통
21: 케이스 22: 전지
23: 제어 회로부 24: 전원 스위치
25: 조작부 51: 전극
52: 절결부 53: 관통 구멍
71: 통수 구멍

Claims (12)

  1.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액체 탱크부와,
    상기 액체 탱크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 탱크부 내의 액체를 전기 분해하는 적어도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을 갖는 전해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해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액체 탱크부에 접속되며, 상기 전해부에서 전기 분해된 전해수를 분무하는 분무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재치면(載置面)을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재치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재치면에 대해 45도로 배치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재치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리로 관통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전극 단부에 형성되는 절결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메시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게 중심을 한쪽 측면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한쪽 측면을 상기 재치면으로 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지와,
    상기 전지의 측방에 늘어서서 배치되며, 상기 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상기 전해부에 통전하는 제어 회로부를 갖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쪽 측면 측이 두껍게 형성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의 한쪽 측면 측에 배치되는 추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쪽 측면 측에 설치되는 장식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KR1020227025008A 2020-02-10 2021-01-19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KR20220131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0260 2020-02-10
JP2020020260A JP7340744B2 (ja) 2020-02-10 2020-02-10 携帯用電解水噴霧器
PCT/JP2021/001574 WO2021161731A1 (ja) 2020-02-10 2021-01-19 携帯用電解水噴霧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912A true KR20220131912A (ko) 2022-09-29

Family

ID=7729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008A KR20220131912A (ko) 2020-02-10 2021-01-19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40744B2 (ko)
KR (1) KR20220131912A (ko)
CN (1) CN114867693A (ko)
TW (1) TW202138308A (ko)
WO (1) WO202116173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886A (ja) 2009-10-30 2011-05-1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用電解水噴霧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2510B2 (ja) * 2002-05-31 2007-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CN1323973C (zh) * 2002-10-11 2007-07-04 日立造船株式会社 金属薄膜的除去方法及装置
CN101035626A (zh) * 2004-10-08 2007-09-12 株式会社三国 喷雾器
JP4410155B2 (ja) * 2005-06-16 2010-02-03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解水噴出装置
JP2008259680A (ja) * 2007-04-12 2008-10-30 Hoya Corp 携帯型内視鏡の光源装置
JP2009220093A (ja) * 2008-03-13 2009-10-01 Hokuetsu:Kk 電池式電解水生成装置
CA2747400A1 (en) * 2008-12-17 2010-07-08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al charge through a liquid to enhance sanitizing properties
CN102206833A (zh) * 2010-03-31 2011-10-05 株式会社微酸性电解水研究所 一种电解方法及电解装置
JP2012052168A (ja) * 2010-08-31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及び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噴霧器
JP6037285B2 (ja) * 2013-06-20 2016-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5887385B2 (ja) * 2014-07-25 2016-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解装置
KR101655240B1 (ko) * 2014-10-24 2016-09-08 (주) 테크윈 기울어진 전극과 초음파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 장치
JP2016190232A (ja) * 2015-03-30 2016-11-10 有限会社ターナープロセス 溶存水素を含む液体を生成する生成器
JP5980373B1 (ja) * 2015-04-28 2016-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解装置
JP6521385B6 (ja) * 2016-04-18 2019-06-26 エア・ウォーター・バイオデザイン株式会社 電解水生成器
TW201927344A (zh) * 2017-12-22 2019-07-16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攜帶用電解水噴霧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886A (ja) 2009-10-30 2011-05-1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用電解水噴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1731A1 (ja) 2021-08-19
JP2021122813A (ja) 2021-08-30
TW202138308A (zh) 2021-10-16
CN114867693A (zh) 2022-08-05
JP7340744B2 (ja)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54030A (ja) 電解水生成噴霧装置
US20020038768A1 (en) Acidic liquid atomizer
TW201927344A (zh) 攜帶用電解水噴霧器
MX2010014392A (es) Botella atomizadora de mano, celda de electrólisis y convertidor de corriente directa a corriente directa.
JPWO2003095102A1 (ja) 電解水噴霧装置
JP2009208021A (ja) 吸水装置及び霧化装置
JP2011110541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1092886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2052168A (ja) 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及び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噴霧器
KR102057886B1 (ko) 살균수 생성장치
JP2020063460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220131912A (ko) 휴대용 전해수 분무기
JP2019111474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WO2021132708A1 (ja) 電解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WO2021161730A1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2005981A (ja) 噴霧器およびこの噴霧器を含む噴霧装置
JP2011092884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1092883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21120140A (ja) オゾン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JP2011092887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CN216663245U (zh) 手持高氧化电位水生成器
JP2011050807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水噴霧装置
JP7122512B2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1110539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3227580U (ja) 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