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205A -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205A
KR20220118205A KR1020210022066A KR20210022066A KR20220118205A KR 20220118205 A KR20220118205 A KR 20220118205A KR 1020210022066 A KR1020210022066 A KR 1020210022066A KR 20210022066 A KR20210022066 A KR 20210022066A KR 20220118205 A KR20220118205 A KR 2022011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machine room
forklift
lo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329B1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1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pivoted only at one end and having an elongated sl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측방 프레임 내측에 마련되며 상부 개구와 측방 개구를 갖는 기계실을 개폐하는 지게차의 도어 구조로서, 기계실의 상부 개구와 측방 개구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부 개구를 형성하는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상부 도어 및 기계실의 측방 개구의 하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측방 개구를 형성하는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하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하부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DOOR FOR OPENING AND CLOSING MACHINE COMPARTMENT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측면에 구비된 기계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엔진이 설치된 차체를 구비하며,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가 설치된다.
마스트 조립체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과,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하고,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캐리지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가 장착된다. 한 쌍의 포크는 좌우로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백 레스트(Back Rest)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의 상부에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의 상측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의 차체 측면에는 차체의 내부 기계실에 장착된 엔진, 배터리, 전기장치 등을 비롯한 각종 부품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탈착식의 커버 또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게차에서 차체 내부의 부품을 유지 보수할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나, 도어의 크기가 커져 개구부가 증대되면 조립 및 정비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중량이 증대하여 탈거 시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이 불가하여 별도의 장비 도움이 필요하게 되므로 크기가 작은 도어를 장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계실의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게차의 측방 프레임 내측에 마련되며 상부 개구와 측방 개구를 갖는 기계실을 개폐하는 지게차의 도어 구조로서, 상기 기계실의 상기 상부 개구와 상기 측방 개구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개구를 형성하는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상부 도어; 및 상기 기계실의 상기 측방 개구의 하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측방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하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하부 도어;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벤딩되어 상기 측방 개구의 상부영역을 덮는 측방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상부 도어가 열리기 전 상기 하부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측방커버의 배면 하측을 커버하는 열림방지패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해 파지하는 핸들은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 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각도를 규제하는 스테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는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 양측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가 긴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에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측방프레임에 결합된 힌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테이암을 포함한다.
상기 측방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가 닫힐 때 각각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의 각 배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의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측방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된 실린더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에는 각각 보조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계실 개구부의 크기를 대폭 증가시킴에 의해 유지 보수 작업 시 사용자의 작업성 및 정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측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실린더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측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실린더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게차(1)의 측방 프레임(2)의 내측에는 배터리, 브레이크 장치, 전자장비 등의 부품이 수용되는 기계실(10)이 구비되고, 기계실(10)은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기계실(10)은 지게차의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 상부와 측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되며, 상부 개구(11)와 측방 개구(12)는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와 측방이 개방된 기계실(10)은 상대적으로 큰 개구를 제공함에 의해 지게차 내부 부품으로 공구 또는 작업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유지 보수가 수월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도어(20)는 상부 개구(11)와 측방 개구(12)의 상부영역을 개폐할 수 있고, 하부 도어(30)는 측방 개구(12)의 하부영역, 즉 상부 도어(20)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상부 도어(20)는 기계실(10)의 상부 개구(11)를 덮는 상부커버(21)와, 기계실(10)의 측방 개구(12)의 상부영역을 덮도록 상부커버(21)의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벤딩된 측방커버(22)를 포함한다.
상부 도어(20)는 상부로 회동함에 의해 기계실(10)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부 도어(30)는 하부로 회동함에 의해 기계실(10)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는 일측이 측방 프레임(2)에 결합된 상부 힌지(23)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고, 하부 도어(30)는 일측이 측방 프레임(2)에 결합된 하부 힌지(31)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힌지(23)와 하부 힌지(31)는 각각 3개소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부 도어(20)의 전후 양측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부 도어(20)가 소정 각도 열리면 자동으로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고, 상부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가스실린더(24)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실린더(24)는 일단이 상부커버(21)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측방 프레임(2)의 배면에 결합된 실린더브래킷(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의 측방커버(22)에는 래치 타입의 잠금해제용 레버(26)가 설치되고, 잠금해제용 레버(26)를 잡아 당기면 잠금해제용 레버(26)의 동작과 연동하는 캐처(27)가 기계실(10)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3)로부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 도어(20)를 소정각도 들어 올리면, 가스실린더(24)에 의해 상부 도어(20)는 상부 힌지(23)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고, 상부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가스실린더(24)에 의해 지지되어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부 도어(30)는 상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하부 도어(30)의 상단에는 상부로 연장되는 열림방지패널(40)이 마련된다.
열림방지패널(40)은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 사이 틈새로 인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 사이 틈새를 커버하는 평판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하부 도어(30)에서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부 도어(20)의 측방커버(22) 배면 하측과 마주할 수 있다.
하부 도어(30)의 잠금 해제를 위해 파지하는 핸들(32)은 상부 도어(20)의 개방 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도어(3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도어(30)의 배면 상단에는 하부 도어(30)의 배면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핸들 브래킷(33)이 마련되고, 하부 도어(30)와 수직하게 연장된 핸들 브래킷(33)에는 하부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핸들(32)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들(32)의 동작은 하부 도어(30)의 상부에서 전후 양측에 설치된 래치 형태의 하부도어 잠금장치(50)를 작동시킴에 의해 하부 도어(30)는 잠금 및 잠금 해제되게 된다.
일 예로, 핸들(32)의 동작은 핸들(32)과 연계된 작동로드(51)를 통해 작동로드(51)의 단부에 연결된 캐처(52)를 동작시키고, 캐처(52)는 측방 프레임(2)의 배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53)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에 의해 하부 도어(3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하부 도어(30)의 배면 하부 양측에는 하부 도어(30)가 개방각도를 규제하면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테이(6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60)는 하부 도어(30)의 배면 양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1)와, 가이드부재(61)와 연결되는 스테이암(63)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61)에는 상하로 길이가 긴 슬롯(62)이 마련되고, 스테이암(63)의 일단에 마련된 롤러(64)가 슬롯(62)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암(63)의 타단은 측방 프레임(2)에 결합된 힌지브래킷(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하부 도어(30)의 핸들(32)을 동작시켜 하부 도어(3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하부 도어(3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테이암(63)의 일단에 마련된 롤러(64)가 슬롯(62)을 따라 활주하게 되고, 롤러(64)가 슬롯(62)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하부 도어(30)가 개방되는 것을 규제하면서 하부 도어(3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측방 프레임(2)에는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가 닫힐 때 각각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의 배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재(70)는 측방 프레임(2)에 결합된 완충브래킷(71)에 설치되는 고무부재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가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30)에는 각 도어(20,30)를 개방하기 전에라도 작업자가 기계실(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보조 도어(8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게차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상부 도어(20)의 잠금해제용 레버(26)를 동작시켜 상부 도어(2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부 도어(20)를 소정 각도 들어 올리면, 상부 도어(20)는 가스실린더(24)에 의해 상부 힌지(23)를 중심으로 열리게 된다.
상부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가스실린더(24)에 의해 상부 도어(20)의 위치가 유지되고, 하부 도어(30)의 개방을 위한 핸들(32)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2)을 동작시켜 하부 도어(3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하부 도어(3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기계실(10)의 개방을 완료하면, 하부 도어(30)는 스테이(60)에 의해 지지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게차의 유지 보수를 하는 경우 기계실(10) 내부로 접근을 위한 개구부 공간이 크게 확보되어 작업자의 접근성을 증대시킴에 의해 유지 보수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기존 유지 보수를 위한 도어의 탈거 작업이 필요치 않아 도어를 탈거 후 부품을 정비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게차, 2: 측방 프레임,
10: 기계실, 11: 상부 개구,
12: 측방 개구, 20: 상부 도어,
21: 상부커버, 22: 측방커버,
24: 가스실린더, 30: 하부 도어,
40: 열림방지패널, 50: 하부도어 잠금장치,
60: 스테이, 61: 가이드부재,
62: 슬롯, 63: 스테이암,
70: 완충부재, 80: 보조 도어.

Claims (8)

  1. 지게차의 측방 프레임 내측에 마련되며 상부 개구와 측방 개구를 갖는 기계실을 개폐하는 지게차의 도어 구조로서,
    상기 기계실의 상기 상부 개구와 상기 측방 개구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개구를 형성하는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상부 도어; 및
    상기 기계실의 상기 측방 개구의 하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측방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하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하부 도어;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벤딩되어 상기 측방 개구의 상부영역을 덮는 측방커버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상부 도어가 열리기 전 상기 하부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측방커버의 배면 하측을 커버하는 열림방지패널이 마련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해 파지하는 핸들은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 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각도를 규제하는 스테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는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 양측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가 긴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에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측방 프레임에 결합된 힌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테이암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가 닫힐 때 각각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의 각 배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측방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된 실린더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실린더가 구비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에는 각각 보조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KR1020210022066A 2021-02-18 2021-02-18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KR10251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66A KR102519329B1 (ko) 2021-02-18 2021-02-18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66A KR102519329B1 (ko) 2021-02-18 2021-02-18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205A true KR20220118205A (ko) 2022-08-25
KR102519329B1 KR102519329B1 (ko) 2023-04-10

Family

ID=8311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66A KR102519329B1 (ko) 2021-02-18 2021-02-18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072U (ja) * 1993-03-10 1994-09-27 東洋運搬機株式会社 エンジンフードのサイドパネル構造
JPH09170374A (ja) * 1995-12-20 1997-06-30 Asmo Co Ltd バックドア閉鎖操作制限装置
JP2000136547A (ja) * 1998-10-31 2000-05-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
JP2003300698A (ja) * 2002-04-11 2003-10-21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におけるサイドフードの固定装置
KR20100125888A (ko) * 2009-05-22 2010-1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석이 삽입된 개스킷을 가진 중장비용 도어
KR20140093932A (ko) * 2011-10-25 2014-07-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엔진 후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072U (ja) * 1993-03-10 1994-09-27 東洋運搬機株式会社 エンジンフードのサイドパネル構造
JPH09170374A (ja) * 1995-12-20 1997-06-30 Asmo Co Ltd バックドア閉鎖操作制限装置
JP2000136547A (ja) * 1998-10-31 2000-05-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
JP2003300698A (ja) * 2002-04-11 2003-10-21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におけるサイドフードの固定装置
KR20100125888A (ko) * 2009-05-22 2010-1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석이 삽입된 개스킷을 가진 중장비용 도어
KR20140093932A (ko) * 2011-10-25 2014-07-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엔진 후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29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384B2 (ja) 作業機械
JP4885252B2 (ja) 車両の扉
EP3556719B1 (en) Forklift side door
KR102519329B1 (ko)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EP0971077B1 (en) Guard cover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924619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JP6075401B2 (ja) 建設機械
JP55791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US6616199B1 (en) Two stage latch for heavy duty engine cover
KR20090068717A (ko) 산업차량의 캐빈 회전장치
KR200261439Y1 (ko) 카고크레인및 집게차량의 장비운전석 덮게장치
KR102299047B1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JP5874650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200015945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890861B2 (ja) 蓋体の開閉装置
JP5608550B2 (ja) 高所作業車
WO2023162556A1 (ja) 建設機械
JP4411487B2 (ja) 作業車
JP2009046932A (ja) 産業車両用キャビンドア開閉装置
KR20150029894A (ko) 지게차의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H08100443A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9059349A (ja) 車両の荷室開閉装置
KR20080075941A (ko) 슬라이드 개폐되는 엔진후드 도어를 갖는 중장비
KR20220098857A (ko) 트레일러 컨테이너용 도어 장치
KR20200076200A (ko) 상부 열림 구조를 갖는 전동지게차 오버헤드 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