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47B1 -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 Google Patents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47B1
KR102299047B1 KR1020140149361A KR20140149361A KR102299047B1 KR 102299047 B1 KR102299047 B1 KR 102299047B1 KR 1020140149361 A KR1020140149361 A KR 1020140149361A KR 20140149361 A KR20140149361 A KR 20140149361A KR 102299047 B1 KR102299047 B1 KR 10229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ox
forklift
vehicle body
fram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958A (ko
Inventor
류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4014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공구박스에 다양한 공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구박스를 차체 측면 프레임에 설치하면서도 차량 정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본 발명은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측면 프레임 상부의 공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고, 필요 시 공구박스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구박스에 다양한 공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구박스를 측면 프레임 상에 설치하면서도 차량 정비에는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을 구비하며, 상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 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5)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6)가 좌우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실 구조물인 캐빈(Cabin)(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빈(7)의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는 한 쌍의 전륜(10)과 후륜(11)을 구비하고 있고, 차체 프레임(1)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게차는, 공구박스를 보관할 장소가 마땅하지 않아 다양한 공구를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게차는 차량의 정비를 위해 다양한 공구가 필요한데 종래의 지게차 구조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69228호에는 지게차의 공구박스 겸용 풋 스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조립식 공구박스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식 공구박스를 닫았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지게차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풋 스텝(Foot Step)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발판의 하부 공간에 물건을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종류의 공구를 보관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69228호(2007. 7. 3. 공개)
특허문헌 2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6007호(2005. 6. 30. 공개)
특허문헌 3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60510호(2008. 7. 2.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차체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공구박스를 장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차량의 폭의 증가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요 시 용이하게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대형의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량의 정비 시 공구박스로 인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과,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와, 차체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및 후륜과, 상기 후륜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는, 공구박스 본체 및 커버와, 차체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와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각각 조립되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링크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 바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의 측면 상부 내부에서 상기 제2 절곡부의 단부와 결합되어 제2 절곡부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 바의 길이는, 공구박스 본체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 커버와 측면 프레임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 설치위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구박스는 차체 측면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측면 프레임 양쪽에 공구박스를 장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 및 각종 소모품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폭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시 공구박스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량의 정비 시 공구박스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서 공구박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서 공구박스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의 회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박스 본체(21)와 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22)는 일측에 힌지부(22a)를 구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시건장치(22d)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는 한 쌍의 브라켓(24)이 장착되고,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브라켓(24)은 한 쌍의 링크 바(Link Bar)(2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링크 바(Link Bar)(23)는,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24)과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에 따라 공구박스(20)를 브라켓(24)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바(23)는, 상기 브라켓(24)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23a)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절곡부(23a) 및 제2 절곡부(23b)는, 공구박스(20)가 브라켓(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홀(21a)은, 가급적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구박스(20)가 완전히 바깥쪽을 향해 젖혀졌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a)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공구박스(20)의 폭 방향 돌출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구박스(20)가 완전히 바깥쪽을 향해 젖혀지게 되면, 공구박스는 브라켓(24)에 대해 외팔보 형태가 되어 브라켓(24)에 작용하는 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구박스 본체(21)에 형성되는 삽입홀(21a)은, 최대한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삽입홀(21a)이 모서리에 너무 근접하면 링크 바(23) 제2 절곡부(23b)의 단부에 지지부재(23c)를 조립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삽입홀(21a)은 지지부재(23c)를 조립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모서리 쪽에 인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 내부에는, 상기 제2 절곡부(23b)의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부재(23c)가 조립된다.
상기 지지부재(23c)는, 제2 절곡부(23b)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링크 바(23)가 공구박스 본체(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23c)에는 이탈방지 핀(도시 생략)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 핀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바(23)의 길이(L)는,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24) 설치위치(d)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공구박스 본체(21)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20)를 완전히 젖힐 수가 있다. 즉, 공구박스 커버(22)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킬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링크 바(23)는 수평상태가 되어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밀착되므로, 젖혀진 공구박스(2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4)의 내부에는 공구박스(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구박스(20)를 차체 측면 프레임(1a)의 양쪽에 구비하여 다양한 공구 외에 각종 소모품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구박스의 조립과정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브라켓(24)을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설치한다.
상기 브라켓(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바(23)의 길이를 고려하여 공구박스(20)가 바깥쪽으로 완전히 젖혀질 수 있는 위치(d)에 설치한다.
이어서 링크 바(23)의 제1 절곡부(23a)를 상기 브라켓(24)의 홀에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공구박스 본체(21)를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를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a)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공구박스 본체(21)는,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의 곡선부에 의해 세로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공구박스 본체(21)를 옆으로 움직여 가면서 측면 양측에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를 삽입할 수가 있다.
상기 공구박스 본체(21) 양쪽 측면에 링크 바(23)의 조립이 완료되면, 공구박스 본체(21)의 내부에서 제2 절곡부(23b)의 단부에 지지부재(23c)를 결합한다.
상기 지지부재(23c)는, 공구박스 본체(21)에 삽입된 제2 절곡부(23b)가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제2 절곡부(23b)를 지지한다.
링크 바(23)와 공구박스 본체(21)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공구박스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공구박스(20)에 보관된 공구들의 자중에 의해 상기 공구박스(20)는 지게차의 주행 중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공구박스(20)를 인위적으로 옆으로 젖히지 않는 이상 공구박스(20)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될 염려가 없다.
만일, 측면 프레임(1a)의 상부를 오픈시킬 필요가 있거나 엔진 후드를 개폐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공구박스(20)를 잡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공구박스(20)는 브라켓(2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 바(23)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구박스(20)를 계속 회전시켜 링크 바(23)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안착되면, 공구박스(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가 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 측면 프레임의 빈 공간에 공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 및 각종 소모품 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히 공구박스를 측면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하게 되면 더욱 많은 공구 및 소모품들을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설치하면서도 차량의 폭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고, 공구박스를 폭 방향으로 완전히 젖히면 공구박스가 안착되었던 측면 프레임의 상부가 원래의 상태대로 완전히 오픈된다.
이에 따라 공구박스를 추가로 설치하더라도 차량의 정비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프레임(Frame) 1a: 측면 프레임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캐빈(Cabin)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0: 전륜 11: 후륜
20: 공구박스
21: 공구박스 본체
21a: 삽입홀
22: 공구박스 커버
23: 링크 바(Link Bar)
23a: 제1 절곡부
23b: 제2 절곡부
23c: 지지부재
24: 브라켓(Bracket)

Claims (6)

  1. 삭제
  2.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20)는,
    공구박스 본체(21) 및 커버(22)와,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브라켓(24)과,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24)과 각각 조립되어, 상기 브라켓(2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링크 바(Link Bar)(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바(23)는,
    상기 브라켓(24)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23a)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23b)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 내부에서 상기 제2 절곡부(23b)의 단부와 결합되어 제2 절곡부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바(23)의 길이(L)는, 공구박스 본체(21)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 커버(22)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24) 설치위치(d)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4)의 내부에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박스(20)는 차체 측면 프레임(1a)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KR1020140149361A 2014-10-30 2014-10-30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KR10229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61A KR102299047B1 (ko) 2014-10-30 2014-10-30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61A KR102299047B1 (ko) 2014-10-30 2014-10-30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58A KR20160051958A (ko) 2016-05-12
KR102299047B1 true KR102299047B1 (ko) 2021-09-06

Family

ID=560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361A KR102299047B1 (ko) 2014-10-30 2014-10-30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53Y1 (ko) * 2016-12-20 2021-07-21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용 발판
DE202017104124U1 (de) 2017-07-11 2017-10-13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Staukasten für ein gepanzertes 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94A (ja) * 2000-06-05 2001-12-11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US8636182B1 (en) 2009-11-09 2014-01-28 Joel Gordon Pickup truck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538Y2 (ja) * 1976-02-13 1985-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無接点点火装置の信号発生装置
KR960010211U (ko) * 1994-09-10 1996-04-12 힌지타입툴박스
JP3591071B2 (ja) * 1995-08-09 2004-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車体構造
KR100229066B1 (ko) * 1996-12-27 1999-11-01 정몽규 자동차 트렁크룸 상부 공구박스 구조
KR19990030349U (ko) * 1997-12-30 1999-07-26 추호석 지게차의 잭업 장치
KR101023743B1 (ko) 2003-12-26 2011-03-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오버 헤드 가드
KR20070069228A (ko) 2005-12-28 2007-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공구박스 겸용 풋 스텝
KR101343830B1 (ko) 2006-12-27 2013-12-20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차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94A (ja) * 2000-06-05 2001-12-11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US8636182B1 (en) 2009-11-09 2014-01-28 Joel Gordon Pickup truck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58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4852A1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KR102299047B1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KR20110113415A (ko) 지게차용 마스트 조립체
CN102155029B (zh) 工作机
KR20200125161A (ko) 탑차
JP2014105079A (ja) 高所作業台
AU2012326296B2 (en) Maximizing scissor lift breakover angle with fixed pothole protection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20090068717A (ko) 산업차량의 캐빈 회전장치
JP5170542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18096174A (ja) 建設機械のヘッドガード
KR20160076669A (ko) 4륜식 지게차의 스티어 액슬 구조
JP5874650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3678408B2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
KR200444278Y1 (ko)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
JP5517703B2 (ja) テールゲート等のフロアプレートにおける落下防止ストッパ
KR100906471B1 (ko)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
KR200322583Y1 (ko)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덤프차량
KR20150029894A (ko) 지게차의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102519329B1 (ko) 지게차의 기계실 개폐 도어
KR1016054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2623226B1 (ko) 무게 중심 이동이 가능한 캐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JP2013132911A (ja) 荷受台昇降装置
JP5578590B1 (ja) フォークリフトの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