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53Y1 - 지게차용 발판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53Y1
KR200494053Y1 KR2020160007396U KR20160007396U KR200494053Y1 KR 200494053 Y1 KR200494053 Y1 KR 200494053Y1 KR 2020160007396 U KR2020160007396 U KR 2020160007396U KR 20160007396 U KR20160007396 U KR 20160007396U KR 200494053 Y1 KR200494053 Y1 KR 200494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footrest
fixed
vehicle body
in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941U (ko
Inventor
유충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2020160007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5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의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운전자 등이 밟고 올라서는 지게차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발판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게차 차체 측부에 형성되는 하부의 제1스텝(10)과 상부의 제2스텝(20)으로 이루어진 지게차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텝(10)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1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끝단이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며 판재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받침부재(12)와,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끼움홈(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용 발판{Side Step for Forklift}
본 고안은 지게차의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운전자 등이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된 차체(1)를 구비하며, 상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3)(Mast Rail)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4)(Carriage)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틸트 실린더(10)(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6)(Lift Chain)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7)(Fork)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포크(7)는 좌우로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백 레스트(5)(Back Rest)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석(9)이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9)의 상측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가드(8)(Overhead Guar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1)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11)(Counterweigh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게차에는 운전석이 있는 캐빈(Cabin)이 구비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으로 올라갈 때 밟고 오르도록 차체 측부에 2층 구조의 발판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지게차용 발판은 평판 플레이트를 벤딩 처리한 후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차체 프레임에 부착된다.
상기 지게차용 발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제1스텝(51)과, 상부의 제2스텝(52)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텝(52)은 그 하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5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어(55)의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텝(51)과 제2스텝(52)의 상면에는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미끄럼 방지판(53)이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지게차용 발판은, 각 발판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판이 쉽게 손상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빗물을 차단할 수 없고, 눈이나 흙덩이 등의 이물질이 누적될 경우 미끄러짐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아래의 특허문헌 1은, 입승식 지게차에서 바닥판과 발판사이에 소정의 탄성재를 설치하고 이 탄성재에서 진동과 충격을 완충흡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면로부터 전달된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입승식 지게차의 발판쿠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1995-0018680 U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유입 및 누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질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의 제1스텝과 상부의 제2스텝으로 이루어진 지게차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텝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끝단이 상기 내측 부재에 고정되며 판재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받침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차량 안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텝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평판부와, 하부의 도어를 간섭하는 않는 크기로 상기 평판부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연장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평판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절곡부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구멍과 상기 연장부에 이어지는 수직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 이어지는 평판부의 끝부분이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발판에 의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받침부재로 제1스텝이 구성됨에 따라, 받침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은 물론 흙덩이나 눈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어 안전하게 상차 및 하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부재의 상단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받침부재가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차시 또는 하차시 미끄러짐 현상과 낙하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스텝의 끝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멍과 수직부로 인해, 빗물이 고이는 것이 방지되고, 수평 방향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스텝의 끝단 부분이 외측으로 기울게 형성되므로, 제2스텝의 빗물이 구멍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어 빗물로 인한 미끄러짐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지게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지게차용 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발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발판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1스텝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받침부재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인 제2스텝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인 제2스텝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2스텝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용 발판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제1스텝(10)과, 차체 프레임에 구비된 도어(30)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의 제2스텝(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스텝(10)은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1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끝단이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며 판재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받침부재(12)와,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끼움홈(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2)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12')이 반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12')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끝부분이 둥글게 가공된 톱니 형상이나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는 차량 안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가 발판체 올라섰을 때 차량 안쪽으로 발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승하차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낙하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편안하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스텝(2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평판부(21)와, 하부의 도어(30)를 간섭하는 않는 크기로 상기 평판부(21)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연장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평판부(21)와 연장부(22)를 연결하는 절곡부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구멍(23)과 상기 연장부(22)에 이어지는 수직부(2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구멍(23)은 빗물 등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부(24)는 제2스텝(20)의 외측 끝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사각의 톱니 형상을 이룸으로써, 수평 방향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22)에 이어지는 평판부(21)의 끝부분은,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평판부(21)에 남아 있는 빗물이 외측 방향으로 흘러 상기 구멍(2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게차용 발판은, 운전자가 승차 또는 하차를 위하여 밟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운전자가 승차하기 위하여 제1스텝(10)을 밟게 되면, 운전자의 신발에 묻어 있는 흙덩이나 눈 등의 이물질이 받침부재(12)의 상단에 형성된 요철(12')에 의해 분리되어 받침부재(12)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우천시 또는 강설시 빗물이나 눈이 상기 받침부재(12)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상기 제1스텝에(10)는 물이나 눈덩이 및 얼음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 발판에 눈이 쌓일 수도 있지만 신발 등을 이용하여 쓸어냄으로써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제1스텝(10)을 밟았을 때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스텝(1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받침부재(12)가 차체 안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안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스텝(10)을 밟았을 때 미끄러짐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탑승자가 외측으로 넘어져 낙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하차시 편안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어서, 상단의 제2스텝(20)을 밟은 후 운전석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상기 제2스텝(20)의 외측 방향 끝부분에 복수의 수직부(23)로 이루어진 사각 톱니 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신발이 바닥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다시 한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24)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신발의 저면에 접촉되어 수평 방향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신발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제2스텝(20)의 외측으로 떨어지거나 상기 수직부(24)의 안쪽에 인해 형성된 구멍(23)으로 떨어져 상기 제2스텝(20)에는 남아 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우천시 상기 제2스텝(20)의 평판부(21)에 떨어진 빗물은, 상기 제2스텝(20)의 외측부에 형성된 경사로 인해 외측으로 흐른 후, 상기 구멍(23)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텝(20)에는 빗물 등이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강설시 상기 제2스텝(20)의 평판부(21) 상면에 눈이 남아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눈을 먼저 제거한 후 승차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부(21)에 남아 있는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직부(24)가 평판부(21)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신발이 제2스텝(20)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텝(20)을 밟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미끄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스텝
11...내측 부재
12...받침부재
12'...요철
13...고정부재
13'...끼움홈
20...제2스텝
21...평판부
22...연장부
23...구멍
24...수직부
30...도어

Claims (5)

  1. 지게차의 차체 측부에 설치되는 하부의 제1스텝(10)과 상부의 제2스텝(20)으로 이루어지는 지게차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텝(10)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1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끝단이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며 판재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받침부재(12)와,
    상기 내측 부재(11)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끼움홈(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텝(20)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평판부(21)와, 하부의 도어를 간섭하는 않는 크기로 상기 평판부(21)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연장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부(21)와 연장부(22)를 연결하는 절곡부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구멍(23)과 상기 연장부에 이어지는 수직부(24)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12')이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는 차량 안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발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에 이어지는 평판부(21)의 끝부분이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발판.
KR2020160007396U 2016-12-20 2016-12-20 지게차용 발판 KR200494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96U KR200494053Y1 (ko) 2016-12-20 2016-12-20 지게차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96U KR200494053Y1 (ko) 2016-12-20 2016-12-20 지게차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41U KR20180001941U (ko) 2018-06-28
KR200494053Y1 true KR200494053Y1 (ko) 2021-07-21

Family

ID=6274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96U KR200494053Y1 (ko) 2016-12-20 2016-12-20 지게차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1101A (zh) * 2018-10-10 2019-01-04 安徽省华晟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减震式汽车车门踏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511Y1 (ko) 1993-12-29 1998-12-01 케빈 엠. 리어든 입승식 지게차의 발판쿠션장치
KR20090006429U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절토부 점검용 발판
KR200464636Y1 (ko) * 2011-05-31 2013-01-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KR101489654B1 (ko) * 2013-05-27 2015-02-04 김학성 지게차 발판에 의한 개방공간 수평밀폐장치
KR102299047B1 (ko) * 2014-10-30 2021-09-06 주식회사 두산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41U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0721A1 (en) Ladder safety device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US5064023A (en) Flexible ladder for use on moving conveyances
US20130104322A1 (en) Movable Vehicle Roof Sweeper
KR101414821B1 (ko) 조립식 계단
KR200494053Y1 (ko) 지게차용 발판
US8584295B1 (en) Rollable snow and ice remover for vehicle roofs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JP3198282U (ja) トラック用梯子
KR200483976Y1 (ko) 상하차용 받침대
EP2733097B1 (fr) Pont adossé son procédé d'installation et utilisation
US10351108B2 (en) Snow and ice remover for vehicle roofs
KR200406369Y1 (ko)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JP2008019605A (ja) 多目的ステージ
KR200464636Y1 (ko)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KR20140046237A (ko)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20130073339A (ko) 작업정반 승하용 높이조절 사다리
KR20200106469A (ko) 보조커버의 높이조절이 연동되는 경사면 발판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CN203008768U (zh) 双通道可移动转向登高车
KR200464566Y1 (ko) 하중 보강용 그레이팅
CA3041235A1 (en) Outdoor mobile loading dock
KR101603783B1 (ko) 매트 스위치
CN218235022U (zh) 客车顶置空调的安装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