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82B1 - 작업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작업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82B1
KR101187982B1 KR1020100029274A KR20100029274A KR101187982B1 KR 101187982 B1 KR101187982 B1 KR 101187982B1 KR 1020100029274 A KR1020100029274 A KR 1020100029274A KR 20100029274 A KR20100029274 A KR 20100029274A KR 101187982 B1 KR101187982 B1 KR 10118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protrusion
safety
wor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503A (ko
Inventor
김갑득
박세광
송성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율이 개선된 작업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발판은 디딤부가 구비되는 안전발판 본체와; 상기 디딤부의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의 평면 구조는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인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강성이 향상되며, 미끄럼 방지 효율을 개선될 수 있고, 돌출부의 형상이 단면계수가 큰 구조로 형성되어 외력의 작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되며,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가 최대한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안전발판{SAFETY FOOTING FOR A WORK}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율이 개선된 작업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발판은 건축현장,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등에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용 안전발판은 다양한 작업 수행이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안전발판은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평판 구조로 디딤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디딤부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통공(구멍)이 형성되며, 통공의 둘레(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다.
즉, 종래의 안전발판은 미끄럼 방지부가 상부로 돌출된 구조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 안전발판이 사용되거나, 또는 작업시 돌출부에 한계 이상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상황이 발생되곤 하는데, 이 경우,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는 단면계수가 작기 때문에 안전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압착되거나 처짐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미끄럼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상실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변형된 돌출부의 영역으로부터 안전발판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안전발판이 계단으로 이용되는 경우, 안전발판의 변형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더욱 커진다. 그리고, 길이방향으로의 슬립방지 효과가 뛰어나지만 전도사고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폭방향에서의 미끄럼에 대한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종래의 안전발판을 계단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불리한 실정이다.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작업자 및 작업장비 등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굽힘모멘트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단면을 크게 하거나 발판의 하면에 보강 부재를 추가해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안전발판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율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돌출부의 형상을 단면계수가 큰 구조로 형성하므로 외력의 작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가 최대한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돌출부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면서 돌출부에 돌기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작업용 안전발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율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용 안전발판은 디딤부가 구비되는 안전발판 본체와; 디딤부의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부의 평면 구조는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인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는 그 상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는 평면 구조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요철형상의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부는 복수의 횡과 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디딤부는 복수의 배수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수부는 디딤부의 하방으로 함몰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의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강성이 향상되며, 미끄럼 방지 효율을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의 형상이 단면계수가 큰 구조로 형성되어 외력의 작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가 최대한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돌출부에 돌기가 더 구비되므로 인해 미끄럼 방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안전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안전발판의 미끄럼 방지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안전발판의 배수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안전발판의 선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안전발판의 선 "B-B"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작업용 안전발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율이 개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발판(100)은 안전발판 본체(110)와 상기 안전발판 본체(110)의 상부에 미끄럼 방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부(120)와 더불어 도시된 것과 같은 배수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발판 본체(110)는 물건을 적치시키기 위한 받침대로 이용되는 팔레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안전발판 본체(110)는 지지부(111)가 구비되고, 바닥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디딤부(112)가 상기 지지부(1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딤부(112)는 가로와 세로 길이가 일정 비율로 이루어지는 평판구조로 작업자가 딛고 작업을 수행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부(111)는 상기 디딤부(112)의 양단부 또는 디딤부(112)의 둘레를 따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디딤부(112)의 중앙부를 더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딤부(112)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0)는 단면계수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면서 강성이 증가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120)는 디딤부(112)의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12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121)는 평면 구조가 웨이브(Wave) 형상의 폐곡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웨이브 형상은 곡선 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 다각형 또는 곡선과 다각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요철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21)는 디딤부(112)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버(burr)를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돌출부(121)는 평면 구조가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딤부(112)를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통공(122)을 형성시킬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통공(122)의 주위, 즉 통공(122)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12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21)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폐곡선은 통공(122)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21a)와 안쪽으로 함몰되는 오목부(121b)가 교대로 형성되어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웨이브 형상은 원호가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호의 중심은 서로 엇갈리는 구조로 배치되고, 원호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해 외력에 의한 변형에 강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돌출부(121)가 단순한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볼록부(121a)와 오목부(121b)가 서로 엇갈리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21)의 평면 구조를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여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 굽힘 모멘트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일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장방형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21)는 미끄럼 방지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상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돌기(12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123)는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21)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하여 돌기(123)가 다양한 각도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방향에 대하여 돌기(123)의 배치되는 방향이 최대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123)의 배치 방향에 의해, 상기 안전발판(100)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가능한 모든 방향에 대한 미끄럼 방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미끄럼 방지부(120)는 디딤부(112) 상에 복수의 횡과 열로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끄럼 방지부(120)는 디딤부(112) 상에 산개되어 분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딤부(112)에는 미끄럼을 유발시키는 기름이나 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디딤부(112)의 상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수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부(130)는 기름이나 물 또는 그 밖에 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멍(131)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더불어, 기름이나 물 또는 그 밖에 오염물질의 배출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멍(131) 주위에 함몰부(13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부(130)의 구성에 의해 미끄럼을 유발시키는 기름이나 물 또는 그 밖의 오염물질이 상기 함몰부(132)로 유입되어 구멍(1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부(130)는 각 미끄럼 방지부(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120)가 복수의 횡과 열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수부(130)는 미끄럼 방지부(120)의 횡과 열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복수의 횡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미끄럼 방지부(120)가 산개된 상태로 디딤부(112)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수부(130)도 디딤부(112) 상에 산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작업용 안전발판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안전발판 110 ... 안전발판 본체
111 ... 지지부 112 ... 디딤부
120 ... 미끄럼 방지부 121 ... 돌출부
121a ... 볼록부 121b ... 오목부
122 ... 통공 123 ... 돌기
130 ... 배수부 131 ... 구멍
132 ... 함몰부

Claims (6)

  1. 디딤부가 구비되는 안전발판 본체와;
    상기 디딤부의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평면 구조는 상기 돌출부에 마련된 연속되는 요철에 의해 웨이브 형상을 갖는 장방형의 폐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그 상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폐곡선은,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안쪽으로 함몰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발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웨이브 형상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다양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발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복수의 횡과 열로 배열되는 작업용 안전발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는 복수의 배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발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디딤부의 하방으로 함몰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의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작업용 안전발판.
KR1020100029274A 2010-03-31 2010-03-31 작업용 안전발판 KR10118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74A KR101187982B1 (ko) 2010-03-31 2010-03-31 작업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74A KR101187982B1 (ko) 2010-03-31 2010-03-31 작업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503A KR20110109503A (ko) 2011-10-06
KR101187982B1 true KR101187982B1 (ko) 2012-10-04

Family

ID=4502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274A KR101187982B1 (ko) 2010-03-31 2010-03-31 작업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696B1 (ko) 2022-09-17 2023-06-20 주식회사 한도펀칭 작업 발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00Y1 (ko) * 2014-07-10 2016-01-13 (주)백양씨엠피 작업용 안전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696B1 (ko) 2022-09-17 2023-06-20 주식회사 한도펀칭 작업 발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503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29B1 (ko) 조선·해양 플랜트 작업발판용 발끝막이판
US20160355993A1 (en) Crane mat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JP4093454B2 (ja) 滑り止め材
KR100954229B1 (ko) 선박용 족장
KR20090009042U (ko) 안전발판
KR100984774B1 (ko) 사다리용 발판
KR102386310B1 (ko) 작업 계단
KR200463733Y1 (ko) 사다리용 안전 발판
KR200479300Y1 (ko) 작업용 안전 발판
KR20100113881A (ko) 작업용 발판
KR20170001846U (ko)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CN210918009U (zh) 一种组合式预制楼梯
KR200169462Y1 (ko) 철제 발판
KR20080000358U (ko) 작업용 발판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110007013U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050120606A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050120607A (ko)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0386825Y1 (ko) 선박 작업용 발판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KR102299315B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JP4408791B2 (ja) グレーチング
KR102257578B1 (ko) 계단용 논슬립 디딤판과 그의 제작방법
US9580880B2 (en) Sheeting panels for trench-shor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