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46U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846U KR20170001846U KR2020150007489U KR20150007489U KR20170001846U KR 20170001846 U KR20170001846 U KR 20170001846U KR 2020150007489 U KR2020150007489 U KR 2020150007489U KR 20150007489 U KR20150007489 U KR 20150007489U KR 20170001846 U KR20170001846 U KR 2017000184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p
- bar
- bearing
- grating
- groov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체결된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및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를 둘러싸도록,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각각의 단부를 연결한 엔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그레이팅으로서,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발판으로서 활용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Grating)은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빗물 등이 배수로에 유입되고 동시에 그레이팅의 상부에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격자형 구조물을 말한다.
또한 그레이팅은 공사 현장에서 복수 개의 그레이팅을 연결하여 계단 등을 제작하여 임시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엔드바(End bar)(3)와, 상기 엔드바(3)의 내측에 직교하여 설치되는 베어링 바(Bearing bar)(1)와 크로스 바(Cross bar)(2)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그레이팅은 격자구조물의 상면이 평면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우천시 작업자가 쉽게 미끄러져서 넘어지거나 나아가 이로 인하여 추락사고 등의 각종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에 미끄럼방지홈이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체결된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및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를 둘러싸도록,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연장된 엔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반원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방지홈의 반지름은 3mm 내지 4mm일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미끄럼방지홈의 피치는 12mm 내지 13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각형이며, 상면과 내부 측면과의 각도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에서 복수 개의 상기 미끄럼방지홈 사이에는 상측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내부면이 테이퍼지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바는 종단면이 I형 타입이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은,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이러한 미끄럼방지홈이 적정한 형상, 깊이, 피치로 이루어지고, 나아가 테이퍼지게 돌출된 형상구조를 취함으로써, 보행자 및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효과를 최대한 증대시킴에 따라, 보행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미끄럼방지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미끄럼방지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체결된 베어링바(10)와 크로스바(20), 및 상기 베어링바(10)와 크로스바(20)를 둘러싸도록 베어링바(10)와 크로스바(20)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연장된 엔드바(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적 특징으로서 상기 베어링바(10) 및 엔드바(30)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G)이 형성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홈(G)은, 그레이팅의 상부를 보행자가 걸으면서 밟아서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밟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미끄러져서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그레이팅과 같이 크로스바(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 형상으로 외면이 꼬여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미끄럼방지기능을 가지지만, 본 고안은 이에 더하여 베어링바(10)와 엔드바(30) 각각에 미끄럼방지홈(G)이 형성됨으로써, 미끄럼방지기능을 보강하게 된다.
특히, 상기 미끄럼방지홈(G)이 베어링바(10) 뿐만 아니라 엔드바(30)까지 형성됨으로써,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그레이팅의 테두리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복수 개의 그레이팅이 연결되어 배치 시 연결된 부분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홈(G)은 베어링바(10) 및 엔드바(30)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그레이팅의 미끄럼방지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홈(G)은 종단면형상이 반원형상을 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미끄럼방지홈(G)의 내부에 남은 물기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홈(G)의 반지름은 3mm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홈(G)의 반지름이 3mm미만인 경우 미끄럼방지능이 저하될 수 있고, 4mm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끄럼방지홈(G)은 반지름이 3mm 내지 4mm로서 그레이팅의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끄럼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의 피치는 12mm 내지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에서 각각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12mm미만인 경우 미끄럼방지능이 저하될 수 있고, 13mm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은 피치가 12mm 내지 13mm로서 그레이팅의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끄럼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링바(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I형 타입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바(10)는 I형 타입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위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베어링바(10)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종국적으로 생산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미끄럼방지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방지홈(G)은 일 실시예로서 각형이며, 상면과 내부 측면과의 각도(θ)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끄럼방지홈(G)의 상면과 내부 측면과의 각도가 둔각(θ)을 이룸으로써, 미끄럼방지홈(G)의 상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부분이 뾰족한 형상을 취함에 따라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신발 하면에 대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그레이팅은, 베어링바(10) 및 엔드바(30)에서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 사이에 상측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돌기(S)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 사이의 부분이 평평한 형상을 취하는 것보다 미끄럼방지돌기(S)와 같이 뾰족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미끄럼방지에 있어서 보다 더 효과적인데, 특히 상방으로 테이퍼지는 형상은 물고임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신발 하면에 대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나아가, 베어링바(10)와 엔드바(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이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방지효과를 가지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G) 사이의 부분에 상측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돌기(S)가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폭방향으로의 미끄럼방지효과도 함께 가짐에 따라, 전체적인 미끄럼방지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미끄럼방지홈(G)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이 테이퍼지게 돌출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지게 돌출된 형상의 미끄럼방지홈(G)은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신발이 하측으로 눌려서 일부가 인입되는 경우, 뾰족한 형상으로 인하여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미끄럼방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고, 아울러 상술된 바와 같은 폭방향 미끄럼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보다 원활하면서도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여 물고임에 의한 미끄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베어링바(10) 및 엔드바(30)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G)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이러한 미끄럼방지홈(G)이 적정한 형상, 깊이, 피치로 이루어지고, 나아가 테이퍼지게 돌출된 형상구조를 취함으로써, 보행자 및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효과를 최대한 증대시킴에 따라, 보행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베어링바
20 : 크로스바
30 : 엔드바 G : 미끄럼방지홈
S : 미끄럼방지돌기
30 : 엔드바 G : 미끄럼방지홈
S : 미끄럼방지돌기
Claims (9)
-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체결된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및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를 둘러싸도록, 상기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연장된 엔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의 상부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의 반지름은 3mm 내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미끄럼방지홈의 피치는 12mm 내지 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각형이며, 상면과 내부 측면과의 각도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바 및 엔드바에서 복수 개의 상기 미끄럼방지홈 사이에는 상측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내부면이 테이퍼지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바는 종단면이 I형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형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489U KR20170001846U (ko) | 2015-11-18 | 2015-11-18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489U KR20170001846U (ko) | 2015-11-18 | 2015-11-18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846U true KR20170001846U (ko) | 2017-05-29 |
Family
ID=5902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489U KR20170001846U (ko) | 2015-11-18 | 2015-11-18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184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8687B1 (ko) | 2019-08-07 | 2020-01-21 | 김정욱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KR20200122129A (ko) | 2019-04-17 | 2020-10-27 | (주)태흥그레이팅 |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
-
2015
- 2015-11-18 KR KR2020150007489U patent/KR2017000184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2129A (ko) | 2019-04-17 | 2020-10-27 | (주)태흥그레이팅 |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
KR102068687B1 (ko) | 2019-08-07 | 2020-01-21 | 김정욱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8216C (en) | Grating | |
KR101414821B1 (ko) | 조립식 계단 | |
KR102434171B1 (ko) | 그레이팅 커버의 결합 구조 | |
KR20170001846U (ko) |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 |
KR200459894Y1 (ko) |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 |
KR20150116505A (ko) | 목재 데크 구조물 | |
KR200479300Y1 (ko) | 작업용 안전 발판 | |
KR200463733Y1 (ko) | 사다리용 안전 발판 | |
KR20110007013U (ko) | 배수용 그레이팅 | |
KR20120007726A (ko) | 스틸 그레이팅 | |
KR102207451B1 (ko) | 다기능성 보행 매트 | |
KR20160001230U (ko) | 배수 트렌치 | |
KR101308627B1 (ko) | 철골계단 디딤판 조립체 | |
KR102212502B1 (ko) | 그레이팅용 클립 | |
KR20110109503A (ko) | 작업용 안전발판 | |
WO2012147066A1 (en) | Module for obtaining a perimeter grating for swimming pools | |
AU2013311585B2 (en) | Cover | |
JP5641579B2 (ja) | 階段構造 | |
KR20110006572U (ko) |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 |
KR20100084801A (ko) | 갱폼용 작업발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50120606A (ko) | 건축용 안전발판 | |
KR102299315B1 (ko) |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 |
KR20110111208A (ko) | 배수구용 그레이팅 | |
JP3193027U (ja) | 工事現場用マット | |
EP2312078B1 (en) | Improved grating for the overflow edge of swimming poo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