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774B1 - 사다리용 발판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774B1
KR100984774B1 KR1020080083499A KR20080083499A KR100984774B1 KR 100984774 B1 KR100984774 B1 KR 100984774B1 KR 1020080083499 A KR1020080083499 A KR 1020080083499A KR 20080083499 A KR20080083499 A KR 20080083499A KR 100984774 B1 KR100984774 B1 KR 10098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rtion
ladder
footrest
concave groove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785A (ko
Inventor
박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건
Priority to KR102008008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7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0Reinforcements for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향상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사다리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은 테두리부(20)에 오목홈(25)이 형성되어, 테두리부(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발판(A)을 반복적으로 밟음에 따라 발판(A)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다리, 발판, 오목홈, 돌출부, 자석

Description

사다리용 발판{ladder foot-hold}
본 발명은 강도가 향상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사다리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B)와, 상기 지지바(B)의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발판(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A)은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상판(10)과, 상판(10)의 둘레면에서 하향연장되는 테두리부(20)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B)에 대해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양측면이 지지바(B)의 인접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되어, 지지바(B)를 경사지게 배치하면 발판(A)이 수평을 이루게 되어, 사용자가 발판(A)을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다리용 발판은 사용자들이 발판(A)의 선단부를 주로 밟고 다니게 되는데, 상판(10)의 둘레면에서 하향연장된 테두리부(20)만으로는 상판(10)을 충분히 지지하기 여려우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발판(A)의 선단부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져,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A)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A)을 밟고 올라갈 때 발이 미끄러지져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도를 확보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사다리용 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10)과, 상판(10)의 둘레면에서 하향 또는 상향연장되는 테두리부(20)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호이격된 한쌍의 지지바(B)의 사이에 결합되는 사다리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0)에는 테두리부(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오목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발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은 테두리부(20)에 오목홈(25)이 형성되어, 테두리부(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발판(A)을 반복적으로 밟음에 따라 발판(A)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은 상판(10)과, 상판(10)의 둘레면에서 하향 또는 상향연장되는 테두리부(20)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호이격된 한쌍의 지지바(B)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은 종래의 발판(A)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0)는 상판(10)의 전방과 양측에서 하향연장된 전면 및 측면 테두리부(21,22)와, 상기 상판(10)의 후방에서 상향연장된 후방 테두리부(23)로 이루어지며, 전면 및 측면 테두리부(21,22)는 상판(10)을 이루는 판재의 둘레면을 프레스로 하향가압하여 단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4)는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의 전체면 중에서 지지바(B)와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측면 테두리부(22)의 중간부를 사각형으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레스가공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발판(A)을 지지바(B)에 결합할 때, 상기 돌출부(24)를 지지바(B)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결합, 특히, 용접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0)에는 오목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25)은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 및 측면 테두리부(21,22)를 가압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으로, 테두리부(20)가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하여 테두리부(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에 형성되는 오목홈(25)은 상기 돌출부(24)를 전후방으로 가로지르도록(오목부의 전후단이 돌출부(24)의 전후단부를 지나 측면 테두리부(22)의 전후단부 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사다리용 발판은 상기 테두리부(20)에 오목홈(25)을 형성하여, 테두리부(20)의 강도를 보강하므로써, 상판(10)을 지지하여 상판(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판(10) 및 테두리부(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 발판(A)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발판(A)이 휘어짐에 따라 발이 미끄러져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에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사다리를 제작하는 제작자가 측면 테두리부(22)와 지지바(B)의 결합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측면 테두리부(22)와 지지바(B)의 결합위치를 손쉽게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24)를 전우방향으로 가로지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4)의 강도를 보강하여, 발판(A)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돌출부(24)가 변형되어 발판(A) 전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돌출부(24)는 측면 테두리부(22)에서 돌출되어 지지바(B)에 고정결합되므로 발판(A)에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될 뿐 아니라, 지지바(B)와 용접결합할 때 가해지는 열에 의해 강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발판(A)을 반복적으로 밟음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돌출부(24)가 변형되어, 발판(A) 전체가 전단부가 하강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돌출부(24)에는, 상기 오목홈(25)이 전후방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4)를 보강함에 따라, 돌출부(2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선단부가 하항되도록 발판(A)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목홈(25)이 전면 및 측면 테두리부(21,22)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에만 오목홈(2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판(A)은 돌출부(24)가 지지바(B)에 용접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볼트를 이용하여 발판(A)을 지지바(B)에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발판(A)은 자성체인 철판을 가공하여 제작되며, 상기 오목홈(25)에는 자석부재(30)가 매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30)는 반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25) 특히, 상기 전면 테두리부(21)에 형성된 오목홈(25)에 매입되므로써, 외부면이 발판(A)의 테두리부(2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발판(A)은 자석부재(30)의 자력에 의해 발판(A) 전체가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사다리를 오르는 사용자가 볼트나 너트를 비롯한 자성체의 물체를 떨어뜨릴 경우, 떨어진 물체가 발판(A)에 달라붙게 되므로, 떨어진 물체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떨어진 물체가 밑에 있는 사람에 맞아 부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자석부재(30)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홈(25)에 매입되므로, 사다리를 오르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가 자석부재(30)에 충돌하여, 자석부재(30)가 깨지거나,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판(A)은 자성체인 철판으로 제작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발판(A)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비자성체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발판(A) 자체는 자성을 띄지 않고, 오목홈(25)에 삽입된 자석부재(30)만 자력을 발생시키므로, 발판(A)의 상면에 떨어진 물체는 발판(A)의 상면에 떨어질 경우에도, 자석부재(30)의 자력에 의해 이끌려 테두리부(20)의 오목홈(25)에 매입된 자석부재(30)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물체가 발판(A)의 둘레면쪽으로 끌려가게 되므로, 사다리를 오르는 사용자가 발판(A)의 상면에 떨어진 물체를 밟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다리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사다리용 발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Claims (4)

  1. 상판(10)과, 상판(10)의 둘레면에서 하향 또는 상향연장되는 테두리부(20)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호이격된 한쌍의 지지바(B)의 사이에 결합되는 사다리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0)에는 테두리부(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오목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0)는 상판(10)의 전방에서 하향연장된 전면 테두리부(21)와, 상판(10)의 양측에서 하향연장된 측면 테두리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테두리부(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바(B)와 고정결합되는 돌출부(24)가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25)은 돌출부(24)를 전후방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25)에는 자석부재(30)가 매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발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A)은 비자성체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발판.
KR1020080083499A 2008-08-26 2008-08-26 사다리용 발판 KR10098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99A KR100984774B1 (ko) 2008-08-26 2008-08-26 사다리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99A KR100984774B1 (ko) 2008-08-26 2008-08-26 사다리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85A KR20100024785A (ko) 2010-03-08
KR100984774B1 true KR100984774B1 (ko) 2010-10-01

Family

ID=4217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499A KR100984774B1 (ko) 2008-08-26 2008-08-26 사다리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866B1 (ko) 2020-04-24 2020-08-12 이한억 건축용 사다리의 후크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75B1 (ko) * 2013-07-08 2014-08-26 (주) 주암전기통신 솔라 래더
CN110805393A (zh) * 2019-12-05 2020-02-18 西安鑫烁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组合梯
KR102228108B1 (ko) * 2020-04-06 2021-03-16 주식회사 아이캠퍼 사다리용 안전 장치
CN111809846A (zh) * 2020-08-12 2020-10-23 于丽丽 一种智能型古建筑墙体修复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337U (ko) 1975-12-25 1977-07-04
KR20030024340A (ko) * 2001-09-18 2003-03-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KR200324340Y1 (ko) 2003-05-30 2003-08-21 충 완 황보 사다리용 프레임
KR100607451B1 (ko) 2005-09-27 2006-08-02 권택철 개폐형 안전사다리
KR20090004795U (ko) * 2007-11-15 2009-05-20 이병기 안전 사다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337U (ko) 1975-12-25 1977-07-04
KR20030024340A (ko) * 2001-09-18 2003-03-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KR200324340Y1 (ko) 2003-05-30 2003-08-21 충 완 황보 사다리용 프레임
KR100607451B1 (ko) 2005-09-27 2006-08-02 권택철 개폐형 안전사다리
KR20090004795U (ko) * 2007-11-15 2009-05-20 이병기 안전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866B1 (ko) 2020-04-24 2020-08-12 이한억 건축용 사다리의 후크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85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774B1 (ko) 사다리용 발판
CA2938216A1 (en) Grating
WO2015121628A1 (en) Ladder brace
EP1584772A2 (en) Support structure
KR20130084270A (ko)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200479300Y1 (ko) 작업용 안전 발판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1278256B1 (ko) 발 디딤판이 부착된 삽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0169462Y1 (ko) 철제 발판
KR20050120607A (ko)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0366815Y1 (ko) 사다리
KR20110007013U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170001846U (ko) 미끄럼 방지형 그레이팅
KR102143866B1 (ko) 건축용 사다리의 후크 결합구조
CN219864052U (zh) 一种楼层施工时的施工爬梯结构
KR102257578B1 (ko) 계단용 논슬립 디딤판과 그의 제작방법
KR200324340Y1 (ko) 사다리용 프레임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JP3317929B2 (ja) 梯子用中間足掛具
CN214329851U (zh) 一种安全脚手架跳板
KR200470629Y1 (ko) 강도 및 조립성이 향상된 작업용 안전발판
KR20130004636U (ko) 비후크타입의 건축비계용 발판
JP4746008B2 (ja) 脚立
KR200403161Y1 (ko) 실족 방지용 안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