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77Y1 -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677Y1
KR200483677Y1 KR2020150006599U KR20150006599U KR200483677Y1 KR 200483677 Y1 KR200483677 Y1 KR 200483677Y1 KR 2020150006599 U KR2020150006599 U KR 2020150006599U KR 20150006599 U KR20150006599 U KR 20150006599U KR 200483677 Y1 KR200483677 Y1 KR 200483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caffold
side cover
cover plate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386U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일산업
Priority to KR2020150006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67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개시한다. 개시된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은 비계의 작업지지대에 접촉되는 함몰지지부와, 작업자가 밟도록 상기 함몰지지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한 버링홀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발판부를 구비하며 함몰지지부와 논슬립발판부가 연속되게 반복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함몰지지부 중 가장 일측에 위치하는 함몰지지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로 떨어지는 작업공구가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로 떨어지는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이 측면커버플레이트에 걸리게 되므로, 공구 및 물건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SAFETY BOARD ARCHITECTURAL SCAFFOLD}
본 고안은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슬립을 방지하고, 작업도구가 떨어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설 및 보수공사, 건물/기계를 청소할 때 작업인부와 자재를 들어올리고 받쳐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모양과 쓰임새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발판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비계는 크게 목재비계와 강관비계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철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강관비계를 사용하게 되고, 강관비계의 경우 특정 형태, 길이, 높이 등으로 손쉽게 세울 수 있다. 그리고 비계에는 작업자가 안전한 작업과 보행을 위하여 작업발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비계는 건설 현장은 물론 선박 건조 시 조선소 등에서 사용하게 되며, 작업발판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바닥판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보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비계용 작업발판은 2층 이상의 일반 건축물이나 고층빌딩 및 탑 등과 같이 높이의 구조물을 시공할 시 필요한 자재 및 공구의 운반과 함께 작업자가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외부에 적절한 활동공간을 제공하여 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계용 작업발판은 바닥으로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을 떨어뜨면 밖으로 튀어나가 공구 및 물건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계용 작업발판은 양측의 날카로운 절단면으로 인하여 설치작업중에 작업자가 쉽게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579호(등록일:2003년05월15일)에는 "갱품용 안전발판"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348호(등록일:2005년07월22일)에는 "슬라이드식 안전발판"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 및 물건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날카로운 절단면으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은, 비계의 작업지지대에 접촉되는 함몰지지부와, 작업자가 밟도록 상기 함몰지지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한 버링홀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발판부가 연속되게 반복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함몰지지부 중 가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함몰지지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 떨어지는 작업공구가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은, 상기 함몰지지부 중 가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함몰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의 단부에서 각각 절곡형성되어 절단면을 커버하는 상해방지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몰지지부와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의 절곡부위에는 휨보강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베이스플레이트로 떨어지는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이 측면커버플레이트에 걸리게 되므로, 공구 및 물건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에 의하면, 양 끝단부에 절곡을 통해 상해방지 절곡부가 형성되므로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이 적측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이 적측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건축물의 외벽(10)을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사용이 완료된 거푸집을 분해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외측에 가설된다. 이때, 건축물의 외벽(10)에는 수직지지봉(21)과 수평지지봉(23)으로 이루어진 작업지지대(20)가 설치되고, 작업지지대(20)에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이 조립된다.
이처럼 건축물의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지지대(20)는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설계치수가 결정되어 매 현장마다 상이한 설계에 따른 치수를 가지며, 작업지지대(20)에 가설되는 안전발판(100)도 작업지지대(20)의 형태나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와 폭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수평지지봉(23)에 안착되어 U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베이스플레이트(110)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측면커버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측면 절단면을 커버하는 상해방지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전후단부가 중첩되도록 복수개가 연속으로 배열되게 작업지지대(20)에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수평지지봉(23)에 접촉되는 함몰지지부(111)와, 작업자가 밟도록 함몰지지부(111)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논슬립발판부(113)로 이루어지며, 함몰지지부(111)와 논슬립발판부(113)가 양측 폭방향으로 연속되게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논슬립발판부(113)의 폭(W1)이 함몰지지부(111)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된다.
함몰지지부(111)는 U볼트의 체결을 통해 수평지지봉(23)에 고정되도록 U볼트가 관통하는 결합공(111a)이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이 중첩될 때 상하의 함몰지지부(111)의 결합공(111a)이 상하로 정렬되어 연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중첩된 2개의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을 수평지지봉(23)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논슬립발판부(113)는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을 보행하는 작업자가 밟게 되며,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링홀부(113a)가 상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논슬립발판부(113)는 버링홀부(113a)가 형성됨에 따라 버(113b)가 돌출 형성된다. 특히, 논슬립발판부(113)는 버(113b)의 높이(H1)가 2mm이하로 형성되는데, 이는 버(113b)의 높이(H1)가 2mm를 초과하게 되면 보행중 작업자가 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발에 과도한 이물감을 주게 되어 보행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측면커버플레이트(120)는 함몰지지부(111) 중 가장 일측에 위치하는 함몰지지부(111)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작업 중 베이스플레이트(110)로 떨어지는 작업공구와 기타 작업도구가 안전발판(100)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중 작업자가 발을 잘 못 딛어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공구 및 기타 물건이 측면커버플레이트(120)에 걸리게 되어 공구 및 물건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설치작업 또는 운반작업 중에 파지에 의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절단면 예를 들어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상단과 함몰지지부(111) 중 가장 타측의 단면의 파지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도록 상해방지 절곡부(130)가 형성된다.
상해방지 절곡부(130)는 함몰지지부(111)의 끝단부가 절곡된다. 또한, 상해방지 절곡부(130)는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상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해방지 절곡부(130)는 함몰지지부(111) 및 측면커버플레이트(120)에서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측면커버플레이트(120)가 외력에 의해 펴지거나 접히는 것이 방지되면서 절곡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휨보강돌부(121)가 형성된다.
휨보강돌부(121)는 함몰지지부(111)와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절곡부위에서 안전발판(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휨보강돌부(121)는 안전발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다름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이 적측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100)은 2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하로 배치되는 함몰지지부(111)의 결합공(111a)을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결합공 정렬돌부(123)를 구비한다.
결합공 정렬돌부(123)는 측면커버플레이트(120)에서 안전발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공 정렬돌부(123)는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4개씩 형성되며, 이격거리(D1)가 결합공(111a)의 이격거리(D2)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결합공 정렬돌부(123)는 측면커버플레이트(120)에서 안전발판(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공 정렬돌부(123)는 중첩되는 안전발판(100) 중 상측 안전발판(100)의 결합공 정렬돌부(123)가 하측 안전발판(100)의 결합공 정렬돌부(123)에 삽입되면서 상하 안전발판(100)의 결합공(111a)을 연통시키게 된다. 더하여, 결합공 정렬돌부(123)에 의해 상호 중첩되는 안전발판(100)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결합공(111a)에 U볼트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공 정렬돌부(123)는 적층에 따라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측면커버플레이트(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돌출되는 넓이가 점진적으로 넓어짐과 동시에 돌출되는 높이 또한 점진적으로 높아 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되는 상측 안전발판(100)의 결합공 정렬돌부(123)에 하측 안전발판(100)의 결합공 정렬돌부(123)가 원활하게 삽입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10 : 외벽
20 : 작업지지대 21 : 수직지지대
23 : 수평지지대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함몰지지부 111a : 결합공
113 : 논슬립발판부 113a : 버링홀부
113b : 버 120 : 측면커버플레이트
121 : 휨보강돌부 123 : 결합공 정렬돌부
130 : 상해방지 절곡부

Claims (3)

  1. 비계의 작업지지대에 접촉되는 함몰지지부와, 작업자가 밟도록 상기 함몰지지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한 버링홀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발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지지부와 상기 논슬립발판부가 연속되게 반복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함몰지지부 중 가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함몰지지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 떨어지는 작업공구가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지지부와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의 절곡부위에는 휨보강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적층할 때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함몰지지부의 결합공이 간편하게 정렬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넓이가 점진적으로 넓어짐과 동시에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결합공 정렬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지지부 중 가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함몰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의 단부에서 각각 절곡형성되어 절단면을 커버하는 상해방지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3. 삭제
KR2020150006599U 2015-10-07 2015-10-07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0483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99U KR200483677Y1 (ko) 2015-10-07 2015-10-07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99U KR200483677Y1 (ko) 2015-10-07 2015-10-07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86U KR20170001386U (ko) 2017-04-18
KR200483677Y1 true KR200483677Y1 (ko) 2017-06-14

Family

ID=5866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99U KR200483677Y1 (ko) 2015-10-07 2015-10-07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6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889B1 (ko) * 2019-03-22 2020-02-26 김흥규 다단롤포밍장치와 금형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44B1 (ko) * 1993-08-12 1996-03-25 삼성건설주식회사 방수턱거푸집
KR20050120607A (ko) * 2005-12-06 2005-12-22 성원강업 주식회사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090009042U (ko) * 2008-03-05 2009-09-09 김종선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86U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29B1 (ko) 조선·해양 플랜트 작업발판용 발끝막이판
KR20100104140A (ko)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20190123441A (ko)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KR101459723B1 (ko) 비계용 발끝막이판
KR200444262Y1 (ko) 조선소용 작업발판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150098771A (ko) 가설 난간용 지주
KR20100024785A (ko) 사다리용 발판
CN207863427U (zh) 一种t梁脚手架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200331403Y1 (ko)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CN206591804U (zh) 一种用于建筑工地上的新型桥板
JPH11193627A (ja) 足場板
CN219864052U (zh) 一种楼层施工时的施工爬梯结构
KR102648050B1 (ko) 거푸집 해체용 공구
CN104975803B (zh) 一种安全梯
CN217076639U (zh) 一种新型机房踏步结构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KR102338929B1 (ko) 비계용 수직사다리
KR20150064446A (ko) 경사면 작업용 사다리
CN208294089U (zh) 一种铝模板施工操作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