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441A -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 Google Patents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441A
KR20190123441A KR1020180047151A KR20180047151A KR20190123441A KR 20190123441 A KR20190123441 A KR 20190123441A KR 1020180047151 A KR1020180047151 A KR 1020180047151A KR 20180047151 A KR20180047151 A KR 20180047151A KR 20190123441 A KR20190123441 A KR 2019012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ip
scaffold
upper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441A/ko
Publication of KR2019012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04G5/002Protections or covers for scaffold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아래로 돌출된 홈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판;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판의 홈의 하부에 고정되며,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모양을 가지고, 안전 발판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하며,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은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중앙선과 70 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는 비계의 안전 발판들 사이의 틈새로 자재, 공구 등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이 이 틈새에 끼여 부상을 입거나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COVER FOR A GAP BETWEEN SCAFFOLD PLANKS}
본 발명은 비계의 안전 발판들 사이의 틈새를 가리기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설, 건축, 공장 등 산업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가설되는 비계의 안전 발판들 사이의 틈새로 자재, 공구 등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건설, 건축,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시설물 설치, 보수, 유지 관리 등의 작업을 위해 장비, 자재 등을 올려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가시설물인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비계(10)에는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놓을 수 있는 다수의 안전 발판(20)이 있고, 이 안전 발판(20)들은 연결 파이프(30)와 연결 고리(40)를 이용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 파이프(30)와 연결 고리(40)를 이용해 안전 발판(20)을 연결하는 방식의 경우, 안전 발판(20) 사이에 약 8 내지 10 cm 정도의 틈새(50)가 존재한다.
그런데, 작업자가 이 안전 발판(20)에서 작업할 때, 부주의로 인해 자재나 공구를 이 틈새(50)로 떨어뜨려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안전 발판(2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발이 이 틈새(50)에 끼여 부상을 입거나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계 틈새용 커버로서, 일본 특허출원공개 2001-288884호에는 발판 사이의 틈새보다 큰 폭을 갖는 판상부와 이 판상부 아래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틈새용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비계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하거나 토치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경우, 불꽃이 뛰어 커버를 손상시키거나 커버가 연소되면서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2001-288884호(2001. 10. 1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건축, 공장 등 산업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가설되는 비계의 안전 발판 사이의 틈새로 자재, 공구 등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로서, 제작이 간편하고 견고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아래로 돌출된 홈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판;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판의 홈의 하부에 고정되며,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모양을 가지고, 안전 발판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하며,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은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중앙선과 70 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구멍의 직경은 20 내지 30 m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의 양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자형 클립의 상부 반원의 직경보다 짧아서 비계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 시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의 각각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서 비계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 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판의 금속 재질이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클립이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재질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판과 클립이 모두 강철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용접,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이 홈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판과 클립이 모두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판과 클립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이 홈의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는 상판과 클립 사이 또는 홈과 클립 사이에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는 건설, 건축, 공장 등 산업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가설되는 비계의 안전 발판들 사이의 틈새로 자재, 공구 등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이 이 틈새에 끼여 부상을 입거나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비계 안전 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는 상부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는 하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설치된 비계 안전 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의 안전 발판의 틈새용 덮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아래 실시예에 다양한 부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부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이 이루어진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크기는 본 발명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부재가 구성요소를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로 표현된 경우, 명백하게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그 부재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의 안전 발판의 틈새용 덮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10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아래로 돌출된 홈(160)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판(120);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판(120)의 홈(160)의 하부에 고정되며,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모양을 가지고, 안전 발판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140)을 포함하며,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120)의 두 영역(120a, 120b)은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중앙선과 70 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120)을 포함한다. 상판(120)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판(120)의 재질은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금속 재질의 상판(120)은 비계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하거나 토치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더라도, 불꽃이 뛰어 덮개(100)가 손상되거나 덮개(100)가 연소되면서 화재가 일어날 염려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판(120)의 금속 재질이 강철 및 알루미늄(예컨대, A606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상판(120)이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판(120)의 좌우 길이는 덮개(100)가 설치될 비계의 안전 발판(20)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짧을 수 있다. 덮개(10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판(120)의 좌우 길이가 안전 발판(20)의 폭보다 약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20)의 상하 폭은 덮개(100) 설치 후에 작업자가 편하게 보행할 수 있는 정도이면 적당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안전 발판(20)에 설치되는 덮개(100)의 경우, 위에서 보았을 때 상판(120)의 상하 폭은 160 내지 200 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판(12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중앙선을 따라 형성되는 홈(160)을 가진다. 홈(160)은 클립(140)이 상판(120)에 보다 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홈(160)이 없는 경우, 둔각을 형성하고 있는 상판(120)의 중앙 하부에 금속 재질의 클립(140)을 예컨대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다. 반면에, 상판(120)이 아래로 돌출된 홈(160)을 갖고 있는 경우, 그 하부에 클립(140)을 예컨대 용접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클립(140)을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홈(160)의 하부에 고정할 경우에도, 볼트의 머리부나 리벳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외부의 충격에 이해 손상될 염려가 없다.
이러한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홈(160)의 폭과 깊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안전 발판(20)에 설치되는 덮개(100)의 경우, 홈(160)의 폭과 깊이는 각각 10 내지 20 mm와 10 내지 15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00)가 설치된 후 작업자가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덮개(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홈(160)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120a, 120b)은 각각 이 홈(16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중앙선과 70 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덮개(100)가 설치되었을 때 위로 지나치게 돌출되어 작업자의 보행을 방해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판(120)의 두 영역(120a, 120b)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18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120a, 120b)에 구멍(180)이 하나씩 형성될 경우, 각각의 영역(120a, 120b)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멍(180)은 덮개(100)를 안전 발판(20)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작업자가 손가락이나 고리 모양의 도구를 집어 넣어 덮개(10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멍의 직경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 내지 3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140)을 포함한다. 클립(140)은 상판(120)의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60)의 하부에 고정된다.
클립(140)은 덮개(100) 설치 시에 연결 파이프(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한, 그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립(140)이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재질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140)이 상판(120)과 동일한 재질, 즉 알루미늄(예컨대, A60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덮개(100) 설치 시에 클립(140)이 안전 발판(20)의 연결 파이프(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덮개(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클립(140)은 대략 ∩자형 모양을 가진다.
클립(140)의 좌우 길이는 덮개(100) 설치 시 연결 파이프(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안전 발판(20)에 설치되는 덮개(100)에 하나의 클립(140)이 부착될 경우, 클립(140)의 좌우 길이는 160 내지 200 mm의 범위일 수 있다.
클립(140)의 상하 높이(H)는 덮개(100) 설치 시 연결 파이프(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안전 발판(20)에 설치되는 덮개(100)의 경우, 클립(140)의 상하 높이(H)는 60 내지 10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나아가, 덮개(100)를 안전 발판(20)의 연결 파이프(30)에 체결했을 때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10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140)의 양 하단부 사이의 거리(W)는 ∩자형 클립의 상부 반원의 직경(D)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자형 클립(140)의 상부 반원의 직경(D)은 안전 발판(20)의 연결 파이프(3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적당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안전 발판(20)에 설치되는 덮개(100)의 경우, ∩자형 클립(140)의 상부 반원의 직경(D)은 45 내지 5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자형 클립(140)의 양 하단부 사이의 거리(W)는 40 내지 5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덮개(100)를 안전 발판(20)의 연결 파이프(30)에 체결할 때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140)의 각각의 하단부는 바깥쪽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자형 클립(140)의 각각의 하단부가 라운드 처리되는 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라운드부의 곡률반경(R)이 3 내지 5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20) 홈(160)의 하부에 고정되는 클립(140)의 수는 하나 이상이다. 덮개(100) 설치 시에 클립(140)이 안전 발판(20)의 연결 파이프(30)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립(14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립(140)의 좌우 길이는 하나의 클립(140)을 설치하는 경우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140) 개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제작의 편의성 및 체결 강도에 미치는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최대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20)과 클립(140)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강철 판이나 강관을 필요한 크기로 잘라 굽히거나 용접하여 만들 수 있고,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 프로파일 사출의 방법으로 만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클립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만들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클립(140)을 홈(160)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20)과 클립(140)이 모두 강철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용접,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140)을 홈(160)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120)과 클립(140)이 모두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판(120)과 클립(140)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140)을 홈(160)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판(120)과 클립(140)이 모두 강철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용접으로 고정시킬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가 홈(160)과 클립(140) 사이에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부재는 상판(120) 및 클립(140)과 동일한 강철 재질이며, 가로, 세로 각각 10 내지 20 mm의 사각 봉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가 설치된 비계(10)의 안전 발판(20)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100)가 설치된 경우, 비계(10)의 안전 발판(20)들 사이의 틈새로 자재, 공구 등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시설물에 손상을 주거나 다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이 이 틈새에 끼여 부상을 입거나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10: 비계 20: 안전 발판
30: 연결 파이프 40: 연결 고리
50: 틈새 100: 덮개
120: 상판 120a, 120b: 상판의 영역
140: 클립 160: 홈
180: 구멍 H: 클립의 높이
W: 클립 양 하단부의 거리 D: 클립 상부 반원의 직경
R: 클립 하단 라운드부의 곡률반경

Claims (9)

  1.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아래로 돌출된 홈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판;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판의 홈의 하부에 고정되며,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모양을 가지고, 안전 발판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하며,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은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중앙선과 70 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판의 두 영역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구멍의 직경이 20 내지 30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의 양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자형 클립의 상부 반원의 직경보다 짧아서 비계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 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덮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 클립의 각각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서 비계의 연결 파이프에 체결 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판의 금속 재질이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클립이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재질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판과 클립이 모두 강철로 이루어진 경우, 용접,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이 홈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8. 제6항에 있어서, 상판과 클립이 모두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판과 클립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볼트와 너트 및 리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클립이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9. 제7항에 있어서, 덮개가 홈과 클립 사이에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KR1020180047151A 2018-04-24 2018-04-24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KR20190123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51A KR20190123441A (ko) 2018-04-24 2018-04-24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51A KR20190123441A (ko) 2018-04-24 2018-04-24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441A true KR20190123441A (ko) 2019-11-01

Family

ID=685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51A KR20190123441A (ko) 2018-04-24 2018-04-24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4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KR20210093099A (ko) 2020-01-17 2021-07-27 노명래 비계의 발판 틈새용 커버 구조
KR102516500B1 (ko) 2022-05-24 2023-03-31 이미경 비계의 안전 덮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884A (ja) 2000-04-06 2001-10-19 Arao Kk 足場板隙間カバ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884A (ja) 2000-04-06 2001-10-19 Arao Kk 足場板隙間カ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99A (ko) 2020-01-17 2021-07-27 노명래 비계의 발판 틈새용 커버 구조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KR102516500B1 (ko) 2022-05-24 2023-03-31 이미경 비계의 안전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441A (ko)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KR200475119Y1 (ko) 시스템비계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458240Y1 (ko) 작업용 안전발판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JP2021529275A (ja) 建築用システム足場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KR20130084270A (ko)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US20070151801A1 (en) Collapsible ladder cage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102123359B1 (ko) 구명줄 장치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101978804B1 (ko) 안전난간대
KR20130006272U (ko) 공사용 안전발판
KR102136596B1 (ko) 시스템 비계 보호캡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NO345950B1 (en) A retention member adapted for retaining a scaffold plank, a scaffolding system having a retention member, a method for retaining a scaffold plank to a scaffold beam and a method for releasing a scaffold plank being retained to a scaffold beam
KR20110009078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KR20110030851A (ko) 갱폼용 조립형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KR20120008636U (ko) 조립식 틀비계의 발끝막이판
KR20200099867A (ko) 보조 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말비계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