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62Y1 - 조선소용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조선소용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62Y1
KR200444262Y1 KR2020080006282U KR20080006282U KR200444262Y1 KR 200444262 Y1 KR200444262 Y1 KR 200444262Y1 KR 2020080006282 U KR2020080006282 U KR 2020080006282U KR 20080006282 U KR20080006282 U KR 20080006282U KR 200444262 Y1 KR200444262 Y1 KR 200444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scaffold
assembled
work
shipy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안재욱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80006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선소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발판의 소재를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구성하여 중량이 가벼우면서 부식이 없고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공간에 따라 연장설치가 손쉬운 조선소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발판이 서로 조립되어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구성되는 작업발판과 상면에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형성되는 보호막(4)과 그 상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기(41)와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게 하는 조립판재(1)의 중공부(11)와 보강리브(12), 그리고 조립판재(1)와 조립판재(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비철금속으로 압출 성형되는 연결부재(2)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벼우면서 강성이 뛰어나고 연장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부식이 없고 내약품성이 뛰어나 오랜 사용수명을 보장하면서도 재활용도 가능한 여러 이익과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80006282
작업발판, 선박건조용 작업발판, 조선소용 작업발판, 선박용 발판, 조선소용 가설발판대

Description

조선소용 작업발판{A footing board for construction use}
본 고안은 조선소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발판의 소재를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구성하여 중량이 가벼우면서 부식이 없고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공간에 따라 연장설치가 손쉬운 조선소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는 선박 건조시 작업자가 자유로이 움직이며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작업발판은 나무합판으로 구성되어 습기에 약하여 사용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부식된 나무합판은 산업폐기물로 처리하기 곤란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특히, 나무합판으로 된 작업발판은 중량물 등에 쉽게 파괴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높고 또한 파괴되거나 손상된 작업발판이 그대로 방치된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도 치명적인 사고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는 것이었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여러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철재 등을 소재로 한 작업발판이 고안되어 왔다.
이하에 이들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5893호(2003.02.17)에는 선박 건조시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선박구조물의 돌출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사다리형태의 발걸이대를 분리구성하여 설치작업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박건조용 가설발판 설치대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96462호(1999.11.19)에는 발판 하측으로 보강판과 미끄럼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작업도중 휘거나 미끄러지는 일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철제 발판이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86934호(2000.04.12)에는 망사철판과 지지대를 결합하고 용접 또는 펀칭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경량으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이 게재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 10-2006-0117191호(2006.11.16)에는 공사장이나 선박 건조시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평판바닥으로 된 공지의 발판에 다수의 종요철부를 만들어 그 중앙에 요철돌기를 돌출시키고 바닥편에 요홈 골을 종으로 만들어 고무박킹을 삽입한 족장용 발판에 관해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86825호(2005.06.03)에는 발판 지지물에 부하를 줄이면서 미끄러짐 방지기능을 부가하여 선박의 내·외부에 구축되는 비계에 설치되는 작업로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 작업용 발판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58호(2008.03.31)에는 미끄러짐과 충격을 방지하는 탄성패드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홈이 형성되어 선박을 건조할 때나 각종 건축물을 축조할 때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의 통로와 작업대의 역할을 하는 작업용 발판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작업용 발판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86825호 등과 같이 선박의 내·외부에 구축되는 비계에 설치되는 작업로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발판베이스를 압출성형하고 발판베이스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를, 발판베이스 저면에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를 형성한 선박 작업용 발판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종래 작업발판은 발판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되어 기존의 나무합판으로 된 작업발판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철제 발판에 비해서는 경량성과 함께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었으나,
작업발판 전체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구성하여 제작단가가 고가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에 의존한 비교적 박형(薄形)의 판넬 형태로 이루어져 강성이 취약한 단점 등으로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작업공간에 따라 작업발판을 구성하는 발판베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갖추지 못하여 일정 길이 이상으로 발판 베이스를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연장 설치할 수 없어 작업공간에 따른 길이(규격)가 다른 발판베이스를 별도로 제작, 구비하여야 하고, 반드시 작업발판을 연장 설치를 해야하는 경우에는 비계의 파이프 등에 고정시켜서 연결할 수밖에 없어 발판베이스간의 불안정 된 연결구조로 인하여 작업발판의 유동이 심하고 비계의 종,횡파이프에도 견고히 고정되지 못함으로써 작업발판이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역할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합성수지 판재로 작업발판을 압출 성형하고 상면에는 비철금속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가벼운 중량과 아울러 강성이 뛰어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가 용이하며, 부식의 우려가 없고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오랜 사용수명을 보장하고 재활용도 가능한 등의 많은 잇점을 가지는 작업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작업발판이 서로 조립되어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구성되는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상면에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형성되는 보호막과 그 상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기와,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게 하는 조립판재의 중공부와 보강리브,
그리고, 조립판재와 조립판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비철금속으로 압출 성형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판재로 작업발판을 압출 성형하여 상면에 비철금속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작업발판을 구성함으로써 중량이 가벼우면서 강성이 뛰어나고 연장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부식이 없고 내약품성이 뛰어나 오랜 사용수명을 보장하면 서도 재활용도 가능한 여러 이익과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서로 조립되어 연장 설치될 수 있는 작업발판을 구성하되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작업발판을 구성하고, 상면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여 용접작업이나 도장 작업 시 등에 약품 등으로 인해 작업발판이 훼손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중공부와 함께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경량화가 달성되게 한다.
또한, 작업발판을 구성하는 조립판재와 조립판재를 비철금속으로 압출 성형한 연결부재로서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공간에 따라 조립판재를 간편히 연결조립하여 작업발판을 연장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발판을 구성하는 조립판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집중하중 등을 견딜 수 있는 보강재로서의 역할도 함께 행할 수 있게 하고,
조립판재의 상면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용접이나 기타 물질이 떨어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 된 얇은 보호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막 표면에는 작업자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작은 돌기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작업발판을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구성과 작용효과 등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 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발판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조립판재(1,1')와 조립판재(1,1') 사이에 개재되어 조립판재(1,1')를 서로 조립, 연결하는 연결부재(2,2')로 이루어진다.
조립판재(1,1')는 합성수지 소재를 판형으로 압출성형하여 구성하되, 그 내측에는 중공부(11,11')를 형성하여 경량화가 이루어지게 하며, 중공부(11,11')에는 'X' 형으로 보강리브(12,12')를 형성하여 조립판재(1,1')의 강도를 보강하고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판재(1,1') 상면에는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용접불꽃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조립판재(1,1')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막(4)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4)은 주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질로 조립판재(1,1')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막(4)은 비교적 얇은 박판으로 형성하여 조립판재(1,1')의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조립판재(1,1')의 중량에 부담을 주지않으면서도 조립판재(1,1')의 강성도 높여주는 기능도 함께 역할하게 한다.
그리고 보호막(4)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 돌기(41,41')를 형성하여 작업도중 미끄럼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막(4) 표면의 미끄럼방지 돌기(41,41')는 작업자의 미끄럼 방지를위한 다양한 규격과 형태의 돌기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조립판재(1,1')는 일례로 아래와 같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재질: 합성수지 압출품
중량: 30kg 이하
두께: 25mm
가로 폭: 625mm
세로 폭: 165.25mm
보호막 두께: 0.5~1mm
※ 조립 예: 165.25mm × 16판 = 2,500mm
한편, 조립판재(1,1')의 양단에는 연결부재(2,2')로서 조립판재(1,1')를 서로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연장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부(3,3')를 형성하는 바,
상기 조립판재(1,1')의 연결부(3,3')는 연결부재(2,2')로서 조립하여 조립판재(1,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양측단에 형성한다.
즉, 연결부재(2,2')는 양측에 대칭되는 형상의 조립돌기(21,21')를 형성하여 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판재(1,1')의 양 연결부(3,3')에 형성된 각 조립홈(31)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판재(1,1')를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연장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조립판재(1,1')의 양 연결부(3,3')를 구성하는 조립홈(31)과 상기 조립홈(3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2')의 조립돌기(21,21')는 당연히 서로 암수로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호간의 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실시되는 것으로, 서로 대응하는 이들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 등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3,3')의 조립홈(31)과 연결부재(2,2')의 조립돌기(21,21')는 도시된 예와 같이 ( × )형 등으로 실시하여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연결된 조립판재(1,1')가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재(2,2')의 길이방향으로만 서로 결합,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소재로 압출성형하여 조립판재(1,1') 상호간을 연결함과 동시에 조립판재(1,1')를 서로 견고히 조립, 연결함으로써 작업발판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2')의 길이는 조립판재(1,1')의 폭과 동일한 규격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 조립판재 2,2': 연결부재
3: 연결부 4: 보호막
11: 중공부 12: 보강리브
21: 조립돌기 31: 조립홈
41: 미끄럼방지돌기

Claims (3)

  1.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립판재와,
    조립판재를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로 되며, 상기 조립판재는 중공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합성수지 압출품으로 성형되고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가 구비된 비철금속의 보호막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판재와 연결부재는 상호 암수로 대응하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소용 작업발판.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6282U 2008-05-14 2008-05-14 조선소용 작업발판 KR200444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82U KR200444262Y1 (ko) 2008-05-14 2008-05-14 조선소용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82U KR200444262Y1 (ko) 2008-05-14 2008-05-14 조선소용 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62Y1 true KR200444262Y1 (ko) 2009-04-24

Family

ID=4134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282U KR200444262Y1 (ko) 2008-05-14 2008-05-14 조선소용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40A (ko) * 2017-02-21 2018-08-29 임동묵 발 매트용 소재 및 그 제조장치
CN109094722A (zh) * 2018-09-28 2018-12-2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体外板的双斜切胎架安装方法
KR20190002390U (ko) * 2018-03-16 2019-09-25 고석주 반도체 크린룸 격자보 보호커버
KR102360946B1 (ko) * 2021-07-19 2022-02-10 이현상 수상 부유 구조물용 발판 파이프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40A (ko) * 2017-02-21 2018-08-29 임동묵 발 매트용 소재 및 그 제조장치
KR101946445B1 (ko) * 2017-02-21 2019-02-12 임동묵 발 매트용 소재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02390U (ko) * 2018-03-16 2019-09-25 고석주 반도체 크린룸 격자보 보호커버
KR200491970Y1 (ko) 2018-03-16 2020-07-08 고석주 반도체 크린룸 격자보 보호커버
CN109094722A (zh) * 2018-09-28 2018-12-2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体外板的双斜切胎架安装方法
CN109094722B (zh) * 2018-09-28 2020-02-0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体外板的双斜切胎架安装方法
KR102360946B1 (ko) * 2021-07-19 2022-02-10 이현상 수상 부유 구조물용 발판 파이프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6029A (en) Scaffold plank
KR200444262Y1 (ko) 조선소용 작업발판
KR200458240Y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978815B1 (ko) 위험 경보 발판
US6745871B2 (en) Interlocking scaffold plank
KR20130084270A (ko)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101459723B1 (ko) 비계용 발끝막이판
KR102258311B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190123441A (ko) 비계의 안전 발판 틈새용 덮개
KR200428125Y1 (ko) 비계용 발판 구조
KR101237989B1 (ko) 선박 건조용 족장 구조
JP7041892B2 (ja) 繊維強化樹脂製歩廊
KR200347048Y1 (ko) 충격완화 기능을 구비한 교량용 방호울타리
KR200432740Y1 (ko) 낙하방지용 안전발판 보호대
JP2019512620A (ja) 足場板
KR101262782B1 (ko) 선박 작업용 발판
KR20100005772U (ko)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KR200386825Y1 (ko) 선박 작업용 발판
JP5634456B2 (ja) 足場用の幅木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KR20150145319A (ko) 족장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110030851A (ko) 갱폼용 조립형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