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782B1 - 선박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선박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782B1
KR101262782B1 KR1020110041312A KR20110041312A KR101262782B1 KR 101262782 B1 KR101262782 B1 KR 101262782B1 KR 1020110041312 A KR1020110041312 A KR 1020110041312A KR 20110041312 A KR20110041312 A KR 20110041312A KR 101262782 B1 KR101262782 B1 KR 10126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deck plate
ship
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773A (ko
Inventor
김영대
김기재
강경록
전영만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78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건조 공사 중 사용되고 있는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적은 작업용 발판의 플레이트에 스웨지(swage)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철판 두께를 감소시켜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 건조시 스웨지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선박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 작업용 발판으로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부분으로서 철판으로 된 데크 플레이트; 상기 데크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들과 수직으로 교차결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종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플랫 바(flat bar); 상기 횡 프레임들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횡 프레임들의 중간 부분들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보강재;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종단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의 엔드 플랫 바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캠버(camber)를 중심으로 물이 떨어질 경우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과 끝단이 10mm 정도 높이 차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엔드 플랫 바는 발판의 원활한 운반을 위해 절곡 라인(knuckle line)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선박 작업용 발판{Scaffold for Vessels}
본 발명은 선박건조 공사 중 사용되고 있는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용 발판의 플레이트에 스웨지(swage)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철판 두께를 감소시켜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 건조시 스웨지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선박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작업용 발판에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선박작업용 발판과 건축, 토목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사용 발판이 있다.
선박에서의 고소작업은 선박의 선창이나 각종 구축물 공사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고소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확보를 위한 작업로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로는 선박의 내,외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층층으로 설치되는 브라켓에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사각형이나 원형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비계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계에 목재로 된 합판을 설치하여 작업로를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로를 구성하는 발판이 목재질의 합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중량체가 낙하하거나 작업도구가 낙하할 때 강도에 취약한 특성에 의하여 손상되어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외관상 손상의 흔적이 없어 사용할 때 손상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목재로 된 발판이 비계와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안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중 유동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발판이 비계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성이 높은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작업용 발판은 "ㄷ"자 스틸 프레임에 강판으로 아연용융 도금한 발판으로 제작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용 발판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시공시 옥내 및 옥외 비계와 같은 임시 가설물에 설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금속 재질에 따른 무게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작업용 발판을 설치할 때에 무거운 중량 때문에 설치시에 작업 능률이 떨어지고, 인력 소모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또한,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휘어지고, 철판 자체가 우그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재사용 시 다시 수리하여 사용하는 등 철판의 재료 특성상 발생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판으로 된 선박용 발판의 경우 발판의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재의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데크 플레이트(plate)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발판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발판의 운반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작업용 발판은 선박용이나 일반 건축 공사용의 것이나 중량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어 운반의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자재의 발판의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의 플레이트에 스웨지(swage)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철판 두께를 감소시켜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 건조시 스웨지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선박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은 선박 작업용 발판으로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부분으로서 철판으로 된 데크 플레이트; 상기 데크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들과 수직으로 교차결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종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플랫 바(flat bar); 상기 횡 프레임들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횡 프레임들의 중간 부분들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보강재;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종단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의 엔드 플랫 바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캠버(camber)를 중심으로 물이 떨어질 경우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과 끝단이 10mm 정도 높이 차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엔드 플랫 바는 발판의 원활한 운반을 위해 절곡 라인(knuckle line)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발판에 의하면, 선박 작업용 발판의 전체 중량이 종래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고 자재비가 종래에 비해 저렴하고 종래보다 발판의 무게가 경량이므로 작업자가 작업용 발판을 운반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판은 선박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 건축, 토목용 발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종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바와 그 중간에 끼워지는 보강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 플랫 바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선박 작업용 발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 유사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건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밟고 올라서는 중앙부에 후술하는 스웨지(swage)가 있는 상부 철판으로서 데크 플레이트(100), 그리고 플레이트 데크(100)를 지지하는 종 프레임으로서 플랫 바(flat bar;200) 및 엔드 플랫 바(3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캠버(150;camber)를 중심으로 데크 플레이트(100)가 중앙과 끝단이 10mm 정도 높이 차를 갖고 있다. 이는 물 등이 떨어질 경우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00)는 그 두께가 0.7mm로 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람이 올라서서 작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이상으로도 될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무거운 중량물이 되지 않도록 한다.
로프 홀(110, 110)은 로프가 통과하는 홀로서 발판을 옮기거나 할 때 사용된다. 또한 엠보싱 부(130)는 작업자의 발과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 설치된다. 또한 아래의 평면도에서 보강 고무(120)는 다른 발판과의 겹칩시 완충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종 단면도로서, 데크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횡 프레임(140, 140) 및 보강재로서 단면이 △형상을 갖는 기다란 5면체 형상의 보강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횡 프레임(140)의 요홈부(141)는 상기 보강 고무(120)로 충전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끈 등으로 단단히 고박된다. 보강재(400)와 데크 플레이트(100) 그리고 횡 프레임(140)은 함께 용접 등으로 고정 결합되며 일드 스트레스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보강재(400)는 스틸 플레이트를 사용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바와 그 중간에 끼워지는 보강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데크 플레이트(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랫 바(200)는 데크 플레이트(100)의 처짐 및 휨 하중을 위한 보강재로서 데크 플레이트와 같이 0.7mm의 두께로 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다리부(210)는 본 발명의 발판 이 놓여지는 부분에 직접적으로 맞닿는다. 플랫바(200)는 데크 플레이트(100)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된다. 그 이격 거리는 500mm 정도로 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 플랫 바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엔드 플랫 바(300)는 데크 플레이트(100)의 엔드 부분을 위한 보강재로서 발판의 원활한 운반을 위해 절곡 라인(knuckle line;312)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다리부(310)는 엔드 플랫 바(300) 또한 플랫 바(200)와 마찬가지로 0.7mm의 두께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작업용 발판은 그 전면에 발판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올록볼록 엠보싱이 되어있는 다수의 엠보싱 부(130)를 포함한다. 데크 플레이트(100)의 폭방향으로 데크 플레이트 아래에 설치되는 플랫 바(200)는 상기 보강재(400)에 끼워지는 홈을 구비한다. 그리고 플랫 바(200), 횡 프레임(140) 및 돌출부(143)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100)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용접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발판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자재비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보강재를 채용함으로써 종래와 보다 구조적 강도를 증가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경량화됨으로써 발판의 운반이 용이하고 선박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용 발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발판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박 작업용 발판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발판은 선박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 건축, 토목용 발판으로 이용될 수 있다.
100: 데크 플레이트 200: 플랫 바
300: 엔드 플랫 바 400: 보강재
110: 로프 홀 120: 보강 고무
130: 엠보싱 부 140: 횡 프레임
141: 요홈부 143: 돌출부
150: 캠버 210: 다리부
310: 다리부 312: 절곡 라인

Claims (5)

  1. 선박 작업용 발판으로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부분으로서 철판으로 된 데크 플레이트;
    상기 데크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들과 수직으로 교차결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종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플랫 바(flat bar);
    상기 횡 프레임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플랫 바의 중간 부분들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보강재;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종단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의 엔드 플랫 바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캠버(camber)를 중심으로 물이 떨어질 경우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과 끝단이 10mm 정도 높이 차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엔드 플랫 바는 발판의 원활한 운반을 위해 절곡 라인(knuckle line)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횡 프레임 및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플랫 바는 서로 용접되는 다수의 용접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다수의 올록볼록한 엠보싱 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은 요홈부 및 보강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발판.
  5. 삭제
KR1020110041312A 2011-05-02 2011-05-02 선박 작업용 발판 KR10126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12A KR101262782B1 (ko) 2011-05-02 2011-05-02 선박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12A KR101262782B1 (ko) 2011-05-02 2011-05-02 선박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73A KR20120123773A (ko) 2012-11-12
KR101262782B1 true KR101262782B1 (ko) 2013-05-09

Family

ID=4750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12A KR101262782B1 (ko) 2011-05-02 2011-05-02 선박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373B1 (ko) 2015-10-12 2017-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작업용 가설 발판
KR200485407Y1 (ko) * 2016-11-08 2018-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73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266A (ko) 작업자 이동통로가 있는 터널용 강재 거푸집
JP6488087B2 (ja) 支保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WO2015184476A1 (en) Precast concrete falsework bubbledeck ele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2619331A (zh) 高层建筑梁式转换层钢管支撑叠合浇筑一次成型施工方法
KR101262782B1 (ko) 선박 작업용 발판
KR20200030196A (ko)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100991017B1 (ko) 데크 플레이트
CN208267342U (zh) 高空悬挑混凝土结构支模脚手架
JP2006316506A (ja) 橋桁の構築方法
JP6969909B2 (ja) 鋼合成桁の補強方法
CN201915630U (zh) 消防连廊模板支撑钢梁组合平台
JP4934755B1 (ja) 足場材及び吊り足場
KR101682442B1 (ko) 가설 교량
CN202467172U (zh) 一种与楼面钢梁腹板连接的刚支撑结构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KR20160108969A (ko) 트러스형 난간이 구비된 가설교량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JP5807883B1 (ja) 吊足場
CN211058257U (zh) 一种施工作业面走道装置
JP6889743B2 (ja) 水域での架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RU250735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спорок для усиления колонны здания
CN102392534A (zh) 铝合金建筑模板组件
JP6909000B2 (ja) 重機支持機構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