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07Y1 -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 Google Patents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07Y1
KR200485407Y1 KR2020160006520U KR20160006520U KR200485407Y1 KR 200485407 Y1 KR200485407 Y1 KR 200485407Y1 KR 2020160006520 U KR2020160006520 U KR 2020160006520U KR 20160006520 U KR20160006520 U KR 20160006520U KR 200485407 Y1 KR200485407 Y1 KR 200485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ate
deck
reinforcing portion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림
이상헌
김기백
박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9/06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63B273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족장판은, 판재 형상의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데크부;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하부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본 골격으로 지지하는 메인 보강부와, 상기 메인 보강부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보조 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Light scaffold with support structure}
본 고안은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대형화되고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건축 또는 선박 건조현장에서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수적이 되고 있다. 조선, 건설 등의 분야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편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으로서 족장판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족장은 수직과 수평으로 임시 설치된 설치 프레임에 족장판을 얹고, 족장판을 철사 등으로 감아 설치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다만 기존의 조선용 족장판의 경우에는 3m 길이 기준으로 그 무게가 19kg에 달해 수작업으로 설치해야 하는 작업 특성 상 상당한 중량물에 해당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83309호 (2011년7월20일 공개) - 선박용 족장
본 고안은 기존의 족장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경량화되어 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재 형상의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데크부;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하부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본 골격으로 지지하는 메인 보강부와, 상기 메인 보강부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보조 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 구조부를 포함하는 경량 족장판이 제공된다.
상기 메인 보강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배출슬릿이 일렬로 배치된 사각 기둥 형상의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 끝단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Y자 형상 공간을 확보시키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는 결합슬릿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슬릿 사이의 공간에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보강부는 하부에 상기 지지몸체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결합용 요홈이 형성된 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슬릿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하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지지부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요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홈 내에 패드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족장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경량화되어 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이 뒤집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량 족장판을 밑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3은 도 1의 경량 족장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경량 족장판의 끝단 보강구조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데크 플레이트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메인 보강부의 각 부분에 대한 확대도 및 전체 평면도와 측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이 뒤집어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량 족장판을 밑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경량 족장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경량 족장판의 끝단 보강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데크 플레이트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메인 보강부의 각 부분에 대한 확대도 및 전체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경량 족장판(1), 데크부(10), 데크 플레이트(11), 홀(12), 사이드 지지부(13), 요홈(14), 엔드 플레이트(15), 보강 구조부(20), 메인 보강부(30), 지지몸체(31), 배출슬릿(32), 상단 절곡부(33), 결합슬릿(34), 지지편(35), 보조 보강부(40), 립 플레이트(41), 결합용 요홈(42), 패드(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족장판(1)은 보강 구조물이 결합되어 있어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면서도 기존의 족장판과 비교할 때 동등한 수준의 비틀림 및 처짐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량 족장판(1)은 작업자나 물체 등이 상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통로를 제공하는 데크부(10)와, 데크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보완해 주는 보강 구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부(10)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판재 형상의 데크 플레이트(11)와, 데크 플레이트(11)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지지부(13)와, 데크 플레이트(11)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부(13)는 데크 플레이트(11)의 양 측에서 데크 플레이트(11)가 설치 프레임(미도시)에 대해 일정 높이만큼 떠 있도록 지지한다.
사이드 지지부(13)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면에는 요홈(14)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요홈(14) 내에는 예컨대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큰 재질의 패드(50)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삽입 설치되어, 설치 프레임 상에서 경량 족장판(1)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11)에는 다수의 홀(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고소 작업 중에 상면으로 낙하하는 각종 더스트와 같은 이물질 및/또는 우수를 데크 플레이트(11) 아래로 통과시켜 데크 플레이트(11)에 걸리는 하중을 줄여주고, 작업 통로 상에 위험요소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12)의 존재로 인해 데크 플레이트(11) 자체의 무게를 줄여주어 경량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한다.
사이드 지지부(13)는 데크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크 플레이트(11)의 양 측면이 다수 회 절곡되어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면서 하면에 요홈(1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엔드 플레이트(15)는 판재 형상으로 데크 플레이트(11)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며, 사이드 지지부(13)의 개방된 전면과 후면을 막아주기도 한다. 내부가 빈 사이드 지지부(13)에 대해 그 개방된 전면과 후면을 덮어 그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구조부(20)는 데크부(10)의 하부,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11)와 사이드 지지부(13)와 엔드 플레이트(15)에 의해 생성된 하부 공간 내에 설치되어 데크부(10)에 대해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보완해 준다.
보강 구조부(20)는 메인 보강부(30)와 보조 보강부(40)를 포함한다.
메인 보강부(30)는 데크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데크 플레이트(11)에 대해 하부에 배치되는 기본 골격으로 지지해주는 서포터로서 기능한다.
메인 보강부(3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의 지지몸체(31)와, 지지몸체(31)의 양 끝단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편(35)을 포함한다.
지지몸체(31)는 데크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배출슬릿(32)이 일렬로 길게 배치된다.
지지몸체(31)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단 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어, 데크 플레이트(11)의 하면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지지몸체(31)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복수 개의 결합슬릿(3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립 플레이트(rib plate)(41)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슬릿(34)의 깊이는 지지몸체(31)의 측면 높이의 1/2~2/3 사이일 수 있다.
결합슬릿(34)은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 립 플레이트(41)를 끼운 이후 지지몸체(31)를 데크 플레이트(11)에 부착시켰을 때 립 플레이트(41)가 지지몸체(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슬릿(34)은 연속된 배출슬릿(3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몸체(31)에는 배출슬릿(32)과 결합슬릿(34)이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구조적인 강성 및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지지몸체(31)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전면과 후면에는 복수의 지지편(35)이 외측으로 소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지지편(35)은 지지몸체(31)의 측면과 135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래에서 올려다 볼 때 복수의 지지편(35)과 지지몸체(31)는 Y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Y자 형상을 가짐에 따라 지지편(35) 사이의 공간이 상당히 확보되어 경량 족장판(1)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 과정에서도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편(35)은 지지몸체(31)와의 결합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 하부 경사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경사면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작업자가 Y자 형상의 공간을 파지할 때 날카로운 부분으로 인한 베임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몸체(31)와 지지편(3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몸체(3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어, 데크 플레이트(11)에 형성된 홀(12)을 통해 낙하하는 유수 및/또는 더스트 등의 이물질이 그 내부로 유입되고, 하면에 형성된 배출슬릿(3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내부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보강부(40)는 메인 보강부(30)에 결합되어 데크부(1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보조 보강부(40)는 메인 보강부(30)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보조 보강부(40)는 복수의 립 플레이트(41)를 포함하며, 립 플레이트(41)는 지지몸체(31)에 형성된 결합슬릿(34)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립 플레이트(41)는 하부에 용이한 결합을 위한 결합용 요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용 요홈(42)의 너비는 지지몸체(31)의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립 플레이트(41)가 지지몸체(31)에 끼움 결합된 경우, 지지몸체(31)의 내부공간은 립 플레이트(41)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용 요홈(4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에도 전후로 이동이 원활하여 이웃하는 배출슬릿(32)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거나 혹은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된 Y자 형상의 개구부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원활히 배출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량 족장판(1)은 데크부(10)가 데크 플레이트(11), 사이드 지지부(13) 및 엔드 플레이트(15)에 의해 생성된 내부의 빈 공간을 가지고 있어 전체 무게를 가볍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빈 공간에 메인 보강부(30)와 보조 보강부(40)를 포함하는 보강 구조부(20)가 설치됨으로써 비틀림 및 처짐에 대한 저항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경량 족장판 10: 데크부
11: 데크 플레이트 12: 홀
13: 사이드 지지부 14: 요홈
15: 엔드 플레이트 20: 보강 구조부
30: 메인 보강부 31: 지지몸체
32: 배출슬릿 33: 상단 절곡부
34: 결합슬릿 35: 지지편
40: 보조 보강부 41: 립 플레이트
42: 결합용 요홈 50: 패드

Claims (7)

  1. 판재 형상의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데크부;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하부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본 골격으로 지지하는 메인 보강부와, 상기 메인 보강부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보조 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 구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보강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배출슬릿이 일렬로 배치된 사각 기둥 형상의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 끝단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Y자 형상 공간을 확보시키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하부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는 결합슬릿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되,
    상기 보조 보강부는 하부에 상기 지지몸체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결합용 요홈이 형성된 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슬릿에 끼움 결합하는, 경량 족장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슬릿 사이의 공간에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경량 족장판.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요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홈 내에 패드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경량 족장판.
KR2020160006520U 2016-11-08 2016-11-08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KR200485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20U KR200485407Y1 (ko) 2016-11-08 2016-11-08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20U KR200485407Y1 (ko) 2016-11-08 2016-11-08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07Y1 true KR200485407Y1 (ko) 2018-01-04

Family

ID=6127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20U KR200485407Y1 (ko) 2016-11-08 2016-11-08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3619A (zh) * 2018-07-20 2020-01-31 金钟英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KR102113781B1 (ko) * 2019-12-16 2020-05-20 (주)휴하리 비계용 안전작업발판
CN115075542A (zh) * 2022-06-27 2022-09-2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挡脚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309A (ko) 2010-01-14 2011-07-20 한국단조공업 (주) 선박용 족장
KR20120123773A (ko) * 2011-05-02 2012-1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작업용 발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309A (ko) 2010-01-14 2011-07-20 한국단조공업 (주) 선박용 족장
KR20120123773A (ko) * 2011-05-02 2012-1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작업용 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3619A (zh) * 2018-07-20 2020-01-31 金钟英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CN110733619B (zh) * 2018-07-20 2021-07-20 金钟英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KR102113781B1 (ko) * 2019-12-16 2020-05-20 (주)휴하리 비계용 안전작업발판
CN115075542A (zh) * 2022-06-27 2022-09-2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挡脚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407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US8303027B2 (en) Front window formed in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10259249A1 (en) Pallet
CA2551042A1 (en) Overlapping secured mat system
US4467492A (en) Trowel type construction tool
JP4995646B2 (ja) 建設機械キャブ
KR200446533Y1 (ko)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KR102108182B1 (ko) 족장 연결 브라켓
KR20120005009U (ko) 흙막이용 판넬
KR200444262Y1 (ko) 조선소용 작업발판
JP3129933U (ja) 排水溝ユニット
KR200492285Y1 (ko) 조립식 개구부 덮개
CN210391034U (zh) 一种汽车保险杠吸能器
KR200412739Y1 (ko) 가설구조물용 핸드레일 지지브라켓
KR20140002838U (ko) 핸드레일
KR200468907Y1 (ko)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
CN217129002U (zh) 一种免打眼夹持组件
JP5940777B2 (ja) 支持具
KR200444255Y1 (ko) 개방형 알루미늄 박스 족장판
JP3218254U (ja) 防護部材、及び作業用又は乗用オープンカー
CN217841057U (zh) 泳池溢水装置
JP2008002145A (ja) 軒樋接続構造
KR101400014B1 (ko) 추락방지용 족장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066499U (ja) 荷 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