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38U -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38U
KR20140002838U KR2020120010069U KR20120010069U KR20140002838U KR 20140002838 U KR20140002838 U KR 20140002838U KR 2020120010069 U KR2020120010069 U KR 2020120010069U KR 20120010069 U KR20120010069 U KR 20120010069U KR 20140002838 U KR20140002838 U KR 20140002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guide member
foot plate
handra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영
전준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38U/ko
Publication of KR20140002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에 측면 가아드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교체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발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발판(20)과 클램프(11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아드 부재(120)와; 상기 가아드 부재(120)의 측면방향으로 결합수단(13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면 가아드부재(140);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가아드 부재(120)의 양쪽 끝단부에 고정되는 수직 결합부(131)와, 이 수직 결합부(131)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에서 절곡되어 요홈(1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133)로 이루어진 클램핑부재(134)와; 상기 클램핑부재(134)의 수직 결합부(131)를 관통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형 가압부재(135);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핸드레일{Hand Rail}
본 고안은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에 측면 가아드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교체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블록의 건조시나 건물의 시공시, 선박 블록의 외측이나 건물의 외부에서 각종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선박 블록이나 건물의 벽면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좌우로 통행하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설 발판(현장에서는 "족장"이라고 함)을 설치한다.
이 때 발판의 가장자리에는 작업자가 작업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핸드레일(1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데, 한쪽 방향으로만 길이를 연장하여 설치되면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수평 지지 파이프(12)와, 이 수평 지지파이프(12)의 양쪽 끝단 부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 파이프(13)와, 이 양쪽 수직 지지 파이프(13)로부터 측면방향으로 각각 측면 파이프(14)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 지지 파이프(12), 수직 지지 파이프(13) 및 측면 파이프(14)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발판(20)과 핸드레일(10)도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발판(20)에 결합되는 핸드레일(10)이 측면 파이프(14)가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가 발판(20)에서 작업 도중에 측면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만일 측면 파이프(14) 또는 수평 지지 파이프(12) 및 수직 지지 파이프(13)의 일부가 손상을 받아서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핸드레일(1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핸드레일(10)을 구성하는 수평 지지 파이프(12), 수직 지지 파이프(13) 및 측면 파이프(14)가 모두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손상을 받더라도 핸드레일(10)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그만큼 교체비용이 상승하고, 교체작업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 20-2010-11418호(공개일 ; 2010.11.24)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핸드레일을 이루는 측면 위치에 착탈가능한 측면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 수단은,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발판과 클램프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아드 부재와;
상기 가아드 부재의 측면방향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면 가아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가아드부재의 양쪽 끝단부에 고정되는 수직 결합부와, 이 수직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에서 절곡되어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 가아드부재의 절곡된 단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클램핑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의 수직 결합부를 관통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형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아드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구비되는 수평 가아드부재와, 이 수평 가아드부재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가아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발판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보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홈에 측면 가아드부재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위에 끼워져서 가압,고정되도록 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장의 발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특히 핸드레일의 측면에 측면 가아드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핸드레일이 손상을 받더라도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며, 쉽게 해체가능하여 운반시에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레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핸드레일(100)은. 발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발판(20)과 클램프(11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아드 부재(120)와, 이 가아드 부재(120)의 측면방향으로 결합수단(13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면 가아드부재(140)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아드부재(120)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구비되는 수평 가아드부재(122)와, 이 수평 가아드부재(122)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가아드부재(124)로 이루어진다.
측면 가아드부재(140)는 절곡되어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110)는 발판(20)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112)과, 이 브라켓(11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보울트(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12)은 역 "ㄷ"자형으로 형성되어서 발판(20)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보울트(114)는 브라켓(112)의 상부면(112a)으로부터 관통,결합되어 발판(2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아드부재(124)에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고정되는 수직 결합부(131)와, 이 수직 결합부(131)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에서 절곡되어 요홈(1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133)로 이루어진 클램핑부재(134)와, 상기 클램핑부재(134)의 수직 결합부(131)를 관통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형 가압부재(135)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쐐기형 가압부재(135)는 수직 결합부(131)를 관통하여 결합시,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가압되도록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요홈(132)에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단부(142)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위에 끼워져서 가압,고정되도록 하는 가압편(13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설치시에는 수직 가아드부재(124)의 하부에 결합된 클램프(110)를 이용하여 발판(20)에 결합한다.
결합시에는, 클램프(110)를 구성하는 브라켓(112)을 발판(20)에 끼운 다음, 보울트(114)를 브라켓(112)의 상부면(112a)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관통,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발판(2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측면 가아드부재(1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가아드부재(120)를 구성하는 수직 가아드부재(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개의 결합수단(130)이 결합되어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130)은 절곡되어 요홈(132)이 형성된 삽입부(133)가 수직 가아드부재(124)에 용접 등으로 결합,고정된 수직 결합부(132)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홈(132)에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를 끼운다.
그런 다음에, 단부(142) 위에 가압편(136)을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형 가압부재(135)를 수직 결합부(131)를 관통하여 결합하면, 수직 결합부재(132)의 전방은 개구되어 있어 쇄기형 가압부재(135)를 결합하면 할 수록 요홈(132)안에 삽입된 가압편(136) 및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더욱 확실하게 가압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측면 가아드부재(14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판(20)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추락하는 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의 일부분이 손상되어 교체를 해야 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로 운반하여 설치하고자 할때에는, 발판(20)으로부터 클램프(110)를 해체하고, 측면 가아드부재(140)로 결합수단(130)의 쐐기형 가압부재(135)를 수직 결합부(131)로부터 분리,해체하여 간편하게 운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발판에 결합하는 핸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작업상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 발판
100 : 핸드레일
110 : 클램프
112 : 브라켓
112a : 상부면
114 : 보울트
120 : 가아드부재
124 : 수직 가아드부재
130 : 결합수단
131 : 수직 결합부
132 : 요홈
133 : 삽입부
134 : 클램핑 부재
135 : 쐐기형 가압부재
136 : 가압편
140 : 측면 가아드부재
142 : 단부

Claims (4)

  1. 발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발판(20)과 클램프(11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아드 부재(120)와;
    상기 가아드 부재(120)의 측면방향으로 결합수단(13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면 가아드부재(140);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가아드 부재(120)의 양쪽 끝단부에 고정되는 수직 결합부(131)와, 이 수직 결합부(131)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에서 절곡되어 요홈(1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절곡된 단부(142)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133)로 이루어진 클램핑부재(134)와;
    상기 클램핑부재(134)의 수직 결합부(131)를 관통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형 가압부재(13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아드부재(120)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구비되는 수평 가아드부재(122)와, 이 수평 가아드부재(122)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가아드부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10)는 발판(20)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112)과, 이 브라켓(11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보울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132)에 측면 가아드부재(140)의 단부(142)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위에 끼워져서 가압,고정되도록 하는 가압편(1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KR2020120010069U 2012-11-05 2012-11-05 핸드레일 KR201400028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69U KR20140002838U (ko) 2012-11-05 2012-11-05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69U KR20140002838U (ko) 2012-11-05 2012-11-05 핸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38U true KR20140002838U (ko) 2014-05-14

Family

ID=5244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69U KR20140002838U (ko) 2012-11-05 2012-11-05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57B1 (ko) * 2014-05-29 2014-08-21 박홍규 창유리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57B1 (ko) * 2014-05-29 2014-08-21 박홍규 창유리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723B1 (ko) 비계용 발끝막이판
KR20140002838U (ko) 핸드레일
KR200485407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KR20130003530A (ko) 가설 난간지주
KR102108182B1 (ko) 족장 연결 브라켓
KR101244503B1 (ko)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30006272U (ko) 공사용 안전발판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CN204623801U (zh) 一种脚手架夹具
KR20130011470A (ko) 조립식 안전난간
KR101365060B1 (ko) 가설 난간지주
KR200470629Y1 (ko) 강도 및 조립성이 향상된 작업용 안전발판
KR101235253B1 (ko) 캐링 클립
KR100832736B1 (ko) 낙하방지 커버용 연결 클램프
JP5305517B2 (ja) トラフ蓋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9454B1 (ja) 仮設足場の幅木
CN216372031U (zh) 一种建筑工程射钉枪
KR20130001445U (ko) 케이블 이송용 지그
KR200471624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101419439B1 (ko) 스탠션 바
KR20120002131U (ko) 비돌출형 안전난간
CN211114832U (zh) 一种建筑施工中模板间隙条
KR20120008636U (ko) 조립식 틀비계의 발끝막이판
US20220010567A1 (en) A brick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