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82B1 - 족장 연결 브라켓 - Google Patents

족장 연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82B1
KR102108182B1 KR1020180079921A KR20180079921A KR102108182B1 KR 102108182 B1 KR102108182 B1 KR 102108182B1 KR 1020180079921 A KR1020180079921 A KR 1020180079921A KR 20180079921 A KR20180079921 A KR 20180079921A KR 102108182 B1 KR102108182 B1 KR 10210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scaffold
footrest
fix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325A (ko
Inventor
김호경
공만호
배동섭
배철민
김현
이현상
최민수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설치 시 발판의 설치를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발판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되도록 중공 된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연결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이나 조선소의 현장에 가설된 비계에 사용되는 발판을 지지하는 브라켓이나 파이프에 거치되어 상부에 두 장의 발판을 맞대기로 설치할 수 있는 족장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족장 연결 브라켓{SCAFFOLD CONNECTING BRACKET}
본 발명은 비계 설치 시 발판의 설치를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이나 조선소의 현장에 가설된 비계에 사용되는 발판을 지지하는 브라켓이나 파이프에 거치되어 상부에 두 장의 발판을 맞대기로 설치할 수 있는 족장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飛階: 건축공사나 조선공사 등에 고소작업 시 재료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족장이 마련된 임시 가설물)에 설치되는 족장은 건설현장의 건물 외부나 조선소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각종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비계가 설치된 적정위치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업자가 올라가서 자유롭게 작업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패널 또는 플레이트 등의 가설물로서,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 439조에 의하면, 업주는 2미터 이상인 장소에 작업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추락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비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족장(일명 작업발판이라고 함)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족장은 그 용도에 따라 취급이나 운반 등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규격을 소형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작업의 여건이나 기타 장소에 따라 족장의 크기가 비교적 커야 할 경우는 개별로 된 각각의 플레이트를 볼트나 기타 연결핀 또는 와이어(굵은 철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족장지지대에 서로 간이 고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족장은 플레이트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규격을 크게 할 경우는 원하는 개수만큼 연결하여 사용하고, 공간이 좁을 경우나 간단한 작업 등의 경우는 단일의 족장만 비계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족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앵글 타입의 론지(longi)에 고정하기 위한 엣지훅을 필요로 하게 되고, 상기 엣지훅이 고정된 훅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스틸바를 설치하여 파이프는 물론, 족장지지대, 족장발판, 핸드레일 지지대 등의 단품 및 조합으로 구성된 다양한 형상의 족장 치공구가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족장은 설치 및 제거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를 이용한 각 족장의 고정 구조는 상기 와이어를 묶고 조이는 작업이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족장에는 별도의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족장의 단부가 겹친 상태로 묶음 처리되므로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발이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일단이 작업발판의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에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의 일 측에 두 개의 핀이 고정된 고정편과; 상기 두 개의 핀 상에서 회동되도록 수직장공과 수평장공으로 이루어진 유동장공이 형성되고, 수직장공의 중간 일 측에 개방공이 형성된 작동편으로 구성된 작업발판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장공의 수직장공과 수평장공이 중첩되는 부분에, 하측의 핀이 걸려 작동편을 최대 개방상태와 최소 개방상태의 중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고정구를 제공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작업발판용 고정구가 핀에 의해 작업발판의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간에 핀이 헐거워져 작업발판에서 분리가 될 위험이 높으며, 족장지지대에 걸쳐지고 그를 고정하는 작동편 역시 작업간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작동편을 고정하는 핀이 유동장공에서 이탈되어 고정력이 약해져 작업자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2768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발판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되는 지지본체와 삽입된 발판을 결합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서로 이어지는 발판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을 최소화하고, 작업간의 충격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발판의 고정이 헐거워지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족장 연결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발판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되도록 중공 된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연결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본체를 족장지지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지지본체에 서로 대응 삽입되는 발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본체에 삽입된 각각의 발판의 외측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는 양측면이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된 반원 형상의 판스프링; 및 상기 지지본체와 판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과 밀착하는 상기 고정구의 밀착면에는 상기 발판이 상기 지지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제를 도포하거나 논슬립처리 또는 미끄럼방지패드 등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본체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판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지지본체에 삽입되는 발판의 상면에 형성된 타공부에 대응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족장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발판을 놓기 위해 필요한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발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는 단턱을 최소화하고, 연결 고정된 발판이 헐거워지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발판을 겹쳐서 설치할 때 낭비되는 길이를 확보하여 발판의 전체 길이를 효율적으로 전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족장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족장 연결 브라켓의 고정수단 및 발판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족장 연결 브라켓의 고정수단 및 발판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족장 연결 브라켓의 고정수단에 발판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공사 또는 조선공사를 할 때, 높은 곳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인 비계를 설치함에 있어, 대량으로 사용되는 발판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족장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족장 연결 브라켓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본체(100)와 고정수단(200), 그리고 고정커플러(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본체(100)는 내부가 중공 된 사각 블록형상을 이루고,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이 개방되어있어 상기 개방된 두 면을 통해 두 개의 발판(300)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두 모재의 단면을 맞대어 이음)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된 상기 두 개의 발판(300)이 동일 선상에 놓여짐으로써, 종래에 지지장치를 이용해 발판(300)을 결합 할 경우 상기 발판(300)을 겹쳐서 설치하여 생기는 높은 단턱으로 인해 작업자가 이동간에 발에 걸려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겹쳐진 발판(300)으로 인해 낭비되는 길이가 없이 모든 길이를 사용하여, 비계의 설치 거리에 맞게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을 하는 공간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에 고정수단(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본체(100)에 맞대기로 삽입된 두 개의 발판(300)이 상기 지지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단순히 고정구 또는 고정핀을 사용하여 족장지지대(P)에 발판(300)을 연결했을 경우, 설치된 발판(300)의 위를 이동하는 작업자들의 무게 또는 작업물의 이동에 따른 상/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고정구 또는 고정핀이 헐거워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족장지지대(P)와 발판(30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심하면 상기 발판(300)이 족장지지대(P)에서 이탈되어 작업자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발판(300)은 족장지지대(P)의 상측에 얹혀져 와이어 또는 고정구로 결합되거나, 상기 족장지지대(P)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게 되며, 이는 발판(300)의 설치 및 제거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특히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 발판(300)을 고정하는 작업은 와이어를 묶고 조이는 작업이 난해하며 헐거워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본체(100)의 하부에 고정커플러(1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두 개의 발판(300)이 맞대기로 삽입 고정된 상기 지지본체(100)가 상기 족장지지대(P)의 상측에 놓여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커플러(120)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비계 위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더욱 높여주며, 족장의 설치 또는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기가 단축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 중앙에는 칸막이(110)를 두어 상기 지지본체(100)에 서로 대응 삽입되는 발판(3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본체(100)의 개방된 면을 통해 서로 대응하여 삽입되는 두 개의 발판(300)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지지본체(100)에 과하게 삽입되어 다른 한쪽의 발판(300)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0)에서 밀려나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 중앙의 상/하/좌/우 또는 각 모서리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위치에 상기 칸막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칸막이(110)를 둠으로써, 상기 지지본체(100)의 양쪽에서 삽입되는 상기 두 개의 발판(300)의 최대 삽입 깊이를 고정하게 되고, 상기 지지본체(100)에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 결합된 두 개의 발판(3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져 상기 고정수단(200)의 고정범위를 벗어나 상기 지지본체(100)와 발판(30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에 상기 칸막이(11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본체(100)에 삽입된 각각의 발판(300)의 외측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21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이 구비되는 위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좌/우 내측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100)의 상/하 또는 상/하/좌/우 모든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210)는 메인이 되는 판스프링(211)과 상기 판스프링(211)을 보조하는 코일스프링(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넓은 판형의 상기 판스프링(211)의 양 측면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211)의 중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211)과 지지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코일스프링(212)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211)의 탄성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판스프링(211)의 굴곡면은 상기 지지본체(100)에서 발판(300)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면과 마주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본체(100)에 삽입되는 발판(300)이 부드럽게 삽입 끼워질 수 있다.
그리하여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양쪽 개방된 면을 통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된 두 개의 발판(300)이 상기 고정구(210)의 굴곡면을 타고 상기 지지본체(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칸막이(110)까지 삽입되어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211)의 굴곡면은 상기 발판(300)이 삽입됨에 따라,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측면을 향해 압착되며, 다시 펼쳐지려는 상기 판스프링(211)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발판(300)의 외측 테두리를 밀착 압박하여 상기 지지본체(100)에서 발판(300)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11)과 지지본체(100)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212)이 상기 판스프링(211)의 탄성력을 보조하여 줌으로써, 상기 발판(300)의 외측 테두리를 보다 단단하게 밀착 압박하여 상기 발판(300)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판(300)과 밀착하는 상기 고정구(210)의 밀착면, 즉, 상기 지지본체(100)에 삽입된 상기 발판(300)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11)이 압착됨과 동시에 삽입된 상기 발판(300)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되는 상기 판스프링(211)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수단(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된 상기 발판(300)이 상기 지지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며, 미끄럼방지제를 도포하거나 논슬립처리(오돌토돌한 도트(dot)처리), 미끄럼방지패드(마찰력이 강한 고무, 실리콘 등)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판스프링(211)과 코일스프링(2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발판(300)을 밀착 압박하여 고정을 한다 하더라도 금속간의 마모로 인해 약해지거나 또는, 부족한 마찰력을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3)을 통해 보강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본체(100)와 발판(300) 사이의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에 기술한 고정구(210)가 아닌 다른 형식으로도 가능하다.
이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판(3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2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볼스프링(2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300)의 상측에 규칙적으로 형성되어있는 다수의 타공부(310)에 상기 볼스프링(230)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지본체(100)와 발판(300) 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본체(100)에 삽입되는 상기 발판(300)이 밀려 들어오면서,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220)의 하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볼스프링(230)을 가이드프레임(220)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고, 이때, 지나가는 상기 발판(3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타공부(310)에 맞춰 상기 볼스프링(230)이 다시 튀어나옴으로써, 상기 타공부(310)에 볼스프링(230)이 삽입되어 고정하게 되며, 상기 발판(300)이 상기 지지본체(100)의 중앙에 있는 칸막이(110)에 닿을 때까지 반복되어, 다수의 상기 볼스프링(230)과 타공부(310)가 서로 결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공부(310)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발판(300)에서 물이 고이지 않게 잘 빠지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작업자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족장 연결 브라켓을 사용할 경우 상기 족장 연결 브라켓에 맞춰 발판(300)을 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기존의 발판(300)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계를 설치함에 있어서 구성 요소들의 제작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스프링(230)을 포함하는 가이드프레임(22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두 개의 라인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되는 상기 발판(300) 또는 지지본체(100)의 폭에 맞춰 필요에 따라 한 개의 라인 또는 다수개의 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족장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발판을 놓기 위해 필요한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발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는 단턱을 최소화하고, 연결 고정된 발판이 헐거워지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발판을 겹쳐서 설치할 때 낭비되는 길이를 확보하여 발판의 전체 길이를 효율적으로 전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지지본체
110 : 칸막이
120 : 고정커플러
200 : 고정수단
210 : 고정구
211 : 판스프링
212 : 코일스프링
213 : 미끄럼방지수단
220 : 가이드프레임
230 : 볼스프링
300 : 발판
310 : 타공부
P : 족장지지대

Claims (7)

  1. 두 개의 발판이 서로 대응하여 맞대기로 삽입되도록 중공된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지지본체에 서로 대응 삽입되는 발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본체에 삽입된 각각의 발판의 외측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는,
    양측면이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중앙이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판스프링; 및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과 판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발판이 상기 지지본체에 삽입됨에 따라,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압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발판의 외측 테두리를 밀착 압박하여 상기 지지본체에서 상기 발판을 고정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보조하며 상기 발판의 외측 테두리를 밀착 압박함으로써 상기 발판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연결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본체를 족장지지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연결 브라켓.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과 밀착하는 상기 고정구의 밀착면에는,
    상기 발판이 상기 지지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연결 브라켓.
  7. 삭제
KR1020180079921A 2018-07-10 2018-07-10 족장 연결 브라켓 KR10210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21A KR102108182B1 (ko) 2018-07-10 2018-07-10 족장 연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21A KR102108182B1 (ko) 2018-07-10 2018-07-10 족장 연결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25A KR20200006325A (ko) 2020-01-20
KR102108182B1 true KR102108182B1 (ko) 2020-05-08

Family

ID=6936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921A KR102108182B1 (ko) 2018-07-10 2018-07-10 족장 연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127A (ko) 2020-07-28 2022-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안전 장치 및 족장 안전 상태 확인 방법
KR20220015031A (ko) 2020-07-30 2022-02-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설치 상태에 대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854U (ja) * 1993-05-26 1994-12-13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足場板接合スリーブ
JP2700307B2 (ja) * 1995-03-10 1998-01-21 達明 中尾 足場の保持金具
JPH08312129A (ja) * 1995-05-19 1996-11-26 Fujiki Komuten:Kk 足場板端部の連結支持装置
KR200432768Y1 (ko) 2006-09-29 2006-12-06 김광부 작업발판용 고정구
KR20140024552A (ko) * 2012-08-20 2014-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설 난간지주
KR101803442B1 (ko) * 2016-03-17 2017-11-30 (주)세일시스 화력발전소 보일러 튜브구조물 이동통로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25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197B1 (en) Scaffold bracket
KR102108182B1 (ko) 족장 연결 브라켓
JP5260844B2 (ja) 多目的ステージ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20150015826A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갱폼 케이지
JP2018188952A (ja) 足場板留め具
KR101105895B1 (ko) 족장발판용 엣지훅
CN211524150U (zh) 一种钢梁临边防护装置
KR20090124512A (ko) 족장
KR100961159B1 (ko) 건축물 바닥 보호구조
KR20140100082A (ko) 가설용 발판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KR101877129B1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설치방법
JP5648274B2 (ja) 作業足場における足場板の段差吸収プレート
JP7326065B2 (ja) 補強敷板
JP7063158B2 (ja) 保全シート
KR20120008636U (ko) 조립식 틀비계의 발끝막이판
JP6494690B2 (ja) 油圧エレベータ制御用バルブの配管脱着作業治具、配管取り外し方法、及び配管結合方法
KR20070067938A (ko) 건설기계용 스텝
KR102241259B1 (ko) 가설 작업발판 틈새 막이
KR200303267Y1 (ko) 선체블록의 격판간 안전통행용 가설발판
JP3154576U (ja) 仮設足場の下桟への付加構造
JP2011032642A (ja) 梯子転倒防止具、この梯子転倒防止具を備えた梯子、この梯子転倒防止具に適用される保護部材
JP2006257770A (ja) 作業用足場ユニット
JP3200696U (ja) 梯子用手摺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