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340A -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340A
KR20030024340A KR1020010057448A KR20010057448A KR20030024340A KR 20030024340 A KR20030024340 A KR 20030024340A KR 1020010057448 A KR1020010057448 A KR 1020010057448A KR 20010057448 A KR20010057448 A KR 20010057448A KR 20030024340 A KR20030024340 A KR 20030024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steel
frame
filling
bo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민
우윤수
정중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5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340A/ko
Publication of KR2003002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34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천이나 계곡 기슭에 설치되어 표토층의 유실을 방지하는 기슭막이에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고선을 따라 표토층을 절토하여 기슭막이(10)의 최하단을 설치할 기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단계와, 기저면 상에 강재틀(20)을 설치하는 단계와, 강재틀(20)의 내부 및 강재틀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와, 채움재(80)가 채워진 강재틀(20) 위에 부가적인 강재틀(20)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적층된 강재틀(20)의 내부 및 강재틀(20)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80)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강재틀설치단계 및 강재틀적층단계는, 형강(21, 22)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을 서로 볼트조임하여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육면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육면체의 상면을 제외하고 기슭막이(10)의 외면을 이루는 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채움재(80)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스크린(31, 32)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강재틀적층단계에서는 상층의 강재틀(20)의 하면이 하층의 강재틀(20)의 상면으로부터 토양의 표토층 쪽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게 적층함으로써 하층의 강재틀(2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하는 기슭막이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with assembly steel frame}
본 발명은 하천이나 계곡의 표토층이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기슭막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기슭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계곡 또는 농경수로 등과 같이, 지면을 따라 물이 유동하면서 물가에 위치한 표토층을 횡침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산각(山脚)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계류 흐름방향을 따라 계류의 양측에는 기슭막이가 축설된다. 종래의 기슭막이는 돌, 콘크리트 블록, 돌망태 등을 이용하여 시공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기후 조건으로서, 1년 중에 6~7월의 강우량은 1년의 강우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이런 집중호우 때문에 돌, 블록, 돌망태로 시공된 기슭막이는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로 시공된 기슭막이는 다른 돌, 블록, 돌망태로 형성된 기슭막이보다 내구성이 우수하여 집중호우 때에도 잘 견딜 수 있으나, 콘크리트 기슭막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트럭믹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비교적 고도가 낮은 하천의 경우에는 트럭믹서가 쉽게 시공현장까지 진입할 수 있으나, 산기슭의 계곡과 같은 곳에 기슭막이를 시공할 경우에는 트럭믹서의 진입이 어려워 콘크리트 기슭막이 시공이 어렵게 된다.
한편, 이런 콘크리트 기슭막이는 거푸집 패널의 설치와 타설 및 양생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또한, 시공되었더라도, 콘크리트로 시공된 기슭막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아 어류의 산란장소로 적합하지 않으며 수생식물이 서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로 시공된 기슭막이는 자연 정화기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돌망태는 우선 강선을 엮어 강선그물의 형태를 만들고, 이런 강선그물 내에 돌 및 암석을 채워 기슭막이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돌망태는 강선으로 엮어져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시공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재틀을 이용하여 시공된 하천 기슭막이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재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기슭막이설치선을 따라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연결편에 연결된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재틀의 스크린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슭막이 20 : 강재틀
21 : 제1 L형강 22 : 제2 L형강
23 : 띠강판 25 : L형강
29 : 커버부 31 : 측면 스크린
33 : 브레이싱부 70 : 연결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탈진 토양의 표토층이 유수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슭막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고선을 따라 표토층을 절토하여 기슭막이의 최하단을 설치할 기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단계와, 기저면 상에 강재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강재틀의 내부 및 강재틀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와, 채움재가 채워진 강재틀 위에 부가적인 강재틀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적층된 강재틀의 내부 및 강재틀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틀설치단계 및 상기 강재틀적층단계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을 서로 볼트조임하여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육면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면체의 상면을 제외하고 기슭막이의 외면을 이루는 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상기 채움재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틀적층단계에서는 상층의 강재틀의 하면이 하층의 강재틀의 상면으로부터 토양의 표토층 쪽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게 적층함으로써 하층의 강재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하는 기슭막이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강재틀적층단계 및 적층된 강재틀의 내부를 채움재로 채우는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강재틀설치단계 및 상기 강재틀적층단계는 상기 강재틀의 적어도 한 면 이상에서 대각선방향의 두 모서리를 형강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설치단계는 띠강판을 유수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하여 유수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저면스크린설치단계와, 형강을 세로로 배치하여 가로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전후면스크린설치단계와, 형강을 가로로 배치하여 세로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측면스크린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재틀을 이용하여 시공된 하천 기슭막이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재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기슭막이설치선을 따라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연결편에 연결된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재틀의 스크린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육면체의 강재틀(20)과, 육면체의 4측면과 상하면에 설치되는 스크린(31, 32) 및, 상기 강재틀(20)의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8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20)은 12개의 제1 L형강(21)의 단부들이 연결되어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인 육면체의 외곽을 형성되는데, 이때, 제1 L형강(21)의 안쪽면은 육면체의 강재틀(20)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결된다. 이런 제1 L형강(21)이 상호 연결된 부위에는 커버부(29)가 제1 L형강(21)의 연결부위를 감싼 상태로 제1 L형강(21)에 체결된다.
이런 강재틀(20)의 4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2 L형강(22)이 강재틀(20)의 4측면의 상부와 하부의 제1 L형강(21H, 21L)과 볼트체결되어 4측면을 따라 평행하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2 L형강(22)들은 측면 스크린(31)의 부재가 된다.
그리고, 강재틀(20)의 상하면에 위치한 4개의 제1 L형강(21H, 21L)에는 다수 개의 띠강판(23)들이 강재틀(20)의 폭방향으로 위치하여 강재틀(20)의 길이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며, 띠강판(23)은 제1 L형강(21H, 21L)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에서, 띠강판(23)들은 상하면 스크린(32)의 부재가 된다.
한편, 앞에서 측면 스크린(31)으로 제2 L형강(22)이 사용된다고 설명하였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20)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강재틀(20)의 양측단면 중에 어느 한 또는 양측단면에 브레이싱부(33)가스크린(31)을 대신하여 설치된다. 브레이싱부(33)는 강재틀(20)의 내부를 대각선으로 L형강(25)을 연결하는 것으로 강재틀(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이다.
여기에서, 강재틀(20)의 배치관계는 기슭막이(10)를 설치하기 위해 등고선을 따라 표토층을 절토하는 기초 지반공사가 완료된 지면에 강재틀(20)을 위치시킨다. 이때, 지면에 위치하는 강재틀(20)들은 기슭막이설치선을 따라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밀착된 강재틀(20)의 수직부에 해당하는 제1 L형강(21M)에는 연결편(70)이 위치한다. 이때, 연결편(7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과 제1 L형강(21M)에 형성된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밀착된 강재틀(20)을 상호 연결 고정한다. 이런 기슭막이설치선을 따라 연결 고정된 강재틀(20)의 내부에는 돌 또는 암석 등의 채움재(80)가 채워진다.
그리고, 띠강판(23)의 양단부를 강재틀(2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L형강(21H)에 고정하여 강재틀(20)의 내부에 채워진 돌 또는 암석 등의 채움재(80)가 강재틀(2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띠강판(23)과 제1 L형강(21H)의 연결관계 또한, 띠강판(23)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과 제1 L형강(21H)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상부의 띠강판(23)을 강재틀(20)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면 스크린(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절토된 절토면과 강재틀(20)의 사이에 채움재를 채워 강재틀(20)이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기슭막이설치선을 따라 연결된 다수 개의 강재틀(20)들에 의해 1단 기슭막이(10a)가 형성되고, 이런 1단 기슭막이(10a)의 상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강재틀(20)이 연결편(70)으로 연결되어 2단 기슭막이(10b)를 형성한 후에 절토면과 2단 기슭막이(10b)의 사이 및 2단 기슭막이(10b)의 강재틀(20)의 내부에 채움재(80)를 채운다.
이와 같이, 강재틀(20)을 적층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기슭막이(10)의 높이까지 적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슭막이 시공방법에서는 1단 기슭막이(10a)를 구성하는 강재틀(20)의 상면에 2단 기슭막이(10b)의 강재틀(20)이 안착되는데, 이때 상부 강재틀(20)과 하부 강재틀(20)의 맞대응한 상태로 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 강재틀(20)을 하부 강재틀(20)의 상면에 대하여 절토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적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하게 되면 절토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기슭막이(10)의 외면은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하부 강재틀(20)의 상면이 노출된 부위에 수생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의 (a)와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20)의 측면 스크린(31)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강재틀(20)의 측면 스크린(31)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허니콤 구조를 갖는 강재틀(20)의 측면 스크린(31)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의 (c)는 격자구조를 갖는 강재틀(20)의 측면 스크린(31)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빠르고, 자재의 운반 등에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에서 강재틀의 내부에 돌 또는 암석 등이 채워짐으로써, 물고기들의 산란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은 돌 또는 암석을 강재로서 수용하고, 강재의 연결부위는 고장력의 볼트로 체결됨으로써, 돌 또는 암석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 시에 수압 및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은 돌 또는 암석의 틈 사이로 물이 침투하여 흐르기 때문에 자연 정화효과가 크고, 수중생물의 서식에 접합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비탈진 토양의 표토층이 유수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슭막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고선을 따라 표토층을 절토하여 기슭막이의 최하단을 설치할 기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단계와,
    기저면 상에 강재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강재틀의 내부 및 강재틀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와,
    채움재가 채워진 강재틀 위에 부가적인 강재틀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적층된 강재틀의 내부 및 강재틀과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틀설치단계 및 상기 강재틀적층단계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을 서로 볼트조임하여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육면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면체의 상면을 제외하고 기슭막이의 외면을 이루는 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상기 채움재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틀적층단계에서는 상층의 강재틀의 하면이 하층의 강재틀의 상면으로부터 토양의 표토층 쪽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게 적층함으로써 하층의 강재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슭막이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틀적층단계 및 적층된 강재틀의 내부를 채움재로 채우는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슭막이시공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강재틀설치단계 및 상기 강재틀적층단계는 상기 강재틀의 적어도 한 면 이상에서 대각선방향의 두 모서리를 형강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설치단계는,
    띠강판을 유수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하여 유수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저면스크린설치단계와,
    형강을 세로로 배치하여 가로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전후면스크린설치단계와,
    형강을 가로로 배치하여 세로방향의 외곽프레임에 볼트조임하는 측면스크린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슭막이시공방법.
KR1020010057448A 2001-09-18 2001-09-18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KR20030024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448A KR20030024340A (ko) 2001-09-18 2001-09-18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448A KR20030024340A (ko) 2001-09-18 2001-09-18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340A true KR20030024340A (ko) 2003-03-26

Family

ID=2772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448A KR20030024340A (ko) 2001-09-18 2001-09-18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3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5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사방댐의 시공방법
KR100513816B1 (ko) * 2002-08-30 2005-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강재틀
KR100984774B1 (ko) * 2008-08-26 2010-10-01 주식회사 창건 사다리용 발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438U (ko) * 1981-06-15 1982-12-23
JPH0376022A (ja) * 1989-08-18 1991-04-02 Konica Corp 磁気記録媒体
JPH06193068A (ja) * 1992-12-25 1994-07-12 Sumikin Kozai Kogyo Kk 土留め施工方法
JPH07113220A (ja) * 1993-10-15 1995-05-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面付き鋼製自在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H0885931A (ja) * 1994-09-19 1996-04-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石詰め護岸構造
JPH10168886A (ja) * 1996-12-09 1998-06-23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鋼製自在枠による石詰め構造物とその根入れ方法
JPH11209987A (ja) * 1998-01-20 1999-08-03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土木構造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438U (ko) * 1981-06-15 1982-12-23
JPH0376022A (ja) * 1989-08-18 1991-04-02 Konica Corp 磁気記録媒体
JPH06193068A (ja) * 1992-12-25 1994-07-12 Sumikin Kozai Kogyo Kk 土留め施工方法
JPH07113220A (ja) * 1993-10-15 1995-05-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面付き鋼製自在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H0885931A (ja) * 1994-09-19 1996-04-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石詰め護岸構造
JPH10168886A (ja) * 1996-12-09 1998-06-23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鋼製自在枠による石詰め構造物とその根入れ方法
JPH11209987A (ja) * 1998-01-20 1999-08-03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土木構造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5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사방댐의 시공방법
KR100513816B1 (ko) * 2002-08-30 2005-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강재틀
KR100984774B1 (ko) * 2008-08-26 2010-10-01 주식회사 창건 사다리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150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ll reinforcement or jetty structure
JP2009506234A (ja) 防波堤
WO1995022663A1 (en) Earth-retaining module and system
KR20030024340A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기슭막이 시공방법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925887B1 (ko) 블록크린 사방댐.
KR100714234B1 (ko) 방파대
KR100507744B1 (ko) 사방댐용 조립식 강재틀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JP3364432B2 (ja) 石材擁壁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JP3745990B2 (ja) 囲繞枠材及びそれを用いた構築物、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2001172936A (ja) 地面防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0409196B1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경사지 도로 시공방법
KR20030025370A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시공방법
KR20030025366A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성토방법
KR20040020454A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사방댐의 시공방법
US20240352696A1 (en) Storm surge protection system
KR20030024341A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물받이 시공방법
KR100409197B1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475104B1 (ko) 사면 및 호안옹벽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3713688B2 (ja) 堤状構造物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256993B1 (ko)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