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122A -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 Google Patents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122A
KR20220106122A KR1020227017136A KR20227017136A KR20220106122A KR 20220106122 A KR20220106122 A KR 20220106122A KR 1020227017136 A KR1020227017136 A KR 1020227017136A KR 20227017136 A KR20227017136 A KR 20227017136A KR 20220106122 A KR20220106122 A KR 2022010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port
pressure cooker
bayo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렌틴 비게르트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엠에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0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핸들(2)을 갖는 팬(1) 및 리드 핸들(6)을 갖는 리드(5)를 포함하는 베이어닛 폐쇄부(9)를 갖는 압력 쿠커에 관한 것이다. 베이어닛 폐쇄부(9)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5)가 팬 핸들(2)의 체결 영역(3)에 대향하여 있는 영역에서는 팬(1)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리드(5)가 팬 핸들의 체결 영역(3)에서는 팬으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이러한 방식으로, 팬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5)를 틸팅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베이어닛 폐쇄부를 갖는 압력 쿠커가 제공되고, 압력 쿠커는 포트 핸들을 갖는 포트 및 리드 핸들을 갖는 리드를 포함한다.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의해, 압력 쿠커는 종래 기술의 종래의 압력 쿠커에서의 비등 지연 및 증기 방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부상, 또는 사고를 피한다.
종래 기술의 종래의 압력 쿠커에서는, 압력 쿠커의 "리드 개방 위치"에 도달한 후에 필요에 따라 압력 쿠커의 상향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압력 쿠커를 사용하여 조작자를 향해 "플립핑 개방(flipping open)"의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조리될 음식의 상태가 체크될 때에 수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증기가 조작자의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고, 묽은 음식을 조리하면, 비등 지연이 심지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리될 음식은 폭발 방식으로 압력 쿠커로부터 내뿜어진다. 조작자를 향한 압력 쿠커 리드의 개방 각도로 인해, 조작자는 조리될 이러한 매우 뜨거운 음식 또는 뜨거운 증기에 의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조작자의 신체 및 팔에 대한 화상(burns) 및 데임(scalding)이 이의 결과일 수 있다.
이를 시작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압력 쿠커의 단점을 갖지 않는 압력 쿠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에 의한 압력 쿠커의 개방 중에 사용자의 방향으로 조리될 뜨거운 음식의 방출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베이어닛 폐쇄부를 갖는 압력 쿠커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유리한 특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압력 쿠커에서의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이 제안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압력 쿠커 및 청구항 13의 특징을 갖는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유리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쿠커가 제공되고, 압력 쿠커는,
a) 포트의 측벽의 체결 영역에서 포트에 체결되는 포트 핸들을 갖는 포트로서, 포트 핸들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포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포트 핸들 축을 따라 적어도 국부적으로 연장되는, 포트; 및
b) 리드의 상측에서 리드에 체결되는 리드 핸들을 갖는 리드로서, 리드 핸들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리드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리드 핸들 축을 따라 적어도 국부적으로 연장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포트 및 리드는 함께 베이어닛 폐쇄부를 갖고, 베이어닛 폐쇄부는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쇄 위치에서 리드 핸들에 포트 핸들을 체결하고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특정 각도로 배열되는 개방 위치에서 리드 핸들로부터 포트 핸들을 해제하기에 적합하다.
압력 쿠커는, 베이어닛 폐쇄부가,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쿠커는 조작자를 향한 포트 리드의 "플립핑 개방(flipping open)"이 압력 쿠커의 사용 중에 방지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 조리될 음식이 압력 쿠커의 사용 중 압력 쿠커가 개방될 때 사용자의 방향으로 압력 쿠커로부터 더 이상 배출될 수 없다. 압력 쿠커가 개방될 때 조리될 뜨거운 음식 배출로 인해 달리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화상 또는 데임이 따라서 방지된다.
압력 쿠커의 장점은 압력 쿠커의 개방 위치에 도달한 후에, 압력 쿠커 리드가 리드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측면 상에서만 플립 개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초기에 리드 핸들의 "하향" 틸팅만이 가능하며, 그에 의해, 리드는 "보호 차폐부"로서 작용하고, 조리될 음식의 튐 및 증기가 포트로부터 사용자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후속 단계 이전이 아니라 (베이어닛 폐쇄부의 상승 위치에서), 압력 쿠커 리드가 "베이어닛 중첩부"로부터 인출되어 포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증기 또는 조리될 음식의 경우, 사용자가 그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으로 반응하여 (신속하게) 다시 폐쇄된 압력 쿠커 리드를 플립핑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증기 및 조리될 음식은 사용자의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압력 쿠커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어닛 폐쇄부가 연속적인 베이어닛 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어닛 러그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연속적인 베이어닛 러그는 특히 리드 핸들의 영역에서 어떠한 간극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포트 리드는 포트에 유지되고, 이 위치에서 상향으로 개방될 수 없는데, 즉 포트로부터 상향으로 상승될 수 없다.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트의 측벽에 배열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트와 일편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의 개방 방향으로, 포트 핸들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베이어닛 러그가 포트에 배열될 수 있고, 다른 베이어닛 러그가 포트 핸들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의 측벽을 따라 76 내지 225 cm의 폭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베이어닛 러그는 측벽에 수직으로 0.15 내지 0.4 cm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 핸들로부터 0.7 내지 4.0 c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드는 베이어닛 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개방 위치에서 베이어닛 러그가 있는 힌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베이어닛 러그에 대한 대응부를 갖는다.
압력 쿠커의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폐쇄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포트의 측벽을 따라)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 특히 2° 이하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포트의 측벽을 따라) 포트 핸들 및/또는 리드 핸들의 폭보다 큰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포트의 측벽을 따라) 10° 초과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 핸들 축 (또는 리드)이 폐쇄 위치에서 리드 핸들 축에 대해 (그리고 포트의 측벽을 향해) 최대 60°,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베이어닛 폐쇄부는 바람직하게는 리드 상승 위치를 갖도록 구성되고, 베이어닛 폐쇄부의 리드 상승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은 서로에 대해 개방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 사이의 각도보다 큰 각도로 배열된다. 베이어닛 폐쇄부의 리드 상승 위치에서, 리드는 포트로부터 완전히 상승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베이어닛 폐쇄부의 대향 배치된 베이어닛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이는 리드 핸들 축(또는 리드)을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를 넘어 회전시킴으로써, 즉 리드 핸들 축(또는 리드)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큰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일단 베이어닛 폐쇄부의 리드 상승 위치에 도달하면, 리드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설계로 인해 (예를 들어, 포트 핸들 축의 방향으로) 포트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베이어닛 폐쇄부의 리드 상승 위치의 설계로 인해, 리드는 따라서 단지 포트에 대한 리드의 특정 "회전 각도"에 사전에 도달되어 있을 때에만 상승되어 포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의 특정 틸팅 및 이에 따른 리드의 개방은, 리드가 사용자에 의해 포트로부터 완전히 상승 및 제거될 수 있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먼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될 뜨거운 음식의 가능한 탈출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영역, 즉,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 영역에서 반드시 먼저 발생한다. 이어서 포트로부터의 리드의 후속적인 완전한 상승 및 제거는 압력이 압력 쿠커로부터 이미 탈출했기 때문에 압력 쿠커의 사용자에 대한 어떠한 위험도 더 이상 나타내지 않는다.
포트 핸들을 갖는 포트 및 리드 핸들을 갖는 리드를 갖는 압력 쿠커에서의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이 추가로 제안되며,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포트에서의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지는 여기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포트 핸들(6)이 위치되는 압력 쿠커의 측면으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쿠커의 도면을 도시한다. 리드 핸들은 리드의 상측(7)에서 리드(5)에 체결되고, 포트 핸들(2)은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에서 포트(1)에 체결된다. 도 1a는 베이어닛 폐쇄부(9)의 일부로서 연속적인 베이어닛 러그를 갖는 압력 쿠커의 포트(1)를 도시한다. 도 1b는 리드(5)가 "개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포트(1)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포트 핸들 축(4) 및 리드 핸들 축(8)은 포트(1)의 주연 방향으로, 즉, 포트(1)의 개구가 걸쳐지는 표면과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대략 35°의 각도를 이룬다. 개방 위치에서, 리드 핸들 축(8)은 추가적으로 포트 핸들 축(4)을 향해 특정 틸트 각도(10)만큼 하향 틸팅될 수 있는데, 즉, 이 틸트 각도(10)는 포트의 개구가 걸쳐지는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 개방 위치에서, 리드(5)는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에 대향하여 배치된 영역(도 1b의 상부 좌측 영역)에서 포트(1)로부터 확실하게 상승될 수 있지만,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도 1b의 하부 우측 영역)에서는 포트(1)로부터 상승될 수 없다. 포트 핸들 축으로부터 멀리 (여기서는 우측으로) 리드 핸들(6)의 큰 회전 후에만, 베이어닛 폐쇄부(9)의 리드 상승 위치에 도달하고, 리드(5)는 또한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에서 포트(1)로부터 상승되어 포트(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비-틸팅된 개방 위치(도 2a)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틸팅된 개방 위치(도 2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쿠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개방 위치에서, 리드(5)는 리드 핸들(6)의 하향 이동에 의해 베이어닛 폐쇄부(9) 위로 틸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드는 사용자에 대향하여 배치된 측부 상에서 틸트 각도(10)만큼 포트(1)로부터 상승된다(도 2b 참조). 베이어닛 폐쇄부(9)의 이 개방 위치에서, 포트(1)의 완전한 상승, 즉, 또한 포트(1)에서의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에서의 포트(1)의 상승은 가능하지 않다. 리드(5)가 포트 핸들 축으로부터 멀리 (여기서는 우측으로) 특정 각도를 넘어 회전될 때에만, 베이어닛 폐쇄부(9)가 리드 상승 위치로 이동하고, 리드(5)는 또한 포트(1)로부터 상승되어 포트 핸들(2)의 체결 영역(3)에서 포트(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1: 포트
2: 포트 핸들
3: 포트에서의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
4: 포트 핸들 축
5: 리드
6: 리드 핸들
7: 리드의 상측
8: 리드 핸들 축
9: 베이어닛 폐쇄부
10: 리드가 틸팅되는 틸트 각도

Claims (13)

  1. 압력 쿠커이며,
    a) 포트의 측벽의 체결 영역에서 포트에 체결되는 포트 핸들을 갖는 포트로서, 포트 핸들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포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포트 핸들 축을 따라 적어도 국부적으로 연장되는, 포트; 및
    b) 리드의 상측에서 리드에 체결되는 리드 핸들을 갖는 리드로서, 리드 핸들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리드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리드 핸들 축을 따라 적어도 국부적으로 연장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포트 및 리드는 함께 베이어닛 폐쇄부를 갖고,
    베이어닛 폐쇄부는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쇄 위치에서 리드 핸들에 포트 핸들을 체결하고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특정 각도로 배열되는 개방 위치에서 리드 핸들로부터 포트 핸들을 해제하기에 적합한, 압력 쿠커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연속 베이어닛 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3. 제2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트의 측벽에 배열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트와 일편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의 개방 방향으로, 포트 핸들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의 측벽을 따라 76 내지 225 cm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의 측벽에 수직으로 0.15 내지 0.4 cm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러그는 포트 핸들로부터 0.7 내지 4.0 cm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는 베이어닛 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개방 위치에서 베이어닛 러그가 있는 힌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베이어닛 러그에 대한 대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폐쇄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서로에 대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 특히 2° 이하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이
    ⅰ) 서로에 대해 포트 핸들 및/또는 리드 핸들의 폭보다 큰 각도로 배열되고; 및/또는
    ⅱ) 서로에 대해 10° 초과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 핸들 축이 폐쇄 위치에서 리드 핸들 축에 대해 최대 60°,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리드 상승 위치를 갖고, 베이어닛 폐쇄부의 리드 상승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은 서로에 대해 개방 위치에서 포트 핸들 축과 리드 핸들 축 사이의 각도보다 큰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쿠커.
  13. 포트 핸들을 갖는 포트 및 리드 핸들을 갖는 리드를 갖는 압력 쿠커에서의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에 있어서, 베이어닛 폐쇄부는, 베이어닛 폐쇄부의 개방 위치에서, 리드가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있지만,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는 포트로부터 상승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포트에서의 포트 핸들의 체결 영역에서 리드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KR1020227017136A 2019-12-10 2020-11-13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KR20220106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9249.1A DE102019219249B3 (de) 2019-12-10 2019-12-10 Schnellkochtopf und Verwendung eines Bajonettverschlusses
DE102019219249.1 2019-12-10
PCT/EP2020/082021 WO2021115725A1 (de) 2019-12-10 2020-11-13 Schnellkochtopf und verwendung eines bajonettverschlus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122A true KR20220106122A (ko) 2022-07-28

Family

ID=7345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36A KR20220106122A (ko) 2019-12-10 2020-11-13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033943B1 (ko)
JP (1) JP2023505075A (ko)
KR (1) KR20220106122A (ko)
CN (1) CN114727709B (ko)
DE (1) DE102019219249B3 (ko)
ES (1) ES2970200T3 (ko)
WO (1) WO20211157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8188A (en) * 1940-02-08 1940-10-15 Nat Pressure Cooker Co Pressure cooker
US2559728A (en) * 1947-06-25 1951-07-10 West Band Aluminum Co Pressure cooker
GB641540A (en) * 1947-08-05 1950-08-16 Puzant William Bakari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ressure cookers
IT1088426B (it) * 1977-12-09 1985-06-10 Lagostina Adriano Coperchio applicabile a tneuta ermetica ed in condizioni di resistenza ad una pressione interna superatmosferica,a pentole,casseruole e simili recipienti da cucina,per l'utilizzazione degli stessi quali "pentole a pressione"
DE3223142A1 (de) * 1982-06-22 1983-12-22 Braun & Kemml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Dampfdruckkochtopf mit sicherheitseinrichtung
AU4347585A (en) * 1984-06-08 1985-12-12 Sunbeam Corporation Limited Pressure cooker
FR2719986B1 (fr) * 1994-05-19 1996-07-12 Sitram Autocuiseur.
GB9501636D0 (en) * 1995-01-27 1995-03-15 Prestige Group Uk Plc Pressure vessels
CN2228322Y (zh) * 1995-08-01 1996-06-05 仪征铝制品总厂 不锈钢复合底压力锅
WO2001076428A2 (en) * 2000-04-07 2001-10-18 Jian, Wei, Wen Pressure cooker
CN2528346Y (zh) * 2002-03-13 2003-01-01 汤玉群 安全压力锅
ES2577305T3 (es) * 2006-07-25 2016-07-14 Wmf Group Gmbh Olla a presión
JP3154486U (ja) * 2009-07-07 2009-10-22 株式会社ワンダーシェフ 圧力鍋
CN102551513B (zh) * 2010-12-23 2014-11-19 朝日轻金属工业株式会社 可安全开启的压力锅
CN202891614U (zh) * 2012-11-23 2013-04-24 吉诺工业有限公司 一种食材蒸煮装置
FR3017283B1 (fr) * 2014-02-10 2016-03-04 Seb Sa Autocuiseur a trou d'homme avec moyen de retenue du couvercle
FR3017282B1 (fr) * 2014-02-10 2016-09-02 Seb Sa Autocuiseur a trou d'homme a fermeture facilitee
CN204839089U (zh) * 2015-07-29 2015-12-09 司顿国际贸易(上海)有限公司 多功能组合锅
CN105559569B (zh) * 2016-02-02 2020-07-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开盖的烹饪器具
CN209219936U (zh) * 2018-11-29 2019-08-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内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19249B3 (de) 2021-06-10
EP4033943A1 (de) 2022-08-03
ES2970200T3 (es) 2024-05-27
CN114727709A (zh) 2022-07-08
WO2021115725A1 (de) 2021-06-17
JP2023505075A (ja) 2023-02-08
CN114727709B (zh) 2024-03-05
EP4033943B1 (de)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8639B2 (ja) 電子レンジ用加圧調理器
KR100337273B1 (ko) 조리 기구 손잡이 조립체
WO2001095740A1 (en) Food cooking apparatus
JP5775855B2 (ja) 保護蓋を備えたフードプロセッサ
WO2018026975A1 (en) Dutch oven
KR20220106122A (ko) 압력 쿠커 및 베이어닛 폐쇄부의 사용
KR20060006886A (ko) 조리용기의 뚜껑구조
US20180098657A1 (en) Cooking vessel with or without retainable cov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US6095366A (en) Global warming cover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KR102436196B1 (ko) 전기압력밥솥
EP1813176B1 (en) Lid for pots, pans and similar items
KR20036630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US20100000992A1 (en) Microwave Steamer
KR20170106092A (ko) 손잡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어셈블리
JP3116019U (ja) 蒸し焼き窯
US2994320A (en) Cool stirring kettle
JP4111476B2 (ja) 水受けリング付き調理鍋
KR200464419Y1 (ko) 프라이팬의 분리형 뚜껑
KR100440773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솥
BE1025991B1 (nl) Potdeksel en kooksamenstel met dampdoorgang
JP6588411B2 (ja) 加熱調理用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