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647A -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647A
KR20220105647A KR1020227018735A KR20227018735A KR20220105647A KR 20220105647 A KR20220105647 A KR 20220105647A KR 1020227018735 A KR1020227018735 A KR 1020227018735A KR 20227018735 A KR20227018735 A KR 20227018735A KR 20220105647 A KR20220105647 A KR 2022010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rotating member
lubricant
rota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오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0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9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blem to increase efficiency, e.g. by reducing splash lo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6Absorption elements for lubricants, e.g. oil f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Coatings or solid lubricants, e.g. antiseize layers or pas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2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윤활제로 효율적으로 회전 부재를 윤활시킬 수 있는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에 수용되고,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부재(103)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는, 하우징(102)에 수용되고, 윤활제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104)를 추가로 구비하며,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Description

전달 기구
본 발명은, 소량의 윤활제로 효율적으로 회전 부재를 윤활시킬 수 있는 전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달 기구의 일례로서의 캠 기구는, 일방의 축으로서의 캠 리브를 가지는 캠과, 타방의 축으로서의 회전 부재에 고정된 베어링과의 계합(engaging)에 의해, 캠과 회전 부재 중의 일방의 축을 입력축, 타방의 축을 출력축으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이다. 입력축과 출력축의 축간 거리를 조작함으로써 베어링과 캠의 사이의 접촉면에 예압(豫壓)을 발생시켜, 입출력간에서의 백래시를 없앨 수 있다. 베어링이 캠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베어링과 캠의 사이에 마찰이 생겨, 베어링 및 캠은 마모된다.
특허문헌 1에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와, 기어를 냉각하기 위한 윤활제와, 윤활제를 저류하고, 기어를 윤활제에 침지하기 위한 윤활제 저류 수단을 구비하는 회전 전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기어는, 제 1 평기어와, 제 2 평기어와, 종동축과, 웜기어(또는 롤러 기어캠)와, 웜휠(또는 롤러 기어캠에 계합하는 복수의 베어링이 방사상 또한 등간격으로 주위에 배치된 터릿)과,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윤활제 저류 수단에는, 제 1 평기어, 제 2 평기어, 웜기어가 완전히 침지하도록 윤활제가 저류되어 있다. 모터로부터 발생한 열은 기어로 전열되고, 전열된 열은, 기어가 침지하는 윤활제로 전열되는 것에 의해 기어는 냉각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10198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회전 전달 기구에 있어서, 기어의 윤활은, 윤활제 저류 수단 내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제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모터에 의해 기어가 구동되어 롤러 기어캠을 개재하여 터릿이 회전하면, 윤활제는 원심력에 의해, 롤러 기어캠 및 터릿으로부터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 버려, 베어링과 캠의 사이의 접촉면에는 윤활제에 의한 막이 남지 않는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윤활제를 윤활제 저류 수단의 안에 다량으로 저류하면, 윤활제에 의한 교반 저항이 증가하여 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윤활제 저류 수단의 안에 윤활제를 충전해 두는 것은, 윤활제 저류 수단의 밖으로 윤활제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기초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로 윤활시키는 전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하우징과,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 1 회전 부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가, 하우징에 수용되고, 윤활제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제 1 회전 부재가 윤활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윤활제를 함침시킨 흡수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탄성재로 구성되고, 윤활 부재 자체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가, 탄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탄성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윤활 부재를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 자체를 변형시켜, 윤활제를 윤활 부재 내에서 순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로부터 흡열하여, 하우징에 전열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로부터의 분진을 흡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입경이 작은 분진을 흡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의 제 1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적어도 1개의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가, 제 2 회전 부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회전 부재와 제 2 회전 부재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 및 제 2 회전 부재 중의 일방의 회전이, 제 1 회전 부재 및 제 2 회전 부재 중의 타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제 1 회전 부재 및 제 2 회전 부재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제 1 회전 부재 및 제 2 회전 부재의 접촉 부분을 윤활제로 윤활시키기 위하여,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가 제 2 회전 부재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윤활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제 1 회전 부재가, 그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윤활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어링 중의 제 2 회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윤활 부재가, 2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을 제외한 제 1 회전 부재의 부분이, 윤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베어링이, 캠 팔로어, 롤러 팔로어, 또는 볼이며, 제 2 회전 부재가, 베어링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가 윤활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소량의 윤활제로 효율적으로 회전 부재를 윤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관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일부 투과적으로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달 기구의, 도 3의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달 기구의, 도 3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달 기구의, 도 5의 VI-V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일부 투과적으로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전달 기구의, 도 9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전달 기구의, 도 9의 XI-X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달 기구에 있어서의 윤활 부재의 여러 가지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전달 기구의 윤활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전달 기구의 윤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전달 기구의 윤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29를 참조하여, 전달 기구(101)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전달 기구(101)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에 수용되고,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부재(103)를 구비한다. 전달 기구(101)는, 하우징(102)에 수용되고, 윤활제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104)를 추가로 구비한다. 윤활 부재(104)는, 하우징(102)에 고정된다.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도포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제 1 회전 부재(103)와 윤활 부재(104)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 기인하는 발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탄성력은, 윤활 부재(104)가 제 1 회전 부재(103)에 적당한 예압을 부여하도록 조정 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예압이 낮아지도록,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예압이 높아지도록 탄성력을 조정해도 된다. 예압을 부여하면서 제 1 회전 부재(103)를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포함되는 소량의 윤활제로 효율적으로 제 1 회전 부재(103)에 있어서 윤활제에 의한 막을 확보하여 제 1 회전 부재(103)를 윤활시킬 수 있어, 제 1 회전 부재(10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경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윤활제의 누설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에는 세정 작용이 있어도 되어, 윤활제는, 제 1 회전 부재(103)에 부착된 마모에 의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고, 제 1 회전 부재(103)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제에는 냉각 작용이 있어도 되어, 윤활제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제 1 회전 부재(103)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회전 부재(103)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 요소로서 베어링(106)을 구비해도 되고,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하고 있는 베어링(106)에, 탄성력에 기초하여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제 1 회전 부재(103)의 회전 방향을 따라 베어링(106)을 보다 오래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는, 보다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도 1∼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베어링(106)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의 축선 방향 하측에 있어도 되고, 축선 방향 상측에 있어도 된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도 7∼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베어링(106)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의 축선 방향 하측과 상측의 양방에 있어도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다. 베어링(106)의 배치에 따라서는,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회전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도 되고,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도 되며, 또한 직경 방향 외측과 내측의 양방에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회전 부재(103)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기어를 구비해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하고 있는 기어의 톱니부에, 탄성력에 기초하여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톱니부에 도포하고, 톱니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윤활 부재(104)에 포함되는 윤활제는, 액상 윤활제, 반고체 윤활제, 고체 윤활제, 액정 윤활제, 및 겔상 윤활제 중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윤활제는, 그리스, 오일 등이어도 된다. 윤활 부재(104)에 포함되는 윤활제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윤활제를 함침시킨 다공질재 등의 흡수성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흡수성 부재는, 스펀지, 펠트 등의 윤활제에 대하여 고흡수성을 가지는 부재여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윤활 부재(104) 자체가 탄성재이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도포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전달 기구(101)의 종래로부터의 데드 스페이스 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달 기구(101)는, 탄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탄성 부재는, 예를 들면, 하우징(102)과 윤활 부재(104)의 사이에 배치되고, 윤활 부재(104)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대하여 가압된다. 윤활 부재(104)는, 그 가압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도포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또한, 탄성 부재도 또한, 전달 기구(101)의 종래로부터의 데드 스페이스 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그 자체를 변형시켜, 윤활제를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회전 부재(103)는, 베어링(106), 톱니부 등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각 구성 요소가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할 때마다,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한 예압에 의해 진동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 변형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펌핑 작용이 생겨, 윤활제는,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할 수 있다. 윤활제가 순환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는, 효율적으로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도포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시킬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로부터 흡열하여, 하우징(102)에 전열해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에 의해 열을 발생하지만, 윤활 부재(104)는, 발생된 열을 제 1 회전 부재(103)와의 접촉에 의해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하우징(102)과의 접촉에 의해 전달하는 냉각 작용을 가져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에 의한 열은, 윤활 부재(104) 및 하우징(102)을 개재하여 전달 기구(101)의 외부로 방산되므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제 1 회전 부재(103)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윤활제가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부재(103)에 대한 냉각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전달 기구(101) 내에 있어서 발생된 열에 의해, 윤활 부재(104) 내에서 윤활제를 매체로 하여 열전도 및 대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윤활제를 개재하여 하우징(102)으로부터 대기로 방산된다. 윤활 부재(104) 내에 있어서, 윤활제의 대류로서, 자연 대류 열전달에 더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기인하는 교반에 의한 강제 대류 열전달이 발생한다. 강제 대류에 있어서는, 매체는, 저점도가 될수록 열전달률이 높으므로, 저점도인 윤활제(예를 들면, 유동성이 있는 윤활제, 액상 윤활제)일수록, 강제 대류에 의한 냉각 작용을 가지는 윤활제로 기대될 수 있어, 매체로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윤활제라도, 철강, 비철, 수지 등보다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전달 기구(101)로부터 열을 방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열전달률은, 매체의 열전도율 및 표면적의 영향을 받으므로, 열전달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체를 얇게 하고, 매체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열전도가 좋은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량의 윤활제로, 제 1 회전 부재(103)를 효율적으로 윤활시키는 한편, 제 1 회전 부재(103)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윤활제가 소량이고, 하기와 같은 분진 등의 오염물이 개재된 경우에는, 윤활제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되어, 오염물에의 대책이 필요하며, 또한 교반에 의한 강제 대류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배려도 중요하다. 그래서, 교반에 의한 강제 대류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배려로서, 하우징(102) 내에 제 1 회전 부재(103)를 냉각시키기 위한 최저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윤활 부재(104)를 채용하고, 냉각 작용이 기대되는 고열전도율(재질(철강, 비철, 수지 등), 형상 등)을 가지는 윤활 부재(104)를 채용하고, 및/또는 오염물에 대한 세정 작용을 가지는 윤활 부재(104)를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윤활 부재(104)에 포함되는 윤활제, 그 윤활제를 포함하기 위한 윤활 부재(104)의 재질, 형상 등을 선택하여, 최적의 윤활 부재(104)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를 소량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급유, 폐유 처리 등의 메인터넌스가 경제적이고, 환경 부하의 경감이 기대된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로부터의 분진을 흡착해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는, 동력을 전달할 때의 마모에 의해 분진을 발생시키지만,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 윤활 부재(104)의 사이의 접촉을 개재하여 분진을 흡착하는 세정 작용을 가져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에 의한 분진은, 윤활 부재(104)에 흡착되므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마모를 저하시킬 수 있어, 제 1 회전 부재(103)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전달 기구(101)의 메인터넌스 사이클을 장기화할 수 있어, 전달 기구(101)를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윤활제가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분진에 대한 세정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입경이 작은 분진을 흡착해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서 입경이 큰 분진을 흡착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의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입경이 작은 분진을 흡착하도록 프리필트레이션 기능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윤활 부재(104)는, 윤활제를 함침시킨 다공질재로 구성되고, 다공질재의 구멍의 사이즈가,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서는 굵어지도록 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윤활 부재(104)의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적어도 1개의 홈이 마련되어도 된다. 홈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부여하는 예압을 변화시킬 수 있어, 분진을 홈에 모을 수 있고, 홈은,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분진에 대한 세정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 가능해도 된다. 윤활 부재(104)가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윤활제는 감소하지만, 윤활 부재(104)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하여, 윤활 부재(104)에 윤활제를 보충하여 다시 윤활 부재(104)를 하우징(102)에 수용하거나, 새로운 윤활 부재(104)로 교환하여 하우징(102)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로부터의 분진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막힘을 발생시키지만, 윤활 부재(104)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하여, 윤활 부재(104)를 세정하여 다시 윤활 부재(104)를 하우징(102)에 수용하거나, 새로운 윤활 부재(104)로 교환하여 하우징(102)에 수용할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압의 크기, 예압을 부여하는 방향, 윤활 부재(104)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 윤활 부재(104)에 사용되는 재료의 성질, 제 1 회전 부재(103)로부터 흡수되는 열의 양, 제 1 회전 부재(103)로부터의 분진의 크기 및/또는 양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윤활 부재(104)는, 미소한 예압에 의해 윤활 부재(104)를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a)와 같이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이어도 되고, 예압이 커짐에 따라서, (b)와 같이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이어도 되며, (c)와 같이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일체형 타입이어도 된다. 도 1∼도 11의 전달 기구(101)에 포함되는 윤활 부재(104)는, (c)와 같이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일체형 타입이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축선 방향의 변위에 대한 하중 변화가 적어 안정되며,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에 윤활제의 고임이 되는 골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d)와 같이 액시얼 플로우 타입이어도 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회전 방향의 흐름에 따라, 분진을 흡착하기 쉬운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e)와 같이 뎁스·플리츠 타입(레이디얼 플로우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서 큰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고, 제 1 회전 부재(103)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먼 부분에서 작은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경우에는, (f)와 같이 다층형 타입이어도 된다.
전달 기구(101)는, 제 2 회전 부재 축선(10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 부재(105)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 중의 일방의 회전이,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 중의 타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 2 회전 부재(105)를 입력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출력축으로서의 제 1 회전 부재(103)가 회전하고, 또한, 제 1 회전 부재(103)를 입력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출력축으로서의 제 2 회전 부재(105)가 회전한다.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의 접촉 부분을 윤활제로 윤활시키기 위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가 제 2 회전 부재(105)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윤활 부재(104)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에 도포하고,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제 2 회전 부재(105)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윤활제로 윤활된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가, 제 1 회전 부재(103)의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제 2 회전 부재(105)와 접촉하게 되면,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의 접촉 부분을 윤활제로 윤활시켜,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회전 부재(105)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에 의해 열을 발생하지만, 발생된 열은,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2 회전 부재(105)에 전달되고, 윤활 부재(104)는, 전달된 열을 제 1 회전 부재(103)와의 접촉에 의해 흡수하여, 흡수된 열을 하우징(102)에 전달하는 냉각 작용을 가져도 된다. 제 2 회전 부재(105)에 의한 열은, 제 1 회전 부재(103), 윤활 부재(104), 및 하우징(102)을 개재하여 전달 기구(101)의 외부로 방산되므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윤활제가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에 대한 냉각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에 기인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에 부착된 분진을, 제 1 회전 부재(103)와의 접촉에 의해 흡착하는 세정 작용을 가져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분진은, 윤활 부재(104)에 흡착되므로,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전달 기구(101)의 메인터넌스 사이클을 장기화할 수 있어, 전달 기구(101)를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윤활제가 윤활 부재(104)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분진에 대한 세정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제 1 회전 부재(103)는, 그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106)을 구비하고, 제 2 회전 부재(105)는, 복수의 베어링(106)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제 1 회전 부재(103)는, 그 회전 방향을 따라 톱니부를 가지는 기어를 구비하고, 제 2 회전 부재(105)는, 톱니부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복수의 베어링(106) 중의 일부가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는 한편,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한다. 또한,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의 전부가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해도 되고,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의 일부가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해도 된다.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 중의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베어링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윤활 부재(104)는, 보다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윤활 부재(104)는, 원주 중 일부가 결여되는 형상이며, 결여되어 있는 부분에 제 2 회전 부재(105)가 마련된다.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의 전부가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하므로, 윤활 부재(104)는, 보다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다.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도포하고,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윤활 부재(104)는, 도 1∼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켜도 되고, 도 7∼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2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도포하고,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켜도 된다. 도 7∼도 11의 전달 기구(101)에 있어서,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의 축선 방향 하측 및 상측에 있어,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의 축선 방향 하측 및 상측의 2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도포하고,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또한, 베어링(106)의 배치에 따라서는,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회전 부재(103)의 회전의 직경 방향 외측 및 내측에 있어,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의 직경 방향 외측 및 내측의 2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도포하고,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켜도 된다. 베어링(106)을, 하측 및 상측, 또는 외측 및 내측의 윤활 부재(104)에 의한 막힌 공간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베어링(106)을 효율적으로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및 상측의 윤활 부재(104)는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외측 및 내측의 윤활 부재(104)도 또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하측 및 상측(또는 외측 및 내측)의 윤활 부재(104)는, 동일한 타입이어도 되고, 도 10,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측 및 상측(또는 외측 및 내측)의 윤활 부재(104)는, 상이한 타입이어도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 12의 (a)의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인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13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에만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고, 도 14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 및 상측에 윤활 부재(104)를 구비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 12의 (f)의 다층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15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에만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고, 도 16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 및 상측에 윤활 부재(104)를 구비한다.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서 큰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1 층(104a), 베어링(106)으로부터 중간 부분에서 중간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2 층(104b), 및 베어링(106)으로부터 먼 부분에서 작은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3 층(104c)을 가지는 다층형 타입이다. 도 17에, 도 12의 (c)의 대략 장방형의 일체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 및 도 12의 (f)의 다층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윤활 부재(104)는, 도 12의 (a)와 같은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인, 큰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1 층(104a)의 대략 コ자의 간극에, 중간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2 층(104b), 및 작은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3 층(104c)을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 17의 전달 기구(101)는, 상측에 일체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 및 하측에 다층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지만, 상측에 다층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 및 하측에 일체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해도 된다. 도 18에, 다층형 타입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윤활 부재(104)는, 큰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1 층(104a), 중간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2 층(104b), 및 작은 입경의 분진을 흡착시키는 제 3 층(104c)을 적층한 것이다. 또한, 제 1 층(104a), 제 2 층(104b), 및 제 3 층(104c) 모두가 분진을 흡착시키는 층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제 1 층(104a)이 윤활제를 포함하는 층이고, 제 2 층(104b)이 분진을 흡착시키는 층이며, 제 3 층(104c)이 열전달하는 층인 것 등, 제 1 층(104a), 제 2 층(104b), 및 제 3 층(104c)이 각각 성질이 상이한 층이어도 되며, 필요에 따라 층의 성질이 선택되어도 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 12의 (b)의 단면이 대략 コ자인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19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에만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고, 도 20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 및 상측에 윤활 부재(104)를 구비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 12의 (b)와 같은 단면이 대략 コ자인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의 것을 변형한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21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에만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고, 도 22의 전달 기구(101)는 베어링(106)의 하측 및 상측에 윤활 부재(104)를 구비한다. 윤활 부재(104)는, 도 12의 (b)와 같은 단면이 대략 コ자인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의 것의 대략 コ자의 간극에, 단면이 대략 コ자인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의 것과는 다른 성질(예를 들면, 탄성력, 윤활제에 대한 흡수성, 펌핑 작용, 냉각 작용, 세정 작용 등)을 가지는 것을 배치한 것이다.
도 23에, 베어링(106)의 하측에 도 24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24((a)에 사시도, (b)에 측면도, (c)에 (b)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사시도, (d)에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냄)의 윤활 부재(104)는, 도 12의 (a)와 같은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인 것의 대략 コ자의 간극에, 도 12의 (e)와 같은 뎁스·플리츠 타입(레이디얼 플로우 타입)을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 25에, 베어링(106)의 하측 및 상측에 도 24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도 12의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조합한 윤활 부재(104)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전달 기구(101)는, 여러 가지 성질(예를 들면, 탄성력, 윤활제에 대한 흡수성, 펌핑 작용, 냉각 작용, 세정 작용 등)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6에, 베어링(106)의 하측에 도 27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도 27((a), (b)에 각각 상이한 각도로부터의 사시도를 나타냄)의 윤활 부재(104)는, 도 12의 (b)와 같은 단면이 대략 コ자의 형상에 보강 부분을 더한 형상인 것의 베어링(106)과 접촉하는 표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홈(109)이 마련된 것이다. 홈(109)에 의해,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부재(1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106)에 부여하는 예압을 변화시킬 수 있어, 분진을 홈(109)에 모을 수 있고, 홈(109)은,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분진에 대한 세정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홈(109)은,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상의 윤활 부재(104)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28에, 도 29의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를 나타낸다. 베어링(106)의 상측 및 하측에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더 윤활 부재(104)에 있어서의 분진에 대한 세정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에 접촉하는 한편,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 즉 복수의 베어링(106)을 제외한 제 1 회전 부재(103)의 부분과 윤활 부재(104)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된다. 간극에 의해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은 윤활 부재(104)에 접촉하지 않는 점에서,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과 윤활 부재(104)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윤활 부재(104)는, 베어링(106)의 제 1 회전 부재(103)로의 장착 전에 하우징(102)에 수용되어도 된다.
각 베어링(106)은, 내륜부와, 내륜부의 측면을 따라 내륜부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대략 원통형의 외륜부를 구비해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윤활 부재(104)를 외륜부가 내륜부의 둘레로 회전하면서 가로질러 통과하고 있는 베어링(106)에, 탄성력에 기초하여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륜부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의 외륜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베어링(106)의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베어링(106)이 제 2 회전 부재(105)와 접촉하게 되면, 베어링(106)의 외륜부가 제 2 회전 부재(105)에 대하여 구름 접촉하면서 내륜부의 주위를 회전하여, 베어링(106)의 외륜부 및 제 2 회전 부재(105)의 접촉 부분을 윤활제로 윤활시켜, 베어링(106)의 외륜부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베어링(106)은, 내륜부와 외륜부의 사이에 굴림대, 니들 등의 전동체(轉動體)를 구비하는 구름 접촉의 베어링이어도 되고, 전동체를 포함하지 않는 슬라이딩 접촉의 베어링이어도 된다.
각 베어링(106)은, 내륜부의 내측에 각 베어링(106)을 제 1 회전 부재(10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캠 팔로어여도 되고, 고정 부재가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에 감합(嵌合)되는 것에 의해, 각 베어링(106)은 제 1 회전 부재(103)에 외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각 베어링(106)은, 고정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롤러 팔로어여도 되고, 베어링(106)과는 별도의 부재로서의 고정 부재가 내륜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에 감합되는 것에 의해, 각 베어링(106)은 제 1 회전 부재(103)에 외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제 2 회전 부재(105)는, 캠 팔로어, 롤러 팔로어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 베어링(106)은, 볼이어도 되며, 볼은,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에 계합되고, 윤활 부재(104)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볼을 제 1 회전 부재(103)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볼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볼에 도포하고, 볼을 윤활제로 윤활시켜도 된다. 제 2 회전 부재(105)는, 볼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 2 회전 부재(105)는, 캠 리브를 가지고, 베어링(106)과 계합하는 캠이어도 된다. 제 1 회전 부재(103) 및 제 2 회전 부재(105) 중의 어느 것이 입력축이어도 출력축이어도 된다. 캠의 형상은, 스크루 형상의 캠 리브를 가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2 회전 부재(105)가 입력축으로서 제 2 회전 부재 축선(10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 2 회전 부재 축선(108)에 직교하는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부재(103)가 출력축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베어링(106)이 잇달아 연속하여 캠 리브에 접촉한다. 베어링(106)이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윤활 부재(104)는, 윤활 부재(104)를 가로질러 통과하고 있는 베어링(106)에, 탄성력에 기초하여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윤활제를 베어링(106)의 외면에 도포하고, 베어링(106)을 윤활제로 윤활시킨다. 제 2 회전 부재(105)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윤활제로 윤활된 베어링(106)이, 제 1 회전 부재(103)의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제 2 회전 부재(105)의 캠 리브와 접촉하게 되면, 베어링(106) 및 캠 리브의 접촉 부분을 윤활제로 윤활시켜, 베어링(106)과 캠 리브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06)이 캠 리브와의 구름 접촉하는 경우에는, 입력축으로서의 제 1 회전 부재(103) 또는 제 2 회전 부재(105)로부터 입력되는 토크의, 출력축으로서의 제 2 회전 부재(105) 또는 제 1 회전 부재(103)로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달 기구(101)를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06)과 캠 리브의 사이는 선 접촉이기 때문에, 제 1 회전 부재(103)의 회전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높은 강성(剛性)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베어링(106)은, 캠의 형상에 따라, 대략 원통형의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도 되고, 대략 원통형의 제 1 회전 부재(103)의 본체 부분의 단면(端面)에 원 형상으로 장착되어도 된다.
윤활 부재(104)는, 제 1 회전 부재(103)가 윤활 부재(104)에 대하여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제 1 회전 부재(103)의 일부를 윤활제로 윤활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하우징(102)에 수용된 윤활 부재(104)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101)는, 제 2 회전 부재(105)로서, 장구형 캠(roller gear cam, concave globoidal cam), 원통 캠(cylindrical cam, barrel cam), 북형 캠(convex globoidal cam) 등의 여러 가지 스크루 형상의 캠 리브를 가지는 캠을 구비하는 캠 기구여도 된다. 또한, 전달 기구(101)는, 볼 감속기, 웜 감속기, 유성 기어 감속기, 파동 기어 감속기, 트랙션 드라이브 감속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전달 기구(101)는,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과 제 2 회전 부재 축선(108)을 연결하는 선의 폭 안에서,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접촉이 행해지는 위치 관계에 있는 외접형 타입이어도 되고, 제 1 회전 부재 축선(107)과 제 2 회전 부재 축선(108)을 연결하는 선의 폭의 밖에서, 제 1 회전 부재(103)와 제 2 회전 부재(105)의 접촉이 행해지는 위치 관계에 있는 내접형 타입이어도 된다. 내접형 타입으로서는, 내접 패럴렐 캠 기구, 내접 트로코이드 기어 기구 등이 있다.
상기 기재는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와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101 : 전달 기구
102 : 하우징
103 : 제 1 회전 부재
104 : 윤활 부재
104a : 제 1 층
104b : 제 2 층
104c : 제 3 층
105 : 제 2 회전 부재
106 : 베어링
107 : 제 1 회전 부재 축선
108 : 제 2 회전 부재 축선
109 : 홈

Claims (1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 1 회전 부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로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윤활제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 부재가 상기 윤활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윤활 부재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를 상기 윤활제로 윤활시키는, 전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윤활제를 함침시킨 흡수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전달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탄성재로 구성되고, 상기 윤활 부재 자체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고 있는, 전달 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탄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윤활 부재를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고 있는, 전달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윤활 부재 자체를 변형시켜, 상기 윤활제를 상기 윤활 부재 내에서 순환시키는, 전달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부재로부터 흡열하여, 상기 하우징에 전열하는, 전달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부재로부터의 분진을 흡착하는, 전달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입경이 작은 분진을 흡착하는, 전달 기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의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적어도 1개의 홈이 마련되는, 전달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전달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제 2 회전 부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 부재 중의 일방의 회전이, 상기 제 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 부재 중의 타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 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 부재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 부재의 접촉 부분을 상기 윤활제로 윤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2 회전 부재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윤활 부재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일부를 상기 윤활제로 윤활시키는, 전달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부재는, 그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윤활 부재는,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어링 중의 상기 제 2 회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을 상기 윤활제로 윤활시키는, 전달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2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어링을 상기 윤활제로 윤활시키는, 전달 기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어링을 제외한 상기 제 1 회전 부재의 부분은, 상기 윤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전달 기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캠 팔로어, 롤러 팔로어, 또는 볼이며, 상기 제 2 회전 부재는, 상기 베어링에 계합하는 형상을 가지는 전달 기구.
KR1020227018735A 2019-12-06 2020-11-24 전달 기구 KR20220105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0893 2019-12-06
JPJP-P-2019-220893 2019-12-06
PCT/JP2020/043602 WO2021111922A1 (ja) 2019-12-06 2020-11-24 伝達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647A true KR20220105647A (ko) 2022-07-27

Family

ID=7622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735A KR20220105647A (ko) 2019-12-06 2020-11-24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41074B2 (ko)
EP (1) EP4071385A4 (ko)
JP (1) JP7488283B2 (ko)
KR (1) KR20220105647A (ko)
CN (1) CN114761708A (ko)
TW (1) TW202122696A (ko)
WO (1) WO20211119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989A (ja) 2012-11-22 2014-06-05 Toyota Motor Corp 回転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6264A (ja) * 1986-05-09 1987-11-19 Mutsuo Kira 潤滑油の連続給油方法
US5772333A (en) * 1995-03-15 1998-06-30 Nsk Ltd. Linear Guide apparatus lubricated with lubricant-containing polymer
US5769543A (en) * 1995-07-11 1998-06-23 Nsk Ltd. Sealing device for linear guide apparatus
US6338285B2 (en) * 1996-06-17 2002-01-15 Nsk Ltd. Feed screw device
JP2005331075A (ja) * 2004-05-21 2005-12-02 Kyocera Mita Corp ギヤの潤滑構造
DE102006033852B4 (de) * 2006-07-21 2021-03-25 Robert Bosch Gmbh Schmiereinheit
JP5179404B2 (ja) * 2009-02-23 2013-04-10 アスモ株式会社 軸受装置及びモータ
TWI771530B (zh) * 2018-01-31 2022-07-21 日商三共製作所股份有限公司 凸輪裝置
EP3748214B1 (en) * 2018-01-31 2023-07-26 Sankyo Seisakusho Co. Lubrication device and cam mechanism provided with lubrication device
CN208764249U (zh) * 2018-08-28 2019-04-19 宁波新世达精密机械有限公司 具有高转动效率的蜗杆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989A (ja) 2012-11-22 2014-06-05 Toyota Motor Corp 回転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1922A1 (ja) 2021-06-10
EP4071385A4 (en) 2023-12-27
JPWO2021111922A1 (ko) 2021-06-10
JP7488283B2 (ja) 2024-05-21
CN114761708A (zh) 2022-07-15
US20230003294A1 (en) 2023-01-05
EP4071385A1 (en) 2022-10-12
TW202122696A (zh) 2021-06-16
US11841074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9496B2 (ja) 遊星歯車装置
US20110000394A1 (en) Railway vehicle drive unit
US20100319569A1 (en) Railway vehicle drive unit
CN110375047A (zh) 电动直线致动器
JP2016022753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7187234A (ja) オイルシール
KR20220105647A (ko) 전달 기구
KR20220105648A (ko) 전달 기구
CN111512086B (zh) 润滑装置及具备润滑装置的凸轮机构
CN112443645B (zh) 马达组件
JP2010156407A (ja) 鉄道車両駆動ユニット
JP2022517515A (ja) 高精度ギヤボックス
JP2010155541A (ja) 鉄道車両駆動ユニット
WO2022202545A1 (ja) シール付軸受
JP5866852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12251652A (ja) 等速自在継手
JP2010156406A (ja) 鉄道車両駆動ユニット
JP2004036798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JP2017166503A (ja) 終減速機の潤滑構造
JP2022536629A (ja) 波動歯車装置
JP2013107536A (ja) 電気自動車用駆動装置
JP2003254416A (ja) 潤滑装置
KR19980037074U (ko) 차량용 차동장치의 링기어
JP2003240080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