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827A - 발전 설비 - Google Patents

발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827A
KR20220104827A KR1020227023065A KR20227023065A KR20220104827A KR 20220104827 A KR20220104827 A KR 20220104827A KR 1020227023065 A KR1020227023065 A KR 1020227023065A KR 20227023065 A KR20227023065 A KR 20227023065A KR 20220104827 A KR20220104827 A KR 2022010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power generation
air
area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엔진 앤드 터보차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엔진 앤드 터보차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엔진 앤드 터보차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15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발전 설비에 있어서, 공기 입구부 및 공기 출구부를 갖고 냉각풍이 흐르는 공기 유로와, 동력 발생원과, 동력 발생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발전기와, 공기 유로에 배치되어 동력 발생원과의 사이에서 냉각 매체가 순환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하며, 라디에이터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입구부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발전 설비
본 개시는, 발전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발전 설비는, 예를 들면, 인클로저라고 불리는 케이스의 내부에 발전 유닛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건물 내부 또는 건물 외부에 배치된다. 발전 유닛은, 발전기와, 발전기를 구동하는 동력 발생원(엔진 등)을 갖는다. 인클로저는, 발전기나 동력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음 커버로서 기능한다. 또, 인클로저는, 내부에 송풍기가 배치되고, 송풍기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전 유닛에 공급한다. 발전 유닛은, 외부로부터의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발전 유닛을 냉각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발전 설비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5260호
인클로저는, 방음 커버로서 기능함과 함께, 동력 발생원의 냉각 통로를 확보하도록 기능한다. 또, 인클로저는, 발전 유닛이 건물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우수(雨水) 침입 대책으로서 기능한다. 동력 발생원의 냉각 효율은, 냉각 팬의 풍량과 인클로저에 의하여 구성된 냉각 통로의 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 때문에, 동력 발생원의 출력이 커지면, 냉각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고, 냉각 팬이나 인클로저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리고, 인클로저가 대형화되면, 냉각 팬의 진동이나 인클로저의 공기 입구부의 풍절음이 커져, 발생하는 소음도 커져 버린다.
본 개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발전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발전 설비는, 공기 입구부 및 공기 출구부를 갖고 냉각풍이 흐르는 공기 유로와, 동력 발생원과, 상기 동력 발생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발전기와, 상기 공기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 발생원과의 사이에서 냉각 매체가 순환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라디에이터로의 상기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상기 공기 입구부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본 개시의 발전 설비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인클로저가 적용된 발전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발전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발전 설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인클로저가 적용된 발전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발전 설비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제1 실시형태]
[발전 설비]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인클로저가 적용된 발전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발전 설비의 평면도, 도 3은, 발전 설비의 배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전 설비의 길이 방향(도 1 및 도 2의 좌우 방향)을 X 방향, 발전 설비의 폭방향(도 2의 상하 방향)을 Y 방향, 발전 설비의 높이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설비(10)는, 건물(도시 생략)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다. 발전 설비(10)는, 인클로저(11)와, 발전 유닛(12)을 구비한다. 발전 유닛(12)은, 인클로저(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인클로저(11)는, 대판(台板)(21)과, 케이스(22)와, 흡기 덕트(23)와, 배기 덕트(24)를 구비한다. 인클로저(11)는, 대판(21)과 케이스(22)와 흡기 덕트(23)와 배기 덕트(24)가 X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대판(21)은, 마루면(101) 상에 X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고정된다. 대판(21)은, 평면시(平面視)가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어, 방진 장치(31)를 갖는다. 대판(21)은, 방진 장치(31)를 개재하여 마루면(101) 상에 설치된다. 방진 장치(31)는, 복수의 방진 고무이며, 대판(21)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부착된다. 단, 방진 장치(31)는,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22)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22)는, X 방향의 길이가 대판(21)보다 짧고, Y 방향의 폭이 대판(21)과 대략 동일하다. 케이스(22)는, 좌우의 측벽부(32)와, 천장부(33)와, 후벽부(34)를 갖는다. 케이스(22)는, Z 방향의 하방이 개방되어, X 방향의 일단부(端部)(도 1에서, 좌단부)에 전연결 개구부(35)가 형성되고, X 방향의 타단부(도 1에서, 우단부)에 있어서의 Z 방향의 상부에 후연결 개구부(36)가 형성된다. 케이스(22)는, 대판(21)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고정된다.
흡기 덕트(23)는, 사각 통 형상이다. 흡기 덕트(23)는, 케이스(22)의 X 방향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Z 방향의 상부에 배치된다. 흡기 덕트(23)는,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흡기 덕트(23)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Z 방향의 하부에 한 쌍의 공기 입구부(41)가 마련된다. 또, 흡기 덕트(23)는, 한 쌍의 공기 입구부(41)의 사이에서 Z 방향의 하부에 연결 개구부(42)가 형성된다. 흡기 덕트(23)는, 연결 개구부(42)가 케이스(22)의 후연결 개구부(36)에 간극 없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흡기 덕트(23)에 있어서의 Y 방향의 폭은, 케이스(22)에 있어서의 Y 방향의 폭보다 크다. 즉, 흡기 덕트(23)는, Y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공기 입구부(41)가 케이스(22)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한다.
배기 덕트(24)는, 사각 통 형상이다. 배기 덕트(24)는, 케이스(22)의 X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배기 덕트(24)는, Z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방이 개방된다. 배기 덕트(24)는, Z 방향의 하단부의 케이스(22) 측에 연결 개구부(51)가 형성된다. 또, 배기 덕트(24)는, Z 방향의 상단부에 Y 방향의 양측과 X 방향의 일방 측에 각각 공기 출구부(52)가 마련된다. 배기 덕트(24)는, 연결 개구부(51)가 케이스(22)의 전연결 개구부(35)에 간극 없이 연결된다. 배기 덕트(24)는, 하단부가 대판(21)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고정된다. 여기에서, 배기 덕트(24)의 Y 방향의 폭은, 대판(21) 및 케이스(22)의 Y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발전 유닛(12)은,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을 구비한다. 동력 발생원(62)은,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송풍기)(73)과, 배기관(74)과, 소음기(75)를 구비한다.
엔진(71)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이다. 엔진(71)은, 내부에 냉각수가 흐름으로써, 열을 빼앗아 온도를 저하시킨다. 라디에이터(72)는, 공랭식이며, 냉각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온도를 저하시킨다.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란, 급수관(76, 77)에 의하여 연결된다. 엔진(71)에 마련된 워터 펌프(도시 생략)에 의하여 냉각수가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의 사이에서 급수관(76, 77)을 통하여 순환된다. 엔진(71)은,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어 온도가 저하되고, 고온이 된 엔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72)로 냉각되어 온도가 저하된다.
냉각 팬(73)은, 엔진(71)에 마련되고, 엔진(71)의 회전에 동기(同期)하여 구동 회전한다. 냉각 팬(73)은,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냉각 팬(73)은, 엔진(71)으로부터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 측에 마련된다. 냉각 팬(73)이 구동 회전하면, 엔진(71)으로부터 라디에이터(72)를 향하여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라디에이터(72)는, 냉각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를 갖는다. 다수의 튜브를 흐르는 냉각수는, 냉각 팬(73)에 의하여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접촉함으로써 냉각된다.
엔진(71)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74)이 연결된다. 배기관(74)은, 소음기(75)가 마련된다. 발전기(61)는, 동력 발생원(62)의 엔진(71)에 구동 연결된다. 발전기(61)는, 엔진(71)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한다. 발전기(61)는, 구동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킨다.
발전 유닛(12)을 구성하는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은, 대판(21)에 탑재된다.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발전기(61)는, 대판(21) 상에 재치된다. 소음기(75)는, 케이스(22)의 상부에 재치된다. 배기관(74)은, 엔진(71)과 소음기(75)를 연결하도록 Z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배기관(74)은, 케이스(22)의 천장부(33) 관통한다. 발전기(61)는, 엔진(71)에 구동 연결된 상태로, 대판(21) 상에 탑재된다.
또, 대판(21)에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발전기(61)가 재치된 상태로, 대판(21)에 케이스(22)가 배치된다. 케이스(22)는,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발전기(61)를 둘러싼다. 케이스(22)는, 흡기 덕트(23)가 연결됨과 함께, 배기 덕트(24)가 연결된다. 그 때문에, 공기가 흡기 덕트(23)와 케이스(22)와 배기 덕트(24)를 흐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전 설비(10)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입구부(41)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출구부(52)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공기 입구부(41) 측의 통로 면적이 공기 출구부(52)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여기에서, 공기 입구부(41) 측의 통로 면적이란, 공기 입구부(41)의 개구 면적이고, 공기 출구부(52) 측의 통로 면적이란,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이다.
즉, Z 방향의 상방에서 본 발전 설비(10)의 투영 면적 A는, 발전 설비(10)의 X 방향의 최대 길이 L1에, 발전 설비(10)의 Y 방향의 최대 폭 W1을 곱한 면적이다.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는, X 방향의 일방에서 본 라디에이터(72)의 정면의 면적이며, 라디에이터(72)의 최대 높이 H2에, 라디에이터(72)의 Y 방향의 최대 폭 W2를 곱한 면적이다. 여기에서, 라디에이터(72)의 최대 높이 H2와 최대 폭 W2는,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72)의 외형의 최대 높이와 최대 폭은 아니고, 라디에이터(72)에 대하여 냉각풍이 통과하는 영역의 최대 높이와 최대 폭이다.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는, 1개의 공기 입구부(41)의 X 방향을 따른 최대 높이 길이 L3에, 공기 입구부(41)의 Y 방향의 최대 폭 W3을 곱한 면적의 2배이다. 공기 출구부(52) 측, 즉,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는, 공기 출구부(52)에 이르는 배기 덕트(24)의 Z 방향을 따른 유로의 X 방향을 따른 최대 높이 길이 L4에, 공기 출구부(52)의 Y 방향의 최대 폭 W4를 곱한 면적이다.
그렇게 하면, 발전 설비(10)의 투영 면적 A를 1.00으로 했을 때,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와,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와,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는, 이하의 범위로 설정됨과 함께, 이하의 관계로 설정된다.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0.12~0.18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0.11~0.13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0.09~0.13
B>C
B>D
C>D
또한, B, C, D의 수치 범위는, 특히 바람직한 범위이며, 대소 관계가 규정되면, 상술한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전 설비의 작동]
발전 설비(10)에 있어서, 동력 발생원(62)을 구성하는 엔진(71)이 구동하면, 워터 펌프가 동기하여 작동하여, 냉각수를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의 사이에서 순환시킨다. 또, 엔진(71)이 구동하면, 냉각 팬(73)이 동기하여 작동하여, 인클로저(11) 내에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냉각 팬(73)이 작동하면, 내부의 공기가 엔진(71) 측으로부터 라디에이터(72) 측으로 흐른다. 그렇게 하면, 냉각 팬(73)의 엔진(71) 측에 부압(負壓)이 발생한다. 발생한 부압은, 케이스(22) 및 흡기 덕트(23)에 작용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기 입구부(41)로부터 흡입된다. 공기 입구부(41)로부터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흡기 덕트(23)를 통하여 케이스(22)에 도입되고, 배기 덕트(24)를 통과하여 공기 출구부(52)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케이스(22)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는, 라디에이터(72)로 유도된다. 라디에이터(72)는,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의 사이에서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하여 온도를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엔진(71)은, 온도가 저하된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온도가 저하된다.
또, 엔진(71)이 구동하면, 발전기(61)가 구동하여, 발전기(61)는 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렇게 하면, 열원인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러나, 온도가 상승한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은, 케이스(22) 내를 흐르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라디에이터(72)의 유입 면적 B를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보다 크게 설정하고, 라디에이터(72)의 유입 면적 B를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보다 크게 설정한다. 즉, 엔진(71)을 냉각하는 냉각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라디에이터(72)를 대형화하는 한편, 냉각 팬(73)의 냉각 풍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냉각 팬(73)을 소형화한다. 즉, 냉각풍에 의한 엔진(71)의 냉각의 의존도를 낮추고, 냉각수에 의한 엔진(71)의 냉각의 의존도를 높인다.
그 때문에, 냉각 풍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와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가 작아져, 인클로저(1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가 작아지기 때문에, 인클로저(11) 내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감소하여, 우천 시에 공기와 함께 인클로저(11) 내에 침입하는 우수 대책이 용이해진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인클로저가 적용된 발전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발전 설비의 평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설비(10A)는, 건물(100) 내에 배치된다. 발전 설비(10A)는, 흡기 덕트(81)와, 배기 덕트(82)와, 발전 유닛(12)을 구비한다.
흡기 덕트(81)는, 사각 통 형상이다. 흡기 덕트(81)는, 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흡기 덕트(81)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공기 입구부(91)가 마련된다. 흡기 덕트(81)는, X 방향의 타단부에 공기 토출구(92)가 마련된다. 흡기 덕트(81)는, 건물(100)의 벽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03)에 삽통되어, 공기 입구부(91)가 건물(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공기 토출구(92)가 건물(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배기 덕트(82)는, 사각 통 형상이다. 배기 덕트(82)는, 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배기 덕트(82)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공기 출구부(93)가 마련된다. 배기 덕트(82)는, X 방향의 타단부에 공기 흡입구(94)가 마련된다. 배기 덕트(82)는, 건물(100)의 벽부(104)에 형성된 개구부(105)에 삽통되어, 공기 출구부(93)가 건물(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공기 흡입구(94)가 건물(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발전 유닛(12)은,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을 구비한다. 동력 발생원(62)은,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배기관(74)과, 소음기(75)를 구비한다.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은, 대판(21)에 탑재된다.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발전기(61)는, 대판(21) 상에 재치된다. 소음기(75)는, 건물(100)의 천장부(106)에 고정된다. 배기관(74)은, 엔진(71)과 소음기(75)를 연결한다. 배기관(74)은, 선단부가 건물(100)의 벽부(104)에 형성된 개구부(107)에 삽통되고, 건물(100)의 외부에 위치한다. 발전기(61)는, 엔진(71)에 구동 연결된 상태로, 대판(21) 상에 탑재된다.
또,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은, X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라디에이터(72)는, 배기 덕트(82)의 공기 흡입구(94)에 X 방향에 대하여 대향한다. 즉, 엔진(71)과 라디에이터(72)와 냉각 팬(73)과 배기 덕트(82)는, 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흡기 덕트(81)와 배기 덕트(82)는, Y 방향 및 Z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된다. 흡기 덕트(81)는, 마루면(101)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배기 덕트(82)는, 마루면(101)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건물(100) 내에, 공기가 흡기 덕트(81)로부터 발전기(61) 및 동력 발생원(62)을 개재하여 배기 덕트(24)에 흐르는 공기 유로 S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전 설비(10A)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입구부(91)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출구부(93)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공기 입구부(91)의 통로 면적이 공기 출구부(93)의 통로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즉, Z 방향의 상방에서 본 발전 설비(10)의 투영 면적 A는, 발전 유닛(12) 및 건물(100) 내의 배기 덕트(82)의 X 방향의 최대 길이 L1에 Y 방향의 최대 폭 W1을 곱한 면적이다.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는, X 방향의 일방에서 본 라디에이터(72)의 정면의 면적이며, 라디에이터(72)의 최대 높이 H2에 Y 방향의 최대 폭 W2를 곱한 면적이다. 공기 입구부(91)의 통로 면적 C는, 공기 입구부(91)의 X 방향을 따른 최대 높이 길이 L3에 Y 방향의 최대 폭 W3을 곱한 면적이다. 공기 출구부(93)의 통로 면적 D는, 공기 출구부(93)에 이르는 건물(100) 내의 배기 덕트(82)의 X 방향을 따른 유로의 Z 방향을 따른 최대 높이 H4에 Y 방향의 최대 폭 W4를 곱한 면적이다.
그렇게 하면, 발전 설비(10)의 투영 면적 A를 1.00으로 했을 때,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와,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와,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는, 이하의 범위로 설정됨과 함께, 이하의 관계로 설정된다.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 B=0.12~0.18
공기 입구부(41)의 통로 면적 C=0.11~0.13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 D=0.09~0.13
B>C
B>D
C>D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제1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공기 입구부(41, 91) 및 공기 출구부(52, 93)을 갖고 냉각풍이 흐르는 공기 유로 S와, 동력 발생원(62)과, 동력 발생원(62)에 의하여 구동하는 발전기(61)와, 공기 유로 S에 배치되어 동력 발생원(62)과의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라디에이터(72)를 구비하며,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입구부(41, 91)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제1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입구부(41, 91)의 통로 면적보다 큼으로써, 냉각 풍량이 감소되게 되어, 인클로저(11)나 흡기 덕트(8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인클로저(11)나 건물(100) 내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공기와 함께 인클로저(11)나 건물(100) 내에 침입하는 우수 대책이 용이해진다. 또한, 냉각 팬(73)을 소형화함으로써, 냉각 팬(73)의 진동의 발생이나 공기 입구부(41, 91)에서의 풍절음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라디에이터(72)로의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공기 출구부(52, 93) 측(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이로써, 냉각 풍량이 감소하게 되어, 인클로저(11)나 배기 덕트(8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공기 입구부(41, 91)의 통로 면적이 공기 출구부(52, 93) 측 배기 덕트(24)의 통로 면적보다 크다. 이로써, 공기 입구부(41, 91)로부터 인클로저(11)나 건물(100) 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제4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동력 발생원(62)과 발전기(61)와 라디에이터(72)를 피복하는 인클로저(11)를 갖고, 인클로저(11) 내에 있어서의 동력 발생원(62)과 라디에이터(72)의 사이에 냉각 팬(73)이 마련됨으로써, 공기 유로가 구성된다. 이로써, 인클로저(11)나 냉각 팬(73)을 소형화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관한 발전 설비는, 건물(100) 내에 동력 발생원(62)과 발전기(61)와 라디에이터(72)가 배치되고, 건물(100)의 일방의 벽부(102)에 흡기 덕트(81)가 배치되며, 건물(100)의 타방의 벽부(104)에 배기 덕트(82)가 배치되고, 건물(100)의 내부에서 흡기 덕트(81)와 배기 덕트(82)의 사이에 공기 유로가 마련된다. 이로써, 흡기 덕트(81)나 냉각 팬(73)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클로저(11)나 흡기 덕트(81) 및 배기 덕트(82)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송풍기로서, 동력 발생원(62)을 구성하는 냉각 팬(73)을 적용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송풍기를 마련해도 된다.
10, 10A 발전 설비
11 인클로저
12 발전 유닛
21 대판
22 케이스
23, 81 흡기 덕트
24, 82 배기 덕트
31 방진 장치
32 측벽부
33 천장부
34 후벽부
35 전연결 개구부
36 후연결 개구부
41, 91 공기 입구부
42 연결 개구부
51 연결 개구부
52, 93 공기 출구부
61 발전기
62 동력 발생원
71 엔진
72 라디에이터
73 냉각 팬
74 배기관
75 소음기
100 건물
101 마루면
102, 104 벽부
S 공기 유로

Claims (5)

  1. 공기 입구부 및 공기 출구부를 갖고 냉각풍이 흐르는 공기 유로와,
    동력 발생원과,
    상기 동력 발생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발전기와,
    상기 공기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 발생원과의 사이에서 냉각 매체가 순환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라디에이터로의 상기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상기 공기 입구부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큰, 발전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로의 상기 냉각풍의 유입 면적이 상기 공기 출구부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큰 발전 설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입구부 측의 통로 면적이 상기 공기 출구부 측의 통로 면적보다 큰, 발전 설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원과 상기 발전기와 상기 라디에이터를 피복하는 인클로저를 갖고, 인클로저 내에 있어서의 상기 동력 발생원과 상기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송풍기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공기 유로가 구성되는, 발전 설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상기 동력 발생원과 상기 발전기와 상기 라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일방의 벽부에 흡기 덕트가 배치되며, 상기 건물의 타방의 벽부에 배기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로가 마련되는, 발전 설비.
KR1020227023065A 2020-01-27 2021-01-27 발전 설비 KR20220104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1193A JP2021116759A (ja) 2020-01-27 2020-01-27 発電設備
JPJP-P-2020-011193 2020-01-27
PCT/JP2021/002805 WO2021153602A1 (ja) 2020-01-27 2021-01-27 発電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827A true KR20220104827A (ko) 2022-07-26

Family

ID=7707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065A KR20220104827A (ko) 2020-01-27 2021-01-27 발전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52778A1 (ko)
EP (1) EP4080028A4 (ko)
JP (1) JP2021116759A (ko)
KR (1) KR20220104827A (ko)
CN (1) CN114981529A (ko)
WO (1) WO20211536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260A (ja) 2004-10-27 2006-05-18 Yanmar Co Ltd 定置式エンジン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6712B2 (ja) * 1994-06-15 2003-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発電装置の冷却空気吸入構造
JPH08232677A (ja) * 1994-12-27 1996-09-10 Kubota Corp 包囲型エンジンの騒音低減装置
JPH08334033A (ja) * 1995-06-06 1996-12-17 Kubota Corp 防音型エンジン発電機用吸気ダクト
JPH1018851A (ja) * 1996-07-03 1998-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発電装置の冷却・換気構造
JP3728144B2 (ja) * 1999-07-01 2005-12-21 デンヨー株式会社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3569890B2 (ja) * 2000-06-22 2004-09-29 デンヨー株式会社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4226274B2 (ja) * 2002-06-05 2009-02-18 ヤンマー株式会社 パッケージ型発電装置の防音構造
JP2005303118A (ja) * 2004-04-14 2005-10-27 Sony Corp 据置型情報処理装置
CN201092885Y (zh) * 2007-09-30 2008-07-30 山东潍柴华丰动力有限公司 静音柴油发电机组
GB2467501B (en) * 2007-12-12 2012-07-25 Cummins Power Generation Ip Air flow arrangement for two diesel generator sets in a shipping container
JP2012180801A (ja) * 2011-03-02 2012-09-20 Sinfonia Technology Co Ltd 内燃機関発電装置が設置された発電装置室の給排気システム
JP5999296B2 (ja) * 2011-08-30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ITUD20120108A1 (it) * 2012-06-08 2013-12-09 Visa S P A Gruppo elettrogeno
JP6247718B2 (ja) * 2016-04-27 2017-12-13 Skシステム株式会社 低騒音型発電装置
GB201703695D0 (en) * 2017-03-08 2017-04-19 Aggreko Uk Ltd Radiator assembly for containerised electrical gen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260A (ja) 2004-10-27 2006-05-18 Yanmar Co Ltd 定置式エンジン発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16759A (ja) 2021-08-10
US20230052778A1 (en) 2023-02-16
EP4080028A1 (en) 2022-10-26
EP4080028A4 (en) 2023-02-08
WO2021153602A1 (ja) 2021-08-05
CN114981529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717B2 (en) Gas turbine power generator plant and silencer for the same
WO2010060482A1 (en) Air inlet duct for a genset enclosure
JP5205041B2 (ja) 空気圧縮機
US20120181795A1 (en) Air flow arrangement for two diesel generator sets in shipping container
US8672089B2 (en) Baffle arrangement for a genset enclosure
JPH10115222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8088852A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CN111727321B (zh) 流体机械
JP3728144B2 (ja)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3421947B2 (ja)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JP6158069B2 (ja) 空気圧縮機
KR20220104827A (ko) 발전 설비
KR101939937B1 (ko) 패키지형 공랭식 스크루 압축기
JP2006291744A (ja) 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H1122482A (ja) 作業機の防音構造
JPH1122483A (ja) エンジン駆動型作業機の収納構造
JPH11148348A (ja) エンジン室換気装置
JP3974515B2 (ja) エンジン作業機
JPH05226867A (ja) 電子機器の排気装置
WO2021221065A1 (ja) エンクロージャおよび発電設備
JP2021148049A (ja) エンクロージャおよび発電設備
WO2023226777A1 (zh) 鼓风机
JP2004011491A (ja) 発電装置
WO2022230201A1 (ja) エンクロージャおよび発電設備
JP7057609B1 (ja) パッケージ型回転ポン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