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638A -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638A
KR20220099638A KR1020210001768A KR20210001768A KR20220099638A KR 20220099638 A KR20220099638 A KR 20220099638A KR 1020210001768 A KR1020210001768 A KR 1020210001768A KR 20210001768 A KR20210001768 A KR 20210001768A KR 20220099638 A KR20220099638 A KR 2022009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zyme
aging
black garlic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597B1 (ko
Inventor
이우찬
Original Assignee
이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찬 filed Critical 이우찬
Priority to KR102021000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053Preserving by heating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heating gases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23L13/57Coating with a layer or stuff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건강을 종합적으로 보강해주며 부작용이 없는 식품으로 알려진 흑마늘성분이 첨가된 흑마늘치킨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숙성을 시키기 위한 마늘이 저장되는 복수의 채반이 저장되는 숙성실 챔버(100)와;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로 열,스팀과 냉기를 공급하는 컨트롤 챔버(200)와; 상기 숙성실 챔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입용 도어(11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출입용 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중간 도어(12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도어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A GARLIC CHICKEN COOKING METHOD}
본 발명은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건강을 종합적으로 보강해주며 부작용이 없는 식품으로 알려진 흑마늘성분이 첨가된 흑마늘치킨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은 소에 비하여 대량 사육 가능하고 영양가도 높은 편이나 불고기에 비하여 맛이 덜한 닭고기 특유의 맛으로 인하여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실정에 놓여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닭고기를 섭취하기 용이한 적당한 크기로 뼈와 함께 잘라서 튀긴 후라이드치킨이 개발되어 많은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치킨 가공제품은 배터믹스를 혼합하여 튀긴 후라이드치킨류와 후라이드치킨에 양념소스를 묻힌 양념치킨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소비자의 입맛을 획일화시킬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흑마늘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여러가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익혀먹거나 초흑마늘로 먹는것 보다 생으로 먹는것이 좋은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중 대표적인 효능 및 작용으로, 혈액순환개선, 항암작용 및 해독, 살균 작용 등이 있는데, 특히, 혈전을 녹여 막힌 혈관을 뚫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서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마늘이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고, 병원균과 암세포에 대한 저항력을 높히고, 순환기병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많은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에 의해 입증되고,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추는 효과 등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짐으로써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마늘은 주성분인 알리인(Alliin)은 마늘조직이 파쇄될 때 알리나아 제(Alliinase)에 의해서 알리신(Allicin)으로 분해되면서, 독특한 냄새가 발생하고 자극성이 심해서 구취를 유발함으로 인해서 생마늘 그대로를 섭취하기 어렵고 생마늘을 많이 섭취하면 간에 자극을 주어서 건강에 오히려 해로울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서, 마늘분말, 구운마늘 및 무취마늘 등의 형태로 마늘을 가열처리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늘을 가열처리하면 마늘 고유의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고, 향신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맛을 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중에서, (주)코스트플러스코리아의 특허 제10-0530386호에는 일정 온도와 습도에서 자가 발효시켜서 마늘 본래의 성분과 효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있다.
상기 특허의 숙성마늘의 제조방법은 생마늘을 40~90℃에서 280~320시간 열풍으로 숙성하고, 이를 38~42시간 자연건조한 후, 다시 20~30℃의 열풍을 가해서 30~50시간정도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제조방법은 상기 40~90℃에서 280~320시간 열풍으로 숙성하는 단계에서는 생마늘을 스틸 용기에 다수개 넣은 후 다수개의 스틸 용기를 컨테이너에서 숙성하고, 상기 스틸 용기 아래에서 숯을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40~90℃에서 280~320시간 열풍으로 숙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각 스틸 용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제조방법에서는 전기 열풍기을 이용하여 1차 숙성단계, 자연건조단계, 및 1차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1차 및 2차 숙성단계사이에 건조단계를 포함시켜야 하므로, 마늘 숙성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303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늘의 매운맛은 감소시키면서, 마늘이 가지는 고유의 영양소들은 그대로 보존하는 고품질의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흑마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늘의 손질상태,크기 및 생산시기 등의 전처리 과정은 거치지 않고, 숙성실 챔버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시간을 최적상태로 유지하여 고품질의 흑마늘을 제조하는 흑마늘 숙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생성된 흑마늘을 치킨의 조리과정에서 고르게 뿌려주어 공급함으로서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불균형을 해소함과 함께 흑마늘의 유익한 성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취식시 흑마늘의 매운맛을 없애주어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할 수 있는 흑마늘치킨 조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숙성을 시키기 위한 마늘이 저장되는 복수의 채반이 저장되는 숙성실 챔버(100)와;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로 열,스팀과 냉기를 공급하는 컨트롤 챔버(200)와; 상기 숙성실 챔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입용 도어(11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출입용 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중간 도어(12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도어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출입용 도어(1100)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1110)와; 상기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걸림쇠 손잡이(1140)와; 상기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동력전달부(115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간 도어(1200)는, 상기 출입용 도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사각판 테두리부(123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하는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숙성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어 안전장치 겸용 숙성장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 안전장치 겸용 숙성장치 구동수단은, 숙성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히터(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히터(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숙성실 챔버의 내부에는 효소 도포장치를 더 설치하되, 상기 효소 도포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2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동력 출력용 축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효소통의 효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효소통 케이스(40)와; 상기 효소통 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효소통 케이스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효소통 케이스를 탄발지지하여 효소통 케이스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상기 효소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효소를 저장시키고, 효소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효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통(60)과; 상기 효소통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어 효소통 내부에 존재하는 효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효소 도포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 출력용 축(32)과;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가이드홈(33)과;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동바(34)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반구형 돌기(34a)와; 상기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닭고기 계육을 일정 크기로 절단 등분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계육을 염지액에 진공조건하에서 염지하는 염지단계와; 상기 염지가 이루어진 계육을 0~5℃의 저온에서 12∼24시간 숙성시키는 냉장숙성단계와; 상기 냉장숙성이 이루어진 계육에 튀김가루를 입힌 후 후라이어를 사용하여 160~190℃에서 튀기는 후라잉단계와; 흑마늘을 숙성 시키되 효소를 분무하여 일정시간 흑마늘을 숙성시키는 흑마늘 숙성단계와; 숙성된 흑마늘을 고르게 분쇄하는 흑마늘 분쇄 단계와; 상기 분쇄된 흑마늘을 후라잉이 이루어진 고온상태의 치킨에 뿌려주는 흑마늘 공급단계와; 상기 뿌려진 흑마늘이 치킨에 점착되어질 수 있도록 물엿 20~40중량%, 올리고당 10~25중량%, 양파분말 5~10중량%, 양조식초 4~10중량%, 정제수 4~10중량%, 저감미당 4~7중량%, 간장 1~5중량%, 생강분말 1~5중량%, 레몬농축액 1~5중량%, 전분 0.5~3중량%, 고구마 페이스트 1~5중량%와, 식이섬유 1~5중량%, 쟁탄검(Xanthan Gum) 1~3중량%로 혼합된 스킨소스를 80~12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뿌려주는 스킨소스 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흑마늘치킨 조리방법은, 조리과정에서 흑마늘성분이 치킨에 고르게 함유되어질 수 있게 되어 미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영향의 균형을 잡아주어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된다.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여러가지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가진 흑마늘을 익히지 않고 치킨 표면에 고르게 뿌려서 조리를 함으로서 영영소 파괴를 최소화 함과 함께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용이하게 흑마늘성분을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마늘 숙성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흑마늘 숙성장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 및 걸림쇠 손잡이 작동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간 도어와 좌우 이동용 사각판 작동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를 개방하고 중간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으로 중간 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 및 숙성장치 구동수단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효소 도포장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효소 도포장치 전체 단면 및 펌핑 동력 제공수단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1 동작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2 동작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효소통 케이스 및 효소통 토출수단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마늘치킨 조리과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마늘 숙성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흑마늘 숙성장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 및 걸림쇠 손잡이 작동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간 도어와 좌우 이동용 사각판 작동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를 개방하고 중간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으로 중간 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 및 숙성장치 구동수단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효소 도포장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효소 도포장치 전체 단면 및 펌핑 동력 제공수단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1 동작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2 동작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효소통 케이스 및 효소통 토출수단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마늘치킨 조리과정 순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흑마늘 숙성장치(10)는, 내부에 숙성을 시키기 위한 마늘이 저장되는 복수의 채반(300)이 저장되는 숙성실 챔버(100)와,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로 열,스팀과 냉기를 공급하는 컨트롤 챔버(200)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외형은 상기 도어(120)에 의해서 좌우로 구획되고,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는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0)는 상기 순성장치(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도어(120)는 도어 체결구에 의해서 상기 숙성실 챔버(100)를 외부환경으로 부터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챔버(200) 정면에는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의 내부상태를 표시하고, 내부의 구비된 대용량 스팀발생기(220) 및 압축기(230)를 동작 및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숙성장치(10)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 및 설치시에 크레인 등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흑마늘 숙성장치(10)는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의 환경이 외부 환경조건으로 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서 각 숙성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적정 내부 습도 및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후면 상측에는 열풍구(150)가 구비되며, 하면에는 전기히터(16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는 항온 항습을 위해서 출입문의 구조를 이중화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중문을 설치하여 항온 항습 기능을 유지한다. 그리고,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이중문을 모두 개방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한개의 문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입용 도어(11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출입용 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중간 도어(12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도어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입용 도어(1100)는 도어 조작부(1110)와,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걸림쇠 손잡이(1140)와, 동력전달부(1150)와, 걸림용 볼트(1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조작부(1110)는 도어의 오른쪽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재 테두리부(1130)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쇠 손잡이(1140)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150)는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킨다.
상기 걸림용 볼트(1160)는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간 도어(120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사각판 테두리부(1230)와,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은 중간 도어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은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사각판 테두리부(1230)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는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10)에 장착된 걸림용 볼트(1160)가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출입용 도어(1100)에 장착된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중간 도어(1200)에 장착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출입용 도어(1100)가 열릴때 중간 도어(1200)가 출입용 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열리게 되고, 출입용 도어(1100)가 닫힐때 중간 도어(1200)가 출입용 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걸림용 볼트(116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출입용 도어(1100)의 닫히는 동작을 살펴보면 출입용 도어(1100)를 닫게 되면 경첩이 작동하여 도어 프레임(1300)을 중심으로 출입용 도어(1100)가 일정각도 닫히게되고, 중간 도어(1200)가 동시에 경첩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출입용 도어(1100)의 닫힘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닫히게 된다.
이때,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걸림용 볼트(116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는 연결상태를 지속시키게 되므로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열고 닫는 행위만으로 중간 도어(120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동작이 보다 편리하다.
즉,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열면 자동으로 중간 도어(1200)가 열리고,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닫으면 자동으로 중간 도어(1200)가 닫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중간 도어(1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온도보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간 도어(1200)를 이용하는 경우 출입용 도어(1l00)의 도어 조작부(1110)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를 별도로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에 장착된 걸림쇠 손잡이(11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걸림쇠 손잡이(1140)에 연결된 동력전달부(1150)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1150)에 연결된 걸림용 볼트(1160)가 작동하게 되어 중간 도어(1200)에 설치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으로부터 출입용 도어(1100)가 분리된다.
즉, 걸림쇠 손잡이(1140)를 작동시키면 걸림용 볼트(1160)가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중심축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출입용 도어(1100)를 움직이게 되면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 중앙은 공간부(1211)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폐쇄하기 위해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의 상하에 설치된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이동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에 존재하는 공간부(1211)를 완전하게 메꾸게 되며, 이에 따라 중간 도어(1200)를 투명창으로 사용할 경우 중간 도어(1200) 전체가 완전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 안전장치 겸용 숙성장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마이컴은 도어감지포트를 1개로 구성하므로 도어감지포트가 GND와 쇼트되면 도어감지포트에 항상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마이컴에서 출입용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출입용 도어가 열린 후 작업자가 숙성장치로 들어갈 경우 출입용 도어를 닫자마자 히터가 동작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의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어수단의 도어감지포트를 2개로 구성하여 2포트에 모두 로우신호가 입력되어야만 도어가 닫혔다고 감지하므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보다 확실히 감지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는,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2개 이상의 도어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도어개폐감지신호를 2개 이상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히터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숙성조건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한다.
숙성조건에 따른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히터(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히터(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561)는 오프되어 있고,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 전위는 하이(HIGH)레벨이며, 히터(591)의 구동을 제어하는 릴레이접점(RYc)은 개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출입용 도어를 열어 건조물을 투입한다음 출입용 도어를 다시 닫으면, 도어스위치(561)가 온된다.
상기 도어스위치(561)가 온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이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TR2)가 턴온동작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TR2)가 턴온동작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5V)에 의해 전류가 저항(R7)(R8) 및 트랜지스터(TR1)(TR2)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 전위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레벨로 바뀐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에서는 2개의 입력단자(I1)(I2)를 통해 입력되는 로우(LOW)레벨의 전압신호에 따라 출입용 도어가 닫혔음을 감지하므로, 만약 도어감지포트인 입력단자(I1)(I2)중에 하나가 GND와 쇼트되어 도어스위치(561)가 오프임에도 불구하고 입력단자(I1)(I2)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항상 로우신호가 입력되어도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되므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보다 확실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수단(550)을 조작하여 원하는 숙성조건을 입력한다음 동작버튼을 온시키면,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건조시작신호가 제어수단(570)에 입력된다.
동작버튼이 온되면(YES일 경우) 제어수단(570)은 숙성장치가 작동되도록 출력단자(P1)를 통해 하이(HIGH)레벨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5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동작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동작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전류가 도어스위치(561)와 릴레이(RY)를 통해 트랜지스터(TR3)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기 릴레이(RY)가 구동하여 릴레이접점(RY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c)이 폐쇄되면, 교류전원단(59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이 릴레이접점(RYc)을 통해 히터(591)에 인가되어 히터(591)를 구동시킨다.
열처리 작동 시간을 경과하면 제어수단(570)은 건조행정을 정지하기 위해 히터(591)를 정지하기 위한 로우(LOW)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단자(P1)를 통해 구동수단(5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3)가 턴오프되어 릴레이(RY)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릴레이접점(RYc)이 초기상태와 같이 개방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c)이 개방되면, 교류전원단(590)으로부터 릴레이접점(RYc)을 통해 히터(591)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차단되어 히터(591)가 정지되므로 건조행정이 정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마늘의 숙성가공시 일정시간 효소처리함으로써, 일반적인 고온 고습의 자가숙성 마늘에 비해 숙성기간을 단축하고, 당도가 향상되며, 효소처리에 의해 숙성된 마늘의 경우 단맛이 증가되어 기호성이 증가하고, 표면이 부드러워 착즙하거나, 2차 가공 시에 가공이 유리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1차 효소처리 시에 사용하는 복합 셀룰라아제(cellulase) 효소 용액은 복합 셀룰라아제 1 내지 3중량%와 정제수 97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물로 희석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셀룰라아제의 농도가 1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복합 셀룰라아제의 농도가 너무 낮아 마늘에 충분한 효소반응이 일어나지 아니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복합 셀룰라아제의 농도가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직이 심하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셀룰라아제(cellulase) 효소 용액의 복합 셀룰라아제는 셀룰라아제(cellulase)와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각각 1 :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룰라아제(cellulase)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로써, 셀룰라아제(cellulase)의 조성비가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효소반응이 일어나지 아니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직이 과도하게 분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셀룰로오스를 제외한 갖가지 다당류 혼합물인 헤미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써, 헤미셀룰라아제의 조성비가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효소반응이 일어나지 아니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하게 분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자일라나제(xylanase)는 헤미셀룰로로오스의 주요성분인 자일란(xylan)을 임의로 가수분해하여 자일로비오스(xylobiose)나 또는 자일로트리오스(xylotriose) 등의 자일로올리고당의 생성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써, 자일라나제(xylanase)의 조성비가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효소반응이 일어나지 아니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 마늘의 조직이 과도하게 분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1차 효소처리하는 1 내지 3중량%의 복합 셀룰라아제 효소 용액은 마늘 1kg당 10 내지 30ml를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셀룰라아제 효소 용액의 분무량이 10ml 미만이 될 경우에는 복합 셀룰라아제 효소의 양이 부족하여 충분한 효소처리가 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복합 셀룰라아제 용액의 분무량이 30ml를 초과할경우에는 과효소반응에 의해 마늘의 조직이 분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효소 분무장치(100A)는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바, 주요한 구성요소는 하우징(10)과, 배터리(20)와,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효소통 케이스(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효소통(60)과, 효소 도포수단(70)과, 효소통 토출수단(80)과, 간격제(90)와 효소통 케이스 가이드(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은 캠 운동에 의해서 승하강 왕복이송으로 변환 가능하게 제작될 수도 있고,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은 링크형 구조로 제작하여 모터 링크를 움직이면 관절이 승하강하면서 효소통 케이스를 승하강 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캠 운동에 따른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운동을 나타내고 있고, 제 2 실시예에서는 링크형 승하강 운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 링크형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펌핑동력 제공수단(30)은, 하우징(31)과, 동력 출력용 축(32)과, 가이드홈(33)과, 승하강 유동바(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은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가이드홈(33)은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구조이다.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구체적으로 반구형 돌기(34a)와,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구형 돌기(34a)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34b)는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34c)는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34d)는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 4 수직 연결바(34e)는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효소통 케이스(40)는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승하강 유동바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효소통(50)의 효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은 효소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효소통 케이스(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효소통 케이스(40)를 탄발지지하여 효소통 케이스(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은 효소통 케이스를(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동력 출력용 축의 하강 작동으로 효소통 케이스(40)가 하강하고,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동력 출력용 축이 상승하면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에 의해서 효소통 케이스(30)가 상승한다. 따라서, 효소통 케이스(40)는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효소통(60)은 실린더 형상이고 효소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효소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효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배터리(20)와,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효소통 케이스(40)와, 효소통(50)과,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60)과, 효소 도포수단(70)과, 효소통 토출수단(80)과, 간격제(90)로 이루어지는바, 하우징(10)의 내부 가장 상부측에 배터리(20)가 결합되고, 하우징(10)의 중간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20)이 결합되며, 하우징(10)의 하단부에 효소통 케이스(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효소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이 장착되고, 효소통 케이스(40) 내부에 효소통(60)이 결합되며, 효소통(60)의 출구측에 효소 도포수단(7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효소통 케이스(40)의 상단에 효소통 토출수단(80)이 결합되어 효소통(60)과 효소통 케이스(40) 사이를 탄발지지하고 있으며, 하우징(10)의 하부 외주연에는 간격제(90)가 설치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효소통 케이스(40)에 효소통(60)을 수납하되, 효소통(60)의 외주연에 설치된 돌기부(61)를 효소통 케이스(40)의 내주연에 형성한 기억자형 홈(41)에 일치시키고 수직하게 밀어넣은후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효소통 케이스(40)에 설치된 효소통 토출수단(80)은 탄발 스프링(83)이 압축되면서 약약통 케이스(40)로부터 효소통(60)을 탄발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효소분무 장치(100A)를 작동시키게 되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에 인가되면서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이 작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효소통 케이스(40)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효소통 케이스(40)의 내부에 삽입된 효소통(6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효소통(60)에 담긴 효소를 효소 도포수단(70)을 통해 외부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효소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는바, 효소통 케이스(40)가 하강한 후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작동에 의해서 동력 출력용 축이 상승할때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의 작동에 의해서 효소통 케이스(4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의 반복된 승하강 작동에 의해서 효소통 케이스(40)는 빠른 속도로 승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효소통 케이스(40)의 내부에 장착된 효소통(60)의 빠르게 승하강하면서 효소통(60) 내부에 담긴 효소를 외부로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흑마늘 치킨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단계 : 계육 절단>
먼저, 원료육으로 이물, 이취가 없고 신선하며 축산물 가공처리법에 저촉되지 않는 닭을 준비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일정 크기로 절단 등분하게 되는데, 절단 크기는 대략 취식이 용이한 크기인 가로 30~60mm, 세로 50~100mm로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2단계: 염지>
염지단계에서는, 5~15℃로 관리되는 정제수를 염지제와 10:1의 비율로 용해하여 염지액을 만들어서 텀블러를 이용하여 염지함에 있어, 닭고기 계육 100중량%에 대하여 정백당 0.3~0.5중량%, 정제염 0.3~0.5중량%, 모노소디움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0.1~0.2중량%, 향신료(흑후추, 백후추, 흑마늘분말 등) 0.3~0.5중량%, 정제수 7~14중량%로 구성된 12중량%의 염지액에 염지한다. 이때의 염지시간은 15분에 진공조건은 0.8bar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3단계: 냉장숙성>
그리고 염지한 제품은 바로 냉장고(0~5℃)에 보관하여 숙성시키는데, 숙성시간은 12~24시간으로 한다.
<4단계: 후라잉>
상기 숙성과정이 끝나면 튀김가루인 프리믹스를 이용하여 튀김옷을 입히게 되는데, 일반적인 닭튀김용 튀김가루는 전분 35~45 중량%, 밀가루 40~50중량%, 정백당 2.5~3.5중량%, 전지분유 `1.0~1.5중량%, 구아검 0.1~0.5중량%, 향신료 1~5 중량%를 정제수에 1 : 1.5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염지계육 100중량%에 대하여 10~15중량% 반죽하여 튀김옷을 입힌다.
그리고, 이와같이 튀김옷이 입혀진 계육은 후라이어(튀김기름)에서 고온으로 160~190℃에서 4~6분간 튀긴다.
<5단계: 흑마늘 숙성>
흑마늘을 숙성장치에서 숙성하고, 이때 효소를 이용하여 숙성시킨다.
<6단계: 흑마늘 분쇄>
이후, 통흑마늘을 절구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개 분쇄한다.
<7단계: 흑마늘 공급>
그리고, 상기 분쇄된 흑마늘을 후라이드 상태의 치킨에 고르게 뿌려준다.
<8단계: 소스공급>
그리고, 상기 뿌려진 흑마늘이 치킨표면에 점착되어질 수 있도록 80~120℃의 온도로 가열된 본 발명의 스킨소스를 뿌려주게 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스킨소스는 물엿, 올리고당, 양파, 양조식초, 정제수, 저감미당, 간장, 생강, 레몬농축액, 전분의 혼합성분을 이루게 된다.
즉, 스킨소스는 물엿 20~40중량%, 올리고당 10~25중량%, 양파분말 5~10중량%, 양조식초 4~10중량%, 정제수 4~10중량%, 저감미당 4~7중량%, 간장 1~5중량%, 생강분말 1~5중량%, 레몬농축액 1~5중량%, 전분 0.5~3중량%, 소스의 섬유질 증대를 위해 고구마 페이스트 1~5중량%와, 식이섬유 1~5중량%, 소스의 점도 증가를 위한 쟁탄검(Xanthan Gum) 약 1~3중량%로 혼합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섬유질 성분 및 쟁탄검 성분이 포함되어짐으로서 스킨소스의 점도가 증가되어 치킨 표면을 따라 쉽게 흘러내리지 않게 됨으로서 흑마늘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흑마늘성분의 변질 방지를 위한 감마아미노 낙산 및 글루텐 분말이 각각 1~3중량%로 더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즉, 감마아미노 낙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두뇌개발 집중력에 도움을 줌과 함께 흑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신의 변질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글루텐은 보리, 밀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로 단백질 향상과 동시에 소스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소스를 80~120℃의 고온 상태로 뿌려줌으로서 치킨 표면에 뿌려져 있던 흑마늘의 물성을 변화시켜 매운맛을 감소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리되어진 본 발명의 흑마늘치킨은 흑마늘의 항산화작용 및 치킨의 영양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되어 성장기 어린이는 물론 남녀노소 누구나 흑마늘의 풍미감과 함께 치킨을 취식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숙성을 시키기 위한 마늘이 저장되는 복수의 채반이 저장되는 숙성실 챔버(100)와;
    상기 숙성실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숙성실 챔버(100) 내부로 열,스팀과 냉기를 공급하는 컨트롤 챔버(200)와;
    상기 숙성실 챔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입용 도어(11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출입용 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중간 도어(12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도어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출입용 도어(1100)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1110)와;
    상기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걸림쇠 손잡이(1140)와;
    상기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동력전달부(115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간 도어(1200)는,
    상기 출입용 도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사각판 테두리부(123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하는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숙성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어 안전장치 겸용 숙성장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 안전장치 겸용 숙성장치 구동수단은,
    숙성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히터(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히터(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숙성실 챔버의 내부에는 효소 도포장치를 더 설치하되,
    상기 효소 도포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2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동력 출력용 축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효소통의 효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효소통 케이스(40)와;
    상기 효소통 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효소통 케이스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효소통 케이스를 탄발지지하여 효소통 케이스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상기 효소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효소를 저장시키고, 효소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효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통(60)과;
    상기 효소통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어 효소통 내부에 존재하는 효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효소 도포수단(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 출력용 축(32)과;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가이드홈(33)과;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동바(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반구형 돌기(34a)와;
    상기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장치.
  5. 닭고기 계육을 일정 크기로 절단 등분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계육을 염지액에 진공조건하에서 염지하는 염지단계와;
    상기 염지가 이루어진 계육을 0~5℃의 저온에서 12∼24시간 숙성시키는 냉장숙성단계와;
    상기 냉장숙성이 이루어진 계육에 튀김가루를 입힌 후 후라이어를 사용하여 160~190℃에서 튀기는 후라잉단계와;
    흑마늘을 숙성 시키되 효소를 분무하여 일정시간 흑마늘을 숙성시키는 흑마늘 숙성단계와;
    숙성된 흑마늘을 고르게 분쇄하는 흑마늘 분쇄 단계와;
    상기 분쇄된 흑마늘을 후라잉이 이루어진 고온상태의 치킨에 뿌려주는 흑마늘 공급단계와;
    상기 뿌려진 흑마늘이 치킨에 점착되어질 수 있도록 물엿 20~40중량%, 올리고당 10~25중량%, 양파분말 5~10중량%, 양조식초 4~10중량%, 정제수 4~10중량%, 저감미당 4~7중량%, 간장 1~5중량%, 생강분말 1~5중량%, 레몬농축액 1~5중량%, 전분 0.5~3중량%, 고구마 페이스트 1~5중량%와, 식이섬유 1~5중량%, 쟁탄검(Xanthan Gum) 1~3중량%로 혼합된 스킨소스를 80~12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뿌려주는 스킨소스 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장치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KR1020210001768A 2021-01-07 2021-01-07 흑마늘 숙성장치 KR10248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68A KR102486597B1 (ko) 2021-01-07 2021-01-07 흑마늘 숙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68A KR102486597B1 (ko) 2021-01-07 2021-01-07 흑마늘 숙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38A true KR20220099638A (ko) 2022-07-14
KR102486597B1 KR102486597B1 (ko) 2023-01-09

Family

ID=8240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768A KR102486597B1 (ko) 2021-01-07 2021-01-07 흑마늘 숙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9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755B1 (ko) * 1995-08-16 1998-04-28 배순훈 냉장고의 이중문 개폐장치의 결합구조
JPH11137806A (ja) * 1997-11-10 1999-05-25 Aiwa Raito:Kk 弾球遊技機
KR100248782B1 (ko) * 1997-12-04 2000-03-15 윤종용 김치저장고의 연속운전방법
KR100530386B1 (ko) 2005-08-03 2005-11-22 (주)코스트플러스코리아 숙성 마늘의 제조방법
KR100880268B1 (ko) * 2007-09-05 2009-01-29 (주)보문피앤에프 효소를 이용한 발효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KR20150106311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81522A (ko) * 2014-12-31 2016-07-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흑마늘 숙성제조기
KR20180115012A (ko) * 2017-04-12 2018-10-22 박여진 갈릭 치킨 조리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755B1 (ko) * 1995-08-16 1998-04-28 배순훈 냉장고의 이중문 개폐장치의 결합구조
JPH11137806A (ja) * 1997-11-10 1999-05-25 Aiwa Raito:Kk 弾球遊技機
KR100248782B1 (ko) * 1997-12-04 2000-03-15 윤종용 김치저장고의 연속운전방법
KR100530386B1 (ko) 2005-08-03 2005-11-22 (주)코스트플러스코리아 숙성 마늘의 제조방법
KR100880268B1 (ko) * 2007-09-05 2009-01-29 (주)보문피앤에프 효소를 이용한 발효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KR20150106311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81522A (ko) * 2014-12-31 2016-07-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흑마늘 숙성제조기
KR20180115012A (ko) * 2017-04-12 2018-10-22 박여진 갈릭 치킨 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97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2479C (zh) 食用菌糟制即食品的生产工艺
US5126143A (en) Bowel movement-improving food products
CN101322561A (zh) 烧烤叫花鸡的加工方法
CN103584128B (zh) 一种酱卤鹿肉及其生产工艺
CN103988874A (zh) 一种养胃饼干及其制备方法
KR20220099638A (ko)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CN103462101B (zh) 一种补肾蟹黄瓜子仁及其制作方法
CN108740889A (zh) 土豆食品加工工艺
KR101153743B1 (ko) 마늘치킨 조리방법
CN205567604U (zh) 一种高营养多功效烤制鳗鱼生产专用的安全加料装置
KR20180094227A (ko) 바비큐용 닭다리의 제조방법
KR20240062298A (ko) 치킨 조리용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CN103230047A (zh) 一种雪莲果双歧兔肉香肠及其制备方法
CN104824769A (zh) 一种双孢蘑菇功能化饮料的制备工艺
CN108813552A (zh) 一种孜然烧烤味牛肉酱及其生产工艺
KR101821171B1 (ko) 콜라겐이 함유된 치자현미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8503A (ko) 후라이드 치킨용 튀김 파우더
KR20160006969A (ko) 미나리가 함유된 쌀돈까스
CN104643125A (zh) 一种鸭翅的加工方法
KR20130115902A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200095641A (ko) 닭불고기 제조법
KR20040037033A (ko) 식용조성물이 교반된 조란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KR20190116687A (ko) 파인애플과 라임을 이용한 치킨 제조방법
KR20020044423A (ko) 참숯불을 이용한 가공식품 훈연장치
KR20180115012A (ko) 갈릭 치킨 조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