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31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311A
KR20150106311A KR1020140096638A KR20140096638A KR20150106311A KR 20150106311 A KR20150106311 A KR 20150106311A KR 1020140096638 A KR1020140096638 A KR 1020140096638A KR 20140096638 A KR20140096638 A KR 20140096638A KR 20150106311 A KR20150106311 A KR 20150106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handle lever
coupled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23B1 (ko
Inventor
이형범
김범곤
손수형
유우열
이완형
신연태
황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43,612 priority Critical patent/US9605891B2/en
Priority to EP15761163.3A priority patent/EP3105519B1/en
Priority to CN201811582231.2A priority patent/CN109668371B/zh
Priority to AU2015230612A priority patent/AU2015230612B2/en
Priority to CA2941235A priority patent/CA2941235C/en
Priority to PCT/KR2015/002357 priority patent/WO2015137725A1/en
Priority to CN201580026958.0A priority patent/CN106415170B/zh
Priority to EP20203876.6A priority patent/EP3789700A1/en
Publication of KR2015010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11A/ko
Priority to US15/348,378 priority patent/US10203148B2/en
Priority to US15/852,524 priority patent/US10066866B2/en
Priority to US16/047,517 priority patent/US10782063B2/en
Priority to US16/993,744 priority patent/US11543170B2/en
Priority to KR1020210163939A priority patent/KR10237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4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engaging three or more parts, e.g. sleeves, movable relatively to one another for connecting two or more wings to an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여 하나의 핸들로 제 2 도어만 개폐하거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함께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상과 외상을 포함하는 본체와, 내상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평상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실은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문형 도어로 구성되고,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서랍형 도어로 구성된다.
소비자의 편의를 극대화 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는 냉장실 도어 중 하나는 이중 도어의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중 도어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도어와,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로 구성되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각각 핸들이 마련되어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각각 핸들이 마련되기 때문에, 제 1 도어를 개폐할 경우에는 제 1 도어에 마련된 핸들을 파지하여 개폐하여야 하고 제 2 도어를 개폐할 경우에는 제 2 도어에 마련된 핸들을 파지하여 개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여 하나의 핸들로 제 2 도어만 개폐하거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함께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핸들의 후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서포트, 회전축에 의해 상기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핸들레버와, 상기 제 1 핸들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제 1 핸들레버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 2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시켜주는 유동방지부와, 상기 유동방지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가 상기 유동방지부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유동방지부에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이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용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유동방지부에 고정되면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의 후면에는 상기 서포트가 수용되는 서포트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 1 결합홀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결합홀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과, 제 1 핸들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후면 커버가 결합되는 제 3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구와,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제 3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 4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레버에는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전면으로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에는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후면 커버의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 주면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후크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핸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 상기 핸들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레버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핸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유닛이 결합되는 서포트와, 상기 제 2 도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연결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와,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회전유닛이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마련된 고정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주는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 및 고정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유닛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회전유닛 결합홀에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서 상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 주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연결부재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어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레버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제 2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부가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래크, 상기 서포트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와 치합되어 상기 래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될 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크는 상기 서포트에 마련된 래크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서포트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에는 상기 걸림홀이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잠금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를 전방을 향해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래크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서포트와 상기 래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를 눌러 주면 상기 래크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 해제된 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고, 전면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고, 전면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마련되며, 내부에 자력을 갖는 제 1 마그넷이 내장되어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1 가스켓, 상기 제 2 도어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마그넷보다 큰 자력을 갖는 제 2 마그넷이 내장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가스켓,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의 미 작동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파지하여 상기 제 2 도어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함께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로 접근이 가능하고, 상기 래치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파지하여 상기 제 2 도어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2 도어만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로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핸들의 후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핸들레버와 치합되어 상기 핸들레버가 이동되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후단부가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될 때 상기 핸들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핸들로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 2 도어만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각각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에 힌지유닛과 제 1 탄성레버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힌지유닛과 제 1 탄성레버 및 캠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레버와 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함께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상태에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에 힌지유닛과 제 2 탄성레버 및 멈춤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힌지유닛과 제 2 탄성레버 및 멈춤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의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에 결합되는 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서 걸림부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포트가 핸들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와 핸들레버의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7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이 제 2 도어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상태에서 제 2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제 33의 상태에서 제 1 핸들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개구부 측벽에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내부에 진공단열재가 충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내부 사출물에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강프레임이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프레임이 제 1 도어 내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 내부에 램프 고정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 부품과 램프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제 1 힌지홀을 통해 본체로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 부품과 램프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램프 고정부재의 와이어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과 행거가 결합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도 40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과 행거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1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가 틸팅 조절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과 행거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과 행거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가 적용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와,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57 내지 도 58은 도 56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9는 도 56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0은 도 59에 도시된 래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1은 도 59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2는 도 56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서 고정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래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4는 도 62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5는 도 62에 도시된 제 2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가 적용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와,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67은 도 66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8은 도 66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에 고정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0은 도 69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개방된 제 2 도어가 닫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가 적용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와,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73은 도 72에 도시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모두 닫혀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래치장치에 의해 제 2 도어가 제 1 도어로부터 밀착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5는 도 74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6은 도 74에 도시된 제 2 도어가 닫힐 때 래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할 내용에서 사용되는 전면과 후면은 냉장고 본체(10)의 전면 쪽을 전면이라 지칭하고, 후면 쪽을 후면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된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 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미도시)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미도시)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송풍팬과, 냉기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된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된다.
저장실(20)은 격벽(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상부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하부에는 냉동실(23)이 마련된다.
냉장실(21)에는 복수개의 선반(25)이 마련되어 냉장실(21)을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음식물 등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저장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냉동실(23)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냉동실 도어(60)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60)에는 각각 사용자가 파지하여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6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핸들(31, 61)이 마련된다.
한 쌍으로 마련되는 냉장실 도어(30)중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30)는 이중도어의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이중도어의 구조를 갖는 우측의 냉장실 도어(30)는 본체(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냉장실(2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40)와, 제 1 도어(4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 1 도어(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도어(50)를 포함한다.
제 1 도어(40)에는 개구부(41)가 마련되며, 개구부(41)에는 복수개의 도어가드(33)가 마련된다.
제 1 도어(40)에 마련되는 개구부(41)는 제 1 도어(4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 2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제 2 도어(50)의 후면에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는 쿨링 플레이트(55)가 마련될 수 있다.
쿨링 플레이트(55)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 2 도어(50)가 닫혀 있을 때 냉장실(21) 내부의 냉기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쿨링 플레이트(55)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냉장실(21)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쿨링 플레이트(55)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전도 효율이 좋은 다른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30)의 일측이 이중도어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 1 도어(40)의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냉장실 도어(30) 전체를 개방할 필요 없이 제 2 도어(50)만 개방하면 되기 때문에, 냉장실 도어(30)의 개폐에 따른 냉기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에너지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도어(50)에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장치(200)가 결합된 핸들(70)이 마련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는 힌지유닛(100)에 의해 각각 본체(10)와 제 1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유닛(100)은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상부힌지(110)와, 제 1 도어(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2 상부힌지(120)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대응되는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하부힌지(130)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2 하부힌지(14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힌지(110)는 본체(1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11)와,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힌지축(113)과, 제 1 결합부(111)에서 제 1 도어(40) 쪽으로 연장되며 하기할 캠 부재(160)가 결합되는 캠 부재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11)는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되며, 제 1 힌지축(113)은 제 1 결합부(111)에서 제 1 도어(40) 쪽으로 연장된 부분에 마련되어 제 1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된 제 1 힌지홀(4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도어(40)는 제 1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냉장실(21)을 개폐하도록 회전된다.
제 2 상부힌지(120)는 제 1 도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21)와,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2 힌지축(123)을 포함한다.
제 2 결합부(121)는 제 1 도어(40)의 상부에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되며, 제 2 힌지축(123)은 제 2 결합부(121)에서 제 2 도어(50) 쪽으로 연장된 부분에 마련되어 제 2 도어(50)의 상부에 마련된 제 2 힌지홀(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2 도어(5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힌지홀(51)과, 제 2 힌지홀(51)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123)은 본체(10)의 측면이나 상부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미관상 우수하며, 본체(10)의 측면이나 상부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 2 힌지홀(5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도어(50)는 제 2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제 1 도어(40)에 마련된 개구부(41)를 개폐하도록 회전된다.
제 1 도어(40)에는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본체(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레버(150)가 마련된다.
탄성레버(150)는 제 1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제 1 도어(40)가 닫혔을 때 본체(10)에 밀착되어 냉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레버(151)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제 1 도어(40)가 닫혔을 때 본체(10)에 밀착되어 냉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2 탄성레버(157)를 포함한다.
제 1 도어(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레버(151, 157)가 마련되어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제 1 도어(40)의 상하부 모두에서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탄성레버(151)는 탄성을 갖도록 ㄷ자 형상으로 밴딩되어 마련되며, 일측에는 체결부재(B)에 의해 제 1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된 제 1 체결홀(43)에 체결되는 제 2 체결홀(155)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캠 부재(160)의 캠면(161)에 접촉되어 캠면(161)을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53)가 마련된다.
롤러(153)는 제 1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캠 부재(160)의 캠면(16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도어(40)가 닫히는 과정에서 캠면(161)에 접촉되면 제 1 탄성레버(151)가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롤러(153)가 캠면(16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 1 도어(40)가 닫히게 되면, 롤러(153)는 캠면(161)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축적한 탄성력을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전달하여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 2 탄성레버(157)에 관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캠 부재(160)는 제 1 상부힌지(110)의 제 1 결합부(111)에서 제 1 도어(40) 쪽으로 연장되는 캠 부재 결합부(115)에 결합되며,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1 탄성레버(151)와 접촉되어 제 1 탄성레버(151)가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제 1 도어(4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캠면(161)을 갖는다.
캠면(161)은 제 1 도어(40)의 개폐 시 기준점이 되는 만곡점(163)과, 만곡점(163)을 기준으로 반대 경사면을 갖도록 만곡점(163)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접촉면(165) 및 제 2 접촉면(167)을 포함한다.
제 1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캠 부재(160)의 캠면(161)에 제 1 탄성레버(151)의 롤러(153)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도어(40)가 닫히는 과정에서 롤러(153)가 캠면(161)의 제 1 접촉면(165)에 접촉하게 된다.
제 1접촉면(165)에 접촉한 롤러(153)는 제 1 도어(40)가 닫히는 과정에서 제 1 접촉면(165)과, 만곡점(163)과, 제 2 접촉면(167)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며 이동하면서 제 1 탄성레버(151)가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하였다가 제 1 도어(40)에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1 탄성레버(151)와 캠 부재(160)에 의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닫히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탄성레버(151)가 캠 부재(160)의 캠면(16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가 어느 정도 닫히면, 제 1 탄성레버(151)의 롤러(153)가 캠 부재(160)의 캠면(161)에 접촉하게 된다.
일차적으로 롤러(153)는 캠면(161)의 제 1 접촉면(165)에 접촉되게 되는데, 롤러(153)가 제 1 접촉면(165)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를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면, 롤러(153)가 제 1 접촉면(165)의 하부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탄성레버(151)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제 1 탄성레버(151)가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제 1 도어(40)를 닫히는 방향으로 좀 더 밀어주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53)는 캠면(161)의 제 1 접촉면(165)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만곡점(163)을 지나 제 2 접촉면(167)으로 이동하게 된다.
롤러(153)가 캠면(161)의 제 2 접촉면(167)으로 이동되면서 롤러(153)가 제 2 접촉면(167)에 지지되어 제 1 탄성레버(151)는 축적된 탄성력을 제 1 도어(40)에 전달하게 되고,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 제 1 도어(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히게 된다.
제 1 도어(40)가 닫히면, 제 1 탄성레버(151)에 남아있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도어(40)는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아 본체(1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도어(40)를 개방할 때에는 롤러(153)가 캠면(161)의 제 2 접촉면(167)과, 만곡점(163)과, 제 1 접촉면(165)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153)가 만곡점(163)을 지나기 전에는 제 1 도어(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타측 냉장실 도어(30)가 급격하게 닫힐 때에도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들은 제 1 도어(40)가 제 2 도어(50)와 함께 닫히는 경우 또는 제 1 도어(40)만 닫히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부힌지(130)는 본체(10)에 결합되는 제 3 결합부(131)와,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3 힌지축(133)과, 제 1 도어(40) 닫힐 때 하기할 제 2 탄성레버(157)와 접촉되어 제 2 탄성레버(157)가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제 1 도어(40)에 축적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레버 접촉부(135)와, 제 1 도어(40)가 개방될 때 하기할 제 1 멈춤부재(180)와 접촉되어 제 1 도어(40)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 1 접촉부(137)를 포함한다.
제 3 결합부(131)는 체결부재(B)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되며, 제 3 힌지축(133)은 제 3 결합부(131)에서 제 1 도어(50) 쪽으로 연장된 부분에 마련되어 제 1 도어(50)의 하부에 마련된 제 3 힌지홀(4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도어(40)는 제 3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냉장실(21)을 개폐하도록 회전된다.
제 2 탄성레버(157)는 탄성을 갖도록 ㄷ자 형상으로 밴딩되어 마련되며, 일측은 체결부재(B)에 의해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부(46) 내부의 홀(47)에 체결되며, 타측은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1 하부힌지(130)의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된다.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은 제 1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하부힌지(130)의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도어(40)가 닫히는 과정에서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되면 제 2 탄성레버(157)가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 1 도어(40)가 닫히게 되면,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축적한 탄성력을 제 1 도어(4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전달하여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 1 도어(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레버(151, 157)가 마련되어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제 1 도어(40)의 상하부 모두가 본체(10)에 밀착되어 냉기 누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2 하부힌지(140)는 제 1 도어(40)에 결합되는 제 4 결합부(141)와,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4 힌지축(143)과, 제 2 도어(50)가 개방될 때 하기할 제 2 멈춤부재(190)와 접촉되어 제 2 도어(50)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 2 접촉부(145)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돌출되는 돌출부(4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삽입홀(147)과, 제 4 결합부(141)에 제 1 하부힌지(130)의 제 3 힌지축(133)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관통홀(149)을 포함한다.
제 1 도어(40)의 하부에는 제 2 하부힌지(140)를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돌출부(46)가 마련되며, 돌출부(46) 내부에는 제 2 하부힌지(140)가 체결부재(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홀(47)이 마련되며, 제 2 도어(50)의 하부에는 제 4 힌지축(14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4 힌지홀(53)이 마련된다.
제 2 하부힌지(140)의 제 1 삽입홀(147)은 제 4 결합부(141)에 마련되며, 제 1 삽입홀(147)이 제 1 도어(40)의 돌출부(46)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체결부재(B)에 의해 제 2 하부힌지(140)를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시킨다.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의 하부에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여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과도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부재(170)가 마련된다.
멈춤부재(170)는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 1 도어(40)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 1 멈춤부재(180)와, 제 2 도어(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 2 도어(50)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 2 멈춤부재(190)를 포함한다.
제 1 멈춤부재(180)는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마련되는 돌출부(4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삽입홀(181)과, 제 1 도어(40)의 하부에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183)와, 제 1 도어(40)가 개방될 때 제 1 하부힌지(130)의 제 1 접촉부(137)에 접촉되어 제 1 도어(4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제 1 스토퍼(185)와, 제 1 고정부(183)에 제 1 하부힌지(130)의 제 3 힌지축(133)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2 관통홀(187)을 포함한다.
제 2 하부힌지(140)에 마련되는 제 1 관통홀(149)과 제 1 멈춤부재(180)에 마련되는 제 2 관통홀(187)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 힌지홀(4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 1 하부힌지(130)의 제 3 힌지축(133)은 제 2 관통홀(187)과 제 1 관통홀(149)을 관통하여 제 3 힌지홀(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하부힌지(130)의 제 3 힌지축(133)이 제 2 하부힌지(140)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 1 하부힌지(130)와 제 2 하부힌지(140)는 좁은 폭을 갖는 제 1 도어(40)의 하부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가 개방되면,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고정된 제 1 멈춤부재(180)는 제 1 도어(4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 1 스토퍼(185)가 제 1 접촉부(137)에 접촉되면 제 1 도어(40)는 회전이 멈추게 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된다.
제 2 멈춤부재(190)는 제 2 도어(50)의 하부에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191)와, 제 2 도어(50)가 개방될 때 제 2 하부힌지(140)의 제 2 접촉부(145)에 접촉되어 제 2 도어(5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제 2 스토퍼(193)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가 개방되면, 제 2 도어(50)의 하부에 고정된 제 2 멈춤부재(190)는 제 2 도어(5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 2 스토퍼(193)가 제 2 접촉부(145)에 접촉되면 제 2 도어(50)는 회전이 멈추게 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의 하부에 제 2 하부힌지(140)와, 제 1 멈춤부재(180)와, 제 2 탄성레버(157)가 결합되는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제 1 도어(4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46)에 제 2 하부힌지(140)의 제 1 삽입홀(14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 2 하부힌지(140)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고정되면, 제 2 하부힌지(140)의 하부에 제 1 멈춤부재(180)가 위치하도록 하여 돌출부(46)에 제 1 멈춤부재(180)의 제 2 삽입홀(181)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제 2 하부힌지(140)와 제 1 멈춤부재(180)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고정되면, 체결부재(B)에 의해 제 2 하부힌지(140)와 제 1 멈춤부재(180)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 2 하부힌지(140)와 제 1 멈춤부재(180)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되면, 제 1 멈춤부재(180)의 하부에 제 2 탄성레버(157)가 위치하도록 하여 돌출부(46)에 제 3 삽입홀(159)을 삽입하여 제 2 탄성레버(157)를 고정시킨다.
제 2 탄성레버(157)가 고정되면, 체결부재(B)를 제 3 삽입홀(159)을 통해 삽입하여 돌출부(46) 내부에 마련된 홀(47)에 체결하여 제 2 탄성레버(157)가 제 1 도어(4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제 1 도어(40)가 닫힐 때, 제 2 탄성레버(157)와 제 1 하부힌지(130)의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의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닫히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탄성레버(157)가 제 1 하부힌지(130)의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가 어느 정도 닫히면,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하게 된다.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를 닫히는 방향을 밀어 주게 되면,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의해 압축되면서 제 2 탄성레버(157)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제 2 탄성레버(157)가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제 1 도어(40)를 닫히는 방향으로 좀 더 밀어주게 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탄성레버 접촉부(135)를 넘어가게 된다.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를 넘어가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지지되어 제 2 탄성레버(157)는 축적된 탄성력을 제 1 도어(40)에 전달하게 되고,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 제 1 도어(4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히게 된다.
제 1 도어(40)가 닫히면, 제 2 탄성레버(157)에 남아있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도어(40)는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아 본체(1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도어(40)를 개방할 때에는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제 1 도어(40)를 닫을 때와는 반대 방향에서 탄성레버 접촉부(135)에 접촉되어 탄성레버 접촉부(135)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탄성레버 접촉부(135)를 넘어가게 되는데, 제 2 탄성레버(157)의 타측이 탄성레버 접촉부(135)를 넘기 전에는 제 1 도어(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타측 냉장실 도어(30)가 급격하게 닫힐 때에도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에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장치(200)가 결합된 핸들(70)이 마련된다.
핸들(70)은 제 2 도어(50)의 전면에 결합되며, 래치장치(200)는 핸들(70)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장치(200)는 제 1 도어(40)의 전면에 매설되는 고정유닛(210)과, 핸들(70)의 후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서포트(220)와, 서포트(220)에 결합되는 제 1 핸들레버(231)와 제 1 핸들레버(231)에 연결되어 고정유닛(2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 2 핸들레버(233)를 포함하는 핸들레버(230)와, 제 2 도어(50)에 매설되어 핸들레버(230)가 서포트(220)로부터 제 2 도어(50)를 관통하여 고정유닛(2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240)를 포함한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210)은 제 2 핸들레버(233)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211)와, 걸림부(211)가 제 1 도어(40) 내부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시켜주는 유동방지부(213)와, 유동방지부(213)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 1 도어(4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U)(도 31참조)가 유동방지부(213)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버(215)를 포함한다.
걸림부(211)는 유동방지부(213)에 고정되는 고정홀(211a)과, 고정홀(211a)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 2 핸들레버(233)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211b)를 포함한다.
유동방지부(213)는 제 1 도어(40)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213a)와, 전면부(213a)의 후면에 돌출되어 고정홀(211a)이 삽입되는 고정돌기(213b)와, 전면부(213a)의 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면부(213a)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용부(213c)를 포함한다.
고정돌기(213b)는 수용부(213c)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213c)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걸림부(211)의 고정홀(211a)이 고정돌기(213b)에 삽입되어 걸림부(211)가 유동방지부(213)에 고정되면, 걸림후크(211b)는 수용부(213c)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수용부(213c) 내부로 수용되고, 수용부(213c) 내부에 수용된 걸림후크(211b)는 수용부(213c)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핸들레버(233)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213c)의 개방된 전면에서 걸림후크(211b)는 상부 쪽에 위치하며, 제 2 핸들레버(233)의 전단이 수용부(213c)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수용부(213c) 내부로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기할 제 2 핸들레버(233)의 전단에 마련된 걸림돌기(239)가 걸림후크(211b)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된다.
커버(215)는 유동방지부(213)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 1 도어(4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U)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하며, 유동방지부(213)의 고정돌기(213b)에 고정홀(211a)에 삽입되어 고정된 걸림부(211)가 고정돌기(213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211)의 후면을 지지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20)는 핸들(70)의 후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핸들(70)의 후면에는 서포트(220)가 수용되는 서포트 수용부(71)가 마련된다.
서포트(220)는 서포트 수용부(71)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후면이 개방된 하우징(221)과, 하우징(221)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223)를 포함한다.
서포트 수용부(71)에는 하우징(221)이 결합되는 제 1 결합홀(73)이 마련되며, 하우징(221)에는 제 1 결합홀(7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결합홀(221a)이 마련되어 하우징(221)은 체결부재(B)에 의해 서포트 수용부(71)에 결합된다.
하우징(221)에는 하기할 핸들레버(230)의 회전축(23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221b)과, 제 1 핸들레버(23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221c)와, 후면 커버(223)가 결합되는 제 3 결합홀(221d)이 마련된다.
후면 커버(223)는 하기할 제 1 핸들레버(231)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구(223a)와, 제 2 핸들레버(2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b)와, 하우징(221)에 마련된 제 3 결합홀(221d)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 4 결합홀(223c)을 포함한다.
후면 커버(223)의 개구(223a)를 통해 제 1 핸들레버(231)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제 1 핸들레버(231)의 후면을 전면을 향해 눌러줄 수 있다.
가이드부(223b)는 하우징(221)에 결합된 제 2 핸들레버(233)가 핸들(70)과 제 2 도어(5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 2 도어(50)를 관통하여 제 1 도어(40)에 마련된 고정유닛(2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223b)는 제 2 핸들레버(2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된 가이드(240)와 연통된다.
후면 커버(223)는 하우징(221)에 마련된 제 3 결합홀(221d)과 후면 커버(223)에 마련된 제 4 결합홀(223c)을 통해 체결부재(B)에 의해 하우징(221)에 결합된다.
핸들레버(230)는 서포트(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유닛(2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된다.
핸들레버(230)에는 회전축(235)이 마련되며, 회전축(235)이 서포트(220)의 하우징(221)에 마련된 회전홀(22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핸들레버(230)가 회전되도록 한다.
핸들레버(230)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핸들레버(231)와, 제 1 핸들레버(231)와 연동되어 제 1 핸들레버(231)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유닛(210)의 걸림부(211)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 2 핸들레버(233)를 포함한다.
제 1 핸들레버(231)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볼 때, 회전축(235)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전면 쪽이 서포트(220)의 하우징(221)에 수용된다.
제 1 핸들레버(231)의 후면 쪽은 하우징(22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223)의 개구(223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 1 핸들레버(231)를 전방을 향해 눌러 줄 수 있다.
제 1 핸들레버(231)의 하부에는 스프링(S)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237)가 마련되어 스프링(S)은 하우징(221)에 마련된 제 1 지지부(221c)와 제 1 핸들레버(231)의 제 2 지지부(237)에 의해 양 측이 지지된다.
제 1 핸들레버(231)의 하부에 스프링(S)이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핸들레버(231)를 눌러 주면 제 1 핸들레버(231)가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며 스프링(S)을 압축하여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한다.
제 1 핸들레버(231)를 눌러 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핸들레버(231)에서 손을 떼면 제 1 핸들레버(231)는 스프링(S)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볼 때, 회전축(235)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제 2 핸들레버(233)는 후면 커버(223)의 가이드부(223b)와, 제 2 도어(50)에 매설된 가이드(240)를 통해 가이드되어 제 1 도어(40)의 전면에 매설된 고정유닛(2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제 2 핸들레버(233)는 제 1 핸들레버(231)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제 1 핸들레버(231)가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되도록 눌러 주면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 핸들레버(233)의 끝단에는 걸림돌기(239)가 마련되며, 걸림돌기(239)는 제 2 핸들레버(233)가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유닛(210)의 걸림후크(211b)에서 걸림 해제된다.
도 29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40)는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되며, 서포트(220)의 후면 커버(223)에 마련된 가이드부(223b)와 연통되어 제 2 핸들레버(233)가 제 2 도어(50)를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이, 래치장치(200)는 핸들(70)에 결합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결합되는 핸들레버(230)와, 제 1 도어(40)에 매설되는 고정유닛(210)과, 제 2 도어(50)에 매설되는 가이드(240)로 구성되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70)의 양 끝단은 제 2 도어(50)의 전면에 마련된 결합부재(57)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냉장고의 유통 시 핸들(70)을 제 2 도어(50)에 결합시켜 유통할 필요 없이 핸들(70)이 분리된 상태로 냉장고를 유통시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7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래치장치(200)의 하우징(220)과 핸들레버(230)가 핸들(70)에 결합된 상태이고, 고정유닛(210)과 가이드(240)는 각각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에 매설된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70)을 제 2 도어(50)에 결합시키면 별도의 조립작업이 없어도 래치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어 핸들(70)이 분리된 상태로 냉장고를 유통시킨 후 사용자가 핸들(70)을 결합시켜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핸들(70)이 분리된 상태로 냉장고를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운반이 용이하고, 운반 시 핸들(70)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1 내지 도 34를 참고로 하여 래치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모두 닫혀 있을 경우에는 제 2 핸들레버(233)의 걸림돌기(239)가 고정유닛(210)의 걸림후크(211b)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하여 제 2 도어(50)를 열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함께 열리게 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핸들레버(231)를 전면을 향해 눌러주면, 제 1 핸들레버(231)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회전된다.
제 2 핸들레버(233)가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회전되면, 제 2 핸들레버(233)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돌기(239)가 걸림후크(211b)에서 걸림 해제되기 때문에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에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하여 제 2 도어(50)를 열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만 열리게 된다.
제 2 도어(50)만 열린 상태일 때 사용자가 핸들(70)에서 손을 떼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핸들레버(231)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회전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도어(50)만 열린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을 때,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하며 제 1 핸들레버(231)를 눌러 주면 제 1 핸들레버(231)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의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아 주면, 제 2 핸들레버(233)의 걸림돌기(239)는 고정유닛(210)의 수용부(213c)에 수용된다,
제 2 핸들레버(233)의 걸림돌기(239)가 수용부(213c)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핸들레버(231)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회전되어 걸림돌기(239)가 걸림후크(211b)에 걸리게 된다.
제 2 도어(50)만 열린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을 때, 사용자가 핸들(70)을 파지하며 제 1 핸들레버(231)를 눌러 주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게 되면, 제 2 핸들레버(233)의 걸림돌기(239)는 걸림후크(211b)와 접촉된다.
걸림돌기(239)가 걸림후크(211b)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히는 방향으로 더 밀어 주게 되면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회전되고, 제 1 핸들레버(231)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는 닫히게 된다.
제 2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제 1 핸들레버(231)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핸들레버(233)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회전되어 걸림돌기(239)가 걸림후크(211b)에 걸리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만 개방되고 제 1 도어(40)는 닫혀 있는 경우 제 1 도어(40)의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 내부에 보관되는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41)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3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6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냉장실 도어(30) 중 이중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실 도어(30)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는 모두 얇은 두께를 갖게 된다.
제 2 도어(50)의 내부에는 단열재(U)가 충진되는데, 많은 양의 단열재(U)가 충진될 수록 단열성은 향상되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도어(50)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두께를 늘려야 하지만, 미관상 한 쌍으로 마련되는 냉장실 도어(30)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제 2 도어(50)의 두께를 늘리는 대신 제 2 도어(50)의 내부에 단열재(U)의 단열성을 보완하기 위한 진공단열재(VIP, Vacuum Insulation Panel)(V)를 충진시킬 수 았다.
제 1 도어(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48)과, 개구부(41)의 측벽을 형성하는 내부 사출물(49)을 포함하며,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는 단열재(U)가 발포된다.
제 1 도어(40)는 얇은 두께를 갖으면서 개구부(41)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강성이 약해져 제 1 도어(40) 자체의 중량과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에 저장되는 재료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제 1 도어(40)의 약해진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는 보강프레임(3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350)은 내부 사출물(49)의 전면 쪽에 배치되어 제 1 도어(40)의 강성을 보완하며, 내부 사출물(49)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보강프레임(351)과,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보강프레임(353)과, 양 측면 중 핸들(70)이 결합되는 부분인 제 1 도어(4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 및 반대쪽인 제 1 도어(4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측면 보강프레임(357)을 포함한다.
상부 보강프레임(351)과 하부 보강프레임353)은 내부 사출물(49)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결합리브(49a)에 끼워져 결합된다.
양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 및 제 2 측면 보강프레임(357)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보강프레임(351)과 하부 보강프레임(353) 각각의 양 끝단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부재(360)가 끼워져 결합된다.
내부 사출물(49)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360) 각각의 일측은 상부 보강프레임(351)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부재(360) 각각의 타측은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과 제 2 측면 보강프레임(357)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내부 사출물(49)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360) 각각의 일측은 하부 보강프레임(353)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부재(360) 각각의 타측은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과 제 2 측면 보강프레임(357)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과 제 2 측면 보강프레임(357)은 고정부재(360)에 의해 상부 보강프레임(351)과 하부 보강프레임(353)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이 배치되는 제 1 도어(40)의 좌측에는 핸들(70)에 결합되는 래치장치(200)의 고정유닛(210)이 매설되기 때문에, 강성을 더 보강하기 위해 보조 보강프레임(359)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보강프레임(359)은 캐비닛(48)의 우측면에 마련된 고정리브48a)에 끼워져 고정되며, 제 1 측면 보강프레임(355)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도어(50)와 마찬가지로 제 1 도어(40)의 내부에도 단열성의 향상을 위한 진공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사출물(49)에는 램프(320)를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설치홀(42)이 마련된다.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는 램프(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고정부재(310)가 배치된다.
램프 고정부재(310)는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 단열재(U)가 발포되기 전에 내부 사출물(49)에 마련되는 램프 설치홀(4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내부 사출물(49)에 고정되며, 내부 사출물(49)에 램프 고정부재(310)가 고정되면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 단열재(U)를 발포하게 된다.
램프 고정부재(310)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320)가 안착되는 안착부(311)와, 안착부(311)에 안착된 램프(320)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후크(313)와, 램프 고정부재(310)의 상부 및 좌우측면 테두리에 마련되어 단열재(U)가 안착부(311)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리브(315)와, 램프(320)가 발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W)가 가이드되는 와이어 가이드부(317)를 포함한다.
램프 고정부재(310)가 내부 사출물(49)에 고정되고,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 단열재(U)가 발포되면, 램프 설치홀(42)을 통해 램프 고정부재(310)의 안착부(311)에 램프(320)를 안착시킨다.
안착부(311)에 램프(320)가 안착되면, 안착부(311)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고정후크(313)로 램프(320)를 고정시킨다.
램프 고정부재(310)가 내부 사출물(49)에 고정된 후, 캐비닛(48)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 단열재(U)를 발포할 때, 단열재(U)가 램프 고정부재(310)와 내부 사출물(49) 사이를 통해 안착부(311)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램프 고정부재(310)의 상부 및 좌우측면 테두리에는 리브(315)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램프 고정부재(310)의 상부 및 좌우측면 테두리에 리브(315)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램프 고정부재(310)가 위치하는 내부 사출물(49)에 리브가 마련될 수도 있고, 램프 고정부재(310)의 상부 및 좌우측 테두리면과 내부 사출물(49) 사이에 단열재(U)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힌지유닛(100)에는 제 1 도어(4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330)가 마련되며, 제 2 도어(50)의 상부에는 개폐 감지센서(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도어(50)의 개폐여부를 개폐 감지센서(330)로 전달하는 센서 감지유닛(340)이 마련된다.
힌지유닛(100)의 상부에는 힌지유닛(1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힌지커버(101)(도 1 참조)가 마련되며, 힌지커버(101) 내부에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103)이 수용된다.
힌지유닛(100)에 배치되는 개폐 감지센서(330)는 전장 부품(103)과 연결되며, 전장 부품(103)과 램프(320)는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도어(40)가 개폐 여부를 개폐 감지센서(330)가 감지하여 전장 부품(103)으로 전달하고, 전장 부품(103)은 와이어(W)를 통해 램프(32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전장 부품(103)과 램프(320)를 연결하는 와이어(W)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부품(130)과 연결되어 제 1 힌지홀(44)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가이드되며, 본체(10) 내부로 가이드된 와이어(W)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고정부재(310)에 마련된 와이어 가이드부(317)로 가이드되어 램프(320)에 연결된다.
센서 감지유닛(340)은 제 2 도어(50)의 상부에 마련되며, 개폐 감지센서(330)가 개폐 감지센서(330)로부터 센서 감지유닛(340)이 이격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제 2 도어(5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램프(32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의 개폐 여부에 따른 램프(320)의 작동을 살펴본다.
제 1 도어(40)가 개방되면, 개폐 감지센서(330)가 제 1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하여 전장 부품(103)으로 전달하고, 전장 부품(103)은 와이어(W)를 통해 램프(3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320)가 발광되도록 한다.
제 1 도어(40)가 개방되면, 제 1 도어(40)는 냉장실(21)과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냉장실(21) 내부에서 발광되는 불빛만으로는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지만, 개구부(41)의 측벽에 마련되는 램프(320)가 발광되면,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냉장고 주위에 불빛이 없더라도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제 1 도어(40)가 닫히면, 개폐 감지센서(330)가 제 1 도어(40)의 닫힘을 감지하여 전장 부품(103)으로 전달하고, 전장 부품(103)은 와이어(W)를 통해 램프(3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제 2 도어(50)가 개방되면, 개폐 감지센서(330)가 센서 감지유닛(340)이 개폐 감지센서(33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제 2 도어(50)의 개방을 전장 부품(103)으로 전달하고, 전장 부품(103)은 와이어(W)를 통해 램프(3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320)가 발광되도록 한다.
제 2 도어(50)가 개방되면, 냉장실(21) 내부에서 발광되는 불빛으로 제 1 도어(40)의 개구부(41)에 마련되는 도어가드(33)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지만, 냉장실(21) 내부에 높이가 높은 음식물이나 물건 등이 배치되면 냉장실(21) 내부에서 발광되는 불빛이 차단되어 도어가드(33)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지만, 개구부(41)의 측벽에 마련된 램프(320)가 발광되면, 도어가드(33)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 2 도어(50)가 닫히면, 개폐 감지센서(330)가 개폐 감지센서(330)와 센서 감지유닛(34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 2 도어(50)의 닫힘을 전장 부품(103)으로 전달하고, 전장 부품(103)은 와이어(W)를 통해 램프(3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6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랍식 도어로 구성된다.
냉동실 도어(60)의 후면에는 저장유닛(400)이 결합되며, 저장유닛(400)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냉동실(23)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된다.
저장유닛(400)이 냉동실(23)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저장유닛(400)이 수납되는 냉동실(23) 내부의 양 측벽에는 가이드레일(13)이 결합된다.
도 1 및 도 47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400)은 냉동실 도어(60)의 후면에 결합되는 패널(410)과, 패널(410)의 후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음식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박스(420)와, 패널(4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저장박스(420)의 측면 하부를 지지하며 가이드레일(13)에 의해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레일(430)과, 패널(410)과 슬라이드 레일(430)을 연결시키는 행거(440)와, 행거(440)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틸팅되도록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조절유닛(450)을 포함한다.
행거(440)는 패널(410)에 결합되는 패널 결합부(441)와, 슬라이드 레일(430)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443)를 포함한다.
도 49 내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443)에는 행거(440)와 슬라이드 레일(430)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45)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레일(430)에는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4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31)이 마련되어 행거(440)와 슬라이드 레일(430)은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45)과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31)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45)은 레일 결합부(44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레일 결합부(443)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틸팅 조절유닛(450)이 삽입되는 제 1 틸팅 조절홀(447)과 제 2 틸팅 조절홀(449)이 마련된다.
슬라이드 레일(430)에는 제 1 틸팅 조절홀(447) 및 제 2 틸팅 조절홀(449)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틸팅 조절홀(447) 및 제 2 틸팅 조절홀(449)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이 유동이 방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고정홈(433) 및 제 2 고정홈(435)이 마련된다.
행거(440)와 슬라이드 레일(430)의 결합은 행거(440)가 슬라이드 레일(430)의 상부 쪽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레일 결합부(443)에 마련된 제 1 틸팅 조절홀(447)과 제 2 틸팅 조절홀(449)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은 레일 결합부(443)의 상부 쪽에서 삽입되며, 슬라이드 레일(430)에 마련되는 제 1 고정홈(443) 및 제 2 고정홈(435)은 슬라이드 레일(430)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제 1 틸팅 조절홀(447)과 제 2 틸팅 조절홀(449)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의 하단부가 제 1 고정홈(443) 및 제 2 고정홈(435)에 일부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51 내지 도 53을 참고로 하여 틸팅 조절유닛(450)에 의해 행거(440)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틸팅되는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틸팅 조절유닛(450)에 의해 행거(440)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틸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행거(440)와 슬라이드 레일(43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B)를 제거한 후,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부재(B)를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틸팅 조절유닛(450)에 의해 행거(440)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틸팅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은 체결부재(B)와, 체결부재(B)가 삽입되는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45) 및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31)은 삭제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냉동실 도어(60) 하단의 밀폐가 불량하여 냉동실(23)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에는 밀폐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도 4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틸팅 조절홀(447)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틸팅 조절유닛(450)의 하단부는 제 1 고정홈(43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제 1 틸팅 조절홀(447)이 틸팅 조절유닛(45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일 결합부(443)의 전단부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이격되며 제 2 틸팅 조절홀(449)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행거(440)가 제 2 틸팅 조절홀(449)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면상에서 행거(400)와 결합된 패널(4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패널(4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패널(410)이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냉동실 도어(60)의 하단은 회전되기 전에 비해 하부 쪽으로 이동되어 냉동실 도어(60) 하단의 밀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냉동실 도어(60) 상단의 밀폐가 불량하여 냉동실(23)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에는 밀폐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도 4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틸팅 조절홀(449)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틸팅 조절유닛(450)의 하단부는 제 2 고정홈(43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제 2 틸팅 조절홀(449)이 틸팅 조절유닛(45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일 결합부(443)의 후단부가 슬라이드 레일(430)로부터 이격되며 제 1 틸팅 조절홀(447)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행거(440)가 제 1 틸팅 조절홀(447)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면상에서 행거(400)와 결합된 패널(4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패널(4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패널(410)이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6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냉동실 도어(60)의 상단은 회전되기 전에 비해 상부 쪽으로 이동되어 냉동실 도어(60) 상단의 밀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틸팅 조절홀과 고정홈의 위치가 변경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473)에는 행거(470)와 슬라이드 레일(460)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75)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레일(460)에는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7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61)이 마련되어 행거(470)와 슬라이드 레일(460)은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75)과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61)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75)은 레일 결합부(47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레일 결합부(475)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슬라이드 레일(460)에는 틸팅 조절유닛(450)이 삽입되는 제 1 틸팅 조절홀(463)과 제 2 틸팅 조절홀(465)이 마련된다.
레일 결합부(473)에는 제 1 틸팅 조절홀(463) 및 제 2 틸팅 조절홀(46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틸팅 조절홀(463) 및 제 2 틸팅 조절홀(465)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이 유동이 방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고정홈(477) 및 제 2 고정홈(479)이 마련된다.
행거(470)와 슬라이드 레일(460)의 결합은 행거(470)가 슬라이드 레일(460)의 상부 쪽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460)에 마련되는 제 1 틸팅 조절홀(463)과 제 2 틸팅 조절홀(465)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은 하부 쪽에서 삽입되며, 레일 결합부(473)에 마련되는 제 1 고정홈(477) 및 제 2 고정홈(479)은 레일 결합부(473)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 1 틸팅 조절홀(463)과 제 2 틸팅 조절홀(465)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의 상단부가 제 1 고정홈(477) 및 제 2 고정홈(479)에 일부 삽입되어 고정된다.
틸팅 조절유닛(450)에 의해 행거(470)가 슬라이드 레일(460)로부터 틸팅되는 동작은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된 동작과 제 1 틸팅 조절홀(463)과 제 2 틸팅 조절홀(465) 및 제 1 고정홈(477)과 제 2 고정홈(479)의 위치만 상이할 뿐 제 1 틸팅 조절홀(463)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행거(470)는 제 2 틸팅 조절홀(465)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틸팅 조절홀(465)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행거(470)는 제 1 틸팅 조절홀(463)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493)에는 행거(490)와 슬라이드 레일(480)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95)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레일(480)에는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9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81)이 마련되어 행거(490)와 슬라이드 레일(480)은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95)과 제 2 체결부재 삽입홀(481)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체결부재 삽입홀(495)는 레일 결합부(49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레일 결합부(493)의 후단부에는 틸팅 조절유닛(450)이 삽입되는 제 2 틸팅 조절홀(497)이 마련되고, 레일 결합부(493)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슬라이드 레일(480)에는 틸팅 조절유닛(450)이 삽입되는 제 1 틸팅 조절홀(483)이 마련된다.
레일 결합부(493)의 전단부에는 제 1 틸팅 조절홀(48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틸팅 조절홀(483)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고정홈(499)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레일(480)에는 제 2 틸팅 조절홀(497)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틸팅 조절홀(497)에 삽입된 틸팅 조절유닛(45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고정홈(485)이 마련된다.
행거(490)와 슬라이드 레일(480)의 결합은 행거(490)가 슬라이드 레일(480)의 상부 쪽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480)에 마련되는 제 1 틸팅 조절홀(483)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은 하부 쪽에서 삽입되며, 레일 결합부(493)에 마련되는 제 2 틸팅 조절홀(497)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은 상부 쪽에서 삽입된다.
레일 결합부(493)에 마련되는 제 1 고정홈(499)은 레일 결합부(493)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 1 틸팅 조절홀(483)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의 상단부가 제 1 고정홈(499)에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고, 슬라이드 레일(480)에 마련되는 제 2 고정홈(485)은 슬라이드 레일(480)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제 2 틸팅 조절홀(497)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의 하단부가 제 2 고정홈(485)에 일부 삽입되어 고정된다.
틸팅 조절유닛(450)에 의해 행거(490)가 슬라이드 레일(480)로부터 틸팅되는 동작은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된 동작과 제 1 틸팅 조절홀(483)과 제 2 틸팅 조절홀(497) 및 제 1 고정홈(499)과 제 2 고정홈(485)의 위치만 상이할 뿐 제 1 틸팅 조절홀(483)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행거(490)는 제 2 틸팅 조절홀(497)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틸팅 조절홀(497)에 삽입되는 틸팅 조절유닛(450)을 회전시키면 행거(490)는 제 1 틸팅 조절홀(483)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6 내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에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래치장치(500)가 결합된 핸들(80)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80)은 제 2 도어(50)의 전면에 결합되며, 래치장치(500)는 일부가 핸들(8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핸들(80)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한다.
핸들(80)은 상부핸들(81)과 하부핸들(83)을 포함하며, 핸들(80) 내부에 수용된 래치장치(500)의 일부가 핸들(80) 후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부핸들(83)의 후면에는 개구(85)가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500)는 제 1 도어(40)의 전면에 매설되는 고정유닛(510)과, 핸들(80)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서포트(520)와, 핸들(80)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530)와, 핸들(80)의 후면에 배치되어 연결부재(83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핸들레버(540)와, 연결부재(5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유닛(5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회전유닛(550)과,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되어 회전유닛(550)이 제 2 도어(50)를 관통하여 고정유닛(5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510)은 하기할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에 마련된 걸림후크(557)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511)와, 제 1 도어(40)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513)를 포함한다.
걸림부(511)에는 잠금부(555)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때 걸림후크(557)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홀(511a)이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520)는 핸들(8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핸들(80)의 내부에는 서포트(5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마련된다.
서포트(520)는 연결부재(5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521)와, 회전유닛(5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부(523)와, 핸들(80)의 강도를 보강하는 핸들 보강부재(525)와, 핸들 보강부재(525)에 결합되어 상부핸들(81)과 하부핸들(83)이 연결되도록 하는 핸들 링(527)과, 핸들(80)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9)를 포함한다.
연결부재 결합부(521)에는 연결부재(530)의 결합돌기(531)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 결합홀(521a)이 마련된다.
회전유닛 결합부(523)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회전유닛(550)의 샤프트(5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529)는 회전유닛 결합부(523)에 결합된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가 핸들(80)과 제 2 도어(5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 2 도어(50)를 관통하여 제 1 도어(40)에 마련된 고정유닛(510)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529)는 잠금부(55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되는 가이드(560)와 연통된다.
연결부재(530)에는 서포트(520)의 연결부재 결합부(52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531)와, 회전유닛(550)이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홀(533)이 마련된다.
결합돌기(531)는 연결부재 결합부(521)에 마련된 연결부재 결합홀(521a)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결합돌기(531)에 마련된 고정홀(531a)에 하기할 핸들레버(540)의 고정돌기(541)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핸들레버(540)를 전방을 향해 눌러 주면 고정돌기(541)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연결부재(53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결합돌기(531) 및 고정돌기(541)의 외주면에는 핸들레버(440)와 연결부재 결합부(521)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S)이 마련되며, 스프링(S)은 핸들레버(540)에 의해 연결부재(53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핸들레버(540)에 의해 압축된다.
핸들레버(540)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S)은 사용자가 핸들레버(540)를 눌러 주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핸들레버(54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켜 연결부재(53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회전유닛 결합홀(533)에는 하기할 회전유닛(550)의 연장부(553)가 결합되며, 연장부(553)는 회전유닛 결합부(5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551)의 하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연결부재(5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유닛(550)이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핸들레버(540)는 핸들(80)의 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핸들(80)을 잡고 전방을 향해 눌러 줄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핸들레버(540)에는 연결부재(530)의 결합돌기(531)에 고정되는 고정돌기(54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핸들레버(540)를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눌러 주면, 연결부재(53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회전유닛(55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유닛(550)은 연결부재(530)와 연결되어 연결부재(5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유닛(510)의 걸림부(511)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된다.
회전유닛(550)은 서포트(520)의 회전유닛 결합부(5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551)와, 샤프트(551)의 하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쟝되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연결부재(530)의 회전유닛 결합홀(533)에 결합되는 연장부(553)와, 샤프트(551)의 상부에서 샤프트(55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부(555)를 포함한다.
샤프트(551)는 회전유닛 결합부(5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부재(530)에 의해 회전된다.
샤프트(551)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53)는 샤프트(551)의 하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마련되어 연결부재(53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샤프트(551)의 중심과 연결부재(530)에 결합되는 연장부(553)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5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유닛(550)은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잠금부(555)는 샤프트(551)의 상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도어(50)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잠금부(555)의 끝단에는 고정유닛(510)의 걸림부(511)에 마련된 걸림홀(511a)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557)가 마련된다.
샤프트(551)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잠금부(555)는 서포트(520)의 가이드부(529)와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된 가이드(56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샤프트(551)가 회전될 때, 샤프트(551)와 함께 회전되어 걸림후크(557)가 걸림부(511)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된다.
회전유닛(550)은 연결부재(53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될 때, 연결부재(530)가 연장부(553)를 전방을 향해 밀어주기 때문에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551)에서 연장된 잠금부(555)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유닛(550)은 연결부재(53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될 때는 연결부재(530)가 연장부(553)를 후방을 향해 당겨주기 때문에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551)에서 연장된 잠금부(555)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560)는 제 2 도어(50) 내부에 매설되며, 서포트(520)의 가이드부(529)와 연통되어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가 제 2 도어(50)를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다음으로, 도 59 내지 도 65를 참고로 하여 래치장치(5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59 내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모두 닫혀 있을 경우에는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에 마련된 걸림후크(557)가 고정유닛(510)의 걸림부(511)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핸들(80)을 파지하여 제 2 도어(50)를 열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는 함께 열리게 된다.
도 62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레버(540)를 전방을 향해 눌러 주면, 핸들레버(54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핸들레버(540)의 고정돌기(541)가 연결부재(530)의 결합돌기(531)를 전방을 향해 밀어 주게 된다.
이때, 핸들레버(540)와 연결부재 결합부(52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S)은 압축되고, 연결부재(530)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연결부재(530)는 회전유닛(550)의 연장부(553)를 전방을 향해 밀어 주게 되고, 연장부(553)가 연결부재(53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회전유닛(550)은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부재(550)가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방에서 볼 때 잠금부(555)는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잠금부(555)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잠금부(555)에 마련된 걸림후크(557)가 고정유닛(510)의 걸림부(511)에서 걸림 해제되기 때문에,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에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제 2 도어(50)를 열면,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만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도어(50)가 개방된 후 사용자가 핸들(80)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레버(54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연결부재(530)는 핸들레버(540)와 함께 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재(53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연결부재(530)가 회전유닛(550)의 연장부(553)를 후방을 향해 당겨주기 때문에, 회전유닛(550)은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유닛(550)이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잠금부(555)는 전방에서 볼 때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을 때는, 사용자가 핸들(80)을 파지하면서 핸들레버(540)를 전방을 향해 눌러 주면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는 전방에서 볼 때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잠금부(555)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회전유닛(550)의 잠금부(555)가 전방에서 볼 때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후크(557)가 고정유닛(510)의 걸림부(511)에 걸려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66 내지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에는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래치장치(600)가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600)는 제 1 도어(40)의 전면에 매설되는 고정유닛(610)과, 제 2 도어(50)의 내부에 매설되는 서포트(620)와, 서포트(62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크(630)와, 서포트(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래크(630)와 치합되어 래크(6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640)와, 피니어기어(640)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640)가 회전될 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잠금부(650)를 포함한다.
고정유닛(610)은 제 1 도어(40)의 전면에 매설되며 전면이 개방된 수용부(611)와, 수용부(611)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613)를 포함한다.
수용부(611)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제 2 도어(50)에 매설되는 서포트(620)에 결합된 잠금부(650)의 후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돌기(613)는 수용부(611) 내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잠금부(65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걸림홈(655)이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한다.
걸림돌기(613)의 전면 상단부분에는 경사면(613a)이 마련되어 개방된 제 2 도어(50)가 닫힐 때 잠금부(650)의 후단부가 걸림돌기(613)의 경사면(613a)을 타고 넘어가 잠금부(650)의 걸림홀(655)이 고정유닛(610)의 걸림돌기(611)에 걸림 되며 제 2 도어(50)가 닫히도록 한다.
수용부(611)의 후벽에는 잠금부(65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613)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잠금부(650)를 전방을 향해 밀어주어 제 2 도어(50)가 개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615)가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620)는 제 2 도어(50)의 내부에 매설되며, 피니언기어(6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621)과, 래크(6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크 결합부(623)와, 잠금부(6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625)을 포함한다.
래크 결합부(623)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서포트(620)에 지지되고 타측은 래크(630)에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S)이 마련되어 래크(63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래크(63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625)은 잠금부(650)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홈(651)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잠금부(6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한다.
래크(630)는 서포트(620)의 래크 결합부(623)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홀(631)과, 피니언기어(640)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633)와, 래크(630)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제 2 도어(5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635)를 포함한다.
제1랙기어(633)는 피니언기어(640)와 치합되도록 마련되어 래크(6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피니언기어(640)가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누름부(635)는 제 2 도어(5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름부(635)를 눌러 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가 누름부(635)를 눌러 주면 래크(63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스프링(S)을 압축하게 되며, 제1랙기어(633)와 치합된 피니언기어(640)는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부(635)를 눌러 주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래크(630)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피니언기어(640)는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기어(640)는 서포트(620)에 마련된 회전축(6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641)을 포함하며, 래크(630)의 제1랙기어(633)와 잠금부(650)의 제2랙기어(653)에 치합되도록 배치된다.
피니언기어(640)는 래크(63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부(65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래크(63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부(65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잠금부(650)는 서포트(6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625)에 가이드되어 잠금부(6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651)과, 피니언기어(640)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653)와, 후단부에 마련되어 고정유닛(610)의 걸림돌기(613)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홀(655)을 포함한다.
가이드홈(651)은 서포트(6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6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홈 형상으로 마련되어 잠금부(6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제2랙기어(653)는 피니언기어(640)와 치합되도록 마련되며, 래크(6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피니언기어(640)가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잠금부(650)가 가이드레일(62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걸림홀(655)은 잠금부(65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잠금부(6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고정유닛(610)의 걸림돌기(613)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8 내지 도 71을 참고로 하여 래치장치(6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모두 닫혀 있는 경우에는 잠금부(650)의 걸림홀(655)이 고정유닛(610)의 걸림돌기(613)에 걸림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핸들(H)을 파지하여 제 2 도어(50)를 개방하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함께 개방된다.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도어(50) 전면으로 돌출된 누름부(635)를 눌러 주면, 래크(630)는 스프링(S)을 압축시키며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래크(63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제1랙기어(633)와 치합된 피니언기어(640)는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피니언기어(640)가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기어(640)와 치합된 잠금부(65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홀(655)이 걸림돌기(613)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걸림돌기(613)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잠금부(65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유닛(610)에 마련된 탄성부재(615)를 압축하게 된다.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15)가 압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635)에서 손을 떼면 압축된 탄성부재(615)의 압축력에 의해 잠금부(650)는 제 2 도어(50)와 함께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 2 도어(50)만 개방된다.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제 2 도어(50)를 닫아 주면, 잠금부(650)의 후단부는 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고정유닛(610)의 걸림돌기(613)에는 경사면(613a)이 마련되기 때문에 잠금부(650)의 후단부가 걸림돌기(613)의 경사면(613a)을 타고 넘어 가면서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655)이 걸림돌기(613)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는 닫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개방된 제 2 도어(50)를 닫을 때, 사용자가 누름부(635)를 눌러 준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게 되면, 잠금부(65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 2 도어(50)를 닫은 후, 사용자가 누름부(635)에서 손을 떼면 래크(630)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잠금부(65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홀(655)이 걸림돌기(613)에 걸리게 된다.
도 72 내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에는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로부터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700)가 결합된 핸들(9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40)의 후면에는 내부에 자력을 갖는 제 1 마그넷(M1)이 내장되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1 가스켓(G1)이 마련되며, 제 2 도어(50)의 후면에는 내부에 자력을 갖는 제 2 마그넷(M2)이 내장되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가스켓(G2)이 마련된다.
본체(10)의 전면과 제 1 도어(40)의 전면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어 제 1 가스켓(G1)에 의해 제 1 도어(40)가 본체(10)에 밀착되고, 제 2 가스켓(G2)에 의해 제 2 도어(50)가 제 1 도어(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가스켓(G2)에 내장된 제 2 마그넷(M2)은 제 1 가스켓(G1)에 내장된 제 1 마그넷(M1)보다 큰 자력을 갖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핸들(90)을 파지하여 제 2 도어(50)를 개방하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함께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래치장치(700)는 핸들(90)의 후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서포트(710)와, 핸들(90)의 후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핸들레버(720)와, 핸들레버(720)와 치합되어 핸들레버(7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730)와, 피니언기어(730)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730)가 회전될 때 핸들레버(72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740)를 포함한다.
핸들레버(720)는 서포트(710)의 후면에 장착되어 핸들(90)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핸들레버(72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니언기어(730)와 치합되는 제 1 랙기어(721)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핸들(90)을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레버(720)를 눌러 주면, 핸들레버(72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핸들레버(720)와 치합된 피니언기어(7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피니언기어(730)는 핸들레버(720)와 슬라이더(740) 사이에 배치되어 핸들레버(720)의 제 1 랙기어(721)와 슬라이더(740)의 제 2 랙기어(741)에 치합되도록 마련된다.
피니언기어(730)는 핸들레버(720)와 슬라이더(74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도록 하여 핸들레버(7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기어(7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더(74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핸들레버(7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기어(7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더(74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반대로, 슬라이더(74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기어(7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핸들레버(72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슬라이더(74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기어(7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핸들레버(72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슬라이더(74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니언기어(730)와 치합되는 제 2 랙기어(741)를 포함한다.
슬라이더(740)는 제 2 도어(50)가 닫혀 있을 경우에 제 2 도어(50)에 매설된 가이드(750)에 의해 가이드되어 후단부가 제 2 도어(50)를 관통하여 제 1 도어(40)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핸들레버(720)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73 내지 도 76을 참고로 하여 래치장치(7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어(50)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740)의 후단부가 제 1 도어(4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경우에는 제 2 가스켓(G2)에 내장된 제 2 마그넷(M2)이 제 1 가스켓(G2)에 내장된 제 1 마그넷(M1)보다 큰 자력을 갖기 때문에,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도어(50)를 개방하면 제 1 도어(40)와 제 2 도어(50)가 함께 개방된다.
도 75 내지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레버(720)를 전방을 향해 눌러 주면, 핸들레버(720)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피니언기어(7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피니언기어(730)에 의해 슬라이더(740)는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슬라이더(740)의 후단부가 제 1 도어(4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4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제 2 도어(50)는 제 1 도어(40)로부터 밀착이 해제되며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 2 도어(50)를 닫게 되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슬라이더(740) 후단부가 제 1 도어(40)의 전면에 접촉되어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리면서 제 2 도어(50)가 닫히게 된다.
따라서, 제 2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슬라이더(74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핸들레버(720)는 후방을 향해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격벽
13 : 가이드레일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3 : 냉동실 25 : 선반
27 : 저장용기
30 : 냉장실 도어 31 : 냉장실 도어 핸들
33 : 도어가드
40 : 제 1 도어 41 : 개구부
42 : 램프 설치홀 43 : 제 1 체결홀
44 : 제 1 힌지홀 45 : 제 3 힌지홀
46 : 돌출부 47 : 홀
48 : 캐비닛 48a : 고정리브
49 : 내부 사출물 49a : 결합리브
50 : 제 2 도어 51 : 제 2 힌지홀
53 : 제 4 힌지홀 55 : 쿨링 플레이트
57 : 결합부재
60 : 냉동실 도어 61 : 냉동실 도어 핸들
70, 80, H, 90 : 핸들 71 : 서포트 수용부
73 : 제 1 결합홀
81 : 상부핸들 83 : 하부핸들
85 : 개구
100 : 힌지유닛 101 : 힌지커버
103 : 전장 부품
110 : 제 1 상부힌지 111 : 제 1 결합부
113 : 제 1 힌지축 115 : 캠 부재 결합부
120 : 제 2 상부힌지 121 : 제 2 결합부
123 : 제 2 힌지축
130 : 제 1 하부힌지 131 : 제 3 결합부
133 : 제 3 힌지축 135 : 탄성레버 접촉부
137 : 제 1 접촉부
140 : 제 2 하부힌지 141 : 제 4 결합부
143 : 제 4 힌지축 145 : 제 2 접촉부
147 : 제 1 삽입홀 149 : 제 2 관통홀
150 : 탄성레버 151 : 제 1 탄성레버
153 : 롤러 155 : 제 2 체결홀
157 : 제 2 탄성레버 159 : 제 3 삽입홀
160 : 캠 부재 161 : 캠면
163 : 만곡점 165 : 제 1 접촉면
167 : 제 2 접촉면
170 : 멈춤부재
180 : 제 1 멈춤부재 181 : 제 2 삽입홀
183 : 제 1 고정부 185 : 제 1 스토퍼
187 : 제 1 관통홀
190 : 제 2 멈춤부재 191 : 제 2 고정부
193 : 제 2 스토퍼
200, 500, 600, 700 : 래치장치
210 : 고정유닛 211 : 걸림부
211a : 고정홀 211b : 걸림후크
213 : 유동방지부 213a : 전면부
213b : 고정돌기 213c : 수용부
215 : 커버
220 : 서포트 221 : 하우징
221a : 제 2 결합홀 221b : 회전홀
221c : 제 1 지지부 221d : 제 3 결합홀
223 : 후면 커버 223a : 개구
223b : 가이드부 223c : 제 4 결합홀
230 : 핸들레버 231 : 제 1 핸들레버
233 : 제 2 핸들레버 235 : 회전축
237 : 제 2 지지부 239 : 걸림돌기
240 : 가이드
310 : 램프 고정부재 311 : 안착부
313 : 고정후크 315 : 와이어 가이드부
320 : 램프
330 : 개폐 감지센서
340 : 센서 감지유닛
350 : 보강프레임 351 : 상부 보강프레임
353 : 하부 보강프레임 355 : 제 1 측면 보강프레임
357 : 제 2 측면 보강프레임 359 : 보조 보강프레임
360 : 고정부재
400 : 저장유닛
410 : 패널 420 : 저장박스
430, 460, 480 : 슬라이드 레일 440, 470, 490 : 행거
441, 471, 491 : 패널 결합부 443, 473, 493 : 레일 결합부
445, 475, 495 : 제 1 체결부재 삽입홀
431, 461, 481 : 제 2 체결부재 삽입홀
447, 463, 483 : 제 1 틸팅 조절홀 449, 465, 497 : 제 2 틸팅 조절홀
433, 477, 499 : 제 1 고정홈 435, 479, 485 : 제 2 고정홈
450 : 틸팅 조절유닛
510 : 고정유닛 511 : 걸림부
511a : 걸림홀 513 : 수용부
520 : 서포트 521 : 연결부재 결합부
521a : 연결부재 결합홀 523 : 회전유닛 결합부
525 : 핸들 보강부재 527 : 핸들 링
529 : 가이드부
530 : 연결부재 531 : 결합돌기
531a : 고정홀 533 : 회전유닛 결합홀
540 : 핸들레버 541 : 고정돌기
550 : 회전유닛 551 : 샤프트
553 : 연장부 555 : 잠금부
557 : 걸림후크
560 : 가이드
610 : 고정유닛 611 : 수용부
613 : 걸림돌기 613a : 경사면
615 : 탄성부재
620 : 서포트 621 : 회전축
623 : 래크 결합부 625 : 가이드레일
630 : 래크 631 : 결합홀
633 : 제1랙기어 635 : 누름부
640 : 피니언기어 641 : 회전홀
650 : 잠금부 651 : 가이드 홈
653 : 제2랙기어 655 : 걸림홀
710 : 서포트
720 : 핸들레버 721 : 제1랙기어
730 : 피니언기어
740 : 슬라이더 741 : 제2랙기어
750 : 가이드
U : 단열재 V : 진공단열재
S : 스프링 B : 체결부재
W : 와이어
G1 : 제 1 가스켓 M1 : 제 1 마그넷
G2 : 제 2 가스켓 M2 : 제 2 마그넷

Claims (31)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핸들의 후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서포트;
    회전축에 의해 상기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핸들레버와, 상기 제 1 핸들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제 1 핸들레버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 2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핸들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시켜주는 유동방지부와, 상기 유동방지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가 상기 유동방지부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유동방지부에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이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용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유동방지부에 고정되면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후면에는 상기 서포트가 수용되는 서포트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 1 결합홀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결합홀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트 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과, 제 1 핸들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후면 커버가 결합되는 제 3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구와,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제 3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 4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핸들레버에는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전면으로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에는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후면 커버의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 주면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후크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핸들레버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핸들레버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래치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핸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
    상기 핸들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레버;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회전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핸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유닛이 결합되는 서포트와, 상기 제 2 도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연결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와,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회전유닛이 결합되는 회전유닛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마련된 고정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주는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 및 고정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유닛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회전유닛 결합홀에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서 상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 주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연결부재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어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의 하부를 눌러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레버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상기 제 2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부가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래크;
    상기 서포트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와 치합되어 상기 래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될 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서포트에 마련된 래크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서포트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고정유닛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에는 상기 걸림홀이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잠금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를 전방을 향해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래크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서포트와 상기 래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를 눌러 주면 상기 래크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 해제된 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저장실을 갖고, 전면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구부를 갖고, 전면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마련되며, 내부에 자력을 갖는 제 1 마그넷이 내장되어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1 가스켓;
    상기 제 2 도어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마그넷보다 큰 자력을 갖는 제 2 마그넷이 내장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가스켓;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의 미 작동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파지하여 상기 제 2 도어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함께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로 접근이 가능하고, 상기 래치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파지하여 상기 제 2 도어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2 도어만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로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핸들의 후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핸들레버와 치합되어 상기 핸들레버가 이동되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후단부가 상기 제 2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될 때 상기 핸들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도어로부터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96638A 2014-03-11 2014-07-29 냉장고 KR10233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3,612 US9605891B2 (en) 2014-03-11 2015-03-10 Refrigerator
EP20203876.6A EP3789700A1 (en) 2014-03-11 2015-03-11 Refrigerator
AU2015230612A AU2015230612B2 (en) 2014-03-11 2015-03-11 Refrigerator
CA2941235A CA2941235C (en) 2014-03-11 2015-03-11 Refrigerator
PCT/KR2015/002357 WO2015137725A1 (en) 2014-03-11 2015-03-11 Refrigerator
CN201580026958.0A CN106415170B (zh) 2014-03-11 2015-03-11 冰箱
EP15761163.3A EP3105519B1 (en) 2014-03-11 2015-03-11 Refrigerator
CN201811582231.2A CN109668371B (zh) 2014-03-11 2015-03-11 冰箱
US15/348,378 US10203148B2 (en) 2014-03-11 2016-11-10 Refrigerator
US15/852,524 US10066866B2 (en) 2014-03-11 2017-12-22 Refrigerator
US16/047,517 US10782063B2 (en) 2014-03-11 2018-07-27 Refrigerator
US16/993,744 US11543170B2 (en) 2014-03-11 2020-08-14 Refrigerator
KR1020210163939A KR102373808B1 (ko) 2014-03-11 2021-11-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17 2014-03-11
KR20140028617 2014-03-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939A Division KR102373808B1 (ko) 2014-03-11 2021-11-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11A true KR20150106311A (ko) 2015-09-21
KR102332723B1 KR102332723B1 (ko) 2021-12-02

Family

ID=542452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38A KR102332723B1 (ko) 2014-03-11 2014-07-29 냉장고
KR1020210163939A KR102373808B1 (ko) 2014-03-11 2021-11-2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939A KR102373808B1 (ko) 2014-03-11 2021-11-25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789700A1 (ko)
KR (2) KR102332723B1 (ko)
CN (2) CN106415170B (ko)
AU (1) AU2015230612B2 (ko)
CA (1) CA2941235C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863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82089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82090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150851A1 (en) * 2016-02-29 2017-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WO2017191948A1 (ko) * 2016-05-02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99638A (ko) * 2021-01-07 2022-07-14 이우찬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WO2023101205A1 (ko) * 2021-12-01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836B (zh) * 2017-02-23 2022-10-28 青岛海尔模具有限公司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KR102466448B1 (ko) * 2017-12-1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L3628802T3 (pl) * 2018-09-25 2021-11-29 Industrilås I Nässjö Aktiebolag Układ klamki wychylnej z pierwszym i drugim mechanizmem blokującym
CN112031553B (zh) * 2019-06-04 2023-06-1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以及用于冰箱的门锁
EP3945193A1 (en) * 2020-07-27 2022-02-02 Danco S.p.A. Single-pin hinge for doors and/or panels of furniture or furnishing i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316A (ko) * 2010-12-07 201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US20130033163A1 (en) * 2011-08-05 2013-02-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4495U (ko) * 1980-05-10 1981-12-05
JPS5785184U (ko) * 1980-11-14 1982-05-26
JPS57157983A (en) * 1981-03-26 1982-09-29 Nobuhiro Takao Refrigerator with partition plate
JP3399152B2 (ja) * 1995-05-08 2003-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冷蔵庫
JPH09151677A (ja) * 1995-11-30 1997-06-10 Mizuta Bounetsutobira Seisakusho:Kk 防熱扉
JP3411952B2 (ja) * 1996-09-27 2003-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扉の収納容器
KR100247727B1 (ko)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JP2003302150A (ja) * 2002-04-05 2003-10-24 Toshiba Corp 冷蔵庫
JP2008057907A (ja) * 2006-09-01 2008-03-13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080100553A (ko) * 2007-05-14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101650307B1 (ko) * 2010-05-07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핸들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1564911B1 (ko) * 2012-03-16 2015-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316A (ko) * 2010-12-07 201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US20130033163A1 (en) * 2011-08-05 2013-02-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863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231222B2 (en) 2016-01-05 2022-01-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70082089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82090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150851A1 (en) * 2016-02-29 2017-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US10684061B2 (en) 2016-05-02 2020-06-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941973B2 (en) * 2016-05-02 2021-03-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7191948A1 (ko) * 2016-05-02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39606A (ko) * 2018-06-08 2019-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91505B2 (en) 2018-06-08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20099638A (ko) * 2021-01-07 2022-07-14 이우찬 흑마늘 숙성장치와 이를 이용한 흑마늘 치킨 조리방법
WO2023101205A1 (ko) * 2021-12-01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5519A1 (en) 2016-12-21
EP3105519B1 (en) 2021-06-16
AU2015230612A1 (en) 2016-09-22
CN106415170B (zh) 2019-10-18
EP3789700A1 (en) 2021-03-10
CN109668371B (zh) 2021-01-15
AU2015230612B2 (en) 2017-06-29
KR20210149655A (ko) 2021-12-09
CN109668371A (zh) 2019-04-23
CA2941235A1 (en) 2015-09-17
EP3105519A4 (en) 2017-09-13
KR102373808B1 (ko) 2022-03-14
CA2941235C (en) 2019-01-15
CN106415170A (zh) 2017-02-15
KR102332723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808B1 (ko) 냉장고
US11543170B2 (en) Refrigerator
KR102228916B1 (ko) 냉장고
KR20150106279A (ko) 냉장고
KR102222577B1 (ko) 냉장고
KR20150066149A (ko) 냉장고
KR20150074285A (ko) 냉장고
KR102228915B1 (ko) 냉장고
KR102499268B1 (ko) 냉장고
KR101952680B1 (ko)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101952681B1 (ko) 냉장고
KR10198830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