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031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031A
KR20220098031A KR1020227020881A KR20227020881A KR20220098031A KR 20220098031 A KR20220098031 A KR 20220098031A KR 1020227020881 A KR1020227020881 A KR 1020227020881A KR 20227020881 A KR20227020881 A KR 20227020881A KR 20220098031 A KR20220098031 A KR 2022009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lot
cylinder
case
m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가도쿠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5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using servo control, the servo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flow of damping fluid, e.g. controlling pressure in a chamber downstream of a pilot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배압실로의 도입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핀부를, 메인 바디, 메인 밸브 및 파일럿 케이스의 내주에 마련하며, 그리고 상기 핀부에 마련되는 너트를 핀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바디, 메인 밸브 및 파일럿 케이스를 체결하기 때문에, 핀부에 공구 계합부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공정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부착 부재(2)의 부착축(2c)(핀 부재)을 밸브 하우징(4)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부착 부재(2)와 밸브 하우징(4) 사이의 상류측 밸브 부품을 체결하는 감쇠 밸브를 구비한 완충기(이하 「종래의 완충기」라고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57864호 공보
종래의 완충기에서는, 부착 부재(2)에, 부착축(2c)(핀 부재)을 밸브 하우징(4)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에 이용하는 공구 계합부를 가공할 필요가 있어, 부착 부재(2)의 가공에 공정수를 요하였다.
본 발명은, 공정수의 증가가 억제되는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완충기는, 작동액이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마련되는 외통과,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형성되어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되는 리저버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외통의 외부에 마련되는 밸브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는 감쇠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는,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가 접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메인 밸브의 배부에 형성되어 내압이 상기 메인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배압실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와, 상기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의 내주에 마련되어 상기 배압실로의 도입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에는, 상기 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완충기의 공정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감쇠력 조정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설명도로서, 상류측 밸브 부품과 하류측 밸브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감쇠력 조정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설명도로서, 상류측 밸브 부품과 하류측 밸브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그대로 「상하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실린더(2)측)을 「일측」 그리고 우측(실린더(2)측과는 반대측)을 「타측」이라고 칭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는, 감쇠력 조정 기구(31)가 외통(3)의 측벽에 가로로 부착된, 소위, 제어 밸브 가로 부착형의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이하 「완충기(1)」라고 칭함)에 관한 것이다. 완충기(1)는, 외통(3)의 내측에 실린더(2)가 마련되는 복통(複筒)의 구조를 이루며, 외통(3)과 실린더(2) 사이에는, 리저버(4)가 형성된다. 실린더(2) 내에는, 실린더(2) 내를 실린더 상실(2A)과 실린더 하실(2B)의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다. 피스톤(5)에는, 피스톤 로드(6)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6)의 상단측은, 실린더 상실(2A)을 통과하고, 실린더(2) 및 외통(3)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로드 가이드(8)와 오일 시일(9)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외부로 돌출한다.
피스톤(5)에는, 실린더 상실(2A)과 실린더 하실(2B)을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11) 및 축소측 통로(12)가 마련된다. 축소측 통로(12)에는, 실린더 하실(2B)로부터 실린더 상실(2A)로의 작동액의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3)가 마련된다. 한편, 신장측 통로(11)에는, 실린더 상실(2A)측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달하였을 때에 밸브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 상실(2A)측의 압력을 실린더 하실(2B)측으로 릴리프하는(방출하는) 디스크 밸브(14)가 마련된다.
실린더(2)의 하단부에는, 실린더 하실(2B)과 리저버(4)를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10)가 마련된다. 베이스 밸브(10)에는, 실린더 하실(2B)과 리저버(4)를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15) 및 축소측 통로(16)가 마련된다. 신장측 통로(15)에는, 리저버(4)측으로부터 실린더 하실(2B)측으로의 작동액의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7)가 마련된다. 한편, 축소측 통로(16)에는, 실린더 하실(2B)측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달하였을 때에 밸브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 하실(2B)측의 압력을 리저버(4)측으로 릴리프하는(방출하는) 체크 밸브(18)가 마련된다. 또한, 실린더(2) 내에는 작동액이 봉입되고, 리저버(4) 내에는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된다.
실린더(2)의 외주에는, 상하 한 쌍의 시일 부재(19, 19)를 통해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가 부착된다. 실린더(2)와 세퍼레이터 튜브(20) 사이에는, 환형 유로(21)가 형성된다. 환형 유로(21)는, 실린더(2)의 상단측 측벽에 마련되는 통로(22)에 의해 실린더 상실(2A)에 연통된다. 세퍼레이터 튜브(20)의 하단측의 측벽에는, 측방으로 돌출하여 선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접속구(23)가 마련된다. 외통(3)의 측벽에는, 접속구(23)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 구멍(24)이 마련된다. 부착 구멍(24)은, 접속구(2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또한 접속구(23)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갖는다. 외통(3)의 측벽에는, 부착 구멍(24)을 둘러싸도록 하여 대략 원통형의 밸브 케이스(25)가 마련된다. 밸브 케이스(25)에는, 감쇠력 조정 기구(31)가 수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31)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배압형의 메인 밸브(51)와, 상기 메인 밸브(51)가 접촉하는 환형의 메인 바디(52)(시트 부재)와, 메인 밸브(51)의 배부에 형성되어 내압이 메인 밸브(51)에 대하여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배압실(72)과, 배압실(72)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73)와, 배압실(72)의 내압을 조정하여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71)와, 파일럿 밸브(71)가 접촉하는 파일럿 보디(74)와, 파일럿 밸브(71)의 하류측에 마련되는 페일 세이프 밸브(141)와, 파일럿 밸브(7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21)를 구비한다.
메인 바디(52)의 타측 단부면(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메인 밸브(51)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이격 착좌 가능하게 접촉하는 환형의 시트부(53)가 형성된다. 시트부(53)의 내주측, 바꾸어 말하면, 메인 밸브(51)의 상류측에는, 환형 오목부(55)가 형성된다. 한편, 메인 바디(52)의 일측 단부면(도 2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면」)에는,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가 감합(삽입)되는 오목부(56)가 형성된다. 오목부(56)는, 메인 바디(52)와 동축의 내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면(57)을 갖는다.
또한, 메인 바디(52)(오목부(56))의 내주면(57)에는 환형홈(62)이 형성되고, 환형홈(62)에 장착되는 시일 링(58)에 의해, 메인 바디(52)의 내주면(57)과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메인 바디(52)의, 일측의 오목부(56)와 타측의 환형 오목부(55)는, 메인 바디(52)의 축 방향(접속관(23)의 축 방향, 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통로(59)에 의해 연통된다.
디스크형의 메인 밸브(51)의 내주부는, 메인 바디(52)의 내주부(54)와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3)의 바닥부(75)의 내주부(76) 사이에서 협지된다. 메인 밸브(51)의 외주부의 배면측에는, 환형의 패킹(60)(탄성 시일 부재)이 접합된다. 파일럿 케이스(73)(바닥부(75))의 일측 단부면(도 2에 있어서의 「좌측 단면」)에는, 배압실(72)을 형성하는 환형 오목부(77)가 형성된다. 환형 오목부(77)의 외주측 벽면은, 파일럿 케이스(73)의 축선(중심선)과 동축의 내원통면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밸브(51)의 패킹(60)의 슬라이딩면(78)을 이룬다.
파일럿 케이스(73)의 일측 단부면의, 환형 오목부(77)의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환형의 시트부(79)가 형성된다. 시트부(79)에는, 디스크형의 배압 도입 밸브(81)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이격 착좌 가능하게 접촉한다. 파일럿 케이스(73)의 일측 단부면의, 내주부(76)와 시트부(79) 사이, 바꾸어 말하면, 배압 도입 밸브(81)의 타측에는, 환형 오목부(80)가 형성된다.
배압 도입 밸브(81)의 내주부는, 메인 바디(52)의 내주부(54)와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부(76) 사이에서 협지된다. 메인 바디(52)의 내주부(54)와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부(76) 사이에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서대로, 메인 밸브(51)의 내주부,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및 배압 도입 밸브(81)가 개재된다. 메인 밸브(51),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및 배압 도입 밸브(81)의 축 구멍에는, 파일럿 케이스(73)와 일체로 형성되는 핀부(85)(핀 부재)가 삽입 관통된다.
핀부(85)는, 파일럿 케이스(73)와 동축으로 마련되고, 파일럿 케이스(73)의 바닥부(75)로부터 실린더(2)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돌출한다. 핀부(85)는, 메인 바디(52)의 축 구멍(61)에 삽입 관통되어, 일측 단부(선단부)가, 메인 바디(52)의 오목부(56)의 내측, 바꾸어 말하면, 접속구(23)의 내측에 위치한다. 핀부(85)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부(86)가 형성되고, 나사부(86)에는 너트(87)(체결 부재)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너트(87)는, 접속구(23)의 내측, 바꾸어 말하면, 메인 바디(52)의 오목부(56)의 내측에 위치한다(수용된다). 또한, 핀부(85)는, 파일럿 케이스(73)와 별개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케이스(73)에 형성한 축 구멍(도 4의 「부호 105」 참조)에 핀부(85)(핀 부재)를 압입함으로써, 파일럿 케이스(73)와 핀부(85)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사부(86)에 나사 결합된 너트(87)를 조임(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와셔(88)와 파일럿 케이스(73) 사이의 부품(이하 「상류측 밸브 부품(42)」이라고 칭함, 도 3 참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바디(52), 메인 밸브(51),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및 배압 도입 밸브(81)에 축력이 작용된다. 또한, 너트(87)를 조일 때, 파일럿 케이스(7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면폭(89)(도 2에 한쪽의 면만 표시)에 공구를 계합한다. 또한, 파일럿 케이스(73)의 이면폭(89)과 요크(122) 사이에는, 후술하는 통로(33)가 형성된다.
파일럿 케이스(73)의 바닥부(75)의, 타측 단면(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단면」)의 중앙에는, 오목부(91)가 형성된다. 오목부(91)는, 파일럿 케이스(73)를 축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로(92)에 의해 파일럿 케이스(73)의 일측 단부면의 환형 오목부(80)에 연통된다. 오목부(91)는, 핀부(85)의 축 구멍(93)(도입 통로)에 의해 환형 유로(21)에 연통된다. 축 구멍(93)의 일측 단부, 바꾸어 말하면, 핀부(85)의 선단부에는, 배압실(72)로의 도입 오리피스(94)가 형성된다. 환형 유로(21)의 작동액은, 도입 오리피스(94), 축 구멍(93), 오목부(91), 통로(92), 환형 오목부(80) 및 배압 도입 밸브(81)를 통해, 배압실(72)에 도입된다. 또한, 배압 도입 밸브(8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배압실(72)과 환형 유로(21)를 상시 연통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99)가 형성된다.
파일럿 바디(74)는, 타측이 개구된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파일럿 바디(74)는, 일측의 소외직경부(95)가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면(96)에 감합된다. 파일럿 바디(74)는, 일측 단부면이 파일럿 케이스(73)의 바닥부(75)에 접촉함으로써, 파일럿 케이스(73)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파일럿 바디(74)의 소외직경부(95)의 외주면에는 환형홈(97)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홈(97)에 장착되는 시일 링(98)에 의해,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면(96)과 파일럿 바디(74)의 소외직경부(95) 사이가 시일된다.
파일럿 바디(74)의 내측에는, 파일럿 밸브(71) 및 페일 세이프 밸브(141)의 밸브실(100)이 형성된다. 파일럿 바디(74)의 바닥부 중앙에는, 축 구멍(101)이 형성된다. 축 구멍(101)은, 도입 오리피스(94)를 통해 환형 유로(21)로부터 도입되는 작동액을 밸브실(100)로 도입한다. 축 구멍(101)의 타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환형의 시트부(102)가 형성된다. 시트부(102)에는, 파일럿 밸브(71)의 밸브체(103)가 이격 착좌 가능하게 접촉한다.
밸브체(103)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밸브체(103)의 타측에는, 외플랜지형의 스프링 받침부(104)가 형성된다. 밸브체(103)는, 파일럿 스프링(142),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및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에 의해, 시트부(102)에 대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된다. 또한, 파일럿 스프링(142)과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은, 단일의 비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럿 바디(74)의 내주면에는, 내직경이 타측(개구측)으로부터 일측으로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제1 내직경부(108), 제2 내직경부(109) 및 제3 내직경부(110)가 형성된다. 제2 내직경부(109)와 제3 내직경부(110) 사이의 단차부(부호 생략)는, 파일럿 스프링(142)의 외주부를 지지한다. 한편, 제1 내직경부(108)와 제2 내직경부(109) 사이의 단차부(부호 생략)는, 제1 내직경부(108) 내에 적층되는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스페이서(111),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리테이너(112), 스페이서(113) 및 와셔(114)를 지지한다.
파일럿 바디(74)의 제1 내직경부(108)의 축 방향 길이는, 제1 내직경부(108) 내의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스페이서(111),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리테이너(112), 스페이서(113) 및 와셔(114)의 적층 높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제1 내직경부(108) 내의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스페이서(111),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리테이너(112), 스페이서(113) 및 와셔(114)는, 파일럿 바디(74)의 타측의 대외직경부(115)에 장착되는 캡(116)에 의해, 파일럿 바디(74)에 고정된다.
캡(116)에는, 밸브실(100)을 캡(116)의 외주의 유로(37)에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절결(118)이 형성된다. 밸브실(100)은, 와셔(114)의 축 구멍(119), 캡(116)의 절결(118), 유로(37), 파일럿 케이스(73)의 이면폭(89)과 요크(122)의 원통부(123) 사이의 통로(33), 및 밸브 케이스(25)의 내주로서 메인 바디(52)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형 유로(35)를 통해, 리저버(4)에 연통된다.
한편, 이면폭(89)이 형성된 파일럿 케이스(73)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17)가 형성된다. 나사부(117)(수나사)는, 요크(122)의 일측의 원통부(1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4)(암나사)에 나사 결합된다. 이 상태로,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를, 나사부(117)와 나사부(124)의 체결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 사이의 부품(이하 「하류측 밸브 부품(43)」이라고 칭함, 도 3 참조), 즉, 파일럿 바디(74), 파일럿 스프링(142),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스페이서(111),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리테이너(112), 스페이서(113), 와셔(114) 및 캡(116)에 축력이 작용된다. 또한,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를 체결시킬 때, 파일럿 케이스(73)의 이면폭(89)(도 2에 한쪽의 면만 표시)과 요크(1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면폭(138)에 공구를 계합한다.
요크(122)의 타측에는, 코일(126), 코어(127), 코어(128), 플런저(129) 및 중공의 작동 로드(130)가 조립된다. 작동 로드(130)는, 플런저(129)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별체여도 좋다. 작동 로드(130)의 일측 단부에는, 파일럿 밸브(71)의 밸브체(103)가 고정된다. 요크(122)의 타측 단부에는, 스페이서(131) 및 커버(132)가 삽입되고, 요크(122)의 타측 둘레 가장자리부를 소성 가공함(코킹함)으로써, 요크(122) 내의 솔레노이드 내기(內機) 부품에 축력이 작용된다.
요크(122)는, 일측의 원통부(123)가 밸브 케이스(25)의 타측으로 개구되는 대내직경부(26)에 감합됨으로써, 밸브 케이스(25)에 결합된다. 요크(122)는, 원통부(123)의 일측 단부면이 밸브 케이스(25) 내측의 단차부(27)에 접촉됨으로써, 밸브 케이스(25)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요크(122)의 원통부(123)의 외주면에는 환형홈(133)이 형성되고, 환형홈(133)에 장착되는 시일 링(134)에 의해, 밸브 케이스(25)와 요크(122)의 원통부(123) 사이가 시일된다. 밸브 케이스(25)에 요크(12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밸브 케이스(2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35)를 조여, 요크(122)의 환형홈(136)에 장착되는 스냅링(137)을 압축한다. 또한, 밸브 케이스(25)의 외주면에는 환형홈(28)이 형성되고, 환형홈(28)에 장착되는 시일 링(29)에 의해, 밸브 케이스(25)와 너트(135) 사이가 시일된다.
그리고, 코일(126)에의 비통전 시에는, 밸브체(103)는,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의 스프링력에 의해, 시트부(102)에 대한 이격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103)의 스프링 받침부(104)는,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에 접촉(착좌)하여, 페일 세이프 밸브(141)가 밸브 폐쇄된다. 이때, 파일럿 스프링(142)은, 제2 내직경부(109)와 제3 내직경부(110) 사이의 단차부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코일(126)에의 통전 시에는, 작동 로드(130)가 밸브체(103)의 착좌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파일럿 스프링(142)이 제2 내직경부(109)와 제3 내직경부(110) 사이의 단부에 접촉한다. 밸브체(103)는, 파일럿 스프링(142)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시트부(102)에 착좌된다. 여기서, 밸브체(103)의 밸브 개방 압력은, 코일(126)에 통전하는 전류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또한, 코일(126)에 통전하는 전류값이 작은 소프트 모드 시에는, 파일럿 스프링(142)의 스프링력과 플런저(129)의 추력이 균형을 이루며, 밸브체(103)는, 시트부(102)로부터 이격된 상태(도 2 참조)가 된다.
다음에, 완충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완충기(1)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도시 생략)의 스프링 위(차체), 스프링 아래(차륜) 사이에 마련된다. 통상의 작동 상태에서는, 차재(車載) 컨트롤러는, 감쇠력 조정 기구(31)의 솔레노이드(121)의 코일(126)에의 통전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파일럿 밸브(7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절한다.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 시에는, 실린더 상실(2A)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밸브 폐쇄되고, 디스크 밸브(14)의 밸브 개방 전에는, 실린더 상실(2A)측의 작동액이 가압된다. 가압된 작동액은, 통로(22) 및 환형 유로(21)를 통하여,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의 접속구(23)로부터 감쇠력 조정 기구(31)로 도입된다. 이때, 피스톤(5)이 이동한 만큼의 작동액은, 리저버(4)로부터 베이스 밸브(10)의 체크 밸브(17)를 밸브 개방시켜 실린더 하실(2B)로 유입된다. 또한, 실린더 상실(2A)의 압력이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14)의 밸브 개방 압력에 달하여 디스크 밸브(14)가 밸브 개방되면, 실린더 상실(2A)의 압력이 실린더 하실(2B)로 릴리프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 상실(2A)의 과도한 압력 상승이 회피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6)의 축소 행정 시에는, 실린더 하실(2B)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밸브 개방되고, 베이스 밸브(10)의 통로(15)의 체크 밸브(17)가 밸브 폐쇄된다.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전에는, 실린더 하실(2B)의 작동액이 실린더 상실(2A)에 유입되어, 피스톤 로드(6)가 실린더(2) 내에 침입한 체적 만큼의 작동액이, 실린더 상실(2A)로부터, 통로(22), 환형 유로(21),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의 접속구(23)를 통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31)로 도입된다. 또한, 실린더 하실(2B) 내의 압력이 베이스 밸브(10)의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압력에 달하여 디스크 밸브(18)가 밸브 개방되면, 실린더 하실(2B)의 압력이 리저버(4)로 릴리프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 하실(2B)의 과도한 압력 상승이 회피된다.
감쇠력 조정 기구(31)로 도입된 작동액은, 핀부(85)(핀 부재)에 형성된 도입 오리피스(94), 핀부(85)의 축 구멍(93), 파일럿 케이스(73)의 오목부(91) 및 통로(92)를 통해, 환형 오목부(80)로 유입되고, 배압 도입 밸브(81)의 밸브 개방 방향의 압력이 설정한 압력을 넘은 경우에, 배압 도입 밸브(81)를 밸브 개방시켜 배압실(72)로 도입된다.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시(피스톤 속도 저속역)에는, 도입 오리피스(94), 축 구멍(93), 오목부(91), 파일럿 바디(74)의 축 구멍(101)을 통하여 밸브체(103)(파일럿 밸브(71))를 밸브 개방시켜, 파일럿 바디(74) 내의 밸브실(100)로 유입된다.
밸브실(100)로 유입된 작동액은, 밸브체(103)와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사이, 와셔(114)의 축 구멍(119), 캡(116)의 절결(118), 유로(37), 이면폭(89)에 의해 형성된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12) 사이의 통로(33), 환형 유로(35) 및 메인 바디(52)의 외주를 통하여, 리저버(4)로 유통된다. 피스톤 속도가 상승하여, 통로(59)를 통해 접속구(23)에 연통되는 환형 오목부(55)의 압력이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압력에 달하면, 메인 밸브(51)가 밸브 개방되어, 환형 유로(21)의 작동액은, 접속구(23), 통로(59), 환형 오목부(55), 메인 밸브(51)를 통하여, 리저버(4)로 유통된다.
이와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31)는,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 및 축소 행정의 양 행정 시에 있어서,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역)에는, 도입 오리피스(94) 및 파일럿 밸브(71)(밸브체(103))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후(피스톤 속도 중속역)에는, 메인 밸브(51)의 개방도에 따른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코일(126)에의 통전을 제어하여 파일럿 밸브(7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속도에 상관없이,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코일(126)에의 통전을 제어하여 파일럿 밸브(7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배압 도입 밸브(81)를 밸브 개방시켜 배압실(72)로 도입되는 작동액의 압력이 조정되기 때문에, 감쇠력 특성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코일(126)의 단선, 차재 컨트롤러의 고장 등의 페일 발생 시에 플런저(129)의 추력이 소실되는 경우,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103)를 후퇴시켜 파일럿 밸브(71)를 밸브 개방하며, 밸브체(103)의 스프링 받침부(104)를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에 접촉시킴으로써, 밸브실(100)과 밸브 케이스(25) 내측의 환형 유로(35) 사이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환형 유로(21)로부터, 도입 오리피스(94), 축 구멍(93), 오목부(91), 파일럿 바디(74)의 축 구멍(101), 밸브실(100), 와셔(114)의 축 구멍(119), 캡(116)의 절결(118), 유로(37), 통로(33), 환형 유로(35) 및 메인 바디(52)의 외주를 통하여 리저버(4)로 유통되는 작동액의 흐름이, 페일 세이프 밸브(41)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의 밸브 개방 압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원하는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동시에, 배압실(72)의 내압, 즉, 메인 밸브(5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페일 발생 시에 있어서도 적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 기구(31)의 조립 순서의 개략을 설명한다.
먼저, 파일럿 케이스(73)의 일측에, 상류측 밸브 부품(42)(도 3 참조),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바디(52)(시트 부재), 메인 밸브(51),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및 배압 도입 밸브(81)를 적층한다. 또한, 상류측 밸브 부품(42)의 축 구멍에는, 파일럿 케이스(73)와 일체로 형성된 핀부(85)(핀 부재)가 삽입 관통된다.
다음에, 핀부(85)에 와셔(88)를 삽입 관통시켜, 핀부(85)의 나사부(86)에 나사 결합시킨 너트(87)(체결 부재)를 핀부(85)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다음에, 너트(87)를 기정(旣定) 토크로 조임으로써, 상류측 밸브 부품(42)을 너트(87)(와셔(88))와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부(76) 사이에서 클램프하여, 상류측 밸브 부품(42)에 기정의 축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너트(87)를 조일(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파일럿 케이스(73)의 이면폭(89)에 공구를 계합한다.
한편, 파일럿 바디(74)의 타측에, 파일럿 스프링(142), 페일 세이프 스프링(143), 스페이서(111), 페일 세이프 디스크(144), 리테이너(112), 스페이서(113) 및 와셔(114)를 적층하고, 또한, 파일럿 바디(74)의 타측의 대외직경부(115)에 캡(116)을 장착함으로써, 하류측 밸브 부품(43)(도 3 참조)을 구성한다. 다음에,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면(96)에 파일럿 바디(74)의 일측의 소외직경부(95)를 감합하고, 상류측 밸브 부품(42)과 하류측 밸브 부품(43)을 결합하여 일체화시킨 밸브 어셈블리(41)(도 3 참조)를 구성한다.
다음에, 밸브 어셈블리(41)의 파일럿 케이스(73)의 나사부(117)를, 요크(122)의 나사부(124)에 나사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를 체결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파일럿 케이스(73)(밸브 어셈블리(41))와 요크(122)를 체결시킨다. 이에 의해,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 사이의 하류측 밸브 부품(43)에 기정의 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를 체결시킬 때, 파일럿 케이스(73)의 이면폭(89)과 요크(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면폭(138)에 공구를 계합한다. 또한, 요크(122)에는, 미리 솔레노이드 내기 부품이 조립된다. 그리고, 밸브 케이스(25)의 대내직경부(26)에, 밸브 어셈블리(41)가 조립된 요크(122)의 원통부(123)를 감합하고, 동시에, 메인 바디(52)의 일측의 오목부(56)에,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의 접속구(23)를 삽입 및 접속한다. 다음에, 밸브 케이스(25)의 외주에 너트(135)를 장착하고 조여, 너트(135)와 요크(122) 사이의 스냅링(137)을 압축함으로써, 요크(122)가 밸브 케이스(25)에 체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완충기(「특허문헌 1」 참조)에서는, 오리피스(2F)(제1 실시형태의 「도입 오리피스(94)」에 상당)가 형성된 부착축(2c)(제1 실시형태의 「핀부(85)」에 상당)을 갖는 부착 부재(2)에, 부착축(2c)을 밸브 하우징(4)(제1 실시형태의 「파일럿 케이스(73)」에 상당)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에만 이용하는 공구 계합부를 가공할 필요가 있어, 부착 부재(2)의 가공에 공정수를 요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배압실(72)로의 도입 오리피스(94)가 형성되는 핀부(85)(핀 부재)를, 메인 바디(52)(시트 부재), 메인 밸브(51) 및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에 마련하고, 상기 핀부(85)에 마련되는 너트(87)(체결 부재)를 핀부(85)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바디(52), 메인 밸브(51) 및 파일럿 케이스(73)가 체결되기 때문에, 핀부(85)에 공구 계합부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공정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완충기에서는, 밸브 하우징(4)을 제2 고정 철심(73)(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크(122)」)에 조립할 때에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d)(공구 계합부)과, 밸브 하우징(4)과 제2 고정 철심(73) 사이에 간극(제1 실시형태의 「통로(33)」에 상당)을 형성하기 위한 홈(4i)을 밸브 하우징(4)에 별개로 가공할 필요가 있어, 부착 부재(2)의 가공에 공정수를 요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케이스(73)의 외주면에 형성한 이면폭(89)을, 파일럿 케이스(73)를 요크(122)에 조립할 때의 공구 계합부와, 파일럿 케이스(73)와 요크(122) 사이의 파일럿 유로(통로(33))의 2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 계합부와 파일럿 유로의 가공이 일공정(1회의 가공)으로 끝나, 공정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완충기에서는, 밸브 하우징(4)의 내부와 배압실(P)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구멍(4f)(제1 실시형태의 「통로(92)」에 상당)이 밸브 하우징(4)의 축선(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가공이 번잡화하여 공정수가 증대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실(100)과 배압실(72)을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92)가, 파일럿 케이스(73)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가공되기 때문에, 가공의 난이도가 낮아, 공정수 및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바디(52)(시트 부재), 메인 밸브(51) 및 파일럿 케이스(73)의 내주에는, 배압실(72)로의 도입 오리피스(94)가 형성된 핀부(85)(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핀부(85)에는, 메인 바디(52), 메인 밸브(51) 및 파일럿 케이스(73)를 체결시키는 너트(87)(체결 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메인 바디와 파일럿 케이스(파일럿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파일럿 핀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밸브 어셈블리(41)의 전체 길이(축 방향 길이), 나아가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3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밸브 부품(42)에 단독으로 축력을 작용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상류측 밸브 부품(42)의 축력 전달 경로(C1)(도 3 참조)가 하류측 밸브 부품(43)의 축력 전달 경로(C2)(도 3 참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파일럿 핀에 의해 메인 바디와 파일럿 케이스(파일럿 바디)가 결합되는 종래의 완충기(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29842호 공보 참조)와 비교하여, 밸브 부품, 특히, 메인 바디(52)의 강성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바디(52)의 두께(축 방향 길이)를 얇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류측 밸브 부품(42), 나아가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3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바디(52)의 오목부(56)에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의 접속구(23)를 감합하고, 또한, 접속구(23)의 내측(내주)에 너트(87)(체결 부재)를 수용하였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너트(87)를, 실린더(2)와 외통(3) 사이에 마련되는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축 방향 범위(도 3에 있어서의 A1)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너트(87)의 높이에 의해 상류측 밸브 부품(42)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핀부(85)(핀 부재)를 파일럿 케이스(73)와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칭호 및 부호를 이용하며,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너트(87)(체결 부재)를, 실린더(2)와 외통(3) 사이에 마련되는 세퍼레이터 튜브(20)(접속관)의 축 방향 범위(도 3에 있어서의 A1)에 배치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너트(87)를, 파일럿 케이스(73)와 파일럿 밸브(71)의 축 방향 사이(도 5에 있어서의 A2)에 배치하였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한 경우, 너트(87)를 수용하기 위해 파일럿 케이스(73)의 오목부(91)가 깊게(축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부(85)는, 메인 바디(52)(시트 부재)와 동축으로 마련되고, 메인 바디(52)로부터 파일럿 밸브(71)측(도 4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돌출한다. 핀부(85)는, 파일럿 케이스(73)의 축 구멍(105)에 삽입 관통되며, 타측 단부(선단부)가, 파일럿 케이스(73)의 오목부(91)의 내측에 위치한다. 핀부(85)의 타측 단부에는 나사부(86)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86)에는 너트(87)(체결 부재)가 나사 결합된다. 즉, 너트(87)는, 파일럿 케이스(73)의 오목부(91)에 수용된다. 또한, 핀부(85)는, 메인 바디(52)와 별개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바디(52)에 형성한 축 구멍(도 2의 「부호 61」 참조)에 핀부(85)(핀 부재)를 압입함으로써, 메인 바디(52)와 핀부(85)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사부(86)에 나사 결합한 너트(87)를 조임(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바디(52)와 너트(87) 사이의 상류측 밸브 부품(4)(도 5 참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밸브(51),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배압 도입 밸브(81) 및 파일럿 케이스(73)에, 축력이 작용된다. 또한, 너트(87)를 조일 때, 공구를, 메인 바디(52)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66)에 계합한다. 오목부(66)는, 축 직각 평면에 의한 단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육각 렌치를 계합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66)는, 도입 오리피스(94), 핀부(85)의 축 구멍(93), 파일럿 케이스(73)의 오목부(91), 통로(92) 및 배압 도입 밸브(81)(오리피스(99))를 통해, 배압실(72)에 연통된다.
메인 바디(52)의 일측에는,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의 내측에 감합(삽입)되는 접속부(65)가 형성된다. 메인 바디(52)의 접속부(65)의 외주면에는 환형홈(62)이 형성되고, 환형홈(62)에 장착되는 시일 링(58)에 의해, 메인 바디(52)의 접속부(65)와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메인 바디(52)에는, 일측의 오목부(66)와 타측의 환형 오목부(55)를 연통하는 복수개(제2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통로(67)가 형성된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 기구(31)이 조립 순서의 개략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 바디(52)의 타측에, 상류측 밸브 부품(42)(도 5 참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밸브(51), 리테이너(82), 스페이서(83), 리테이너(84), 배압 도입 밸브(81) 및 파일럿 케이스(73)를, 적층한다. 또한, 상류측 밸브 부품(42)의 축 구멍에는, 메인 바디(52)와 일체로 형성된 핀부(85)(핀 부재)가 삽입 관통된다.
다음에, 핀부(85)의 나사부(86)에 너트(87)(체결 부재)를 나사 결합한다. 다음에, 너트(87)를 기정 토크로 조이고, 상류측 밸브 부품(42)을 너트(87)와 메인 바디(52)의 내주부(54) 사이에서 클램프하여, 상류측 밸브 부품(42)에 기정의 축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너트(87)를 조일 때, 메인 바디(52)의 일측의 오목부(66)에 공구(예컨대 「육각 렌치」)를 계합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체결 부재를 너트(87)로 하였지만, 상류측 밸브 부품(42)에 기정의 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예컨대, 코킹 등의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갖추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20년 2월 14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0-02340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20년 2월 14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0-02340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포함된다.
1: 완충기, 2: 실린더, 3: 외통, 4: 리저버, 5: 피스톤, 20: 세퍼레이터 튜브(접속관), 31: 감쇠력 조정 기구, 51: 메인 밸브, 52: 메인 바디(시트 부재), 71: 파일럿 밸브, 72: 배압실, 73: 파일럿 케이스, 85: 핀부(핀 부재), 93: 축 구멍(도입 통로), 87: 너트(체결 부재)

Claims (8)

  1. 완충기로서, 상기 완충기는,
    작동액이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마련된 외통과,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형성되어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되는 리저버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외통의 외부에 마련되는 밸브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는 감쇠력 발생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가 접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메인 밸브의 배부에 형성되어 내압이 상기 메인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배압실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와,
    상기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의 내주에 마련되어 상기 배압실로의 도입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에는, 상기 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케이스에는, 외주측의 복수 개소에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접속관의 축 방향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파일럿 케이스와 상기 파일럿 밸브의 축 방향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파일럿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케이스에는, 상기 도입 통로보다 하류측이며, 또한 상기 파일럿 밸브보다 상류측의 압력에 따라, 상기 배압실을 향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가 접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메인 밸브의 배부에 형성되어 내압이 상기 메인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배압실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와,
    상기 배압실의 내압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조정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의 내주에 마련되어 상기 배압실로의 도입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에는, 상기 핀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227020881A 2020-02-14 2021-02-09 완충기 KR20220098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3409 2020-02-14
JP2020023409 2020-02-14
PCT/JP2021/004726 WO2021161980A1 (ja) 2020-02-14 2021-02-09 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031A true KR20220098031A (ko) 2022-07-08

Family

ID=7729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881A KR20220098031A (ko) 2020-02-14 2021-02-09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70735A1 (ko)
JP (2) JP7261347B2 (ko)
KR (1) KR20220098031A (ko)
CN (1) CN115087817A (ko)
DE (1) DE112021001030T5 (ko)
WO (1) WO2021161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4565A1 (de) 2021-12-23 2023-06-29 Eto Magnetic Gmbh Regelventilvorrichtung zur Regelung von Dämpfungscharakteristiken und hydraulisches durchströmtes Magnetvent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864A (ja) 2015-09-14 2017-03-23 Kyb株式会社 減衰弁及び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8859B2 (en) * 2011-01-31 2014-08-0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WO2015020227A1 (ja) * 2013-08-09 2015-0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7119729B2 (ja) 2018-08-06 2022-08-17 日本製鉄株式会社 水砕製造設備および水砕製造設備の冷却塔内の水砕析出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864A (ja) 2015-09-14 2017-03-23 Kyb株式会社 減衰弁及び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1347B2 (ja) 2023-04-19
JP2023083364A (ja) 2023-06-15
JPWO2021161980A1 (ko) 2021-08-19
WO2021161980A1 (ja) 2021-08-19
US20230070735A1 (en) 2023-03-09
CN115087817A (zh) 2022-09-20
DE112021001030T5 (de)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741B2 (ja) 緩衝器
KR101953390B1 (ko) 완충기
US8584818B2 (en) Shock absorber
KR102589604B1 (ko) 완충기 및 완충기의 조립 방법
CN107923470B (zh) 缓冲器
CN110475985B (zh) 缓冲器
US20080302984A1 (en) Magnetic Valve
CN111051730B (zh) 缓冲器
WO2023067941A1 (ja) 緩衝器の製造方法
JP2023083364A (ja) 緩衝器
JP741667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減衰力調整弁
KR102627961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729626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3084896A1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減衰バルブ、及びソレノイド
JP2023173189A (ja) 緩衝器
US20220099153A1 (en) Shock absorber
JP7129385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2249623A1 (ja) 緩衝器及び緩衝器の製造方法
JP7320481B2 (ja) 緩衝器
WO2023017722A1 (ja) 結合体、結合体の製造方法、及び緩衝器
JP2022152580A (ja) 緩衝器
CN113924429A (zh) 阻尼力调整式缓冲器
JP2023086376A (ja) 緩衝器
JP2022141301A (ja) シリンダ装置
CN114981560A (zh) 缓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