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655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655A
KR20220089655A KR1020210180421A KR20210180421A KR20220089655A KR 20220089655 A KR20220089655 A KR 20220089655A KR 1020210180421 A KR1020210180421 A KR 1020210180421A KR 20210180421 A KR20210180421 A KR 20210180421A KR 20220089655 A KR20220089655 A KR 2022008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handle
double
bearing reel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사키야마
마사유키 하타케나카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지깅 등의 격렬한 저킹 조작을 행하여도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홀드성이 좋은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 베어링 릴(1)은, 릴 본체(2)의 좌우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3)을 한쪽 측판(2B)에 마련한 핸들(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 릴 본체(2)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7A)의 외주면(7a) 상에, 단단히 누른 손의 엄지손가락(T2)의 측판 외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규제부(20)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OUBLE 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릴 본체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한 손으로 보유 지지하고 감아올림 조작 혹은 저킹 조작을 행할 때, 보유 지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의 홀드성이 양호한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싯줄을 권회하는 스풀을,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양 베어링 릴 중에는, 예를 들어 저킹 조작이나 저킹 조작을 하면서 핸들의 권취 조작 등, 격렬한 조작을 행하는 지깅 등에 사용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좌우 측판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저킹 조작할 때,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꽉 쥔 상태로 서밍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한 양 베어링 릴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양 베어링 릴은,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 단부에 형성되는 모따기부로부터 스풀의 플랜지 외주 단부면으로의 이행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이들의 대향 위치 관계에 개량을 더한 것이며, 실제 낚시 시에 있어서,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서밍 조작을 위화감 없이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78886호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파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을 매끄럽게 스풀의 낚싯줄측으로 이행시키는 것인데, 실제 낚시 시에 있어서의 저킹 조작에서는, 낚싯대의 그립 엔드를 한쪽 전완으로 받쳐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그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문부로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를 강하게 단단히 눌러 릴 본체를 움직이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의 측판의 상면의 형상은, 상면으로부터 스풀 플랜지로 이행하기 쉽게 하도록 스풀 플랜지의 경사에 맞추어 내측의 상면에 모따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즉, 모따기 이외의 외표면은 대략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판 상면을 엄지손가락으로 단단히 누르고 저킹 조작 등을 행하면, 엄지손가락의 지문부가 측판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미끄러지기 쉬워, 확실하게 홀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지깅 등의 격렬한 저킹 조작을 행하여도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홀드성이 좋은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을 한쪽 측판에 마련한 핸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에, 단단히 누른 손의 엄지손가락의 상기 측판 외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규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양 베어링 릴을 낚싯대와 함께 파지 보유 지지하여 지깅 등의 저킹 조작을 행하는 경우,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을 엄지손가락의 지문부로 단단히 누르도록 홀드한다. 이때,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는 이동 규제부에 의해, 단단히 누른 손의 엄지손가락이 측판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홀드성이 좋아, 안정적으로 저킹 조작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깅 등의 격렬한 저킹 조작을 행하여도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홀드성이 좋은 양 베어링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홀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부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을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 릴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능 시험의 결과(미끄럼 방지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 릴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능 시험의 결과(권취 조작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도 8은 이동 규제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이동 규제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 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양 베어링 릴(1)은, 지깅하는 데 있어서 최적의 구조로 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릴 본체(2)는, 좌측판(2A), 우측판(2B), 및 양 측판(2A, 2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판(2B)측에 핸들(5)을 마련하고 있고, 핸들(5)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우측판 내에 배치된 공지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스풀(3)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릴 본체(2)는, 좌우의 측판(2A, 2B)을 구성하는 프레임(7)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7)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의 좌측 프레임체(7A)로 좌측판(핸들 반대측의 측판)(2A) 자체를 구성함과 함께, 측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의 우측 프레임체(7B)에 커버체(8)를 장착함으로써 우측판(2B)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핸들 반대측의 측판(2A)(좌측 프레임체(7A))은 동력 전달 기구를 수용한 핸들측의 측판(2B)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파지 보유 지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릴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7)은, 좌측판(2A)(좌측 프레임체(7A))과 우측 프레임체(7B)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3)의 전방에 전방 연결부(7C), 스풀(3)의 후방에 후방 연결부(7D), 및 스풀(3)의 하방에 인접하여 2개의 하방 연결부(7E)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연결부는, 좌측판(2A) 및 우측 프레임체(7B)와 함께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 연결부(7E)에는, 낚싯대의 릴 시트에 장착되는 릴 다리(7F)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이 릴 다리(7F)는 프레임(7)과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됨).
상기 프레임(7)의 좌측판(2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가 중실 구조이며 박육화되어 있다. 이 좌측판(2A)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손의 검지손가락(T1)으로 낚싯대(R)를 건 상태에서, 그 손의 엄지손가락(T2)의 지문부로 외주면(원주면)(7a)을 상방으로부터 단단히 눌러 릴 본체(2)를 낚싯대(R)와 함께 홀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손의 손바닥 전체를 좌측판(2A)의 외측면에 받치지 않는다는(손바닥으로 릴 본체를 홀드하는 타입이 아님) 점에서, 단단히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이 어긋나기 쉬우면 릴 본체의 홀드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좌측판의 외주면(7a) 상을 단단히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T2)이, 좌측판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동 규제부(20)를 마련함으로써, 안정된 홀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이동 규제부(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양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의 상방이 개구된 구성(섬 레스트 등의 연결부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핸들 반대측의 측판(좌측판)(2A)의 외주면(7a) 상에, 직접, 이동 규제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릴 본체(2)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7)을 형성할 때, 좌측판(2A)의 상면측의 외주면(7a)을 이하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이동 규제부(20)를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이동 규제부(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판의 외주면(7a)을 상방으로부터 단단히 누른 엄지손가락이 외측으로 어긋나지 않는 구성이면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7)을 가공할 때, 스풀(3)의 상방의 개구를 규정하고 있는 프레임의 스풀측의 외주연부(7b)로부터 스풀 반대측의 외측을 향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경사 형상부(7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 형상부(7d)는, 프레임 가공 시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실제 낚시 시에는, 단단히 누른 엄지손가락(T2)이, 그 경사에 의해 축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단단히 눌렀을 때의 위화감도 없어, 격렬한 지깅 조작을 하면서 핸들의 권취 조작을 행하여도 안정된 파지 보유 지지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판(2A)의 외주면(7a) 상에, 직접, 이동 규제부(20)인 경사 형상부(7d)를 형성할 때에는, 그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해도 되지만, 적어도 파지 보유 지지한 엄지손가락의 지문부를 단단히 누르는 영역에 형성해 두면 된다. 구체적으로 경사 형상부(7d)에 대해서는, 좌측판(2A)의 축 방향의 폭(좌측판(2A)을 상방으로부터 엄지손가락(T2)으로 단단히 눌렀을 때, 엄지손가락의 지문부가 맞닿음 가능해지는 축 방향의 폭) A의 범위 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외주연부(7b)로부터 상승하도록 형성되지만, 경사 형상부의 폭이나 경사 각도에 대해서는 미끄럼 방지성(저킹 조작하였을 때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파지 보유 지지성)이나 권취 조작성(홀드성, 조작감, 나아가 낚싯대와 함께 쥐었을 때의 파지 용이성, 크기, 중량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좌측판(2A)의 축 방향의 폭 A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얇거나 지나치게 두껍거나 하면 홀드성이나 조작성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중량화되어 버리는 것이며, 그 폭 A 내에 형성되는 경사 형상부의 폭 B에 대해서도, 그 비율(B/A)을 고려하지 않으면, 홀드성이나 조작성이 부족해져 버림과 함께 위화감을 발생시켜 버린다. 또한, 경사 형상부(7d)의 각도(스풀 축과 평행이 되는 축 방향 X에 대해 상승하는 경사 각도 α)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커지면, 측판 자체가 대경화되거나 엄지손가락의 지문부의 접촉이 어려워져 홀드성이나 조작성이 저하되어 버리고, 반대로 지나치게 작게 하면, 충분한 어긋남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좌측판(2A)의 외주면(7a) 상에, 직접, 이동 규제부(20)인 경사 형상부(7d)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경사 형상부(7d)의 경사 각도 α, 및 경사 형상부(7d)의 형성 폭 B(외주면(7a)의 스풀측의 외주연부(7b)로부터 축 방향 외측의 폭)의 좌측판의 폭 A에 대한 비율에 관하여, 어느 정도로 하면 미끄럼 방지성이나 권취 조작성이 충족되는지에 대해, 복수의 샘플 릴을 제작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관능 시험에 사용한 샘플 릴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이 원 형상이며,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직경이 소경화된 것을 복수 준비하고, 각 샘플 릴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손으로 낚싯대(R)의 그립 엔드와 함께 파지하였을 때의 보유 지지 성능(미끄럼 방지성, 권취 조작성)에 대해, 5명의 테스터가 평가하였다. 평가에 대해서는, ○(3점; 좋다), △(2점; 사용 시에 있어서 특별히 문제는 없다), ×(1점; 사용 시에 다소 신경이 쓰인다)의 3단계로 평가하게 하여, 5명의 테스터의 합계 점수가 12-15점이면, 도 6 및 도 7의 평가표에서 ○를 부여하고, 8-11점이면 △를 부여하고, 5-7점이면 ×를 부여하였다.
이 경우, 준비한 샘플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 반대측의 측판(좌측판(2A))의 외주면(7a)에 형성되는 경사 형상부(7d)의 소정 비율의 폭(B/A)의 비율을 바꾸어, 각각의 비율에 대해 경사 각도 α가 다른 것을 복수 준비하였다. 단, 각 샘플에 있어서,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전체 폭 A, 및 스풀, 프레임 본체, 핸들측의 측판, 구동 기구 등은 모두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도 6은 미끄럼 방지성(저킹 조작 시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파지 보유 지지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7은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핸들을 권취하여 조작하였을 때의 권취 조작성(홀드성, 조작감)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들 평가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각도 α가 작아지면(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향이 보여지는데, 10°로 설정하면, 미끄럼 방지 효과가 향상되고(도 6), 또한 권취 조작성(도 7)에 대해 대체로 충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각도 α의 상한에 대해서는, 높으면 미끄럼 방지 효과는 높다고 생각되지만, 지나치게 높게 하면, 저킹 조작 시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파지 보유 지지성에 대해 위화감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도 6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에 의하면, 3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권취 조작성까지 고려하면(도 7 참조), 25° 내지 3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 결과, 엄지손가락의 지문부가 외측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경사 각도 α에 관해서는, 10° 내지 30°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내지 20°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형상부(7d)의 전체 폭에 대한 비율(B/A)에 대해서는, 상기한 경사 각도 α와의 관계에 따라 다르지만, 경사 각도 α를, 상기한 바와 같이 10° 내지 30°의 범위로 특정하면, 30% 이상, 나아가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상한에 대해서는, 90%로 한 경우, 경사 각도가 커지면(25° 이상), 소형, 경량감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점에서(도 7 참조), 8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해, 경사 형상부(7d)의 전체 폭에 대한 비율(B/A)에 대해서는, 30% 내지 80%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40% 내지 80%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경사 각도 α에 대해서는, 10° 내지 20°의 범위 내로 형성하고, (B/A)에 대해서는, 40% 내지 70%의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지깅 조작을 하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성 및 권취 조작성의 양쪽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 반대측의 측판을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 그 엄지손가락이 변위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릴 본체(2)를,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 등에 의해 일체 형성한 프레임 구조로 하는 경우, 스풀의 후방의 후방 연결부(7D)의 좌측판측에, 이동 규제부(20)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구조를 일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연결부(7D)의 좌측판측에, 상기 경사 형상부(7d)로 구성되는 이동 규제부(20)와 연속 형성되는 오목 형상부(7e)를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의 손바닥측 밑부분이 수용됨과 함께 접촉도 좋아져, 파지 보유 지지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오목 형상부(7e)는 후방 연결부(7D)의 상면으로부터 후방면에 이르도록 연속 형성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밑부분에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실시 형태의 이동 규제부(20)는, 축 방향 외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상승하는 경사 형상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동 규제부는, 낚싯대와 함께 파지 보유 지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단단히 누르는 측판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어, 저킹 조작하거나 저킹 조작과 함께 핸들을 권취 조작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이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한 권취 조작성이 좋으면, 그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는 이동 규제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의 이동 규제부(20A)는, 엄지손가락을 단단히 누르는 부분의 측판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요철 형상부(22)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요철 형상부(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을 경사면으로 한 후에 형성해도 되고,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고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특히,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경사 형상부의 경사 각도 α를 10° 내지 30°의 범위로 하고, 또한 그 경사 형상부의 전체 폭에 대한 비율(B/A)을 30% 내지 80%의 범위로 형성한 상태에서 요철 형상부(22)를 형성하면, 미끄럼 방지성, 권취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 양 베어링 릴이 얻어진다.
도 9는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는 이동 규제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의 이동 규제부(20B)는, 엄지손가락을 단단히 누르는 부분의 측판의 외주면에 오목 형상부(23)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오목 형상부(23)에 대해서는, 단단히 누른 엄지손가락의 지문부를 따르는 만곡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고, 이에 의해, 엄지손가락의 수용이 좋아져, 미끄럼 방지성, 권취 조작성이 좋은 양 베어링 릴이 얻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요철 형상부(22)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구성에서는, 우측판에 핸들을 장착하였지만, 좌측판에 장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의 구조는 임의이고, 핸들 반대측의 측판에 대해서는, 우측판과 마찬가지로 커버체를 피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측판의 형상에 대해서는, 비원형으로 형성하는 등,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이동 규제부(20, 20A, 20B)는, 측판(프레임)의 외주면에 직접 형성하였지만, 측판의 외주면의 상방에서, 측판의 폭 A의 범위 내에 마련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섬 레스트나, 낚싯줄의 조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제어 케이스 등, 프레임과는 별체의 측판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부재에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측판과는 별체의 부품의 측판 상에 이동 규제부를 형성해도, 단단히 누른 엄지손가락의 지문부가 외측으로 빠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양 베어링 릴
2: 릴 본체
2A, 2B: 좌우 측판
3: 스풀
5: 핸들
7: 프레임
7A, 7B: 좌우 프레임체
7a: 외주면
7d: 경사 형상부
20, 20A, 20B: 이동 규제부
R: 낚싯대
T1: 검지손가락
T2: 엄지손가락

Claims (6)

  1.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을 한쪽 측판에 마련한 핸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면 상에, 단단히 누른 손의 엄지손가락의 상기 측판 외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규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스풀의 상방을 개구한 상기 좌우 측판의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스풀측의 외주연부로부터 스풀 반대측의 외측을 향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커지는 경사 형상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핸들 반대측의 측판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반대측의 측판은, 상기 핸들측의 측판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핸들 반대측의 측판의 전체 폭에 대해 30% 내지 80%의 범위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스풀 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기준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30°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
KR1020210180421A 2020-12-21 2021-12-16 양 베어링 릴 KR20220089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1349A JP7436354B2 (ja) 2020-12-21 2020-12-21 両軸受けリール
JPJP-P-2020-211349 2020-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655A true KR20220089655A (ko) 2022-06-28

Family

ID=7895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21A KR20220089655A (ko) 2020-12-21 2021-12-16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85929B2 (ko)
EP (1) EP4014730A1 (ko)
JP (1) JP7436354B2 (ko)
KR (1) KR20220089655A (ko)
CN (1) CN114642194A (ko)
AU (1) AU2021277696B2 (ko)
TW (1) TWI79081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8886A (ja) 2015-03-24 2016-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978A (en) 1986-01-31 1989-04-18 Daiwa Seiko, Inc. Twin-bearing type fishing reel
JP2536093Y2 (ja) * 1990-04-18 1997-05-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797765B2 (ja) * 1997-10-09 2006-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988548A (en) * 1998-05-14 1999-11-23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Easy hold fishing reel body
JP2000324984A (ja) * 1999-05-24 2000-11-2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I331013B (en) * 2004-06-25 2010-10-01 Shimano Kk Spool assembly for a dual bearing reel
KR101785730B1 (ko) * 2010-06-28 2017-10-1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전동 릴
KR101699382B1 (ko) 2014-10-22 2017-01-24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JP6804831B2 (ja) * 2015-07-14 2020-12-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US10271531B2 (en) * 2016-04-26 2019-04-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replaceable hood top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86633B2 (ja) * 2019-02-13 2022-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8886A (ja) 2015-03-24 2016-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5929B2 (en) 2023-10-17
TWI790816B (zh) 2023-01-21
AU2021277696A1 (en) 2022-07-07
EP4014730A1 (en) 2022-06-22
US20220192170A1 (en) 2022-06-23
JP7436354B2 (ja) 2024-02-21
TW202224556A (zh) 2022-07-01
CN114642194A (zh) 2022-06-21
AU2021277696B2 (en) 2023-10-05
JP2022098036A (ja)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825B2 (en) Fishing reel
US9807990B2 (en) Double bearing reel
US10470448B2 (en) Dual-bearing reel
US9089118B2 (en) Drive gear
US9700032B2 (en) Clutch return mechanism for a dual-bearing reel
KR101785730B1 (ko) 낚시용 전동 릴
KR20230054378A (ko) 릴 시트
KR20220089655A (ko) 양 베어링 릴
JP3490914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及びハンドル組立体
JP2018000103A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JP2016178886A (ja) 両軸受型リール
JP5118536B2 (ja) 釣竿
TWI272059B (en) Handle assembly for fishing reel
US9693543B2 (en) Double bearing reel
CA3022746A1 (en) Ergonomic spincast reel
JP5000568B2 (ja) 釣り竿
JP4666889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20240081308A1 (en) Dual-bearing reel
US5762280A (en) Double-bearing fishing reel with finger placing element
JP7010773B2 (ja) 魚釣用リール及び制動力調節体
JP2023101864A (ja) 魚釣用リール及び制動力調節体
US5125594A (en) Fishing reel bodies of substantially one piece construction having t-shaped rod attaching portions
JPH11253078A (ja) 両軸受リール
JP2020115776A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及び、そのハンドルノブ
JPH067477U (ja) 両軸受型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