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44A - 가로등 거치대 - Google Patents

가로등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44A
KR20220084944A KR1020200174911A KR20200174911A KR20220084944A KR 20220084944 A KR20220084944 A KR 20220084944A KR 1020200174911 A KR1020200174911 A KR 1020200174911A KR 20200174911 A KR20200174911 A KR 20200174911A KR 20220084944 A KR20220084944 A KR 2022008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cuate
plate
seat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541B1 (ko
Inventor
안기수
Original Assignee
안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수 filed Critical 안기수
Priority to KR102020017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16Strap fasteners, e.g. fasteners with a buck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가로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가로등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이 설치될 지주에 안착되며,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홈에 가로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 지지대가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가로등 지지대의 전단을 감쌀 수 있도록 프레스를 이용하여 평판을 둥글게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감싼 뒤 상기 거치홈의 입구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된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 및 상기 지주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거치부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관통한 뒤 상기 지주를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주에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로등 거치대{STREET LIGHT HOLDER}
본 발명은 가로등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가로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가로등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차도나 보도 사이에 교통의 안전과 사람의 안전 보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 차도와 보도를 밝게 비추어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로등은 지주를 절곡하여 길게 늘어뜨려 설치하는 암(arm) 타입 및 상기 지주에 그대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폴(pole) 타입으로 구분되는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암타입은 차선이 많은 도로와 같이 상기 지주가 고정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직접 비추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 타입은 차선이 좁거나 상기 지주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지역을비추고자할때사용될수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은 상기 가로등이 설치되는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가 결합되는 지주 홀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 홀더는 상기 암 타입 및 상기 폴 타입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 홀더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253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1452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가로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가로등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는, 가로등이 설치될 지주에 안착되며,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홈에 가로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 지지대가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가로등 지지대의 전단을 감쌀 수 있도록 프레스를 이용하여 평판을 둥글게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감싼 뒤 상기 거치홈의 입구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된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 및 상기 지주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거치부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관통한 뒤 상기 지주를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주에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에 안착되는 후단이 상기 지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에 안착되는 후단이 상기 지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전단과 상기 제2 측면의 전단 사이에서 상기 지주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안착되기 위한 상기 거치홈을 전단에 형성하는 아치형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측면의 내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면의 내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다른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간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간격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일측 내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는, 상기 덮개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삽입되는 상기 고정 볼트부에 의해 상기 가로등 지지대에 밀착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체결하는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볼트부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상기 밀착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가로등 지지대에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덮개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덮개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덮개부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덮개부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와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가로등을 체결함으로써, 가로등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4의 제1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1)는, 거치부(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40)를 포함한다.
거치부(10)는, 가로등(L)이 설치될 지주(P)에 안착되며,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홈(S)에 가로등(L)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 지지대(100)가 안착되며, 체결 밸트부(40)에 의해 지주(P)에 체결된다.
덮개부(20-1, 20-2)는, 가로등 지지대(100)의 전단을 감쌀 수 있도록 프레스를 이용하여 평판을 둥글게 절곡하여 제작되며, 거치부(10)의 거치홈(S)에 안착되어 있는 가로등 지지대(100)를 감싼 뒤 거치홈(S)의 입구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설치되어 가로등 지지대(100)를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20-1, 20-2)는, 고정 볼트부(30)이 관통하고 체결되기 위한 관통홀(H)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볼트부(30)는, 덮개부(20)에 형성되는 관통홀(H)을 통해 관통하고 삽입되어 덮개부(20)에 체결된 가로등 지지대(1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체결 밸트부(40)는, 지주(P)에 안착되어 있는 거치부(10)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벨트 관통홀(10a-1, 10a-2)을 관통한 뒤 지주(P)를 감싸고 설치되어 거치부(10)를 지주(P)에 체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1)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가로등을 체결함으로써, 가로등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는, 제1 측면(11), 제2 측면(12) 및 아치형 안착면(13)을 포함한다.
제1 측면(11)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측면(12)과 대향하며 지주(P)에 안착되며, 지주(P)에 안착되는 후단(11a)이 지주(P)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 측면(12)은, 제1 측면(11)과 대향하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주(P)에 안착되며, 지주(P)에 안착되는 후단(12a)이 지주(P)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아치형 안착면(13)은, 제1 측면(11)의 전단과 제2 측면(12)의 전단 사이에서 지주(P)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가로등 지지대(100)가 안착되기 위한 거치홈(S)을 전단에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는,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몇 번의 절곡 공정만으로도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등 지지대(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제조됨으로써 가로등 지지대(100)의 안정적인 안착 및 지주(P)로의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a)는, 제1 측면(11), 제2 측면(12), 아치형 안착면(13), 제1 간격 지지부(14) 및 제2 간격 지지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측면(11), 제2 측면(12) 및 아치형 안착면(13)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간격 지지부(14)는, 제1 측면(11)의 내측면과 아치형 안착면(13)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측면(11)과 아치형 안착면(13)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2 간격 지지부(15)는, 제2 측면(12)의 내측면과 아치형 안착면(13)의 다른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측면(12)과 아치형 안착면(13)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a)는, 강풍 등으로 인하여 거치부(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가로등 지지대(100)가 흔들리거나, 가로등 지지대(100)로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제1 간격 지지부(14) 및 제2 간격 지지부(15)를 이용하여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거치부(10) 등의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가로등 거치대(2)는, 거치부(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40), 밀착 플레이트(50) 및 플레이트 지지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부(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밀착 플레이트(50)는, 덮개부(2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의 내측에 안착되며, 덮개부(20)를 관통하고 삽입되는 고정 볼트부(30)에 의해 가로등 지지대(100)에 밀착되어 가로등 지지대(100)를 체결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0)는, 덮개부(20)와 밀착 플레이트(5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고정 볼트부(30)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가로등 지지대(100)가 밀착 플레이트(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 플레이트(50)를 가로등 지지대(100)에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가로등 거치대(2)는, 고정 볼트부(30)만을 이용하여 가로등 지지대(100)를 고정시키는 경우보다 면접촉이 가능한 밀착 플레이트(50)를 이용하여 가로등 지지대(100)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할 수 있으며, 고정 볼트부(30)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경우에도 플레이트 지지부(60)에 의한 밀착 플레이트(50)의 밀착이 가능하여 가로등 지지대(1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레이트 지지부(200)는,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 지지대(100)이 수평 방향으로 누인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덮개부(20)와 밀착 플레이트(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연결 플레이트(100)와 고정 플레이트(200)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밀착 플레이트(5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덮개부(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밀착 플레이트(5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지지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덮개부(20)와 밀착 플레이트(5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밀착 플레이트(50)에 의한 가로등 지지대(100)의 지지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밀착 플레이트(50)를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덮개부(20)와 밀착 플레이트(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덮개부(20)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덮개부(20)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300)는, 덮개부(20)와 밀착 플레이트(50)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 수직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가로등 지지대(100)의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 플레이트(50)를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덮개부(20)와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플레이트 지지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플레이트 지지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제1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간격 지지부(400)는, 받침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20) 및 회동형 완충부(4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2 간격 지지부(15)는, 제1 간격 지지부(400)와 대칭 구조로서 제1 간격 지지부(40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받침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아치형 안착면(13)의 일측 내측면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4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430)는, 받침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아치형 안착면(13)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4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 제2 아치형 지지대(432), 제3 아치형 지지대(4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아치형 안착면(13)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4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4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간격 지지부(400)는, 제2 간격 지지부(15)와 함께 아치형 안착면(13)을 지지함으로써, 가로등 지지대(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거치부(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4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440)은, 단부 안착 공간(4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4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4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435)는, 단부 안착 공간(4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4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4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고정 블록(4341), 제2 고정 블록(4342) 및 슬라이딩 블록(4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4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4342)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4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4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4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4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4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4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4343)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아치형 안착면(13)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가로등 거치대
10: 거치부
20: 덮개부
30: 고정 볼트부
40: 체결 밸트부
50: 밀착 플레이트
60: 플레이트 지지부

Claims (12)

  1. 가로등이 설치될 지주에 안착되며,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홈에 가로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 지지대가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가로등 지지대의 전단을 감쌀 수 있도록 프레스를 이용하여 평판을 둥글게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감싼 뒤 상기 거치홈의 입구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에 체결된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부; 및
    상기 지주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거치부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관통한 뒤 상기 지주를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주에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밸트부;를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에 안착되는 후단이 상기 지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에 안착되는 후단이 상기 지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전단과 상기 제2 측면의 전단 사이에서 상기 지주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안착되기 위한 상기 거치홈을 전단에 형성하는 아치형 안착면;을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측면의 내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면의 내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다른 일측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아치형 안착면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간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일측 내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아치형 안착면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가로등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가로등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삽입되는 상기 고정 볼트부에 의해 상기 가로등 지지대에 밀착되어 상기 가로등 지지대를 체결하는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볼트부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로등 지지대가 상기 밀착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가로등 지지대에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덮개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가로등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가로등 거치대.
KR1020200174911A 2020-12-14 2020-12-14 가로등 거치대 KR10246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11A KR102467541B1 (ko) 2020-12-14 2020-12-14 가로등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11A KR102467541B1 (ko) 2020-12-14 2020-12-14 가로등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44A true KR20220084944A (ko) 2022-06-21
KR102467541B1 KR102467541B1 (ko) 2022-11-14

Family

ID=8222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11A KR102467541B1 (ko) 2020-12-14 2020-12-14 가로등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245B1 (ko) * 2023-01-26 2023-09-06 김영철 펜스지주 체결용 정원조명등 체결 브라켓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701Y1 (ko) * 2004-09-16 2004-12-16 이수황 작업등
KR100813301B1 (ko) * 2007-09-13 2008-03-13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덮개
KR20080062659A (ko) * 2006-12-29 2008-07-03 이영섭 안정장치
KR20080074476A (ko) * 2007-02-09 2008-08-13 김재학 조명등용 방진소켓
KR200452535Y1 (ko) 2009-02-12 2011-03-07 (주)수퍼플랫 가로등 설치 구조물
JP3184039U (ja) * 2013-01-29 2013-06-13 中愛株式会社 Led照明灯及びそのled照明灯を光源として用いた街路灯
KR101414525B1 (ko) 2012-04-06 2014-07-09 신승훈 가로등주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6204B1 (ko) * 2013-07-04 2014-08-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98645B1 (ko) * 2014-08-18 2015-03-04 정혜진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20170129550A (ko) * 2016-05-17 2017-11-27 (주)강산조명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101971826B1 (ko) * 2018-04-11 2019-08-13 한상훈 자가발전 가로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039B2 (ja) * 1994-03-15 2001-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701Y1 (ko) * 2004-09-16 2004-12-16 이수황 작업등
KR20080062659A (ko) * 2006-12-29 2008-07-03 이영섭 안정장치
KR20080074476A (ko) * 2007-02-09 2008-08-13 김재학 조명등용 방진소켓
KR100813301B1 (ko) * 2007-09-13 2008-03-13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덮개
KR200452535Y1 (ko) 2009-02-12 2011-03-07 (주)수퍼플랫 가로등 설치 구조물
KR101414525B1 (ko) 2012-04-06 2014-07-09 신승훈 가로등주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JP3184039U (ja) * 2013-01-29 2013-06-13 中愛株式会社 Led照明灯及びそのled照明灯を光源として用いた街路灯
KR101426204B1 (ko) * 2013-07-04 2014-08-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98645B1 (ko) * 2014-08-18 2015-03-04 정혜진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20170129550A (ko) * 2016-05-17 2017-11-27 (주)강산조명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101971826B1 (ko) * 2018-04-11 2019-08-13 한상훈 자가발전 가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245B1 (ko) * 2023-01-26 2023-09-06 김영철 펜스지주 체결용 정원조명등 체결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41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4944A (ko) 가로등 거치대
JPH02502106A (ja) 軌道とトロリー装置
US6752230B1 (en) Supplementary wheel support for a motorized wheelchair
US8376380B2 (en) Traction device
KR102467540B1 (ko) 다기능 가로등 거치대
CN216580774U (zh) 一种用于agv小车底盘的车轮避震机构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CN104724020B (zh) 一种汽车防护杠支撑机构、防护系统及车辆
CN215446157U (zh) 一种具有角度调节的隧道结构用照明灯
KR102120597B1 (ko) 모형 자동차용 간극 보상 장치
KR100995335B1 (ko) 펜스
KR20220083247A (ko) 앨범 포장 장치
KR20180119181A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1506550B1 (ko) 판스프링용 엠보싱 선단 사이렌서
JP2000178926A (ja) 眩光防止用標識
KR102626110B1 (ko) Cctv 설치 구조
KR101222644B1 (ko) 철도차량 집전장치의 설치구조물
CN112796240A (zh) 一种公路铁路两用桥梁的防眩屏障
CN218907218U (zh) 吊挂式轨道车及轨道系统
KR102231823B1 (ko) 가스 실린더 운반 장치
CN109468901A (zh) 一种防逆行减速带
JP2003002267A (ja) スライド式駐輪装置
CN220643953U (zh) 一种公路建设用组合式警示装置
JP3658525B2 (ja) 端部緩衝装置
CN220132787U (zh) 一种道路限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