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550A -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 Google Patents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550A
KR20170129550A KR1020160060393A KR20160060393A KR20170129550A KR 20170129550 A KR20170129550 A KR 20170129550A KR 1020160060393 A KR1020160060393 A KR 1020160060393A KR 20160060393 A KR20160060393 A KR 20160060393A KR 20170129550 A KR20170129550 A KR 2017012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fastening
ar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323B1 (ko
Inventor
최종관
Original Assignee
(주)강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산조명 filed Critical (주)강산조명
Priority to KR102016006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2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평한 벽체는 물론 전봇대 등과 같이 만곡(라운딩)지게 형성된 지주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이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 체결부와 연결되어 벽체 또는 지주의 외측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지지부; 및 고정지지부에 형성되며, 지주에 고정시 지주를 둘러싸며 지지되는 지지수단이 삽입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수단체결홀;을 포함하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MULTI-FIXED MEANS FOR LIGHTING FIXTURES ARM}
본 발명은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평한 벽체는 물론 전봇대 등과 같이 만곡(라운딩)지게 형성된 지주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또는 보안등과 같은 등기구는 교통안전과 보행을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시설로써, 고속도로, 일반차도, 인도, 주택가 등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나, 부착되는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벽체 등과 같은 곳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벽체 부착형(이하, '벽부형'이라 함) 등기구와 전봇대 등과 같은 원통형 몸체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지주 부착형(이하, '지부형'이라 함) 등기구가 있다.
벽부형 등기구 및 지부형 등기구는 각각의 부착 형태에 따라 등기구 암이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게 된다. 즉, 벽부형 등기구는 벽부형 등기구 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벽체 등에 앵커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며, 지부형 등기구는 지부형 등기구 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에 띠 모양의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지지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부착 형태에 따라 각각의 등기구 암 고정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등기구 암은 대부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체결하므로 한 번 설치한 후에는 등기구의 각도 조절이 어려워, 상하 각도 또는 좌우 각도 조절을 위해 별도의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해야 하나, 이는 제작비용 상승문제로 이어졌다.
한편, 등기구 암에 대한 기술은 등록특허 제10-1105513호(등기구 암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에 소개된 바 있다.
(0001) 등록특허 제10-110551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벽체는 물론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 등에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각도조절수단 없이도 등기구 암의 좌우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특징 등을 가지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은, 등기구가 결합되는 암을 벽면 또는 지주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등기구 암이 결합되는 체결부,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지부 및 지주 등에 지지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수단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결합홀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결합홀과 연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홀 및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되는 제1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곡선지지부, 곡선지지부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평면지지부, 상기 평면지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에 결합되는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체결홀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상하부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는, 케이블결속홀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지부와 지주 등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체결홀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고정수단으로 벽체는 물론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 등에도 겸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홀에 암을 삽입 후 제1고정수단을 제1고정홀에 체결하여 삽입된 암을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좌우각도 조절수단 없이도 암의 좌우 각도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곡선지지부와 평면지지부의 구성으로 평면으로 구성된 벽체 및 만곡(라운딩)지게 구성된 지주 등에 밀착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홀에 제2고정수단을 체결함으로써, 벽체는 물론 필요에 따라 지주 등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이 체결되는 지지수단체결홀의 구성으로 지주 등에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결속홀의 구성으로 하부로 연결되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밀착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선 등의 단선으로 인한 접촉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멀티형)의 고정수단으로 두 개(벽부형, 지부형)의 고정수단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유지, 보수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벽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지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은 등기구(10)가 일단부에 결합되는 암(20, arm)의 타측을 결합한 상태에서 벽체(30, 벽면) 또는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40)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로, 체결부(100), 고정지지부(200) 및 지지수단체결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20)은 일반적으로 관 형상의 원형 파이프가 많이 사용되나, 도시된 바로 암(2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등기구(10)가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100)를 통해 암(20)의 타측부가 체결 및 분리되며, 바디부(110), 제1고정홀(120) 및 제1고정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10)에는 암(20)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결합홀(111)의 내측 둘레부는 암(20)의 외측 둘레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결합홀(11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도면부호 미기재)이 구성되어 결합홀(111)에 삽입된 암(20)의 타단부는 상기 단턱에 지지된다.
바디부(110)의 외측 둘레면에는 결합홀(111)과 연통형성된 제1고정홀(120)이 형성되며,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홀(120)의 내측 둘레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제1고정수단(130)은 볼트로 구성되며, 제1고정홀(120)에 체결되면서 제1고정홀(120)에 삽입된 암(20)을 고정시킨다. 제1고정수단(130)을 제1고정홀(120)로부터 분리시,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암(20)을 좌우로 회전시켜 좌우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좌우각도 조정 후에 제1고정수단(130)을 체결함으로써 결합홀(111)에 삽입된 암(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홀(120) 및 제1고정수단(130)은 삽입분리되어 암(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도시된 바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지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200)는 체결부(100)와 연결되어 벽체(30) 또는 지주(40)의 외측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고정지지부(200)는 체결부(100)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분리형으로 제작 후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작 편의성과 비용절감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지지부(200)는 곡선지지부(210), 평면지지부(220), 제2고정홀(230) 및 제2고정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곡선지지부(210)는 체결부(100)의 후방에 형성되며 지주(40)의 외측면에 대응되어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지주(40)의 만곡진 정도는 지주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곡선지지부(210)는 설치되는 지주(40)에 대응지켜 만곡진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면이 아닌 굽은 형상이라면 지지수단(400)을 통해서도 충분히 지주(4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곡선지지부(210) 전체가 반드시 지주(40)의 외측 둘레면에 밀착 형성되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다.
곡선지지부(210)의 좌우 양측으로는 평면지지부(220)가 각각 연장형성된다. 평면지지부(220)는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벽체(30) 등에 고정시킬 경우 벽체(3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한편, 벽체(30)는 반드시 평면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지주(40) 또한 반드시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벽체(30)나 지주(40)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부위가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므로 곡선지지부(210)의 고정부위를 곡면부로만 한정하고, 평면지지부(220)의 고정부위를 평면부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평면지지부(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230)이 형성되며, 제2고정홀(230)에는 제2고정수단(240)이 체결된다. 제2고정홀(230)과 제2고정수단(240)은 제1고정홀(120) 및 제1고정수단(13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나, 벽체(30) 등에 고정시에는 앵커볼트 등이 사용되므로 이에 맞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홀(230)은 좌우에 각각 3개씩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2고정홀(230)의 외측에는 후술할 지지수단(400)의 체결방향을 가이드 및 지지해주는 가이드턱(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된다.
한편, 지주(40)에 고정시에도 상황에 따라 제2고정홀(230)과 제2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지수단체결홀(300)은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40)에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고정할 경우 지지수단체결홀(300)에 체결되어 전봇대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지지수단(400)을 체결할 때 사용된다.
지지수단체결홀(3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100)와 고정지지부(200) 사이에 지지수단(400)이 체결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한 쌍으로 형성된다. 물론,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 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두 개로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도 5)에는 지지수단체결홀(300)이 결합홀(111)과 간섭되듯이 도시되었으나, 지지수단체결홀(300)은 결합홀(111)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면상의 결합 사시도에서는 지지수단체결홀(300)을 나타내기 위해 지지수단(400)을 편의상 이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
지지수단(40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플렉시블한 금속 재질의 철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에는 개념적인 형태로만 도시하였다.
체결부(100)의 하부에는 결속부재(510)가 체결되는 케이블결속홀(500)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등기구(10)와 연결되어 체결부(100)의 하부로 이어지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50)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 후술할 도 7 및 도 8의 설명 부분에서 다시 한 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벽체(3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지주(4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은 벽체(30)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벽체(30) 등에 고정시에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우선 벽체(3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제2고정홀(230) 및 제2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벽체(30)에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암(20)의 타단부를 결합홀(111)에 삽입한 후 좌우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1고정홀(120)에 제1고정수단(130)을 체결하여 암(20)을 고정시킨다.
암(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등기구(10)는 상황에 따라 결합홀(111)에 암(20)을 삽입하기 전에 체결하거나, 결합홀(11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등기구(10)에 연결되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50)은 결합홀(111)의 하부 외측으로 연결되며, 이때, 체결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케이블결속홀(500)에 케이블타이와 같은 결속부재(510)를 이용하여 케이블(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블(50)의 고정을 통해 등기구(10)와 연결된 케이블(50)의 단부가 케이블(50)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단선(斷線)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전선 접촉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지주(40)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지주(40) 등에 고정시에도 벽체(30)에 고정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제2고정홀(230) 및 제2고정수단(240)을 통한 고정이 아니라 지지수단체결홀(300)에 지지수단(400)을 체결한 상태에서 지지수단(400)을 지주(40)의 외측 둘레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시켜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인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을 지주(4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지주(40) 등에 부착 시에도 작업 환경 및 지주(40)의 형상 등에 따라 제2고정홀(230) 및 제2고정수단(240)을 함께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벽체(30)는 물론 지주(40) 등에도 하나의 등기구 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관리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 등기구 20 : 암
30 : 벽체 40 : 지주
50 : 케이블
100 : 체결부 110 : 바디부
111 : 결합홀 120 : 제1고정홀
130 : 제1고정수단
200 : 고정지지부 210 : 곡선지지부
220 : 평면지지부 230 : 제2고정홀
240 : 제2고정수단
300 : 지지수단체결홀
400 : 지지수단
500 : 케이블결속홀 510 : 결속부재

Claims (5)

  1. 등기구가 결합되는 암을 벽면 또는 지주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암이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어 벽체 또는 지주의 외측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에 형성되며, 지주에 고정시 지주를 둘러싸며 지지되는 지지수단이 삽입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수단체결홀;을 포함하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암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과 연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홀; 및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고정홀에 삽입체결된 암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곡선지지부;
    상기 곡선지지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평면지지부;
    상기 평면지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평면지지부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체결홀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사이에 상기 지지수단이 체결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홀을 통해 등기구와 연결된 케이블을 고정시키도록, 결속부재가 체결되는 케이블결속홀이 더 포함된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1020160060393A 2016-05-17 2016-05-17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10180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93A KR101803323B1 (ko) 2016-05-17 2016-05-17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93A KR101803323B1 (ko) 2016-05-17 2016-05-17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50A true KR20170129550A (ko) 2017-11-27
KR101803323B1 KR101803323B1 (ko) 2017-12-04

Family

ID=6081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393A KR101803323B1 (ko) 2016-05-17 2016-05-17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44A (ko) * 2020-12-14 2022-06-21 안기수 가로등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062A (ja) * 2012-05-30 2013-12-12 Suginami City 街路灯
KR101337404B1 (ko) * 2013-05-29 2013-12-06 박준기 가로등 지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44A (ko) * 2020-12-14 2022-06-21 안기수 가로등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323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4563C (en) Downlight support
JP5665960B2 (ja) クリップ接続構造
CN102449391A (zh) 细长灯具和将灯具附连到表面的方法
KR101803323B1 (ko)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KR20120125071A (ko) 가로등 암대의 연결구조
JP4488919B2 (ja) 信号灯器取付金具
KR20060065447A (ko) 가로등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EP3853523A1 (en) Luminaire mounting
JP2012099261A (ja) 照明器具
KR101315835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US20130320165A1 (en) Recess Can Adapter Bracket
KR101355149B1 (ko) 램프고정용 클립
JP2008174998A (ja) 構造物設置支持装置
KR20140132863A (ko) 태양광 모듈 고정 장치
EP3550207A1 (en) An attachment module for supporting a lamp globe
JP3148549U (ja) 取付け金具
KR102261964B1 (ko) 산업용 등기구 지지용 접이식 어댑터
KR100795193B1 (ko)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101230422B1 (ko) 절곡형 깃대 고정장치
RU269230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уличного светильника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KR100616314B1 (ko) 조명부를 가진 건축용 천정 달대 조립체 및 사용방법.
KR20180002053U (ko) 전주용 경완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