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35Y1 - 가로등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로등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535Y1
KR200452535Y1 KR2020090001541U KR20090001541U KR200452535Y1 KR 200452535 Y1 KR200452535 Y1 KR 200452535Y1 KR 2020090001541 U KR2020090001541 U KR 2020090001541U KR 20090001541 U KR20090001541 U KR 20090001541U KR 200452535 Y1 KR200452535 Y1 KR 200452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treet lamp
strut
coupl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01U (ko
Inventor
박석기
Original Assignee
(주)수퍼플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퍼플랫 filed Critical (주)수퍼플랫
Priority to KR202009000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5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가로등 설치 구조물은 지주 홀더 및 가로등 설치부를 포함한다. 지주 홀더는 지주가 결합되고, 제1 톱니들이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1 기어부를 포함한다. 가로등 설치부는 제1 톱니들과 결합하는 제2 톱니들이 구성된 제2 기어부를 가지면서 가로등이 설치되고, 제2 톱니들이 제1 톱니들에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가로등이 비추는 위치를 간단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설치 구조물{STRUCTURE FOR INSTALLING A STREET LIGHTING}
본 발명은 가로등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 또는 보도를 밝게 비쳐주는 가로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차도나 보도 사이에 교통의 안전과 사람의 안전 보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 차도와 보도를 밝게 비추어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로등은 지주를 절곡하여 길게 늘어뜨려 설치하는 암(arm) 타입 및 상기 지주에 그대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폴(pole) 타입으로 구분되는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암 타입은 차선이 많은 도로와 같이 상기 지주가 고정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직접 비추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 타입은 차선이 좁거나 상기 지주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지역을 비추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은 상기 가로등이 설치되는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가 결합되는 지주 홀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 홀더는 상 기 암 타입 및 상기 폴 타입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 홀더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은 상기 가로등이 비추는 위치를 변경, 즉 상기 암 타입과 상기 폴 타입을 결정하거나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 홀더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이 비추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가로등 설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은 지주 홀더 및 가로등 설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 홀더는 지주가 결합되고, 제1 톱니들이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1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는 상기 제1 톱니들과 결합하는 제2 톱니들이 구성된 제2 기어부를 가지면서 가로등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톱니들이 상기 제1 톱니들에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 홀더는 상기 제1 기어부와 결합하고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삽입홀들을 갖는 몸통,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시키면서 다른 하나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특징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은 지주 홀더 및 가로등 설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 홀더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2 삽입홀들을 갖는 몸통,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시키면서 다른 하나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는 상기 몸통과 결합하고, 가로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 설치 구조물에 따르면, 지주 홀더와 가로등 설치부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음, 이들을 제1 기어부의 제1 톱니들에 제2 기어부의 제2 톱니들의 결합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등 설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주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모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암 타입 및 폴 타입에 따라 상기 지주 홀더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등이 비추는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가로등 설치부의 각도 조절과 상기 지주의 고정 방식의 변경을 통해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배경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등 설치부와 상기 지주 홀더를 다시 제작할 필요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에 발생되는 추가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 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지주 홀더에 결합된 가로등 설치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a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100)은 지주 홀더(200) 및 가로등 설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 홀더(200)에는 지주(10)가 결합된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등 설치 구조물(100)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10)는 직접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중간 부위가 절곡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지주 홀더(200)는 상기 지주(10)가 결합된 반대 부위에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1 톱니(212)들을 갖는 제1 기어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톱니(212)들은 상기 지주 홀더(200)에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x)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에는 가로등(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 등(20)은 차도나 보도 사이에 교통의 안전과 사람의 안전 보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다른 광원들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빛(L)을 출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상기 가로등(20)은 백열등보다는 형광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에는 상기 가로등(20)으로부터의 빛(L)을 한쪽 방향, 예컨데 세로 방향(y)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등(20)을 일측을 감싸는 반사갓(3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갓(320)은 반사력이 우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지주 홀더(20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지주 홀더(200)와 상기 제1 기어부(210)에서 중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제1 기어부(210)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톱니(212)들과 결합 가능한 제2 톱니(312)들이 구성된 제2 기어부(310)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제1 기어부(210)의 제1 톱니(212)들에 상기 제2 기어부(310)의 제2 톱니(312)들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그 설치 각도가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가 상기 지주 홀더(200)와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된 상태의 상기 각도를 0도라고 정의하면,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톱니(212, 312)들의 결합 위치를 통하여 상기 각도를 0도에서 상한 및 하한으로 약 15도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톱니(212, 312)들의 결합 위치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톱니(212)들이 구성된 원호의 중심 각도도 약 15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톱니(312)들은 상기 제1 톱니(212)들과 결합하여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를 지탱하면 되므로, 상기 제1 톱니(212)들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톱니(212, 312)들의 크기를 통하여 그 조절 단위가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톱니(212, 312)들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상기 각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함의 의미한다.
한편, 상기 가로등 설치 구조물(100)은 상기 제2 톱니(312)들이 상기 제1 톱니(212)들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400)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 부재(400)는 상기 제2 기어부(310)의 고정홀(314)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기어부(210)의 고정면(214)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어부(310)는 상기 고정면(214)이 상기 제1 기어부(210)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암 타입과 폴 타입에 따라 호환이 가능한 상기 지주 홀더(200)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지주 홀더의 제1 삽입홀에 지주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지주 홀더의 제2 삽입홀에 지주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지주 홀더(200)는 몸통(220), 개폐판(230) 및 제2 고정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220)은 대략 육면체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1 기어부(210)와 결합한다. 상기 몸통(220)은 상기 지주 홀더(200)와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가 결합하는 상기 가로 방향(x) 및 상기 세로 방향(y)으로 상기 지주(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삽입홀(222, 224)들을 갖는다.
상기 개폐판(230)은 상기 몸통(220)의 어느 한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부(232)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230)은 상기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움직여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222, 224)들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하게 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는 상기 개폐판(230)의 결합부(234)에 결합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234)를 관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222, 224)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지주(10)를 고정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는 클램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도 4를 통해 상기 제1 삽입홀(222)에 상기 지주(10)를 삽입되는 경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개폐판(230)을 상기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움직여 상기 제1 삽입홀(222)을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삽입홀(224)을 패쇄시킨다.
이어, 상기 지주(10)를 상기 제1 삽입홀(222)에 상기 가로 방향(x)으로 삽입시킨다. 이어,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를 상기 개폐판(230)의 결합부(234)를 통과 시켜 상기 지주(10)를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지주(10)가 고정되는 방식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하였던 상기 지주(10)를 절곡하여 길게 늘어뜨려 설치하는 암(arm) 타입으로써, 차선이 많은 도로와 같이 상기 지주(10)가 고정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직접 비추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삽입홀(222)에 삽입된 지주(10)를 도 5를 통해 상기 제2 삽입홀(224)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를 상기 개폐판(230)의 결합부(234)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 상기 지주(10)를 상기 제1 삽입홀(222)로부터 빼낸다. 이어, 상기 개폐판(230)을 상기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움직여 상기 제2 삽입홀(224)을 개방하면서 상기 제1 삽입홀(222)을 폐쇄시킨다.
이어, 상기 지주(10)를 상기 제2 삽입홀(224)에 상기 세로 방향(y)으로 삽입시킨다. 이어, 상기 제2 고정 부재(240)를 상기 개폐판(230)의 결합부(234)를 통과시켜 상기 지주(10)를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지주(10)가 고정되는 방식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하였던 상기 지주(10)에 그대로 설치하는 폴(pole) 타입으로써, 차선이 좁거나 상기 지주(10)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지역을 비추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10)가 상기 가로 방향(x) 및 상기 세로 방향(y)으로 모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 홀더(200)를 구성함으로써, 암 타입 및 폴 타입에 따라 상기 지주 홀더(200)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로등(20)이 비추는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의 각도 조절과 상기 지주(10)의 고정 방식의 변경을 통해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로등 설치부(300)와 상기 지주 홀더(200)를 다시 제작할 필요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에 발생되는 추가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 설치부의 각도 조절과 지주의 고정 방식의 변경을 통해 추가적인 비용 없이 상기 가로등의 비추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설치 구조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지주 홀더에 결합된 가로등 설치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a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지주 홀더의 제1 삽입홀에 지주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지주 홀더의 제2 삽입홀에 지주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가로등
100 : 가로등 설치 구조물 200 : 지주 홀더
210 : 제1 기어부 212 : 제1 톱니
220 : 몸통 230 : 개폐판
240 : 제2 고정 부재 300 : 가로등 설치부
310 : 제2 기어부 312 : 제2 톱니
400 : 제1 고정 부재

Claims (3)

  1. 지주가 결합되고, 제1 톱니들이 원호 형태로 구성된 제1 기어부를 포함하는 지주 홀더; 및
    상기 제1 톱니들과 결합하는 제2 톱니들이 구성된 제2 기어부를 가지며, 가로등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톱니들이 상기 제1 톱니들에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가로등 설치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 홀더는,
    상기 제1 기어부와 결합하고,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삽입홀들을 갖는 몸통;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시키면서 다른 하나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설치 구조물.
  2. 삭제
  3.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삽입홀들을 갖는 몸통,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시키면서 다른 하나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지주 홀더; 및
    상기 몸통과 결합하고, 가로등이 설치되는 가로등 설치부를 포함하는 가로등 설치 구조물.
KR2020090001541U 2009-02-12 2009-02-12 가로등 설치 구조물 KR200452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41U KR200452535Y1 (ko) 2009-02-12 2009-02-12 가로등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41U KR200452535Y1 (ko) 2009-02-12 2009-02-12 가로등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01U KR20100008301U (ko) 2010-08-20
KR200452535Y1 true KR200452535Y1 (ko) 2011-03-07

Family

ID=4424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41U KR200452535Y1 (ko) 2009-02-12 2009-02-12 가로등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5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44A (ko) 2020-12-14 2022-06-21 안기수 가로등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537Y1 (ko) 1999-07-24 2000-02-15 안평국 가로등 기구
KR200344677Y1 (ko) * 2003-12-18 2004-03-12 (주)드림테크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398551Y1 (ko) 2005-08-05 2005-10-13 김인석 가로등 각도조절 장치
KR20060030822A (ko) * 2004-10-06 2006-04-11 라이텍코리아 (주) 각도 조절형 가로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537Y1 (ko) 1999-07-24 2000-02-15 안평국 가로등 기구
KR200344677Y1 (ko) * 2003-12-18 2004-03-12 (주)드림테크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60030822A (ko) * 2004-10-06 2006-04-11 라이텍코리아 (주) 각도 조절형 가로등기구
KR200398551Y1 (ko) 2005-08-05 2005-10-13 김인석 가로등 각도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44A (ko) 2020-12-14 2022-06-21 안기수 가로등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01U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261B1 (ko) 등기구의 설치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조립체
KR101140316B1 (ko) 가로등
KR100992857B1 (ko) 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용 가로등기구
KR100900815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200452535Y1 (ko) 가로등 설치 구조물
KR20080005178U (ko) 가로등 및 보안등용 등기구
KR20090085275A (ko) 터널등의 각 조절 장치
JP5966794B2 (ja) 照明器具
KR100964643B1 (ko) 엘이디 조명등의 효율성을 배가하는 보안등의 방열판 구조
KR200383849Y1 (ko) 안정기 함을 구비한 가로등용 암
KR101580617B1 (ko) 빛의 조사구간 선택이 용이한 실외용 엘이디등기구
KR101646533B1 (ko) 호환성이 뛰어난 조사위치 조절형 실외용 엘이디램프
KR101128770B1 (ko)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가로등
KR101329235B1 (ko)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CN204806194U (zh) 一种照射角度可调的路灯
KR200436126Y1 (ko) 횡단보도 투광기의 브래킷 구조
KR200410444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0823041B1 (ko) 무전극 형광램프 전용 조명기구
JP5239778B2 (ja) Led照明器具照度コントロールパネル
JP2009032468A (ja)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JP5453916B2 (ja) トンネル照明器具
KR20070000823U (ko) 횡단보도용 조명대
KR200304804Y1 (ko) 형광등기구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