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312A -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312A
KR20220054312A KR1020227007268A KR20227007268A KR20220054312A KR 20220054312 A KR20220054312 A KR 20220054312A KR 1020227007268 A KR1020227007268 A KR 1020227007268A KR 20227007268 A KR20227007268 A KR 20227007268A KR 20220054312 A KR20220054312 A KR 20220054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nat2
subject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스히로 요시타케
요시노리 밤바
히토시 엔도우
토키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제이 파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파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 파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9Neutron capture therapy, e.g. using uranium or non-boro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Rheumatolog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대상의 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본 발명은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암 등의 환자에게 최적으로 사용되는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암 등의 환자에 대하여,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등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소니아지드 신경 독성의 개인차가 N-아세틸화 능력의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점에서, N-아세틸화 다형이 50년 이상 전에 발견되어 있다. 이소니아지드에 추가하여, 술파메타진과 같은 많은 방향족 아민약은 아세틸화 다형의 영향을 받아, 많은 치료약의 치료 효과와 독성에 영향을 미친다. N-아세틸화 전이 효소2(NAT2)는 아세틸 CoA의 아세틸기를 본 효소의 기질이 되는 방향족 아민이나 히드라진 함유 화합물로 전이하는 효소이다. NAT2는 870-bp 유전자(NAT2)에 의해 엔코딩되고, 또한 NAT2의 유전적 다형은 인간에게 있어서 일반적이다.
그리고, NAT2에는 아세틸화 속도가 빠른 타입(Rapid), 중간 타입(Intermediate), 및 느린 타입(Slow)의 3개의 타입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Pharmacogenomics, 13권: 31-41페이지, 2012년). 이들 타입은 그 유전자 다형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NAT2의 유전자 다형은 다수의 아릴아민 및 히드라진약의 유효성과 독성의 양쪽을 수정하고, 수 개의 아릴아민 발암 물질 관련의 암에 대한 리스크를 높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술파살라진(SSZ)이라고 하는 약제는 NAT2에 의해 아세틸화되지만, 아세틸화가 느린 환자에게 있어서는 종종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J Rheumatol. 2002년, Dec; 29 (12) : 2492-2499)(Genotyping the NAT2 gene followed by estimation of diplotype configuration before administration of SSZ is likely to reduce the frequency of adverse effects in Japanese patients with RA. http://www.jrheum.org/content/29/12/2492).
NAT2의 유전자 다형의 대표적인 것은 (i) 191G>A(rs1801279), (ii) 282C>T(rs1041983), (iii) 341T>C(rs1801280), (iv) 481C>T(rs1799929), (v) 590G>A(rs1799930), (vi) 803A>G(rs1208), (vii) 857G>A(rs1799931)의 7개의 SNP이다. 그들 중에서, (i), (iii), (v), (vi) 및 (vii)의 SNP가 아미노산의 변화를 초래한다(즉, (i) 191G>A가 아르기닌으로부터 글루탐산, (iii) 341T>C가 이소류신으로부터 트레오닌, (v) 590G>A가 아르기닌으로부터 글루타민, (vi) 803A>G가 리신으로부터 아르기닌, (vii) 857G>A가 글리신으로부터 글루탐산).
한편, 담도암은 최근 본방에 있어서 증가 경향에 있다. 2016년의 사망자수는 약 18,000명이며, 암 사망 원인의 7위가 되고 있다. 담도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치료 방침, 화학 요법의 효과가 다르다. 화학 요법으로서는 현재의 상태에서는 겜시타빈, 시스플라틴 병용 요법이 표준 화학 요법으로 자리매김된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표준 화학 요법이 무효인 담도암 환자에 대하여 추장되는 2차 요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 2차 요법으로서의 화학 요법에 대한 임상적 니즈는 높다.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하, 「JPH20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암 세포에 특이적 발현하는 L타입-아미노산 트랜스포터1(LAT1)의 선택적 저해 작용을 갖는 점에서 새로운 항종양제에서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특허문헌 1). 현재, JPH203은 출원인에 의해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제II상 시험이 행해지고 있는 바이다.
국제 공개 제2008/081537호
Pharmacogenomics, 13권: 31-41페이지, 2012년 Drug Metab Pharmacokinet. 2012년; 27(1): 155-61페이지 J. Rheumatol. 2002년, Dec; 29(12): 2492-2499페이지 Jutabha 등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Volume 130, Issue 3, Supplement(제89회 일본약리학회 연회 초록집)
발명자들은 표준 화학 요법이 무효인 담도암 환자에 대한 새로운 2차 화학 요법에 대해서 검토 중, JPH203의 국내 제I상 시험에서 얻어진 약물 동태 파라미터 해석 결과로부터, 체표면적당 같은 투여량을 투여한 피험자간에 있어서, 혈액 중 JPH203 농도와 비교해서, 혈중 및 뇨중의 N아세틸화체 농도의 개인차가 큰 것을 발견하고, 연구를 더 계속하여, NAT2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아세틸화 속도의 상위와, JPH203의 안전성 및 약효 사이에 관련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대상에 있어서의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에 있어서의 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이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동정된 후,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에 있어서의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사용으로서, 여기서, 상기 대상이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동정된 후에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의 암 등의 대상에게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질환의 치료용의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사용으로서, 여기서 특정 질환의 상기 의약에 의한 치료 전에 대상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 질환의 대상에게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의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 대상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유전자진단 키트, 및 이러한 키트 또는 NAT2 유전자 진단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대상」 및 「환자」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의해, 약제의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효과의 주효성을 향상시킨 암 등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JPH203과 NAT2 저해제를 병용한 경우의 랫트 혈중의 Nac-JPH203/JPH203비를 나타낸다.
도 2는 췌장암 유래 세포 T3M4에 붕소화 페닐알라닌(BPA)을 첨가하고, 15분 후에 10μM JPH203을 첨가하고, 세포 내에 봉입된 BPA 농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JPH203)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화합물이며, 현재 출원인들에 의한 제II상 시험이 진행 중인 것이다.
또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JPH203)은 정맥 내 투여 후, 주로 간장 NAT2에 의해 대사(아세틸화)되어 아세틸체(Nac-JPH203)가 되고, 그 생리활성이 크게 저감된다(Drug Metab Pharmacokinet. 2012년; 27(1): 155-61페이지)
JPH203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JPH203은 분자 중의 아미노기가 산과 함께 염을 형성한다. 그러한 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 카르복실산과의 염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염산염이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JPH203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의약품 첨가물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세립제, 분제, 캅셀제 등의 고형 제재 또는 액제, 젤리제, 시럽제 등의 형태로 경구 투여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의약 조성물약은 주사제, 경비제, 좌제, 흡입제, 경피제 등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투여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항암제 등으로서 사용가능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주사제로서 제제화된다. 그러한 주사제로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pH 조정제, 및 시클로덱스트린류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된다.
구체적인 주사제로서는, 예를 들면 정맥, 피하, 피내, 근육내 주사제, 점적정맥 주사제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주사제에 배합할 수 있는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탄산염 등이 예시되고, 특히 수산화나트륨, 및 탄산나트륨이 바람직하고, 수산화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제는 pH 조정제를 이용하여 적절한 pH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주사제의 pH는 3∼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4.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사제에 배합할 수 있는 시클로덱스트린류로서는, 예를 들면 미수식 시클로덱스트린, 수식 시클로덱스트린이 예시된다. 미수식 시클로덱스트린으로서, 예를 들면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등이 예시된다. 또한, 수식 시클로덱스트린으로서, 예를 들면 디메틸-α-시클로덱스트린, 디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디메틸-γ-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α-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γ-시클로덱스트린, 술포부틸에테르-α-시클로덱스트린, 술포부틸에테르-β-시클로덱스트린, 술포부틸에테르-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실-α-시클로덱스트린 등이 예시된다.
시클로덱스트린류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시클로덱스트린류는 강산성이 아닌 수용액에 용해한 경우라도 형성되는 불용성 미립자수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 및 동결 건조 제제의 강산성이 아닌 수용액에 대한 재용해성을 개선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술포부틸에테르-β-시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고, 술포부틸에테르-β-시클로덱스트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술포부틸에테르·시클로덱스트린은 하기 식 1에 나타낸 구조이며, 환상 구조의 내측은 소수성이 높다. 그 때문에, 마찬가지로 소수성이 높은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과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해 복합체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술포부틸에테르·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라는 언급은 상기한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을 가리킨다.
Figure pct00001
또한, 유효 성분인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을 그 술포부틸에테르·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이하, 「JPH203-SBECD」라고 함)로서 주사제 중에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주사제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제, 현탁화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등을 더 첨가해도 좋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완충제, 인산 완충제, 시트르산 완충제, 아세트산 완충제, 트리스 완충제 등이 예시된다.
현탁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소르베이트8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고무, 트라간트 분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록사머(poloxamer),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알긴산나트륨 등이 예시된다.
용해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80, 니코틴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마크로골,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리포아미노산(lipoaminoacid),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예시된다.
안정화제로서는 아황산나트륨, 메타아황산나트륨 등이 예시되고, 등장화제로서는 글리세린, 염화나트륨 등이 예시되고, 그리고 보존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소르브산 등이 예시된다.
동결 건조 제제를 물에 용해했을 때의 pH로서는 3∼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4.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동결 건조 제제는 종래 공지의 동결 건조 제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5℃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 후, 진공도를 약 20Pa 이하로 유지하면서, 실온에 도달할 때까지 승온시키면서 건조시키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사제는 동결 건조 제제여도 좋다. 이러한 동결 건조 제제는 용시에,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수액, 전해액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용매에 용해해서 용시 용해형 주사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특정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대상이 되는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종, 지방종, 점액종, 연골종, 골종, 혈관종, 혈관내피종, 임파종, 골수종, 골수육종, 세망종, 세망육종, 흑색종, 근종, 신경종, 신경교종, 신경초종, 육종, 골육종, 근종, 섬유육종, 유두종, 선종, 낭종, 뇌종양, 경부암, 설암, 인두암, 후두암, 갑상선암, 식도암, 폐암, 유방암, 위암, 십이지장·공장·회장 등의 소장암, 결장·맹장·직장 등의 대장암, 방광암, 신장암, 담낭암, 전립선암, 자궁체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중피종, 두경부암, 부신암, 소화관간질종상, 충수암, 담도암, 췌장암, 간장암, 피부암, 융모암, 두경부암, 전이성암, 및 침윤암 등의 암종; 및 이들의 혼합 종상이나 전이 종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담도암, 대장암, 췌장암, 식도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방광암, 뇌종양, 위암, 간장암, 피부암, 융모암, 신장암, 두경부암, 설암, 전이성암,및 침윤암 등이 바람직하고, 또한 담도암, 대장암, 췌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이 추장된다.
투약 레지멘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 적용되는 투약 레지멘은 환자의 타입, 인종, 연령, 체중, 성별 및 의학적 상태; 처치해야 할 상태의 중증도; 투여 경로; 및 환자의 간 및 신장 기능을 비롯한 각종 요인에 따라 선택된다. 의사는 그 증상의 진행을 예방, 저지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약물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감수성차, 투여 시기, 투여 간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유효성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1회, 1mg/㎡∼60mg/㎡(체표면적)가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12.5mg/㎡∼60mg/㎡, 12.5mg/㎡∼25mg/㎡, 또는 10mg/㎡∼40mg/㎡(체표면적)가 예시되고, 특히 25mg/㎡가 추장된다. 또한, 증상에 따라 12.5mg/㎡ 등으로 감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 레지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 의약 조성물이 일정 기간 연속 투여에 계속되는 일정 기간의 휴약을 1사이클로 해서 투여되고,
- 의약 조성물이 5일간의 연속 투여에 계속되는 9일간의 휴약의 총 14일을 1사이클로 해서 투여되고,
- 일정량의 의약 조성물이 일정 시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되고,
- 의약 조성물 100㎖가 90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되고,
- 환자에 대하여 1∼60mg/㎡로 투여되고,
- 환자에 대하여 12.5∼60mg/㎡로 투여되고,
- 환자에 대하여 12.5∼25mg/㎡로 투여되고,
- 환자에 대하여 25mg/㎡로 투여되는
등이 예시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을 조합하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즉, NAT2에 의한 아세틸화가 느린 타입의) 암 등의 환자에게 투여된 경우,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란 NAT2 유전자의 아세틸화 속도가 빠른 타입(Rapid), 중간 타입(Intermediate), 및 느린 타입(Slow)의 3개의 표현형 중, 중간 타입(Intermediate), 및 느린 타입(Slow)의 표현형을 의미한다.
NAT2의 유전자 다형을 대표하는 7개의 SNP(481C>T, 282C>T, 857G>A, 803A>G, 341T>C, 590G>A, 191G>A)에 대해서, 2-SNP, 3-SNP, 4-SNP의 조합(표 2-1)으로 NAT2의 아세틸화의 표현형(phenotype)이 해석되고, SNP가 없는(표준) 하플로타입인 NAT2*4의 호모 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아세틸화가 빠른 타입(Rapid)이 되고, 어느 하나의 하플로타입이 변이된 헤테로 접합체가, 아세틸화 속도가 중간인 타입(Intermediate)이 되고, 그리고 모두가 변이 하플로타입인 호모 접합체가 2개 또는 그 이상인 변이 하플로타입의 헤테로 접합체의 조합이 아세틸화가 느린 타입(Slow)이 된다(Pharmacogenomics, 13권: 31-41페이지, 2012년). 여기서, 「NAT2*4」 얼릴은 SNP가 없는 하플로타입을 의미한다. 또한, Pharmacogenomics, 13권: 31-41페이지, 2012년에 의하면, Rapid 타입은 「NAT2*4」 이외에도 아미노산 변이를 일으키지 않는 「NAT2*11, NAT2*12, NAT2*13」을 갖는 환자도 Rapid 타입으로 분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SNP가 추측하는 NAT2 아세틸화 인자의 표현형은 2개의 SNP의 분석: rs1041983(282C>T) 및 rs1801280(341T>C)에 의해 결정된다. 3개의 SNP가 추측하는 NAT2 아세틸화 인자 표현형은 3개의 SNP의 분석: rs1799929(481C>T), rs1799930(590G>A) 및 rs1799931(857G>A)에 의해 결정된다. 4개의 SNP 추정 NAT2 아세틸레이터 표현형은 4개의 SNP의 분석: rs1801279(191G>A), rs1801280(341T>C), rs1799930(590G>A), 및 rs1799931(857G>A)에 의해 결정된다.
JPH203이 NAT2에 의해 아세틸화되면, 그 암 세포에 대한 저해 활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환자가 아세틸화를 수용하기 어려운 NAT2 유전자 표현형을 우점적으로 갖고 있는 경우, 즉 암 등의 환자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아세틸화 속도의 중간 타입(Intermediate), 및 느린 타입(Slow)의 표현형을 갖는 경우(Non-Rapid형의 NAT2 유전자)에는 JPH203의 아세틸화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아세틸화되기 어려워져, JPH203의 활성이 길게 계속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NAT2 유전자 다형의 분석은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험자의 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마이크로어레이법에 의해 DNA를 처리하고, 이어서 유전자형을 판독하여 검사를 행하고, 계속해서 데이터 해석을 행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암 치료약의 안전성과 주효성을 예측해 적절한 암 등의 환자에게 치료약을 제공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암 환자에게의 투약예는 적절하게는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암에 이환된, 또는 이환이 의심되는 인간 환자에 대해서, 채혈하고, 혈액 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NAT2의 유전자 다형을 확인한다. NAT2의 유전자 다형이 Non-Rapid형(즉, 아세틸화 속도가 중간인 타입(Intermediate), 또는 아세틸화가 느린 타입(Slow)인 것으로 판단됨)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환자에 대해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술포부틸에테르·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를, 25mg/㎡의 농도에서 100㎖를 90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한다. 이때, 의약 조성물은 5일간의 연속 투여에 계속되는 9일간의 휴약의 총 14일을 1사이클로 해서 투여한다.
그리고, 환자의 NAT2 유전자 진단에 있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 질환, 예를 들면 암 등의 환자에게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NAT2의 대사능이 정상인 동물 모델과 비교해서, NAT2의 대사능을 억제한 동물 모델이나 동물종에 있어서, 암 등의 치료 효과가 양호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인간에게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관한 투여 방법을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약제의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효과의 주효성을 향상시킨, 특정 질환, 특히 암 등 에 대한 우수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더한 형태로서, NAT2 유전자 진단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 조성물은 특정 질환, 특히 암 등의 치료에 사용될 때에, 그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NAT2 유전자 진단은 NAT2 유전자 다형의 검사를 행하여,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AT2 유전자 진단은 종래 공지된 진단 방법, 예를 들면 후술하는 NAT2 유전자 다형의 해석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NAT2 유전자 진단은 유전자 검사나 유전자 진단을 제공하는 기업 등 검사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NAT2 유전자 진단은 NAT2 유전자 진단 키트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NAT2 유전자 진단 키트는 후술하는 NAT2 유전자 다형의 해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검체 채취 기구나 시약을 하나로 합친 것이다. 키트에 구비되는 시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PCR 효소액, 프라이머/프로브, dH2O, 양성 컨트롤 DNA, 및 컨트롤 희석용 전용 버퍼 등이 예시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NAT2 유전자 진단 또는 유전자 진단 키트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것들을 조합시켜서 사용함으로써,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의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 특히 암을 치료할 때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의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NAT2 유전자 진단 또는 유전자 진단 키트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한 특정 질환, 예를 들면 암 등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NAT2 유전자 다형의 측정과 조합하여, 이하의 투여 레지멘으로 암에 이환된 대상에게 투여할 수 있다.
(1)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을 동정해서 선택하고;
(2)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동정된 상기 대상에게 상기 의약 조성물을 투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NAT2 저해제와 병용하여, 질환, 예를 들면 암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NAT2 저해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노펜이 예시된다.
JPH203은 간 사이토솔에서 NAT2에 의해 신속하게 N-아세틸화를 받고, Nac-JPH203이 되지만, Nac-JPH203은 JPH203과 비교해서 LAT1에의 선택성 및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NAT2 저해제와의 병용에 의해 JPH203의 아세틸화를 억제하여 JPH203의 효과의 유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과 NAT2 저해제의 사용량으로서는 각각의 유효량이 사용되고, 투여 대상, 투여 루트, 질환, 조합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과 NAT2 저해제의 투여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과 NAT2 저해제를 투여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투여해도 좋고, 시간차를 두고서 투여해도 좋다.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NAT2 저해제와 병용함으로써, 각각의 투여량을 경감할 수 있고, 치료 기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고, 상승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BNCT(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와의 병용
또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은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과 병용하여 암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에 사용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붕소화 아미노산이 예시되고, 특히 붕소화 페닐알라닌(BPA)(상표명: 보로팔란 B10)이 추장된다.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은 붕소화 아미노산을 중성자선 조사와 병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붕소화 아미노산(예를 들면, 붕소화 페닐알라닌 BPA)을 체내에 주입하고, 암 세포에 도입한다. 이때, BPA는 LAT1을 통해서 암 세포에 도입된다. 거기에, 중성자선을 조사하면 암 세포 내에서 핵분열이 일어나 세포 파괴가 일어난다. 그러나, BPA는 암 세포로부터 LAT1을 통해서 배출되기 쉬우므로, BPA의 대량 투여가 필요하다. 한편, BPA는 대량 투여하면 정상 세포에도 도입된다. 그 결과, 주위의 정상 세포에 영향을 미치고, 부작용을 일으킴과 아울러, 대사·배설하는 장기의 신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을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과 병용함으로써 BPA를 효율적으로 암 세포에 봉입하고, 그것에 의해 BPA 투여량을 저감하고, 정상 세포에의 영향(=부작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Jutabha 등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Volume 130, Issue 3, Supplement(제89회 일본약리학회 연회 초록집) 3-O-84).
즉, Jutabha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BPA는 암 세포 표면의 LAT1을 통해서 세포 내로 도입된다. 그 상태에서는, BPA는 LAT1에 의해 세포 밖으로 배출도 된다. BPA가 암 세포에 도입된 후, 암 세포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JPH203을 투여함으로써 LAT1을 커버해서 BPA를 암 세포 내에 봉입할 수 있다(BPA와 JPH203 투여의 시간차가 중요해진다). 그 때문에, BPA의 투여량이 적어도 암 세포를 효율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즉, BPA의 봉입에 대하여 JPH203은 효과가 있다. Nac-JPH203은 JPH203보다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낮기 때문에, NAT2 Rapid type보다 NAT2 non-Rapid type에서 효과가 높다고 생각된다.
현재의 표준적인 BPA의 투여 방법은 정맥 내 점적 투여로 중성자 조사 전에 200mg/kg/h의 속도로 2시간 투여하고, 조사 동안에는 100mg/kg의 양을 조사 종료 시간에 맞춰서 약 100mg/kg/h의 일정 속도로 투여한다. 암 세포 내의 BPA를 지나치게 높은 농도로 유지하도록 목표를 설정하면, 세포 외 간질의 농도가 높아져서 정상 세포에의 영향도 증대된다. JPH203의 투여의 타이밍은 중성자 조사 전에 BPA를 100∼200mg/kg/h로 30분∼1시간의 정맥 내 점적 투여를 종료한 후, 즉시 JPH203을 10∼25mg/kg/h의 속도로 정맥 내 점적 투여한다. 이 JPH203 투여 개시 15∼30분 후로부터 중성자선을 조사한다.
또한, BPA는 국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 세포 표면의 LAT2를 통해서 정상 세포 내에도 도입되지만, LAT1과 비교해서 LAT2의 도입 효율은 낮다. JPH203은 LAT1에만 커버되므로, 암 세포 내의 BPA는 중성자 조사 개시 시에는 충분히 높은 농도로 계속 봉입된다.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과 병용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투여 레지멘이 추장된다.
예를 들면, 암 환자에게 BPA로서 1시간당 200mg/kg의 속도로 1시간 점적 정맥 주사한다. 여기서, BPA의 투여를 중지하고, 즉시 JPH203을 10∼20mg/kg/h로 정맥 내 투여를 개시하고, 30분 후로부터 중성자선의 조사를 개시하고, 조사 동안에는 JPH203의 정맥 내 점적 투여는 조사 종료까지 지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과 붕소 중성자 포착 요법의 조합에 대하여, 상기 NAT2 유전자 다형의 측정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그러한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투약 레지멘이 예시된다;
(1)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을 동정해서 선택하고;
(2) 붕소 함유 화합물을 상기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동정된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3) 상기 의약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한다.
실시예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것들에 있어서의 각종 변경 및 개변이 당업자에 의해,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실시예 1
사용 약제: JPH203-SBECD(유효 성분으로서 50mg)을 주사용수 9.7㎖에 용해시켜 50mg/10㎖ 농도로 하고, 최종적으로 환자의 체표면적에 따라 전량 100㎖로 한다.
표준적 치료법이 무효 또는 불내의 상태에 있는 진행기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해서, JPH203-SBECD(12, 25, 40, 60, 85mg/㎡)의 안전성의 평가 및 차상에 있어서의 권장 용량의 결정 및 약물 동태의 해석을 목적으로 비대조 비맹검 국내 제I상 시험을 실시했다. 치험약은 12mg/㎡를 초회 투여량으로 해서 Fibonacci 변법에 준해서 증량하는 5레벨(12, 25, 40, 60, 85mg/㎡)을 설정했다. 동의 취득으로부터 28일 이내에 등록된 3명의 피험자를 레벨마다 대상으로 해서 등록 후 4일 이내에 단회 투여를 행했다. 1예째의 피험자가 단회 투여를 받은 후, 최초의 7일간 반복 투여(사이클 1)의 1일째의 투여 개시 전 검사의 결과로부터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이 확인된 시점에서 2예째 이후의 투여를 개시했다.
단회 투여를 받고, 건강 상태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서, 단회 투여의 7일후 이후로부터 중지 기준에 이르기까지, 치험약을 반복 투여하는 사이클을 계속했다. 또한, 1예째의 피험자가 사이클 1의 7일째의 투여 개시 후 49.5시간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이 확인된 시점에서 2예째 이후의 투여를 개시했다.
피험자는 단회 투여 및 사이클 1(1일 1회, 7일간)에서는 전량을 100㎖의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 적절한 수액제로 했을 때에 목적의 용량이 되도록 조제된 치험약을 파이널 필터(포어 사이즈 0.22㎛)를 포함하는 점적 회로 및 정량 펌프를 통해서 90분에 걸쳐서 정맥 내에 지속 투여를 받았다. 사이클 2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피험자는 1일 1회, 7일간, 사이클 1과 같은 용법·용량으로 목적의 농도가 되도록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 적절한 수액제로 조제된 치험약의 투여를 받았다.
그 결과, 담도암 환자 5예에 대하여 부분 주효(PR) 1예, 안정(SD) 2예(전체 주효율 20.0%, 병세 컨트롤률 60.0%)가 확인되어, 담도암 환자에 대한 본 제의 유효성이 시사되어 있다. 안전성에서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유해 사상 및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인용성에 문제는 없고, 담도암 환자에 대한 일정한 유효성이 기대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 제I상 시험에서 얻어진 약물 동태 파라미터 해석 결과로부터, 체표면적당 같은 투여량을 투여한 피험자간에 있어서, 혈액 및 뇨중의 N아세틸화체(Nac-JPH203) 농도의 개인차가 큰 것이 확인되었다. JPH203은 정맥 내 투여된 후, 간 트랜스포터인 유기 음이온 트랜스포터(OATP)에 의해 간세포 중에 도입된다. 간세포에 도입된 JPH203은 간세포 중의 NAT2에 의해 Nac-JPH203으로 변화되고, 담즙 배설 트랜스포터에 의해 담즙 중에 배설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뇨중의 Nac-JPH203 농도의 개인차는 JPH203의 생체 내 대사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NAT2의 아세틸화의 속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찰되었다.
약물 동태 해석
피험자로부터 혈액(전혈) 및 뇨를 채취했다. 농도 측정에 사용한 전혈은 투여 개시로부터 0.5, 1, 1.5, 2, 3, 4.5, 6, 12, 25.5, 49.5시간 후에 채취했다. 농도 측정에 사용한 뇨는 투여 개시로부터 0-3, 3-6, 6-12, 12-25.5시간마다 축뇨에서 채취했다. 혈중·뇨중의 JHP203 농도 및 그 아세틸체인 Nac-JPH203 농도를, 밸리데이션된 LC-MS/MS의 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혈중 JPH203 농도 및 Nac-JPH203 농도를 이용하여, 약물 동태 파라미터를 산출했다. 그 중 AUC0-∞를 이용하여, 각 피험자의 혈중의 Nac-JPH203과 JPH203의 비를 구했다. 또한, 피험자마다 투여 개시로부터 25.5시간까지 채취한 뇨중에 포함되는 JPH203 및 Nac-JPH203의 질량의 합계를 구하고, 각 피험자에 있어서의 뇨중의 Nac-JPH203과 JPH203의 비를 구했다.
NAT2 유전자 다형의 측정
NAT2 유전자 다형의 측정은 이하의 리얼타임 PCR법 또는 Luminex System을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NAT2에 관해서 하기 7종류의 SNPs를 해석 대상으로 한다.
[표 1]
Figure pct00002
리얼타임 PCR법
하기 방법을 따라 리얼타임 PCR법으로 측정한다. 또한, 프로토콜의 상세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i)NAT2의 DNA 농도를 측정한 후, 해석 대상 SNPs 7종을 포함하는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Forward Primer 2종 및 Reveres Primer 1종을 설계한다.
(ii) 이들 PC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조건을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PCR 프라이머 세트 및 PCR 조건을 결정한다. 그 후, 결정한 조건에 따라, 게놈 DNA에 대해서 생어 시퀀싱법에 의한 배열 해석을 실시한다.
(iii)PCR 후, PCR 산물의 정제 및 캐필러리 시퀀서에 의한 측정을 행한다. 시퀸스 프라이머에는 PCR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PCR 산물의 양측으로부터 시퀸싱을 실시한다.
Luminex System을 사용하는 방법
하기 방법에 따라 Luminex System법으로 측정한다. 또한, 프로토콜의 상세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도 가능해진다.
(i)NAT2의 해석 대상이 되는 7SNPs에 대응하는 프로브 고상 비즈를 작성한다.
(ii) 비오틴 표지 프라이머에서 NAT2 유전자를 증폭시킨다. 이 PCR 증폭 산물을 프로브와 결합시켜, SA-PE로 형광 표지한다.
(iii) Luminex System에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해석 소프트웨어에서 NAT2 유전자의 타입을 표시한다.
NAT2 유전자 다형의 해석
NAT2 유전자 다형의 검사는 이하와 같이 실시했다. 제I상 시험 시의 혈액 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NAT2의 유전자 다형에 따라, 각 SNP의 정보로부터 Phenotype을 분류했다. 방법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DNA의 추출은 전혈 200㎕를 AE buffer 100㎕에 용출 후, QIAamp DNA Blood Mini kit(등록상표)(QIAGEN K.K.)를 사용하여 행했다. NAT2를 코딩하는 부위에 있는 SNP과 관련되는 얼릴 및 하플로타입의 측정에는 초미량 분광 광도계(Nano Drop 2000(등록상표),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했다(농도는 5ng/㎕로 조정). 유전자 다형 해석은 TaqMan(등록상표) SNP Genotyping assay를 사용했다(반응 용량 5㎕). SNP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PCR 프라이머와 형광 프로브는 Primer Express(상표)(Applied Biosystems, CA, USA)를 사용하여 디자인했다. 형광 프로브는 리포터 색소(carboxyfluorescein 또는 VIC(등록상표), Applied Biosystems)에 의해 레이블링해 두고, 7개의 NAT2 SNP(rs1801279(191G>A), rs1041983(282C>T), rs1801280(341T>C), rs1799929(481C>T), rs1799930(590G>A), rs1208(803A>G) 및 rs1799931(857G>A))에 있는 2개의 염기 중 1개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도록 했다. PCR의 반응 조건은 95℃에서 10분으로 계속되고, 92℃에서 15초와 60℃에서 90초를 50사이클 행했다.
NAT2의 유전자 다형을 대표하는 7개의 SNP(481C>T, 282C>T, 857G>A, 803A>G, 341T>C, 590G>A, 191G>A)에 대해서 제I상 시험에 참가한 16예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2-SNP, 3-SNP, 4-SNP의 조합(표 2-1)으로 NAT2의 아세틸화의 표현형(Phenotype)을 해석한 결과, 아세틸화가 빠른 타입(Rapid)은 모두가 표준 하플로타입인 NAT2*4의 호모 접합체로 구성되고, 아세틸화 속도가 중간인 타입(Intermediate)은 어느 하나의 하플로타입이 변이된 헤테로 접합체, 그리고 아세틸화가 느린 타입(Slow)은 모두가 변이 하플로타입의 호모 접합체나 2개 이상의 변이 하플로타입의 헤테로 접합체의 조합이다(표 2-2).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NAT2 유전자형 해석에 의한 표현형의 분류
16예의 피험자의 NAT2 SNP 표현형은 암종(대장암, 담도암, 췌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에 관계없이 2-SNP, 3-SNP, 4-SNP 중 어느 조합에서도 일치한 결과였다. 표 3에 그 결과의 상세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5
SD: 안정(종상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
PD: 부분 주효(종상의 크기의 합이 20% 이상 증가 또한 절대값으로도 5㎜ 이상 증가한 상태, 또는 새병변이 출현한 상태)
PAAD: 췌장암(Pancreas Adenocarcinoma)
CHOL: 담도암(Cholangiocarcinoma)
COAD: 대장암(Colon Adenocarcinoma)
BRCA: 유방암(Breast Adenocarcinoma)
ESCA: 식도암(Esophageal Carcinoma)
NAT2 표현형과 임상 결과(안전성, 유효성)의 관계
16예의 개체의 Nac-JPH203/JPH203 농도비의 불균일을 NAT2의 Rapid 타입, Intermediate 타입, 및 Slow 타입으로 분류해 보면, 대사물 Nac-JPH203이 많은 타입은 NAT2 Rapid 타입이며, 반대로 대사물이 적은 개체는 NAT2 Slow 타입이었다. 이들 NAT2 Rapid군 중 Nac-JPH203 비율이 높은 4예에서 간기능 검사값의 상승이 확인되고, 그 중 2예는 DLT(Dose Limiting Toxicity)로 판단되었다. 이들 환자는 대장암 2예, 식도암 1예, 췌장암 1예이며, 담도암 환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즉, NAT2 Rapid 타입을 갖는 암 환자에서는 JPH203 투여에 의한 간기능 장해의 값이 높았다.
JPH203 투여 환자의 임상 유효성을 DCR(Disease Control Rate)로 평가한 바, 개선(PR 또는 SD)을 나타낸 환자수는 전체 16예 중 NAT2 Rapid군 8예 중 1예(12.5%), NAT2 Non-Rapid(Slow 및 Intermediate)군 8예 중 4예(50%)였다. 담도암 환자에서만(BDC: 전체 5예)에서는 NAT2 Rapid군 1예 중 0예(0%), Non-Rapid군 4예 중 3예(75%)가 개선을 나타냈다(표 4).
무증악 생존 기간(PFS)에 관해서는 Kaplan-Meier법으로 생존 곡선을 작성하고, 무증악 생존 기간의 중앙값 및 그 95% 신뢰 구간에 대해서 산출한 결과, 중앙값은 37.0일이었다(CSR 11.4.1 유효성의 해석). 이 중, NAT2 Rapid군의 PFS 중앙값은 32일, NAT2 Non-Rapid군은 58일이었다. 덧붙여서, 담도암 환자 5예 중 4예의 NAT2 Non-Rapid군의 PFS 중앙값은 99.5일이었다. 전체 생존 기간(OS)에서는 16예 전체의 중앙값은 3.5개월, 그 중 NAT2 Rapid군에서는 2.5개월, NAT2 Non-Rapid군(4예의 담도암)에서는 6개월이었다. 양 군간에 유의차를 확인했다.
[표 4]
Figure pct00006
JPH203은 간장에 도입되어 대사된다. 간장에 도입된 JPH203은 아세틸화되어서 N-acetyl-JPH203(Nac-JPH203)으로 변환되고, Nac-JPH203은 혈류 속도에 의존해서 대외로 배출된다. JPH203이나 Nac-JPH203이나 OATP(유기 음이온 트랜스포터)에 의해 간세포로 도입되고, 간세포로부터의 배출은 Mrp2(다제 내성 단백질: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 2)에 의해 행해진다. OATP1B1에 의한 JPH203(Nac-JPH203)의 도입 속도는 Mrp2에 의한 배출 속도보다 작으므로, JPH203의 대사의 율속이 되는 것은 도입 과정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랫트), 인간에서는 간혈류 속도와의 관계에서 간세포에서의 체류가 많아, 도입된 후의 세포 내에서의 대사(NAT2에 의한 아세틸화의 과정)가 율속 단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I상 시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NAT2를 7개의 SNP에서 해석하고, 2-SNPs, 3-SNPs, 4-SNPs의 어느 조합에서 보아도 피험자 개개의 NAT2의 Phenotype(아세틸화 속도: Rapid, Intermediate, 및 Slow)은 일치한 결과를 나타냈다(표 3).
금번 제I상 시험에 참가한 17예의 Nac-JPH203/JPH203 비율은 혈중과 뇨중에서 거의 상관되었기 때문에, JPH203은 간장에서 대사된 후, 그 농도에 따라 혈액 중으로 배출되고, 신장으로부터 수동적으로 뇨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단, 1예는 해석의 단계에서 뇨중의 농도 결과가 이용될 수 없었으므로 제외하고 있다). 16예 중, Nac-JPH203/JPH203비가 높은 증례는 모두 NAT2 Rapid 타입의 환자였다. 그 중에서도, Nac-JPH203 생산 비율이 높았던 상위 4예에서는 간기능 검사값의 상승이 확인되고, 그 중 2예는 DLT로 판단되었다. Nac-JPH203 대사물의 독성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한 부분이 많지만, 랫트나 인간과 비교해서 NAT2가 결손되어 있는 개에 있어서의 JPH203의 4주간의 반복 투여 시험에서 간장이나 신장 등에의 조직학적 변화가 랫트와 비교해서 경미했던 것은 이 임상 성적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한편, 유효성에 관해서, NAT2 Rapid군 8예 중 1예(대장암)가 SD를 나타낸(12.5%) 것에 대하여, NAT2 Non-Rapid군 8예 중 4예가 PR 또는 SD를 나타냈다(50%). 전체 생존 기간은 NAT2 Rapid군과 비교해서 NAT2 Non-Rapid군에서 유의하게 길고, 무증악 생존 기간(PFS)의 중앙값도 NAT2 Rapid군과 비교해서 NAT2 Non-Rapid군에서는 약 2배 길었다. 이들의 유효성이 시사된 4증례 중 3예는 담도암이었기 때문에 NAT2에 의한 대사가 서서히 진행되고, JPH203의 국소 농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는 조직에서는 JPH203의 유효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NAT2 Rapid군 중에서도 증례 102, 104, 403은 최종적으로는 PD였지만, PFS는 NAT2 Rapid군 중에서는 길었다. 이들 증례의 혈액 중의 Nac-JPH203/JPH203 비율은 비교적 낮고, JPH203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관해서, NAT2 Rapid군 중에 있어서는 우위에 있었던 것이 추측된다.
따라서, NAT2의 SNP 해석은 JPH203의 치료가 유효한 대상(암 등의 환자)을 특정하고, 그 항종양 활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컴패니언 진단」으로서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JPH203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관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환자에의 투여가 우위인 것은, 또한 미리 치료 대상 환자를 Non-Rapid형 유전자를 갖는 군과, Rapid형 유전자를 갖는 군으로 분류하고 나서 시험을 행하는 무작위화 비교 대조 시험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험에 있어서, JPH203은, 예를 들면 25mg/㎡, 5일간 연속 투여, 9일간 휴약, 14일을 기본적인 1사이클로 해서 투여되고, 피험자마다 할당된 치험약의 전량(100㎖), 시린지 펌프 또는 수액 펌프를 이용하여 90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한다.
데이터 해석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맹검 하 독립 중앙 평가에 의거한 무증악 생존 기간에 대해서, 치험약을 1회라도 투여하여, 유효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서, NAT2의 대사 타입(Rapid 타입, Non-Rapid 타입) 각각에 Cox비예 해저드 모델을 이용하여 각 집단(Rapid 타입, Non-Rapid 타입)에 있어서의 해저드비와 그 95% 신뢰 구간을 산출하고, 또한 투여군과 NAT2 대사 타입의 교호 작용항을 포함시킨 Cox비예 해저드 모델에 의해 교호 작용항에 대한 p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생존 기간에 대해서, NAT2의 대사 타입(Rapid 타입, Non-Rapid 타입) 각각에, Cox비예 해저드 모델을 이용하여 각 집단(Rapid 타입, Non-Rapid 타입)에 있어서의 해저드비와 그 95% 신뢰 구간을 산출하고, 또한 투여군과 NAT2 대사 타입의 교호 작용항을 포함시킨 Cox비예 해저드 모델에 의해 교호 작용항에 대한 p값을 산출한다. 또한, 의사의 평가에 의거한 무증악 생존 기간에 대해서, NAT2의 대사 타입(Rapid 타입, Non-Rapid 타입) 각각에 치험 책임(분담) 의사의 평가에 의거한 무증악 생존 기간(PFS)에 대해서, Cox비예 해저드 모델을 이용하여 각 집단(Rapid 타입, Non-Rapid 타입)에 있어서의 해저드비와 그 95% 신뢰 구간을 산출하고, 또한 투여군과 NAT2 대사 타입의 교호 작용항을 포함시킨 Cox비예 해저드 모델에 의해 교호 작용항에 대한 p값을 산출한다.
실시예 2
JPH203과 NAT2 저해제의 병용 실험
NAT2 저해제인 아세트아미노펜(APAP) 투여에 의해, 혈장 중, 간장 중의 JPH203 농도가 상승하는지, 또한 그 대사물인 Nac-JPH203 농도가 저하되는지를 평가한다.
사용한 동물은 수컷의 SD 랫트 8주령이고, 1.20nmol/(분·kg)의 JPH203을 투여했다. 생리식염수로 이 농도까지 희석하고, 투여 속도는 20㎕/분이다. 500, 1500mg/kg의 아세트아미노펜을 JPH203의 투여 30분 전에 투여했다(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 채혈 시점은 JPH203의 투여 후 0(블랭크), 30, 60, 120, 180, 240분으로 했다. 또한, 채취하는 샘플량은 혈장으로서 0.2㎖, 혈액으로서 약 0.4㎖를 채취하고, 간장, 신장, 뇌 그리고 CSF를 채취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JPH203과 NAT2 저해제의 병용에 의해, JPH203 단독에서의 사용과 비교해서, 랫트 혈중의 Nac-JPH203/JPH203의 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JPH203의 대사 속도가 늦어지고, 나아가서는 JPH203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서 JPH203의 효과를 유지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대표적인 암 세포로서 췌장암 유래 세포 T3M4를 사용하고, 상기 세포에 BPA를 첨가하고, 15분 후에 10μM JPH203을 첨가하고, 세포 내에 봉입된 BPA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JPH203 비첨가(●)의 경우, BPA는 경시에 따라 세포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세포 내 농도가 감소한다. 한편, JPH203 첨가(■)의 경우, JPH203에 의해 BPA의 배출이 억제되기 때문에 세포 내 농도가 유지되어, 30분 후에는 양자의 세포 내 농도는 10배 정도의 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의해, 약제의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효과의 주효성을 향상시킨 암 등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대상의 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암 질환이 담도암, 대장암, 췌장암, 식도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방광암, 뇌종양, 위암, 간장암, 피부암, 융모암, 신장암, 두경부암, 설암, 전이성암 및 침윤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암 질환이 담도암, 대장암, 췌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일정 기간 연속 투여에 계속되는 일정 기간의 휴약을 1사이클로 해서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5일간의 연속 투여에 계속되는 9일간의 총 14일의 휴약을 1사이클로 해서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1∼60mg/㎡로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12.5∼60mg/㎡로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12.5∼25mg/㎡로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량의 의약 조성물이 일정 시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100㎖의 의약 조성물이 90분에 걸쳐서 정맥 내 지속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11.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의 암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진단 또는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진단 또는 예측하는 방법.
  12.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이 특정의 암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 대상의 NAT2 유전자에 있어서 Non-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유전자 진단 키트.
  13. 제 12 항에 기재된 유전자 진단 키트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4. NAT2 유전자 진단과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5. 대상의 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NAT2 저해제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의약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NAT2 저해제가 아세트아미노펜인 의약 조성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Rapid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에게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18. 대상에 있어서의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O-(5-아미노-2-페닐벤즈옥사졸-7-일)메틸-3,5-디클로로-L-티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하기 레지멘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1)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상기 대상을 동정해서 선택하고;
    (2) 붕소 함유 화합물을, 상기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Non-Rapid(Slow 및/또는 Intermediate)형의 NAT2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동정된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3) 상기 의약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한다.
  19.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을 투여 후에 중성자 포착 요법(BNCT)에 의해 암을 더욱 사멸시키는 의약 조성물.
  20. 대상이 인간인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키트.
KR1020227007268A 2019-08-30 2020-08-31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KR20220054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8681 2019-08-30
JP2019158681 2019-08-30
PCT/JP2020/032828 WO2021040042A1 (ja) 2019-08-30 2020-08-31 特定の遺伝子マーカーを有する患者に用いるがん治療用の医薬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312A true KR20220054312A (ko) 2022-05-02

Family

ID=746842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268A KR20220054312A (ko) 2019-08-30 2020-08-31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KR1020227007270A KR20220054603A (ko) 2019-08-30 2020-08-31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의약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270A KR20220054603A (ko) 2019-08-30 2020-08-31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220288036A1 (ko)
EP (2) EP4023296A1 (ko)
JP (3) JP6894155B2 (ko)
KR (2) KR20220054312A (ko)
CN (2) CN114340621A (ko)
BR (2) BR112022003220A2 (ko)
CA (2) CA3152369A1 (ko)
MX (2) MX2022002316A (ko)
TW (2) TW202122081A (ko)
WO (2) WO2021040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03B1 (ko) * 2017-11-07 2021-11-19 제이 파마 가부시끼가이샤 항pd-1 항체 혹은 항pd-l1 항체 요법의 주효성을 예측하는 방법, 암의 악성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항pd-1 항체 혹은 항pd-l1 항체 요법의 주효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WO2019130637A1 (ja) * 2017-12-28 2019-07-04 ジェイファーマ株式会社 がん治療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1537A1 (ja) 2006-12-28 2008-07-10 Human Cell Systems, Inc. Lat1阻害活性を有する芳香族アミノ酸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lat1阻害活性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4775A1 (en) * 2004-01-30 2005-08-18 Chemgenex Pharmaceuticals, Inc. Naphthalimide dosing by n-acetyl transferase genotyping
JP2007209286A (ja) * 2006-02-10 2007-08-23 Sutaagen:Kk St合剤の副作用の危険性の判定方法
JP5470665B1 (ja) * 2013-08-20 2014-04-16 ジェイファーマ株式会社 免疫抑制剤
JP6755457B2 (ja) * 2016-04-08 2020-09-16 株式会社Cics 合成アミノ酸の癌細胞内取り込みを保持する修飾法と正常細胞を保護する中性子捕捉療法
EP3860639B1 (en) * 2018-10-02 2023-12-06 Georgetown University An inhibitor of slc7a5 or lat1 for use in promoting remyelination of neur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1537A1 (ja) 2006-12-28 2008-07-10 Human Cell Systems, Inc. Lat1阻害活性を有する芳香族アミノ酸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lat1阻害活性剤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ug Metab Pharmacokinet. 2012년; 27(1): 155-61페이지
J. Rheumatol. 2002년, Dec; 29(12): 2492-2499페이지
Jutabha 등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Volume 130, Issue 3, Supplement(제89회 일본약리학회 연회 초록집)
Pharmacogenomics, 13권: 31-41페이지, 2012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3298A4 (en) 2024-01-03
CA3152367A1 (en) 2021-03-04
MX2022002312A (es) 2022-06-02
MX2022002316A (es) 2022-06-02
KR20220054603A (ko) 2022-05-03
BR112022003220A2 (pt) 2022-05-17
WO2021040042A1 (ja) 2021-03-04
TW202122080A (zh) 2021-06-16
JP2021038214A (ja) 2021-03-11
JP2021121634A (ja) 2021-08-26
JP6894155B2 (ja) 2021-06-23
EP4023296A1 (en) 2022-07-06
EP4023298A1 (en) 2022-07-06
BR112022002894A2 (pt) 2022-05-10
WO2021040043A1 (ja) 2021-03-04
CN114340621A (zh) 2022-04-12
CN114364381A (zh) 2022-04-15
US20220288036A1 (en) 2022-09-15
TW202122081A (zh) 2021-06-16
CA3152369A1 (en) 2021-03-04
JPWO2021040043A1 (ko) 2021-03-04
US20220288035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805B2 (ja) がんを処置する方法
Bhandari et al. Oxygen nanobubbles revert hypoxia by methylation programming
Milano et al. Liposomal irinotecan (Onivyde): Exemplifying the benefits of nanotherapeutic drugs
CN106211755A (zh) 使用erk和raf抑制剂的组合的癌症治疗
JP2019531699A (ja) Nrf2及びその遺伝子の下流標的遺伝子の発現状態及び変異状態によるがんの診断及び治療方法
Guo et al. Polymorphisms of UGT1A9 and UGT2B7 influence the pharmacokinetics of mycophenolic acid after a single oral dose in healthy Chinese volunteers
KR20220054312A (ko) 특정의 유전자 마커를 갖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
CN105008394A (zh) 治疗结肠直肠癌的方法
CN106659705A (zh) 通过prostratin靶向k‑ras介导的信号转导通路和恶性肿瘤
US8859502B2 (en) Therapy for MLL-rearranged leukemia
AU2012316266B2 (en) Combination therapy for chemoresistant cancers
EP1514116B9 (fr) Procédé de anti-resistance a l'oxaliplatine
Arab et al. An overview of current therapeutic strategies for glioblastoma and the role of CD73 as an alternative curative approach
KR20240004519A (ko) 면역관문 억제제와 함께 akr1c3-활성화 화합물을 사용하는 병용 요법
TW202021626A (zh) 辨識有可能受益於以端粒酶抑制劑治療之患者的方法
WO202008173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intestinal stem cell regeneration
US20160038526A1 (en)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WO2023008511A1 (ja) Bap1およびpbrm1の少なくとも1つの機能低下を有する腫瘍に対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抗腫瘍剤
AU2022378576A1 (en) Endoxifen for treatment of cancers
WO2024091551A1 (en) Crystalline form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ahna et al. 2. CAPÍTULO 1–PHARMACOKINETIC AND PHARMACOGENETIC MARKERS OF IRINOTECAN TOXICITY
JP2022513375A (ja) NAMPTi感受性のバイオマーカーとしてのPPM1D変異の同定法
Marisetty et al. TMIC-13. ELUCIDATION OF MicroRNA-OSTEOPONTIN CIRCUIT IN GLIOBLASTOMA ASSOCIATED INFILTRATING MACROPHAGES
van Waterschoot et al. MDR1, MRP2 and MRP3, but not CYP3A, protect against trabectedin-mediated hepatotoxicity
JP2009011249A (ja) 胃を原発巣とする消化管間質腫瘍の悪性化の診断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