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900A - 열교환 소자용 시트 - Google Patents

열교환 소자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900A
KR20220044900A KR1020217037319A KR20217037319A KR20220044900A KR 20220044900 A KR20220044900 A KR 20220044900A KR 1020217037319 A KR1020217037319 A KR 1020217037319A KR 20217037319 A KR20217037319 A KR 20217037319A KR 20220044900 A KR20220044900 A KR 20220044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sheet
resin layer
mass
exchang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니시오카
타이라 오모리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15Heat and mass exchangers, e.g. with permea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development of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기체 차폐성을 갖고, 높은 곰팡이 저항성을 갖고, 고습도 조건하에서도 사용 가능한 내수성을 가지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다공질 기재 및 수지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서,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교환 소자 용 시트의 상기 제 1 면측의 최표층은 수지층이고,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수지층은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이다.

Description

열교환 소자용 시트
본 발명은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주택·건축물의 환기 설비의 에너지 절약 부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열교환기는 실내와 실외로부터의 공기 유로, 열교환 소자,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이 열교환 소자 내에서,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실외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이행시켜, 실내로 되돌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열교환 소자의 구성은 라이너 시트와 콜게이트 시트의 2종류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라이너 시트는, 열교환 소자의 온도 교환 효율, 습도 교환 효율, 유효 환기량률을 높이기 위해서 열전달성, 투습도, 기체 차폐성이 요구되고 있고, 그 성능을 높이는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들 열교환기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는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기능(이하,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기능」을 「곰팡이 저항성」이라고 칭할 경우가 있다)이 요구되고 있다. 곰팡이 저항성을 가지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서는, 습식 부직포의 일종인 종이에 곰팡이 방지제를 함침 가공에 의해 부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특허문헌 1)이나, 무기계의 항균제를 섞어 넣은 펄프 슬러리를 초지해서 얻은 습식 부직포의 일종인 종이를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 한 것(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한편, 기체 차폐성과 열전달성, 투습도가 우수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서, 다공성 필름의 편면에 친수성 수지막을 형성한 것(특허문헌 3)이 알려져 있다. 상기 친수성 수지막은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기체 차폐성을 부여하고,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것이며,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기체 차폐성 및 투습도가 우수한 것으로 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6-292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664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020779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는 곰팡이 방지제 또는 항균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곰팡이 저항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습식 부직포의 일종인 종이를 기재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체 차폐성이 충분하지는 않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종이를 기재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재인 종이의 내수성이 낮으므로,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는, 고습도 조건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가 수분에 의해 유연해져, 열교환 소자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즉,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는 기체 차폐성 및 형태 유지성이 떨어진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제의 다공성 필름을 기재로서 채용하고 있고, 기재인 다공성 필름의 세공을 친수성 수지막으로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기체 차폐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친수성 수지막은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투습성도 우수하다. 또한, 수지제의 다공성 필름을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내수성이 높고,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는 고습도 조건하에서 사용했을 경우라도 형상 변화가 억제된다. 그러나, 한편, 특허문헌 3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곰팡이 저항성에 떨어진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기체 차폐성 및 형태 유지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또한, 곰팡이 저항성도 우수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1) 다공질 기재 및 수지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서,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상기 제 1 면측의 최표층은 수지층이며,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수지층은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
(2) 상기 곰팡이 방지제는 고형물인 (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
(3)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입자형상이며, 상기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이 10㎚ 이상 10000㎚ 이하인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
(4)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과 수지층의 두께의 비(항곰팡이제의 직경/수지층의 두께)가 0.5~10인 (3)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
(5)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상기 제 1 면에 노출되어 있는 (1)~(4)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
(6)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피리치온계 화합물,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은계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1)~(5)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
(7) 상기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이 수지층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이며, 또한, 0.0005g/㎡ 이상 0.9g/㎡ 이하인 (1)~(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
(8) (1)~(7)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포액을 상기 다공질 기재의 일방의 면에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도포액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도포액이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조 방법,
(9) (1)~(7)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
(10) (9)의 열교환 소자를 사용한 열교환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기체 차폐성 및 형태 유지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또한, 곰팡이 저항성도 우수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2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3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다공질 기재 및 수지층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면측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최표층은 수지층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및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하,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라 칭할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다공질 기재에 존재하는 세공이 수지층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기체 차폐성은 우수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에 있어서는 급기와 배기는 확실하게 격리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다공질 기재의 세공을 폐색하고 있는 수지층이 흡습성 고분자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포함함으로써, 이 수지층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으로의 수증기의 이행이 담보된다. 이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는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측의 최표층이 수지층이며, 또한, 이 수지층이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다. 이 것에 의해,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곰팡이 방지제로부터 서방된 유효 성분(이하,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을 단지 「유효 성분」이라 칭할 경우가 있다)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까지 확산됨으로써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곰팡이 저항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곰팡이 방지제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이란 수지층측의 면이다. 여기에서, 곰팡이 방지제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유효 성분이 제 1 면의 위를 타고 효율적으로 제 1 면의 전체면으로 확산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보다 높은 곰팡이 저항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측의 최표층인 수지층에 포함되는 곰팡이 방지제가 고형물이었을 경우에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포개거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롤에 권취했을 때에, 인접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끼리의 블록킹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101)는 다공질 기재(102)에 적층된 수지층(103) 중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를 포함한다. 이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로부터 서방되는 유효 성분은 수지층(103)의 내부에 있어서 확산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까지 도달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이 발현된다.
도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2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101)는,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의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곰팡이 방지제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의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으면,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로부터 서방된 유효 성분은 수지층(103)의 내부를 확산하고 비교적으로 단시간으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도 3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3 실시형태예의 단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101)는,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의 일부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에 노출된 상태에서 수지층(103)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지층(103)에 유지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104)로부터 서방된 유효 성분은, 도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경우보다 더욱 단시간으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에 도달한다. 그리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105)에 도달한 유효 성분은, 이어서, 제 1 면(105)의 위를 타고 재빠르게 제 1 면(105)의 전체면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은 보다 한층 우수한 것으로 된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두께는 온도 교환 효율 및 열교환 소자로 했을 때의 압력 손실의 관점으로부터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교환 소자의 강도나 열교환 소자를 제작할 때의 핸들링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어느 정도 이상 두꺼운 편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두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9㎛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두께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은 3g/㎡ 이상이 바람직하고, 5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은 15g/㎡ 이하가 바람직하고, 10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을 상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고, 열 및 습도의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을 상술한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콜게이트 가공 등의 때의 열과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2 면측의 최표층도 수지층이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 2 면측의 최표층의 수지층은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측의 최표층의 수지층과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생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성도 우수하다는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측의 최표층만이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층 및 다공질 기재의 2층 구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질 기재는 투기도 및 투습도를 갖고, 미세한 관통 구멍을 다수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습도 환경에서의 강도 저하가 적은 것이나 박막화하기 쉬운 점으로부터 고분자 수지를 원료로 하는 다공질 기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공질 기재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불소계 수지 등 어느 것이라도 개의치 않는다. 생산 비용, 입수 용이함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3-메틸-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5-에틸-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알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보넨, 5-메틸-2-노보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독 중합체, 이들 단량체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이들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의 블렌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량체 성분 이외에도, 예를 들면 비닐알콜, 무수 말레산 등을 공중합해도 개의치 않는다.
특히 다공질 기재에 있어서, 중공률이나 세공 지름 등의 조정이나, 제막성, 생산 비용의 저감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g/㎡ 이하이며, 한편, 바람직하게는 1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g/㎡ 이상이다.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을 상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다공질 기재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고, 그것을 사용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열 및 습도의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을 상술한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포액의 도공 공정이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콜게이트 가공 등의 때의 열과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공질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한편,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다공질 기재의 두께를 상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열 및 습도의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질 기재의 두께를 상술한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공질 기재의 제 1 면에의 도포액의 도공이나, 그 다공질 기재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의 콜게이트 가공 등의 때의 열과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공질 기재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2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g/㎤ 이상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8.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g/㎤ 이하이다. 다공질 기재의 밀도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에 크게 영향을 주고, 그 밀도를 상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가 높아진다. 한편, 그 밀도를 상술한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포액의 도공 공정이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콜게이트 가공 등의 때의 열과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공질 기재의 중공률은,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다공질 기재의 중공률은 투습도와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고, 중공률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다공질 기재의 투습도는 향상되고, 그것을 사용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도 향상된다.
다공질 기재의 세공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다공질 기재의 세공 지름은 다공질 기재의 투습도와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고, 그 세공 지름을 상술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공질 기재의 투습도는 향상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도 향상된다. 한편, 그 세공 지름을 상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도포액의 도공 공정이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콜게이트 가공 등의 때의 열과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공질 기재의 투기도는, 바람직하게는 투기도 2500초/100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초/100ml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0초/100ml 이하이다. 투기도는 투습도와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고, 다공질 기재의 투기도가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는 향상된다.
다공질 기재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투습도 80g/㎡/hr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g/㎡/hr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g/㎡/hr 이상이다. 다공질 기재의 투습도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를 높이는 것으로 연결되고, 그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열교환 소자로 사용했을 때에, 습도 교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재를 제막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습식법이나 공지의 건식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공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중화제, 대전방지제나 유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활제, 또한 블록킹방지제나 충전제, 비상용성 폴리머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이력에 의한 산화 열화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계면활성제 함침, 표면 그래프트 등의 친수화 처리 등의 표면수식을 실시해도 좋다.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유량은, 수지층 전체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임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가 우수한 것으로 된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수지층의 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수지층이 폴리비닐피롤리돈과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의 양방을 함유할 경우에는, 상기 함유량은 폴리비닐피롤리돈과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의 합계의 함유량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에 있어서의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은, 수지층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3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0.0005g/㎡ 이상 0.9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이, 수지층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 이상이며, 또한, 0.0005g/㎡ 이상임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있어서 우수한 곰팡이 저항성이 균일하게 발현되는 것에 바람직하다. 이 관점으로부터,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이며, 또한, 0.002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이며, 또한, 0.008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이, 수지층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30질량% 이하이며, 또한, 0.9g/㎡ 이하임으로써 다공질 기재의 세공이 수지층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색되는 것에 바람직하다. 이 관점으로부터,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은, 20질량% 이하이며, 또한, 0.2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이며, 또한, 0.08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수지층은 높은 흡습성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수지층이 적층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높은 투습도를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흡습성은, 23℃의 온도 또한 75%RH의 습도의 때의 수분 흡수율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4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 4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분 흡수율이 상기 하한 이상에 있을 때 상기 수지층은 높은 흡습성을 얻을 수 있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높은 투습도를 얻을 수 있다. 수분 흡수율이 상기 상한 이하에 있을 때, 수지층의 흡습에 의한 팽윤을 억제할 수 있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높은 내수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은 N-비닐피롤리돈만이 중합된 폴리머이며,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는 주 모노머가 N-비닐피롤리돈이며, 코모노머로서 비닐아세테이트나 비닐카프로락탐 등이 공중합된 폴리머이다.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코모노머의 종류 및 함유비(코모노머/주 모노머)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용매에의 용해성이나 도포액의 물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액으로서 상기 다공질 기재에 도포했을 때에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점도로 하기 쉬운 점으로부터,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6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000 이상, 50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000 이상, 400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서는 BASF사제 "LuvitecK"(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로서는 "LuvitecVA"(등록상표) 시리즈, "Luvicap"(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적어도 일부는 가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가 고습도 조건하에서 사용되었을 경우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물로 세정했을 경우 등, 물과 접촉했을 때에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물에 녹아내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물과 접촉한 후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유량은, 물과 접촉하기 전의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유량과 비교해서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물과 접촉한 후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는, 물과 접촉하기 전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와 비교해서 거의 저하하지 않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내수성은 우수한 것으로 된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물에 녹아내리는 것이 억제되는 메커니즘으로서는,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적어도 일부가 가교 구조를 가짐으로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카르보닐기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 곰팡이 방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은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상기 곰팡이 방지제는 고형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형물이라는 것은, 물에 불용이고, 명확한 윤곽을 가지는 고체의 것을 말한다. 즉, 상기 고체를 물에 혼합하고, 농도 1질량%의 혼합액으로 한 상태에서, 레이저 회절법으로 레이저광의 산란이 일어나고, 입자 사이즈가 측정 가능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물에 불용이란, 25℃의 때 물 100g에 상기 고체를 1g 투입했을 때의 용해량이 0.01g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곰팡이 방지제를 수지층에 포함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은 곰팡이 저항성을 얻는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곰팡이 방지제가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은 이하 대로라고 추측한다. 즉, 곰팡이 방지제로부터 곰팡이의 육성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이 서방되고, 수지층의 내부로 곰팡이의 육성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이 서서히 확산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까지 유효 성분이 도달하고, 곰팡이의 육성을 억제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의 위에서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곰팡이의 육성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은, 이온이나, 부분적으로 전위가 치우쳐 있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곧 실활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계속해서 얻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이 곰팡이 방지제로부터 계속해서 서방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계속해서 공급될 필요가 있다.
곰팡이 방지제가 고형물인 경우, 곰팡이 방지제는 수지층의 중에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곰팡이 방지제는, 장기간, 수지층 중에 동일 농도로 계속해서 존재하고, 장기간에 걸쳐서 유효 성분을 계속해서 서방할 수 있어, 곰팡이의 발육을 장기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곰팡이 방지제가 고형물이면, 곰팡이 방지제의 일부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되기 쉽다.
따라서, 곰팡이를 억제하는 곰팡이 방지제로부터 서방된 유효 성분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보다 한층 도달하기 쉽고, 또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도달한 유효 성분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의 위를 타고 상기 제 1 면의 전체면에 퍼지기 쉽고, 상기 제 1 면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높은 곰팡이 저항성의 효과가 실현된다. 상기로부터 곰팡이 방지제는 고형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층에 포함되는 곰팡이 방지제가 액상물이나 겔형상물 등의 고형물이 아닌 곰팡이 방지제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고형물보다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 간의 분자간력이 약하다. 따라서, 액상물이나 겔형상물의 곰팡이 방지제는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와 비교해서, 보다 조기에 다량의 유효 성분을 방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곰팡이 방지제로부터 방출된 유효 성분은 곧 실활되게 된다.
따라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액상물이나 겔형상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비하여,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곰팡이 저항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액상물이나 겔형상물의 곰팡이 방지제는, 경시에 의해 수지층으로부터 상분리해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의 부근에 국재화할 경우가 있다. 상기 표면에 국재화한 곰팡이 방지제는, 물리적으로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부터 탈락하거나, 다량의 유효 성분을 보다 조기에 방출해 버릴 경우가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곰팡이 방지제는 액상물이나 겔형상물인 것 보다 고형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곰팡이 방지제가 수지층으로부터 상분리함으로써 수지층 중의 곰팡이 방지제의 농도는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수지층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발생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이 떨어진 것으로 될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곰팡이 방지제가 물에 불용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가 물과 접촉해도, 물에 불용인 곰팡이 방지제는 수지층 중에 유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물과 접촉한 후도 높은 곰팡이 저항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곰팡이 방지제가 고형물이었을 경우, 수지층의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수지층의 주 구성재로 될 수 있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끼리의 가교 구조나 수소결합 등의 화학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수지층의 내수성이나, 수지층의 찰과 등에 대한 물리적인 내구성은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표면적이 크고,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서방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곰팡이 방지제의 형상은 곰팡이 방지제의 장경(이하, 단지 장경이라 칭할 경우가 있다)/곰팡이 방지제의 단경(이하, 단지 단경이라 칭할 경우가 있다)의 비가 5 이하인 입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입자의 직경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수지층에 포함되었을 때에,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의 부근, 또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곰팡이 방지제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곰팡이 방지제가 수지층에 포함되게 되고,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입자형상의 곰팡이 방지제의 입자의 직경이 6,000㎚ 이하이면, 수지층이 다공질 기재의 세공을 폐색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바람직하다. 상기 이유로부터, 입자형상의 곰팡이 방지제의 입자의 직경은 4,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과 수지층의 두께의 비(항곰팡이제의 직경/수지층의 두께)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수지층에 포함되었을 때에,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의 부근, 또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곰팡이 방지제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과 수지층의 두께의 비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일 때,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와 수지층의 접착 면적이 커지고,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수지층에 고정되기 쉽고, 물리적인 외력 등으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탈락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곰팡이 방지제는, 곰팡이 저항성에 추가해서, 대장균이나 황색 포도구균 등의 균의 발육도 억제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곰팡이 방지제는 피리치온계 화합물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은계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저렴하게 입수하기 쉬운 점으로부터, 피리치온계 화합물을 포함한 곰팡이 방지제와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포함한 곰팡이 방지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피리치온계 화합물을 포함한 곰팡이 방지제로서는 오사카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마루카사이드"(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포함한 곰팡이 방지제로서는 스미카 인바이론먼털사이엔스 가부시키가이샤제 "네오신톨"(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은계 무기물을 포함한 곰팡이 방지제로서는, 은을 담지한 무기물이 바람직하고, 물질의 안정성이나 입수 용이함으로부터 은을 제올라이트에 담지한 은 담지 제올라이트나, 은을 인산 지르코늄에 담지한 은 담지 인산 지르코니아가 바람직하다. 은 담지 제올라이트로서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나넨 제오믹제 "제오믹"(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은 담지 인산 지르코니아로서는 토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노바론"(등록상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3)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비하는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UV개시제,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 난연제, 방부제, 난연제, 염료, 안료 등을 포함해도 좋다.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기체 차폐성이나 내수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우레탄 수지는 물에 불용이며,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의 수지만으로 수지층을 구성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높은 내수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는 강인하고 유연한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은 얇아도 강인하고, 다공질 기재에 존재하는 세공의 폐색성이 우수한 수지층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기체 차폐성은 우수한 것으로 된다. 아크릴 수지는 물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수지층 전체의 내수성이 향상한다. 또한, 아크릴 수지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가지는 아크릴레이트가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과 같은 아크릴 수지는 삼차원적 가교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지층의 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UV개시제를 첨가함으로써, 수지층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지층 중에 포함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가교할 수 있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내수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 표면의 활성을 바람직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면에 친수 처리를 실시한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수지층의 흡습성을 높일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방부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가 고습 환경하나 결로해서 젖은 상태에서의 사용될 경우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염료 또는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기호의 색조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이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층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점으로부터 열교환 소자용 시트 제작 공정 중의 결점 검사나 품질 관리가 용이해질 가능성이 있다.
(4) 수지층의 단위중량
수지층의 단위중량은 지나치게 적으면 다공질 기재에 존재하는 세공을 충분히 폐색할 수 없을 경우가 있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기체 차폐성을 손상할 경우가 있다.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를 손상할 경우가 있다. 상기의 점으로부터 수지층의 단위중량은 0.1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층의 단위중량은 3.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단위중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높은 기체 차폐성과 높은 투습성을 얻을 수 있다.
(5) 수지층의 형성 방법
상술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및 곰팡이 방지제,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나 용매를 함유하는 수지층 형성용의 도포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용매를 건조시킴으로써 기재 상에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용매로서 수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액의 용매에 수계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건조 공정에서의 용매의 급격한 증발을 억제할 수 있고, 균일한 막두께의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 부하의 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수계 용매로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등의 알콜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물에 가용인 용매를 예시할 수 있다.
도포액의 다공질 기재 상에의 도포 방법은, 기지의 웨트 코팅 방법, 예를 들면 분무 도장, 침지 코팅, 스핀 코팅, 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패드 인쇄, 기타 종류의 인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는, 복수회로 나누어서 행해도 좋고, 다른 2종류의 도포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바람직한 도포 방법은 웨트 코팅인 그라비아 코팅, 바 코팅, 슬롯 다이 코팅이다.
상기 도포 공정의 후, 건조 공정에서 도포된 도포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열풍을 다공질 기재에 대는 대류 열풍 건조, 적외선 건조 장치로부터의 복사로 기재에 적외선을 흡수시켜서 열로 바꾸어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복사열 건조, 열매체로 가열된 벽면으로부터의 열전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전도열 건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류 열풍 건조는 건조 속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는, 다공질 기재에 사용되는 수지의 융점 이하에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며, 건조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다공질 기재의 열에 의한 수축률이 5% 이하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층이 형성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다리를 가교시킬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1회만 행해도 또는 2회 이상 반복해서 행해도 좋다. 자외선 조사를 행할 때, 산소에 의한 반응 저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산소 농도를 저하시켜도 좋다. 산소 농도를 저하시켜서 처리를 행할 경우, 계내의 가스 전체를 100체적%로 했을 때, 산소 가스는 1.0체적% 이하가 바람직하고, 0.5체적%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습도는 임의로 좋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발생원으로서는,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마이크로파 방식 무전극 램프, 저압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등, 기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의 적산 광량은, 50~2,0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0mJ/㎠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500mJ/㎠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적산 광량이 50mJ/㎠ 이상이면 수지층의 내수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산 광량이 2,000mJ/㎠ 이하이면 기재에의 데미지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교환 소자]
이어서 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간격 유지 부재인 콜게이트 시트를 접착제 등으로 접합하여 편면 골판지를 얻는다. 접착제는, 아세트산 비닐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과의 접착력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콜게이트 시트에 난연제 가공을 실시해 두어도 좋다. 콜게이트 가공은, 콜게이트 시트를 형성하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한쌍의 톱니바퀴형상의 콜게이터에 의해 행해지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콜게이트 시트의 접합은,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콜게이트 가공된 콜게이트 시트에 꽉 누르는 프레스롤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콜게이트 시트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접착에는, 콜게이트 시트의 골판지 가공된 정점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압박하여 접착하는 공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콜게이트 시트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콜게이트 시트와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가열하면서 압박함으로써 접착시킬 수도 있다.
열교환 소자는, 편면 골판지를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편면골판지의 산의 정점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수의 편면 콜게이트를 한장씩 교대로 교차시켜서 적층시켜 제조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정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측정값으로부터 수치를 구할 때는 측정의 수를 2회로 하고, 그 평균값을 수치로서 채용했다.
<측정법>
(1)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
100㎜×100㎜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시험편을 5매 준비하고, 그것들을 온도 20℃, 습도 65%RH의 분위기 중에서 24hr 정치하고, 그 후에, 5매의 시험편 각각의 질량(g)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1㎡당의 질량(g/㎡)으로 나타내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g/㎡)으로 했다.
(2)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
300ml 용량의 용기에 충전된 200ml의 용매(아세트산 에틸)에 5매의 (1)의 시험편을 2분간 함침시키고, 5매의 시험편의 표면 및 이면을 5회씩 닦아냈다. 이어서, 재차, 5매의 시험편을 300ml 용량의 용기에 충전된 200ml의 용매(아세트산 에틸)에 2분간 침지시켰다. 계속해서, 5매의 시험편을 온도 20℃, 습도 65%RH의 분위기 중에서 24hr 정치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부터 수지층을 제거한 다공질 기재의 시험편을 얻었다. 그 후에, 5매의 시험편 각각의 질량(g)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1㎡당의 질량(g/㎡)으로 나타내고,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g/㎡)으로 했다.
(3) 수지층의 단위중량
이어서, (1)과 (2)에서 구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 및, 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수지층의 단위중량(g/㎡)을 계산했다.
수지층의 단위중량(g/㎡)=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위중량(g/㎡)-다공질 기재의 단위중량(g/㎡).
(4) 수지층의 두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면 SEM 화상 또는 단면 TEM 화상으로부터 수지층의 두께를 계측했다. 수지층의 두께는, 다공질 기재의 중에 침투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으로부터, 수지층과 다공질 기재의 계면까지의 길이로 하고, 다공질 기재의 세공의 중에 존재하는 수지층 성분은 수지층의 두께의 계측으로부터는 무시했다.
(5) 수지층에 함유되는 성분의 특정과 함유량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으로부터 수지층을 날붙이로 깎아내고, 합해서 5g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상기 시험편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열분해 GC-MS)로 측정하고, 수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특정하고, 또한, 수지층에 포함되는 성분의 함유량을 구했다.
(6)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으로의 곰팡이 방지제의 노출 유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을 광학 현미경 또는 SEM으로 관찰하고, 곰팡이 방지제의 제 1 면에의 노출을 확인했다. 표면으로부터의 관찰로 판단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면 SEM 화상으로부터 곰팡이 방지제의 제 1 면에의 노출을 확인했다.
(7) 수지층에 함유되는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사이즈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을 SEM으로 관찰하고,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사이즈를 화상으로부터 계측했다. 화상에 비친 각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면적을 화상 해석에 의해 계측하고, 상기 면적과 동 면적의 정원의 직경을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사이즈로 했다.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제 1 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표면 SEM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단면의 SEM 화상으로부터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사이즈를 계측했다.
(8)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두께
두께는, 시료(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다른 개소로부터 200㎜×200㎜의 시험편을 3매 채취하고, 온도 20℃, 습도 65%RH의 분위기 중에서 24hr 정치하고, 그 후, 3매의 시험편 각각의 중앙과 4모퉁이의 5점의 두께(㎛)를 측정기(형식 ID-112, (주)미쯔토요제)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1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값으로 했다.
(9)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습도
투습도는, JIS Z0208(1976) 투습도(컵법)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사용한 컵은 직경 60㎜이고 깊이 25㎜이다. 시험편은 직경 70㎜의 원형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5매 준비했다. 시험편을 온도 20℃, 습도 65%RH에서 24hr 방치했다. 이어서, 그 시험편을, 수분 측정용 염화칼슘(와코 준야쿠 고교제)이 들어간 컵에 설치하고, 시험편, 염화칼슘, 컵을 합한 초기 중량(T0)을 측정하고, 이어서, 온도 20℃, 습도 65%RH로 설정한 항온 항습조 내에 시험편을 정치하고, 정치를 개시하고,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 4시간 후 및 5시간 후의 시점에 있어서의 시험편, 염화칼슘, 컵을 합한 중량(각각 T1, T2, T3, T4, T5)을 측정했다. 하기 식에 의해 투습도를 구하고, 5매의 평균값을 투습도(g/㎡/hr)로 했다.
투습도(g/㎡/hr)={[((T0-T1)/T1)+((T0-T2)/T2)+((T0-T3)/T3)+((T0-T4)/T4)+((T0-T5)/T5)]/5}×100.
(10)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투기도
투기도는, JIS P8117(1998) 투기도(걸리 시험기법)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길이 100㎜, 폭 100㎜의 시험편(열교환 소자용 시트)을 5매 준비했다. 시험편은 온도 20℃, 습도 65%RH에서 24hr 방치 후, 동 온습도의 환경하에서, 걸리식 덴소미터(형식 G-B3C, (주)토요세이키 세이사쿠쇼)에 시험편을 설치하고, 공기 100ml가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5매의 평균값을 투기도(초/100ml)로 했다. 또한, 투기도의 값이 클수록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기체 차폐성은 우수한 것으로 된다.
(11)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곰팡이 저항성
곰팡이 저항성은 JISZ2911:2010 부속서 A의 플라스틱 제품의 곰팡이 저항성 시험 방법 B에 의해 시험했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1변이 30㎜인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시험용 샘플로 했다. 시험에 사용하는 곰팡이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페니실리움 피노필럼, 페실로마이세스 바리오티, 트리코델마 비렌스, 케토미움 글로보숨의 5종류를 혼합한 것을 사용했다. 시험 샘플에 상기 시험용 곰팡이를 분무하고, 24℃, 95%RH의 환경에서 4주간 배양했다. 배양 후의 샘플 상의 곰팡이 발육 상태를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표 5와 같이 곰팡이 발육 상태를 6단계로 판정했다. 판정은 곰팡이 발육 상태 0이 가장 곰팡이 저항성이 좋은 것이고, 곰팡이 발육 상태 5가 가장 곰팡이 저항성이 떨어진 것이다. 곰팡이 발육 상태의 평가는 배양 개시로부터 2주간 경과 시점과 4주간 경과 시점의 2회 행했다.
Figure pct00001
(12)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항균성
항균성은 JISZ2801:2010의 항균 가공 제품-항균성 시험 방법에 의해 시험했다.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1변이 30㎜인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시험용 샘플로 했다. 무가공 시험편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했다. 시험에 사용하는 균은 황색 포도구균을 사용했다. 상기 시험용 샘플과 무가공 시험편에 상기 균액을 적하하고, 35℃, 90%RH의 환경에서 24hr 배양했다. 이어서, 이하의 식에 의해 항균 활성값을 산출했다.
항균 활성값=(무가공 시험편의 생균수의 대수값)-(시험 샘플의 생균수의 대수값)
항균 활성값의 수치는 높을수록 항균성이 우수한 것이다.
(13)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세정 내구 시험
100㎜×100㎜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시험편을 10매 준비했다. 이어서, 가정용 식기 세제를 40℃의 온수에 녹여서 농도 0.01질량%의 세정액을 제작했다. 이 세정액에 시험편을 침지하고, 5분간 정치했다. 이어서 샘플을 인출하고, 40℃의 유수로 10초간 린스하는 동작을 2회 반복했다. 이상의 세정액에 침지하는 동작부터 린스까지 처리를 1사이클의 세정 처리로 하고, 한 개의 샘플당 5사이클의 세정 처리를 반복했다. 이 5사이클의 세정 처리를 세정 내구 시험이라고 칭한다. 회수한 세정 내구 시험 후의 시험편을 60℃ 설정의 열풍 오븐에서 3분간 건조한 후, 20℃ 65%RH의 분위기 중에서 24hr 정치했다. 이어서, 상기 처리를 행한 각 시험편에 대해서, (9), (10), (11), (12) 기재의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세정 내구 시험 후의 성능으로 했다.
(실시예 1)
다공질 기재로서, 단위중량 6.7g/㎡, 두께 12㎛, 중공률 43%, 세공 지름 33㎚의 폴리에틸렌 다공성 필름을 준비했다. 물성은 투습도 101g/㎡/hr, 투기도 120초/100ml였다.
이어서,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수지층의 재료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BASF사제 "LuvitecK85"(등록상표))과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수분산체(오사카 카세이(주)제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 주성분: 징크피리치온)를 준비했다. 용매로서 에탄올과 물의 혼합액을 사용했다. 상기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에탄올과 물을 질량비로 4.0:0.1:63.9:32.0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서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로 했다.
이어서, 이하의 순서로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수지층을 형성했다.
상기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바 코터 번수 6번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했다. 도포 후, 60℃ 설정의 열풍 오븐 내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이상의 순서로 수지층에 99.5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0.5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4.0:0.2:63.9: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9:0.4:63.8: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6:1.8:63.0:31.5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0.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9.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2:4.0:61.9:30.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80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5.7:60.9:30.5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4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8.6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수분산체를 스미카 인바이론먼털사이엔스(주)제 "네오신톨AF-75"(주성분: 티아벤다졸)로 하고,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98:0.04:64.0:32.0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9.5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0.5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8:0.4:63.9: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5.2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4.8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6:0.9:63.7: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88.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1.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2:1.6:63.5:31.7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80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2.3:63.2:31.6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4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8.6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의 수분산체를 (주)시나넨 제오믹제 "제오믹WHW10NS"(주성분: 은 담지 지르코니아)로 하고,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9:0.4:63.8: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8:1.0:63.5:31.7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5.2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4.8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6:1.8:63.0:31.5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0.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9.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곰팡이 방지제로서,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 용액(오사카 카세이(주)제 "마루카사이드BX-O"(등록상표), 주성분: 카르바민산계 화합물)을 준비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BX-O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9:0.4:63.8:31.9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7.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4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BX-O"(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2:3.2:62.4:31.2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80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곰팡이 방지제로서, 수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오사카 카세이(주)제 "마루카사이드SY"(등록상표), 주성분: 유기 질소 황 화합물)를 준비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SY"(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9:0.2:63.9:32.0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97.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4질량%의 수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SY"(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2:1.6:63.5:31.7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80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수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4.0:64.0:32.0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이 100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해서 행한 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어느 열교환 소자용 시트도 수지층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투습도를 발현하고, 수지층에 의해 다공질 기재의 세공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투기도를 발현한다.
실시예 1~1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 중에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 저항성을 갖는다.
비교예 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 중에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 저항성은 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14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고형물이 아닌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5~1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서, 곰팡이 저항성 평가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시예 1~14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평가 개시부터 4주간 경과 시점에서도 높은 곰팡이 저항성을 발현하고 있다. 즉, 수지층 중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장기간 곰팡이 저항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실시예 5나 10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실시예 16이나 18의 고형물이 아닌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비교하면,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포함되는, 곰팡이 방지제의 양은 동일 20질량%이지만, 실시예 5나 10의 쪽이 우수한 곰팡이 저항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수지층에 포함했을 경우에 특히 우수한 곰팡이 저항성이 얻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 19)
수지층의 재료로서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우레탄 에멀젼(DIC(주)제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 카가쿠(주)제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를 준비했다. 용매로서 에탄올과 물의 혼합액을 사용했다. 상기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0:0.1:2.3:0.2:62.9:31.5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체로 될 때까지 교반해서 고형분 4질량%의 혼합 용액으로서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로 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에 UV개시제(IGMResins사제 "Omnirad"(등록상표) 184)를 "LuvitecK85"(등록상표)에 대하여 3질량% 첨가해서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로 했다.
이어서, 이하의 순서로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수지층을 형성했다.
상기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바 코터 번수 6번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했다. 도포 후, 60℃ 설정의 열풍 오븐 내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수지층을 도포한 다공질 기재를 대지에 테이프로 부착하고, UV 조사 장치(아이그래픽스 가부시키가이샤제 「ECS-301」)를 사용해서 대기 분위기하에서 200mJ/㎠의 조사량의 UV를 조사하고, 수지층을 가교시켰다.
이상의 순서로 수지층에 71.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0.5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0:0.2:2.3:0.2:62.9: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 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0.4:2.2:0.2:62.8: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0.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 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7:1.8:2.1:0.2:62.1:31.0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5.7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9.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 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4:4.0:1.8:0.2:61.0:30.5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7.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1:5.7:1.6:0.1:60.2:30.1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8.6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0:0.04:2.3:0.2:62.9:31.5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9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0.5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0.4:2.2:0.2:62.9: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8.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4.8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7:0.9:2.0:0.2:62.8: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4.3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1.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4:1.6:1.8:0.2:62.6:31.3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7.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네오신톨AF-75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1:2.3:1.6:0.1:62.5:31.2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8.6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0.4:2.2:0.2:62.8: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0.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1.0:2.2:0.2:62.5:31.2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8.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4.8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제오믹WHW10NS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7:1.8:2.1:0.2:62.1:31.0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5.7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9.1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BX-O"(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0.4:2.2:0.2:62.8: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0.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4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BX-O"(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4:3.2:1.8:0.2:61.6:30.8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7.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0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SY"(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9:0.3:2.2:0.2:62.9:31.4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69.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3.4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6)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SY"(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2.4:1.6:1.8:0.2:62.6:31.3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57.8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20.0질량%의 유용성 액체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0:2.3:0.2:62.9:31.5의 비율로 했다.
상기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2.3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해서 행한 평가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해서는 세정 내구 시험 전후로 각각 성능 평가를 행했다. 어느 열교환 소자용 시트도 수지층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투습도를 발현하고, 수지층에 의해 다공질 기재의 세공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투기도를 발현한다.
또한,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가교 구조를 포함하고, 우레탄 수지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갖는 아크릴레이트가 가교되어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높은 내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세정 내구 시험 후도 세정 내구 시험 전과 변함 없는 높은 투습도와 투기도를 발현한다.
실시예 19~3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곰팡이 저항성을 나타내고, 세정 내구 시험 후에 있어서도 곰팡이 저항성은 세정 내구 시험 전과 변함 없다.
비교예 2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 중에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 저항성은 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23과 2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20질량% 포함한다. 한편, 실시예 34와 36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에 고형물이 아닌 곰팡이 방지제를 20질량% 포함한다. 이 실시예 23과 2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와 실시예 34와 36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비교하면, 실시예 23과 2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세정 내구 시험 후에 투기도의 악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것은 수지층에 포함되는 곰팡이 방지제가 고형물이었을 경우, 수지층 중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가교를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내세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높은 내수성과, 높은 곰팡이 저항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37)
이하의 조작에 의해 수지층의 도료 조성물을 제작했다.
"LuvitecK85"(등록상표)와 "마루카사이드YP-DP"(등록상표)와 "하이드란WLS-201"(등록상표)과 "라이트아크릴레이트DPE6A"(등록상표)와 물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3.0:0.2:2.3:0.2:62.9:31.4의 비율로 했다.
이어서, 바 코터의 번수를 3번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38)
바 코터의 번수를 5번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7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39)
바 코터의 번수를 9번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7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40)
바 코터의 번수를 15번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7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41)
바 코터의 번수를 20번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7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수지층에 71.6질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1.0질량%의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얻었다.
이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37~4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에 대해서 행한 평가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이들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모두 수지층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곰팡이 저항성을 발현한다.
실시예 37과 3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세정 내구성 시험 후의 곰팡이 저항성의 열화 정도가 실시예 39~41에 비해서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37과 38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와 수지층의 접착 면적이 작아지고,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와 수지층의 밀착력이 약하고, 세정 내구성 시험에 의해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탈락하여, 결과적으로 곰팡이 저항성이 떨어진 것으로 되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40과 4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세정 내구 시험 전의 곰팡이 저항성이 실시예 37~39와 비교해서 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40과 41의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수지층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가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노출되는 면적이 작아지고,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 1 면에 공급되는 곰팡이 발육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이 적어져, 결과적으로 곰팡이 저항성이 떨어진 것으로 되었다고 생각된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101 열교환 소자용 시트
102 다공질 기재
103 수지층
104 고형물의 곰팡이 방지제
105 제 1 면

Claims (10)

  1. 다공질 기재 및 수지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로서,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상기 제 1 면측의 최표층은 수지층이며,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수지층은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 방지제는 고형물인 열교환 소자용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입자형상이며,
    상기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이 10㎚ 이상 10000㎚ 이하인 열교환 소자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곰팡이 방지제의 직경과 수지층의 두께의 비(항곰팡이제의 직경/수지층의 두께)가 0.5~10인 열교환 소자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상기 제 1 면에 노출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 방지제가, 피리치온계 화합물,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은계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 방지제의 함유량이, 수지층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이며, 또한, 0.0005g/㎡ 이상 0.9g/㎡ 이하인 열교환 소자용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포액을 상기 다공질 기재의 일방의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도포액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도포액이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교환 소자용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용 시트를 사용한 열교환 소자.
  10. 제 9 항에 기재된 열교환 소자를 사용한 열교환기.
KR1020217037319A 2019-08-20 2020-08-17 열교환 소자용 시트 KR20220044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0262 2019-08-20
JP2019150262 2019-08-20
PCT/JP2020/030960 WO2021033658A1 (ja) 2019-08-20 2020-08-17 熱交換素子用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00A true KR20220044900A (ko) 2022-04-12

Family

ID=7466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319A KR20220044900A (ko) 2019-08-20 2020-08-17 열교환 소자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2941A1 (ko)
EP (1) EP4019883A4 (ko)
JP (1) JPWO2021033658A1 (ko)
KR (1) KR20220044900A (ko)
CA (1) CA3142599A1 (ko)
WO (1) WO2021033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2066B2 (ja) * 2020-09-30 2022-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用仕切部材、全熱交換素子、および換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645A (ja) 2010-07-07 2012-01-26 Panasonic Corp 透湿膜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素子
JP2016029226A (ja) 2014-07-15 2016-03-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全熱交換器エレメント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20779A (ja) 2015-07-07 2017-01-26 東レ株式会社 熱交換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97A (ja) * 1992-10-01 1994-04-28 Zexel Corp 熱交換器の抗菌処理方法
KR100301262B1 (ko) * 1998-12-04 2001-11-22 사또미 유따까 항균및항곰팡이성이뛰어난알루미늄합금제핀재및그것을구비한에어컨용열교환기및열교환기용핀재
JP2003166155A (ja) * 2001-11-29 2003-06-13 Toray Ind Inc 不織布
JP4654612B2 (ja) * 2004-06-16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防菌防黴性樹脂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8224204A (ja) * 2007-02-16 2008-09-25 Kobe Steel Ltd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
JP2009256571A (ja) * 2008-01-25 2009-11-05 Fujifilm Corp 防かび作用を有する親水性組成物及び親水性部材
JP2017179613A (ja) * 2016-03-28 2017-10-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透湿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全熱交換器エレメント用原紙及び全熱交換器エレメント
JP6264624B1 (ja) * 2016-08-24 2018-01-24 株式会社ファインテック 抗菌・防カビ・消臭剤、それを用いた気化式加湿器、ならびに抗菌・防カビ・消臭方法
WO2019111793A1 (ja) * 2017-12-05 2019-06-13 東レ株式会社 熱交換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645A (ja) 2010-07-07 2012-01-26 Panasonic Corp 透湿膜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素子
JP2016029226A (ja) 2014-07-15 2016-03-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全熱交換器エレメント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20779A (ja) 2015-07-07 2017-01-26 東レ株式会社 熱交換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22896A (zh) 2022-03-22
EP4019883A1 (en) 2022-06-29
CA3142599A1 (en) 2021-02-25
WO2021033658A1 (ja) 2021-02-25
JPWO2021033658A1 (ko) 2021-02-25
EP4019883A4 (en) 2023-09-20
US20220282941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120B1 (ko) 전열 교환기용 시트, 전열 교환 소자 및 전열 교환기
CN111148962B (zh) 热交换元件用片、其制造方法、热交换元件及热交换器
EP1455845B1 (en) An absorbent hygiene product
JP6790516B2 (ja) 熱交換用シート
JP6995713B2 (ja) 抗ウィルス性の化粧板
KR102234761B1 (ko) 흡습성 폴리머 입자, 이 입자를 갖는 시트, 소자 및 전열교환기
KR20130080451A (ko) 코팅된 다공성 물질
KR20080015022A (ko) 미세다공성 기재 상의 다작용성 코팅
WO2011153085A2 (en) Process for making coated porous materials
US9255209B2 (en) Air-permeable sheet imparted with oil repellency
JP2006524759A5 (ko)
KR20220044900A (ko) 열교환 소자용 시트
JP2018109492A (ja) 熱交換用シート
CN114222896B (zh) 热交换元件用片材
JP7409107B2 (ja) 熱交換用シート
KR101852971B1 (ko) 인장강도 및 흡방습 특성이 우수한 천연 벽지
JP2024075085A (ja) 熱交換素子用シート、その製造方法、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器
WO2022201761A1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96280B2 (ja)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26386A (ja) 非通気性吸放湿性防水シ−ト
JPS60110440A (ja) 結露防止性防水シ−ト
JP2018109493A (ja) 熱交換用シート
JP2734617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24075061A (ja) 積層体
JPH06116403A (ja) 結露防止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