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242A -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 Google Patents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242A
KR20220042242A KR1020227009267A KR20227009267A KR20220042242A KR 20220042242 A KR20220042242 A KR 20220042242A KR 1020227009267 A KR1020227009267 A KR 1020227009267A KR 20227009267 A KR20227009267 A KR 20227009267A KR 20220042242 A KR20220042242 A KR 2022004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amorphous alloy
based amorphous
group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816B1 (ko
Inventor
에릭 앨런 타이젠
나오키 이토
로날드 조셉 마르티스
주니어 도날드 로버트 리드
존 폴 웹
Original Assignee
메트글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2382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0422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트글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트글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2Amorphous alloys with iron as the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1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single casting wheel, e.g. for casting amorphous metal strip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03Making ferrous alloys making amorph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08Fe-Ni based alloys
    • H01F1/14733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08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Fe/N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25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containing rare ear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3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containing nanocrystallites, e.g. obtained by ann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41Preparation proces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3Amorphous or microcrystalline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다음 화학식 (Fe1-aMa)100-x-y-z-p-q-rCuxSiyBz M'pM"q Xr (여기서, M은 Co 및/또는 Ni이고, M'은 Nb, W, Ta, Zr, Hf, Ti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M"은 V, Cr, Mn, Al, 백금족 원소, Sc, Y, 희토류 원소, Au, Zn, Sn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a, x, y, z, p, q 및 r은 각각 0≤a≤0.5, 0.1≤x≤3, 0≤y≤30, 1≤z≤25, 5≤y+z≤30, 0.1≤p≤30, q≤10 및 r≤10을 만족시킴)으로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63.5 mm 초과의 폭, 13 내지 20 ㎛의 두께의 철계 연자성 합금에 관한 것이고, 합금은 적어도 50% 결정질이고, 100 n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 합금은 낮은 코어 손실, 높은 투자율 및 낮은 자기변형을 갖는다.

Description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A WIDE IRON-BASED AMORPHOUS ALLOY, PRECURSOR TO NANOCRYSTALLINE ALLOY}
기술 분야
본 발명은 63.5 mm 초과의 폭을 갖는 철계 나노결정질 연자성 합금 리본에 관한 것이다. 주조된 무정형 합금을 열 처리하여 나노결정질 구조를 얻는다. 그러한 열 처리된 리본은 전류 센서, 포화 인덕터, 트랜스포머, 자성 차폐재 및 다양한 전력 변환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배경
많은 제조업체, 예컨대 히타치 메탈즈(Hitachi Metals) 및 배큠쉬멜쯔(Vacuumschmelze)는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인 63.5 mm 이하의 최대 폭을 갖는 무정형 합금 리본을 판매한다. 현재의 최대 폭은 주조 기술에 의해 제한되고, 그 결과로 빈약한 자성 특성, 리본의 폭을 가로질러서 큰 두께 변화 및 주조 동안에 빈약한 권취 성능이 초래된다.
전력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나노결정질 호일 합금에 대해 상당한 요구가 있다. 나노결정질 리본의 낮은 손실 특성은 그것이 넓은 범위의 고주파수(kHz) 트랜스포머 응용에 적합하게 한다. 또한, 나노결정질 리본은 초크 코일에서 고주파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나노결정질 리본은 펄스 전력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나노결정질 합금은 평면 유동 주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고, 평면 유동 주조 방법에서는 용융된 금속이 회전 켄치 휠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금속이 106 ℃/sec 정도의 냉각 속도로 무정형 상태로 급속 냉각된다. 주조된 리본의 바람직한 두께는 13 내지 20 ㎛이다. 회전 켄치 휠의 선 속도는 전형적으로 25 내지 35 m/s이다. 리본이 연속으로 주조되어 켄치 휠로부터 스트리핑(stripping)되고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큰 스풀 상에 기계적으로 운반되어 스풀에서 연속으로 권취된다.
통상적인 철계 완전 무정형 합금은 트랜스포머 코어에 흔히 이용되고, 리본은 25 ㎛의 두께로 5.6", 6.7" 및 8.4"의 폭으로 입수가능하다. 겨우 13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이 나노결정질 합금은 리본의 포획 및 권취를 63.5 mm 초과의 폭에서는 매우 어렵게 한다. 리본의 상대적 얇음은 리본을 파단하지 않으면서 리본을 고속으로 기계적으로 포획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따라서, 리본이 스풀 상에 연속으로 권취될 수 없다.
또한, 폭 방향에서 두께 균일성은 리본을 스풀 상에 연속으로 권취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리본의 높은 구역 및 낮은 구역의 점진적인 겹침으로 인해 스풀이 증대하기 때문에 두께 변화는 스풀이 빈약하게 권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을 가로질러서 큰 두께 변화를 갖는 리본으로 이루어진 스풀은 리본이 더 얇은 곳에서는 매우 헐겁고 리본이 더 두꺼운 곳에서는 매우 팽팽하여 권취 동안에 리본이 쉽게 파단하게 할 것이다.
리본을 연속으로 권취하는 것의 어려움은 더 넓은 폭의 나노결정질 합금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이다. 상이한 두 단계로 리본을 주조하고 스풀에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것이 많은 접힘을 도입하고 리본에 주름이 생기게 하여 연자성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이것이 어렵다. 또한, 리본의 연속 주조 및 동기 권취는 중간 가공 단계를 제거하기 때문에, 리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리본의 연속 주조 및 동기 권취가 필요하다.
그 다음, 완전 무정형 리본은 나노결정질 상태로 열 처리된다. 내용이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4,881,989(발명의 명칭: "Fe-base soft magnetic allo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는 열 처리 동안에 무정형 주조된 리본으로부터 나노결정질 합금으로의 전이의 물리학을 개시한다.
좁은 입수가능한 폭은 응용을 주로 작은 테이프로 권취된 코어 물질에 제한한다. 현재로서는 광폭 고주파수 트랜스포머를 제조하는 것은 다수의 좁은 폭의 권취된 코어를 함께 적층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좁은 리본 폭은 나노결정질 리본의 제조 속도를 제한하고, 이것은 리본의 비용을 많은 응용에서 엄두도 못 낼 정도로 높게 한다. 20 ㎛ 미만의 호일의 두께는 63.5 mm 초과의 리본을 권취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그러한 더 넓은 리본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지 않다.
발명의 요약
현 기술의 불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연자성 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상태로 열 처리될 수 있는 13 내지 20 ㎛의 두께 및 63.5 mm 초과의 폭을 갖는 철계 전구체 리본을 제공하는 것 및 63.5 mm보다 넓은 폭의 리본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 기술적 해결책을 포함한다.
포화 자속 밀도가 1.15 T 초과이고 1 kHz에서 시험되는 초기 투자율이 75000 초과인 연자성 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상태로 열 처리될 수 있는 13 내지 20 ㎛의 두께 및 63.5 mm 초과의 폭의 철계 전구체 리본이 개시된다. 추가로, 63.5 mm보다 넓은 폭의 리본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리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 ㎛이고, 16 내지 18 ㎛가 더 바람직하다.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리본 두께 균일성은 바람직하게는 총 리본 두께의 +/- 15% 미만의 변화를 나타낸다. 25 ㎛ 두께의 표준 무정형 리본은 5.6", 6.7" 및 8.4" 폭으로 입수가능하다. 또한, 13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전구체 나노결정질 리본은 이 폭으로 주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구체 나노결정질 리본은 63.5 mm부터 그것을 제조하고 있는 기계가 허용하는 만큼의 폭까지 범위의 폭으로 주조될 수 있다.
광폭 철계 연자성 합금의 조성은 다음 화학식 (Fe1-aMa)100-x-y-z-p-q-rCuxSiyBz M'pM"q Xr (여기서, M은 Co 및/또는 Ni이고, M'은 Nb, W, Ta, Zr, Hf, Ti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M"은 V, Cr, Mn, Al, 백금족 원소, Sc, Y, 희토류 원소, Au, Zn, Sn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a, x, y, z, p, q 및 r은 각각 0≤a≤0.5, 0.1≤x≤3, 0≤y≤30, 1≤z≤25, 5≤y+z≤30, 0.1≤p≤30, q≤10 및 r≤10을 만족시킴)으로 나타내는 조성을 가지고, 합금은 적어도 50% 결정질이고, 100 n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광폭 Fe계 연자성 합금의 바람직한 조성은 0≤a≤0.05, 0.8≤x≤1.1, 12≤y≤16, 6≤z≤10, 1≤p≤5, q≤1 및 r≤1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추가로, 광폭 Fe계 연자성 합금의 바람직한 조성에서, M'은 Nb 또는 Mo이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롤러 켄칭(single roller quenching)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는, 합금이 평면-유동 용융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평면-유동 용융 방사 방법에서는 원료를 용융시키는 것이 무코어 유도 용융 퍼네이스에서 일어나고 균일한 조성의 용융된 합금을 제조한다. 용융된 금속은 보유 퍼네이스에 이송되고, 보유 퍼네이스는 용융된 금속을 보유하고 액체를 세라믹 노즐을 통해 회전 켄칭 휠 상에 연속으로 공급한다. 켄칭 휠은 내부적으로 수냉각되어 리본으로부터 열을 제거한다. 세라믹 노즐은 용융된 금속이 노즐과 휠을 이어주는 퍼들(puddle)을 형성하기에 충분하게 회전 휠에 가깝다. 용융된 금속 퍼들로부터 연속 리본을 잡아당기고, 리본은 휠과 접촉하는 동안에 급속하게 냉각한다.
리본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두께의 균일성은 용융된 금속을 세라믹 노즐의 폭 방향을 따라서 균등하게 흐르게 하는 능력에 의존한다. 용융된 금속 유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는 노즐과 휠 사이의 틈색 간격, 노즐의 폭을 따라서 슬롯 치수, 및 퍼네이스와 노즐 사이의 메탈로스태틱(metallostatic) 압력이다.
켄치 휠 표면의 열 변형은 켄치 휠이 실온으로 있는 주조 공정의 시작과 휠을 통해 열이 전도되고 있는 정상 상태 가공 사이에서 일어난다. 켄치 휠의 열 변형은 노즐과 휠 사이의 틈새 간격의 변화를 야기한다.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전 과도기 동안의 휠 열 변형을 보상하기 위해 노즐의 슬롯 개구를 변경하기 위해서 세라믹 노즐이 폭 방향을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피닝(pinning)된다. 다수의 장소에서 노즐 슬롯의 기계적 피닝은 리본 폭 방향에서 균일한 용융된 금속 유동 및 균일한 두께를 유지한다. 이것은 리본 폭이 63.5 mm 초과인 것을 허용한다.
리본은 공기유동 스트리퍼(stripper)를 이용해서 휠로부터 기계적으로 제거된다. 리본은 켄칭 휠과 대략 180°의 랩(wrap) 각도를 형성하여 리본이 250℃ 미만으로 냉각하는 것을 허용한다. 켄칭 표면을 주조 동안에 연속으로 폴리싱하여 표면을 1 ㎛ 미만의 평균 거칠기 Ra로 깨끗하게 유지한다.
리본이 켄치 휠로부터 제거된 후, 기계식 스피닝 이중 엇회전 브러쉬 시스템이 리본을 포획하여 그것을 권취 스풀 상에 이송한다. 그 다음, 브러쉬 시스템이 리본을 권취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고, 권취 스테이션에서 리본이 회전하는 켄치 휠과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스풀 상에 이송된다.
겨우 13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리본의 두께는 켄치 휠과 권취기 사이에서의 리본의 이송 동안에 리본이 기계적으로 파단되기 쉽게 한다. 권취기로 이송 동안 리본 파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미세 와이어 브리스틀을 이용하는 변경된 이중 브러쉬 시스템이 이용된다.
또한, 13 내지 20 ㎛의 리본을 처리하기 위해 권취기 기하학적 구조가 변경된다. 권취기는 켄치 휠과 동일한 속도로 움직여야 하고, 따라서 리본이 파단되게 하는 리본 상의 임의의 비균일 힘을 방지하기 위해 권취기를 둘러싸는 공기 유동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계 무정형 전구체 리본의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고, 여기서 1은 유도 용융 퍼네이스이고, 2는 보유 퍼네이스이고, 3은 회전 켄치 휠이고, 4는 쓰레드 업 브러쉬(thread up brush)이고, 5는 권취기 및 스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즐 슬롯 확장 조절 방법을 이용할 때의 리본의 폭 방향에서의 두께 변화의 플롯이다.
도 3은 노즐 및 주조 휠의 열 변형을 고려하지 않는 선행 기술을 이용할 때의 리본의 폭 방향에서의 두께 변화의 플롯이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양태와 조합하여 더 상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나노결정질 리본의 전구체로서 주조되는 철계 무정형 합금의 조성을 위해, 원료는 순수 철, 페로붕소, 페로규소, 페로니오븀 및 순수 구리로 이루어진다. 이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1400℃로 가열된 유도 퍼네이스에서 용융되고, 여기서 용융된 금속이 보유되어 정련되고 부수적 불순물이 용융물의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허용하고, 그것은 도 1의 단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 슬래그로서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용융된 금속은 도 1의 단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퍼네이스에 이송된다.
용융된 금속은 보유 퍼네이스로부터 세라믹 주조 노즐을 통해 조절된 일정 압력 유동 속도로 공급된다. 노즐과 켄치 휠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의 거리이다. 용융된 금속 퍼들이 이 틈새를 메우고, 안정한 용융된 퍼들이 형성되고, 그로부터 금속이 고화되어 도 1의 단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리본이 주조된다.
리본이 켄치 휠로부터 제거되어 도 1의 단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레드-업 브러쉬에 포획된다. 그 다음, 도 1의 단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이 켄치 휠 회전의 동기 속도로 권취 장치에 이송된다.
권장 주조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m/s이고, 28 내지 30 m/s가 더 바람직하다. 리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 ㎛이고, 16 내지 18 ㎛가 더 바람직하다.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리본 두께 균일성은 바람직하게는 총 리본 두께의 +/- 15% 미만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리본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1 cm 간격으로 점검된 1 cm 앙빌로 측정된 주조된 리본의 전형적인 두께를 나타낸다. 세라믹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노즐 슬롯 개구를 조절하기 위해 노즐 폭을 가로질러서 다양한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클램핑되고, 이렇게 하여 그것은 켄치 휠 변형과 정합하여 평편한 리본 프로파일을 유지한다. 도 3은 노즐이 기계적으로 클램핑되지 않을 때의 유사한 주조된 리본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리본의 중심까지 폭을 가로질러서 큰 두께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리본 프로파일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즐이 켄치 휠 형상과 정합하도록 윤곽화될 수 있다. 여기서, 평편한 리본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해 노즐과 휠 사이의 틈새 높이 간격이 조절된다. 그러나, 노즐 안으로 그 형상을 윤곽화하는 데 필요한 추가되는 노동 및 기계가공 때문에 노즐을 클램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해결법의 기술적 해결책을 구현함으로써, 63.5 mm 초과의 폭의 철계 무정형 전구체 리본이 우수한 연자성 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상태로 열 처리될 수 있다. 142 mm의 모 물질로부터 중심으로부터 및 각 가장자리로부터 20 mm 폭으로 도 2에 나타낸 리본을 슬릿팅하고 자성 시험을 위해 토로이드로 형성하였다. 리본을 퍼네이스에서 550℃에서 1 시간 동안 어닐링하여 나노결정질 상태를 유도하였다.
표 1은 불활성 분위기 오븐에서 550℃에서 어닐링된 후의 3개의 토로이드의 결과적인 평균 자성 특성 및 리본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심 부분 사이의 변화를 나타낸다. 800 A/m의 인가된 장에서 평균 유도 수준은 1.2 T이고, 편차는 0.5 T이다. 보자력은 0.71 A/m이고, 편차는 0.25 A/m이다. 투자율은 1 kHz, 10 kHz 및 100 kHz 각각에서 시험할 때 104000, 75000 및 13000이고, 편차는 10000, 5000 및 3000이다.
<표 1>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주조된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전형적인 가변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토로이드 코어의 자성 특성
Figure pat00001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화학 조성(중량%), 리본 폭 및 두께를 나타낸다.
<표 2>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리본 화학, 폭 및 두께
Figure pat00002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화학 조성(중량%), 리본 폭 및 두께를 나타낸다.
<표 3>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리본 화학, 폭 및 두께
Figure pat00003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처음 단계 및 제2 단계의 화학 및 결정화 온도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리본은 토로이드 코어로 권취되거나 또는 슬릿되어 특정 형상으로 적층되고, 아마도 전자 응용에서는 접착제로 함침된다. 그 다음, 코어 또는 적층된 형상을 개시 결정화 온도보다 높지만 제2 결정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어닐링하여 나노결정질 상을 유도한다.
<표 4>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개시 단계 및 제2 단계의 리본 화학 및 결정화 온도
Figure pat00004

Claims (7)

  1. 단일 롤러 켄칭(single roller quenching)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 (Fe1-aMa)100-x-y-z-p-q-rCuxSiyBzM'pM"qXr (여기서, M은 Co 및/또는 Ni이고, M'은 Nb, W, Ta, Zr, Hf, Ti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M"은 V, Cr, Mn, Al, 백금족 원소, Sc, Y, 희토류 원소, Au, Zn, Sn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a, x, y, z, p, q 및 r은 각각 0≤a≤0.5, 0.1≤x≤3, 0≤y≤30, 1≤z≤25, 5≤y+z≤30, 0.1≤p≤30, q≤10 및 r≤10을 만족시킴)의,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인 철계 무정형 합금으로서,
    폭이 63.5 mm 초과이고,
    두께가 13 내지 16 ㎛의 범위이고,
    상기 철계 무정형 합금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두께 변화가 총 두께의 +/- 15% 미만이고,
    어닐링되어 나노결정질 구조를 얻을 때 포화 자기 유도가 1.15 T 초과인,
    철계 무정형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결정화 사건 또는 온도를 가지며, 제1 결정화 온도와 제2 결정화 온도 사이에서 어닐링될 때 100 nm 미만의 결정질 입자 크기를 갖는 나노결정질 합금을 제공하는, 철계 무정형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토로이드로 권취되고 적층되고 라미네이팅된 다음 특정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토로이드로 권취된 다음 63.5 mm 초과의 폭을 갖는 다른 형상으로 절단되는, 철계 무정형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토로이드 코어로 권취될 때, 포화 인덕터 또는 자성 스위치, 전자기 간섭 필터, 트랜스포머, 전류 센서 및 접지 고장 전류 차단 센서로서 이용되며, 이들은 폭이 63.5 mm를 초과하는 것인, 철계 무정형 합금.
  5. 조성 (Fe1-aMa)100-x-y-z-p-q-rCuxSiyBzM'pM"qXr (여기서, M은 Co 및/또는 Ni이고, M'은 Nb, W, Ta, Zr, Hf, Ti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M"은 V, Cr, Mn, Al, 백금족 원소, Sc, Y, 희토류 원소, Au, Zn, Sn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a, x, y, z, p, q 및 r은 각각 0≤a≤0.5, 0.1≤x≤3, 0≤y≤30, 1≤z≤25, 5≤y+z≤30, 0.1≤p≤30, q≤10 및 r≤10을 만족시킴)의,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인 철계 무정형 합금으로서,
    폭이 63.5 mm 초과이고,
    두께가 13 내지 16 ㎛의 범위이고,
    상기 철계 무정형 합금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두께 변화가 총 두께의 +/- 15% 미만이고,
    어닐링되어 나노결정질 구조를 얻을 때 포화 자기 유도가 1.15 T 초과인,
    철계 무정형 합금.
  6. 단일 롤러를 이용하여 켄칭하는 것
    을 포함하는, 조성 (Fe1-aMa)100-x-y-z-p-q-rCuxSiyBzM'pM"qXr (여기서, M은 Co 및/또는 Ni이고, M'은 Nb, W, Ta, Zr, Hf, Ti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M"은 V, Cr, Mn, Al, 백금족 원소, Sc, Y, 희토류 원소, Au, Zn, Sn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a, x, y, z, p, q 및 r은 각각 0≤a≤0.5, 0.1≤x≤3, 0≤y≤30, 1≤z≤25, 5≤y+z≤30, 0.1≤p≤30, q≤10 및 r≤10을 만족시킴)의,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인 철계 무정형 합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철계 무정형 합금은 63.5 mm 초과의 폭, 13 내지 16 ㎛ 범위의 두께를 갖고, 상기 철계 무정형 합금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서 두께 변화가 총 두께의 +/- 15% 미만이고, 어닐링되어 나노결정질 구조를 얻을 때 포화 자기 유도가 1.15 T 초과인, 철계 무정형 합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철계 무정형 합금이 적어도 2개의 결정화 사건 또는 온도를 가지며, 제1 결정화 온도와 제2 결정화 온도 사이에서 10초 내지 4 시간 범위의 시간 동안 어닐링될 때 100 nm 미만의 결정질 입자 크기를 갖는 나노결정질 합금을 제공하는 것인, 철계 무정형 합금의 제조 방법.
KR1020227009267A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KR102587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5160P 2015-04-30 2015-04-30
US62/155,160 2015-04-30
US201562217335P 2015-09-11 2015-09-11
US62/217,335 2015-09-11
KR1020207013396A KR20200054333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PCT/US2015/051192 WO2016175883A1 (en) 2015-04-30 2015-09-21 A wide iron-based amorphous alloy, precursor to nanocrystalline allo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396A Division KR20200054333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242A true KR20220042242A (ko) 2022-04-04
KR102587816B1 KR102587816B1 (ko) 2023-10-10

Family

ID=542382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658A KR20180003574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KR1020207013396A KR20200054333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KR1020227009267A KR102587816B1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658A KR20180003574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KR1020207013396A KR20200054333A (ko) 2015-04-30 2015-09-21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16396B2 (ko)
EP (1) EP3089175B1 (ko)
JP (1) JP6263512B2 (ko)
KR (3) KR20180003574A (ko)
CN (2) CN114411069A (ko)
ES (1) ES2732051T3 (ko)
WO (1) WO2016175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1996B2 (ja) * 2014-02-17 2019-03-13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周波加速空胴用磁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3689B1 (ko) * 2014-07-29 2021-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합금,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106601413A (zh) * 2016-12-20 2017-04-26 薛亚红 一种磁性粉末合金材料
JP6226093B1 (ja) * 2017-01-30 2017-11-08 Tdk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磁性部品
JP6226094B1 (ja) * 2017-01-30 2017-11-08 Tdk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磁性部品
EP3605563B1 (en) 2017-03-31 2023-03-15 Hitachi Metals, Ltd. Fe-based amorphous alloy ribbon for fe-based nanocrystalline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7245673B (zh) * 2017-06-15 2018-12-07 河北工业大学 铁基非晶纳米晶薄带磁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07345265B (zh) * 2017-06-22 2019-08-09 东莞市大忠电子有限公司 一种降低纳米晶磁芯的剩磁的退火工艺
JP6460276B1 (ja) * 2017-08-07 2019-01-30 Tdk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磁性部品
CN107841686B (zh) * 2017-11-10 2019-04-26 内蒙古工业大学 巨磁致伸缩性能的Fe-Ga-Al基薄带合金材料及其制作工艺和应用
JP6439884B6 (ja) * 2018-01-10 2019-01-30 Tdk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磁性部品
CN108559926B (zh) * 2018-01-30 2019-11-22 江苏奥玛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铁基非晶带材及其制备方法和高频高磁导率纳米晶合金的制备方法
CN108372432A (zh) * 2018-02-13 2018-08-07 钦州学院 板材表面微纳米化机械多重碾摩方法
JP7043877B2 (ja) * 2018-02-21 2022-03-30 Tdk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磁性部品
CN110911078B (zh) * 2018-09-14 2022-12-16 江西中磁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一种宽频恒磁导率铁基纳米晶合金磁芯及制备方法
CN109570462B (zh) * 2018-12-12 2020-11-1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晶带材的生产系统及方法
KR102530579B1 (ko) * 2019-08-12 2023-05-09 애플 인크. 무선 충전을 위한 디바이스 커플링
DE102019122524A1 (de) 2019-08-21 2021-02-25 Vacuumschmelze Gmbh & Co. Kg Amorphe Metallfol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morphen Metallfolie mit einer Rascherstarrungstechnologie
CN110724886A (zh) * 2019-09-11 2020-01-24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长庆井下技术作业公司 一种高硬度铁基非晶合金及其制备方法
DE102020104312A1 (de) 2020-02-19 2021-08-19 Vacuumschmelze Gmbh & Co. Kg 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ndes mit einer Rascherstarrungstechnologie sowie metallisches Band
DE102020104311A1 (de) 2020-02-19 2021-08-19 Vacuumschmelze Gmbh & Co. Kg 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ndes mit einer Rascherstarrungstechnologie sowie metallisches Band
DE102020104310A1 (de) 2020-02-19 2021-08-19 Vacuumschmelze Gmbh & Co. Kg 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nds mit einer Rascherstarrungstechnologie sowie metallisches Band
CN114574783B (zh) * 2020-11-18 2023-07-18 安泰非晶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非晶纳米晶合金带材及其制备方法
CN112553545B (zh) * 2020-12-07 2022-03-0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高韧性抗突短铁基非晶软磁合金及制备方法和应用
CN113305273A (zh) * 2021-04-16 2021-08-27 青县择明朗熙电子器件有限公司 一种高性能高稳定性纳米晶软磁材料的制备方法
CN114147191B (zh) * 2021-10-27 2023-02-07 宁波雄海稀土速凝技术有限公司 一种锆铁铸片的浇铸甩带工艺
CN115537684B (zh) * 2021-11-11 2024-04-12 泉州天智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铁基非晶纳米晶吸波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323250B (zh) * 2022-08-19 2023-05-26 安徽中环软磁科技有限公司 一种非晶纳米晶磁性材料制备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4820A1 (en) * 2011-09-29 2013-04-04 Advanced Technology & Materials Co., Ltd Iron-based amorphous alloy broad ribb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182601B2 (ja) * 2006-01-04 2013-04-17 日立金属株式会社 非晶質合金薄帯、ナノ結晶軟磁性合金ならびにナノ結晶軟磁性合金からなる磁心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989A (en) 1986-12-15 1989-11-21 Hitachi Metals, Ltd. Fe-base soft magnetic allo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672306B2 (ja) * 1987-09-09 1997-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Fe基アモルファス合金
JP2710949B2 (ja) * 1988-03-30 1998-02-10 日立金属株式会社 超微結晶軟磁性合金の製造方法
JP3357386B2 (ja) 1991-03-20 2002-12-1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心
US5456770A (en) 1991-07-30 1995-10-10 Nippon Steel Corporation Amorphous magnetic alloy with high magnetic flux density
US5395460A (en) 1992-10-16 1995-03-07 Alliedsignal Inc. Harmonic markers made from Fe-Ni based soft magnetic alloys having nanocrystalline structure
JPH07300657A (ja) 1993-08-23 1995-11-14 Mitsui Petrochem Ind Ltd 非晶質合金薄帯の製造方法
US6648994B2 (en) 2000-01-06 2003-11-18 Hitachi Metals, Ltd. Methods for producing iron-based amorphous alloy ribbon and nanocrystalline material
US6416879B1 (en) * 2000-11-27 2002-07-09 Nippon Steel Corporation Fe-based amorphous alloy thin strip and core produced using the same
US6749700B2 (en) 2001-02-14 2004-06-15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producing amorphous alloy ribbon, and method for producing nano-crystalline alloy ribbon with same
US6749695B2 (en) * 2002-02-08 2004-06-15 Ronald J. Martis Fe-based amorphous metal alloy having a linear BH loop
US6873239B2 (en) 2002-11-01 2005-03-29 Metglas Inc. Bulk laminated amorphous metal inductive device
EP1724792A1 (fr) 2005-05-20 2006-11-22 Imphy Alloy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bande en matériau nanocristallin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tore enroulé à partir de cette bande
JP5445888B2 (ja) 2005-09-16 2014-03-19 日立金属株式会社 軟磁性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性部品
JP2007299838A (ja) * 2006-04-28 2007-11-15 Hitachi Metals Ltd カレントトランス用磁心、カレントトランスならびに電力量計
US7538695B2 (en) * 2007-06-29 2009-05-26 Rmi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flate processing within a compression engine
JP5429613B2 (ja) 2009-03-26 2014-02-26 日立金属株式会社 ナノ結晶軟磁性合金ならびに磁心
CN102471856B (zh) 2009-08-24 2015-04-01 Nec东金株式会社 合金组成物、铁基纳米结晶合金及其制造方法
US8968490B2 (en) * 2010-09-09 2015-03-03 Metglas, Inc. Ferromagnetic amorphous alloy ribbon with reduced surface protrusions, method of casting and application thereof
JP5912239B2 (ja) * 2010-10-12 2016-04-2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Fe基合金組成物、Fe基ナノ結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磁性部品
US8366010B2 (en) 2011-06-29 2013-02-05 Metglas, Inc. Magnetomechanical sensor element and application thereof i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detection system
CN102304669B (zh) * 2011-09-22 2014-02-1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高饱和磁感应强度低成本铁基纳米晶软磁合金
JP6003899B2 (ja) 2011-10-06 2016-10-05 日立金属株式会社 Fe基初期超微結晶合金薄帯及び磁性部品
CN102534129A (zh) * 2011-11-18 2012-07-04 北京工业大学 激光叠片侧面辐照制备环状铁基非晶纳米晶软磁合金方法
JP6046357B2 (ja) 2012-03-06 2016-12-1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合金組成物、Fe基ナノ結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磁性部品
CN104087833B (zh) * 2014-06-18 2016-08-17 安泰科技股份有限公司 高频性能优良的铁基纳米晶软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4233121B (zh) * 2014-09-26 2016-06-29 华南理工大学 一种Fe基非晶纳米晶软磁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2601B2 (ja) * 2006-01-04 2013-04-17 日立金属株式会社 非晶質合金薄帯、ナノ結晶軟磁性合金ならびにナノ結晶軟磁性合金からなる磁心
WO2013044820A1 (en) * 2011-09-29 2013-04-04 Advanced Technology & Materials Co., Ltd Iron-based amorphous alloy broad ribb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333A (ko) 2020-05-19
US10316396B2 (en) 2019-06-11
JP2016211067A (ja) 2016-12-15
KR102587816B1 (ko) 2023-10-10
EP3089175B1 (en) 2019-04-17
WO2016175883A1 (en) 2016-11-03
ES2732051T3 (es) 2019-11-20
US20160319409A1 (en) 2016-11-03
EP3089175A1 (en) 2016-11-02
CN114411069A (zh) 2022-04-29
KR20180003574A (ko) 2018-01-09
JP6263512B2 (ja) 2018-01-17
CN106086714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816B1 (ko) 나노결정질 합금의 전구체로서의 광폭 철계 무정형 합금
CN109716463B (zh) 纳米晶合金磁芯、磁芯组件和纳米晶合金磁芯的制造方法
JP5455041B2 (ja) 軟磁性薄帯、その製造方法、磁性部品、およびアモルファス薄帯
KR102069927B1 (ko) 초미결정 합금 박대, 미결정 연자성 합금 박대 및 이것을 사용한 자성 부품
JP3594123B2 (ja) 合金薄帯並びにそれを用いた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1183B1 (ko) 연자성 합금 및 자성 부품
EP3050977B1 (en) Method for producing fe-based nano-crystal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fe-based nano-crystal alloy magnetic core
JP6137408B2 (ja) Fe基ナノ結晶合金コア、及びFe基ナノ結晶合金コアの製造方法
CN111801752A (zh) 磁性芯及其制造方法和线圈部件
JP6283417B2 (ja) 磁心の製造方法
JP4623400B2 (ja) 軟磁性合金薄帯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磁心及び装置
JP2004353090A (ja) 合金薄帯並びにそれを用いた部材
KR102323140B1 (ko) Fe계 연자성 합금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Fe계 연자성 합금
JP4257629B2 (ja) ナノ結晶軟磁性合金用Fe基アモルファス合金薄帯及び磁性部品
JP6855053B2 (ja) 鉄基硼素系合金の製造方法
JP5445924B2 (ja) 軟磁性薄帯、磁心、磁性部品、および軟磁性薄帯の製造方法
CN114144851A (zh) 铁基软磁合金、其制造方法以及包括其的磁性部件
JP3595481B2 (ja) 圧粉磁心及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7452335B2 (ja) Fe基ナノ結晶合金磁心の製造方法
KR0140788B1 (ko) 극박형 철계 초미세 결정 합금 및 극박형 박대의 제조 방법
JPH1174111A (ja) バルク磁心
JPH023213A (ja) 鉄心用多層非晶質合金薄帯
JP2018178168A (ja) Fe系非晶質合金及びFe系非晶質合金薄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